KR20060112174A - n개의 스크램블링된 코드 블록들 중 하나의 선택 - Google Patents

n개의 스크램블링된 코드 블록들 중 하나의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174A
KR20060112174A KR1020050117925A KR20050117925A KR20060112174A KR 20060112174 A KR20060112174 A KR 20060112174A KR 1020050117925 A KR1020050117925 A KR 1020050117925A KR 20050117925 A KR20050117925 A KR 20050117925A KR 20060112174 A KR20060112174 A KR 20060112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lection
received
scrambled
me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버 리들러
벤자민 존 위드업
그래메 케네스 우드워드
Original Assignee
에이저 시스템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저 시스템즈 인크 filed Critical 에이저 시스템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060112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1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9Convolutional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3776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using a re-encoding step during the decoding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7Rate matching
    • H04L1/0068Rate matching by pun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전체 블록 데이터의 수신 전에,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의 선택을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로 수신된 데이터 블록의 초기 부분이 디코딩되고, 이어서 재-인코딩된다. 디코딩/재-인코딩된 데이터와 대응하는 수신된 데이터의 비교에 기초하여 비매칭된 데이터 심볼들의 수에 관련된 값이 계산된다. 주어진 문턱치를 넘는 계산된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 중 가장 양호한 것이 선택된다.
블록 데이터, 스크램블링, 파트너쉽 프로젝트, 비터비 디코더, 데이터 채널

Description

n개의 스크램블링된 코드 블록들 중 하나의 선택{Selection of 1-out-of-n scrambled code blocks}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전체 블록의 수신 전에,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해 메트릭을 계산하는 회로의 실시예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전체 블록의 수신 전에,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해 메트릭을 계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HS-SCCH의 파트 1을 위한 디코더의 프레임 에러 레이트 수행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올바른 HS-SCCH와 다른 사용자에 속하는 HS-SCCH간을 판별함에 있어 신뢰도를 나타내는, 제안된 메트릭("메트릭 2"라 함)의 결과들에 대한 평균의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메트릭 기반의 선택이 올바른 블록을 얼마나 신뢰성 있게 고르는가를 측정함으로써, 메트릭 2를 이용하는 기술들의 신뢰도의 확증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1dB의 신호 대 잡음 비(SNR)에서 메트릭 2의 확률밀도함수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3: 재-인코딩 및 펑춰링 204: 디코딩
206: 재-인코딩
208: 재-인코딩된 심볼들을 역-스크램블링된 입력 신호들의 부호와 비교
210: 적용가능한 입력 샘플들의 크기들을 누산
212: 누산기로부터의 값들에 기초하여 UE에 보낼 가장 양호한 HS-SCCH를 선택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완전한 데이터 블록이 수신되기 전에 그리고 순환 중복 검사(CRC)가 입수되기 전에 데이터의 해석에 관한 것이다. 특히, 완전한 데이터 블록이 수신되고 에러가 체크되기 전에 전송에서 복수의 제어 채널들 중에서, 스크램블링된 한 제어 채널의 검출 및 선택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배경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UMTS 표준의 릴리즈 5의 HSDPA 확장에 호환되게 설계된 단말장비(핸드셋)는 최대 4개의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 제어 채널들(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이라 함)을 수신하고 후속 처리를 위해 0 혹은 하나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3GPP 표준은 www.3gpp.org에 있음). 수신 된 HS-SCCH들 중 하나의 선택은 선택해야 할 때, 임베딩된 식별("ID") 혹은 순환 중복 검사("CRC")를 전혀 입수할 수 없기 때문에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선택을 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것은 3GPP 표준의 릴리즈 5 이후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에 비교적 새로운 문제이다.
표준화 과정 중에, 표준기구(즉, 3GPP) 회합에 수많은 제안이 이루어졌다. 특히, 서로 상이한 메트릭들의 성능이 논의되었고 모토롤라[1] 및 루센트[2][3](이하 인용된 문헌들)의 제안된 것들에서 비교되었다. 상세한 분석은 학술문헌[4][5]에서 제공되었다. 제안된 방법들은 야마모토-이토 메트릭과, 직접 비터비 디코더로부터의 제곱 유클리드 거리 메트릭을 포함하였다.
이 문제는 몇 개의 종래기술[6][7][8]이 있는 블라인드 트랜스포트 포맷 검출(BTFD)에서도 마찬가지이다.
[1] 3GPP TSG-RAN WG1#24, R1-02-0610, "HS-SCCH의 성능(Performance of the HS-SCCH)", 모토로라(Motorola), 2002년 4월.
[2] 3GPP TSG-RAN WG1#25, R1-02-0553, "HS-SCCH 코딩 상의 웨이 포드(Way forward on HS-SCCH coding)", 루센트 테크놀로지스(Lucent Technologies), 2002년 4월.
[3] 3GPP TSG-RAN WG1#25, R1-02-0649, "HS-SCCH의 성능(Performance of the HS-SCCH)", 루센트 테크놀로지스(Lucent Technologies), 2002년 4월.
[4] 고쉬(Ghosh), 라타숙(Ratasuk), 프랭크(Frank), 러브(Love), 스테와트(Stewart), 버클리(Buckley) [모토로라], "3GPP W-CDMA를 위한 고속 다운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제어 채널 설계(Control Channel Design for High Speed Downlink Shared Channel for 3GPP W-CDMA), Rel-5", 2003 이동 기술 회의(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VTC '03), 2003년 4월, 대한민국 제주.
[5] 다스(Das), 고팔락리쉬낸(Gopalakrishnan), 후(Hu), 칸(Khan), 루드래파트나(Rudrapatna), 샘패스(Sampath), 수(Su), 타테쉬(Tatesh), 장(Zhang) [루센트(Lucent)],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를 향한 UMTS의 발전(Evolution of UMTS Toward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벨 랩스 기술 잡지(Bell Labs Technical Journal), 볼륨 7, 이슈 3(Issue 3), 페이지 47-68, 2003년.
[6] 번스, 에프.(Berns, F.); 크레이셀매이어, 지.(Kreiselmaier, G.); 휀, 엔.(When, N.), "3G 모바일 무선 단자들에 대한 채널 디코더 구조(Channel decoder architecture for 3G mobile wireless terminals)", 유럽 회의 및 품평회에서의 설계, 자동화 및 점검(Design, Automation and Test in Europe Conference and Exhibition), 2004년. 프로시딩즈(Proceedings), 페이지 192-197, 2004년 2월 16일-20일.
[7] 암에드, 더블유.케이.엠.(Ahmed, W.K.M.); 발라챈드랜, 케이.(Balachandran, K.), "수신기에서의 언코딩된 심볼 에러율의 추정을 위한 방법들(Methods for estimation of the uncoded symbol error rate at the receiver)", 글로벌 통신 회의(Global Telecommunications Conference), 2002년. GLOBECOM '02. IEEE, 페이지 1334-1338, 2002년 11월 17일-21일.
[8] 래그하반, 에이.알.(Raghavan, A.R.); 바움, 시.더블유.(Baum, C.W.), "하이브 리드 ARQ에 대한 응용들과 신뢰도 출력 비터비 알고리즘(A reliability output Viterbi algorithm with applications to hybrid ARQ)", IEEE 트랜스.정보 이론(IEEE Trans.Information Theory), 볼륨 44, 넘버 3, 페이지 1214-1216, 1998년 5월.
표준 제안들[1]-[5]의 권고는 야모모토-이토 혹은 제곱 유클리드 거리 메트릭들을 후속 처리를 위해 HS-SCCH를 선택하는데 이용해야 할 것으로 결론지었다. 야마모토-이토 메트릭은 비터비 디코더의 내부들에의 실제적인 변화들을 수반한다. 결국, 일반적인 비터비 디코더 설계는 수정되어야 하고 복잡도가 증가된다. 트렐리스를 통한 최대 가능성 경로의 제곱 유클리드 메트릭의 이용(적절히 종단된 코드블록에 대한 비터비 디코딩 후 최종 제로 상태 메트릭)은 열등한 성능을 주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BTFD에 대한 종래 기술의 대부분은 데이터 블록 내 CRC의 분석에 의존하여, 정학하게 디코딩된 데이터와 부정확하게 디코딩된 데이터 간을 독립적으로 판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HS-SCCH에서의 CRC는 초기에는 유용할 만큼 충분하게는 얻어지지 못한다[6][7]. 일부 방법들[6][8]은 채널에 대해 정확히 알 것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이 경우엔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데이터 블록이 완전하게 수신되기 전에 복수의 HS-SCCH들을 포함한 전송으로부터 하나(혹은 제로) HS-SCCH를 검출하여 선택하는 방법들 및 장치의 필요성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라서, 전체 데이터 블록의 수신 전에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는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로부터 입력심볼을 디코딩하는 디코드 모듈을 포함한다. 재-인코딩 모듈은 디코드 모듈로부터 출력된 디코딩된 심볼들을 재-인코딩한다. 비교 모듈은 수신된 심볼의 양상(aspect)을 상기 디코딩/재-인코딩된 심볼의 대응하는 양상과 비교하여 이들 양상들을 누산한다. 결정 모듈을 비교 모듈의 누산된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가장 양호한 것을 선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전체 데이터 블록의 수신 전에,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해 메트릭을 계산하는 방법은,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로 수신된 데이터 블록의 초기 부분을 역-스크램블링하고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블록의 상기 초기 부분은 재-인코딩된다. 디코딩/재-인코딩된 데이터와 대응하는 수신 및 역-스크램블링된 데이터와의 비교에 기초하여 비매칭된 데이터 샘플들의 크기들을 누산함으로써 값이 계산된다. 상기 계산된 값이 다른 채널들보다 좋고 아마도 주어진 문턱치를 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 중 가장 양호한 것이 선택된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기술 내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기술은 정확한 채널 파라미터들 혹은 별도의 CRC 체크들에 대한 필요성이 없이, 낮은 복잡도로, 앞에 기술된 방법들과 유사한 혹은 이보다 우수한 수행을 가능하게 한다.
3GPP UMTS 표준의 릴리즈 5에서 HSPDA 확장과 호환되게 설계된 단말장치(핸드셋)는 최대 4개의 HSDPA 제어 채널들(HS-SCCH라 함)을 수신하여 후속 처리를 위해 제로 혹은 하나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수신된 HS-SCCH들 중 하나의 선택은 선택해야 할 때, 임베딩된 식별("ID") 혹은 순환 중복 검사("CRC")가 전혀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선택을 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3GPP UMTS 표준의 릴리즈 5에 따라, 사용자 장비(UE)는 최대 4개의 HSDPA 제어 채널들(HS-SCCH라 함)을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상당한 버퍼링이 가능하지 않는다면, UE는 HS-SCCH 전송의 파트 1만을 관찰함으로써 후속 처리를 위해 제로 혹은 하나의 HS-SCCH 채널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수신된 HS-SCCH들 중 하나의 선택은 선택해야 할 때, 임베딩된 식별("ID") 혹은 순환 중복 검사("CRC")가 전혀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용이하지 않다. (CRC는 나중에 HS-SCCH의 올바른 수신을 검증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데, 그러나, 이것은 CRC가 전송되기 전에 주 HSDPA 데이터 채널(들)의 수신을 시작하는, 수신기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경우엔 관계된 정보가 아니다. 그러므로, 올바른 HS-SCCH는 CRC가 입수될 수 있기 전에 선택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CRC는 선택 프로세스에서 기준 으로서 이용될 수 없다.)
HS-SCCH 데이터는 전송 전에 스크램블링되며, 스크램블링 마스크는 수신처의 핸드셋의 ID 번호에 따라 다르고, 셀 내 복수의 핸드셋들에 브로드캐스트된다. 한 핸드셋은 최대 4개의 스크램블링된 HS-SCCH들을 전송 시간간격(TTI)으로 수신할 것이지만, 그러나, 기껏해야 하나( 및 아마도 제로)가 어떤 한 핸드셋에 보내지기로 되어 있다. 핸드셋은 수신된 데이터(이의 자신의 ID에 따라)를 역스크램블링하고 (최대 4개) 블록들을 디코딩한다. 정확하게 역-스크램블링된 데이터만이 정확하게 수신될 수 있으나, 그러나, 전송 채널의 잡음에 기인해서 어느 블록이-있다면-해당 핸드셋에 보내지기로 되어있는 것인지를 판정하기는 어렵다.
HS-SCCH 선택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새로운 메트릭을 제안하고 이용한다. 메트릭은 짧은 블록 길이들(3GPP HSPDA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블록길이는 단지 8비트임)에 대해서 신뢰성이 있을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각각의 수신된 HS_SCCH채널의 파트 1에 대해서:
단계 1.1: 수신된 데이터를 역-스크램블링함(자신의 ID에 따라)
단계 1.2: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함
단계 1.3: 디코더 출력을 다시 인코딩함
단계 1.4: 다음 메트릭을 계산함:
Figure 112005071090770-PAT00001
여기서, yi=0, sign(received_sample)=sign(re-encoded_bit)일 때,
yi=absolute_value(received_sample), 그 외의 경우.
단계 2: 가장 양호한 HS-SCCH 채널, 즉 단계 1.4로부터 최소 메트릭을 가진 것을 선택함.
일단 HS-SCCH가 선택되면, 채널 처리를 계속할지를(이것은 해당 UE에 대응한다), 아니면 전송을 전부 폐기할지를(HS-SCCH가 해당 UE에 보낼 것이 아님)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정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문턱치가 메트릭에 적용될 수 있다. 주어진 실시예에서, 이러한 문턱치는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전체 블록의 수신 전에,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해 메트릭을 계산하는 회로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신호의 샘플들이 수신되어 역-스크램블링된다. 역-스크램블링된 신호의 각 심볼은 디코드 블록(102)에 입력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디코드 블록(102)은 디-펑춰링(de-puncturing)의 추가 기능을 보이고 있다. 펑춰링은 표준 일정 레이트(예를 들면 레이트 1/3) 인코더들 및 디코더들을 이용해서, 높은 레이트의 인코딩 및 디코딩을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펑춰 블록은 인코딩된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비트들을 없애어, 코드 레이트를 증가시킨다. 디-펑춰링과 더불어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펑춰링/ 디-펑춰링을 요하지 않는 및/또는 포함하는 실시예들에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
디코드 블록(102)에 출력된 디코딩된 비트들은 어떤 다른 종래의 방식으로 관련 장치(예를 들면, 이동전화)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디코드 블록(102)의 출력은 또한 재-인코딩 블록(103)에 공급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재-인코딩 블록(103)은 디코드 블록(102)에 있는 디-펑춰러 기능에 보완적인 펑춰 기능을 포함한다.
수신된 샘플들을 시간적으로 지연시킨 것이 메트릭 계산 블록들(104, 106, 110, 108, 112)에 공급된다. 블록들(104, 106)은 재-인코딩 블록(103)으로부터 출력된 디코딩 및 재-인코딩된 샘플들이 디코드 블록(102)에 입력된 원 심볼과 동일 부호를 갖는지를 판정하려고 의도된 것이다. 블록들(108, 110, 112)은 메트릭의 값을 계산하려는 것으로, 누산 단계(112)는 재-인코딩된 샘플의 부호가 수신된 샘플의 부호와 일치하지 않을 때만 행해진다.
디코딩된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HS-SCCH들 중 관계된 것)이 특정 모바일 디바이스에 보내려는 것이라면, 수신된 샘플들 대개는 디코딩 및 재-인코딩된 샘플들과 동일할 것이며, 이에 따라 이들 두 샘플들의 부호는 동일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누산기(1120)는 작은 값을 누산할 것이다. 디코딩된 데이터 채널이 특정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보내려는 것이 아니라면, 대부분의 보다 많은 입력 샘플들은 부호가 다를 것이며, 누산기(112)에서는 보다 큰 값을 누산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메트릭 계산 로직 블록은 경판정 발생기(104), XNOR 게이트(106), 절대값 블록(108), 멀티플렉서(110), 및 누산기(112)를 포함하나, 그 외 특정 로직 디바이스들이라도 본 발명의 원리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트릭이 계산될 수 수 있는 수많은 다른 방법들이 있다. 예를 들면, 비터비 디코딩의 트레이스-백 단계 동안에 코드 워드들의 생성 및 메트릭 누산을 통해서. 이러한 대안적 계산수단은 별도의 재-인코딩 블록의 필요성을 제거하여, 레이턴시를 낮출 수 있고, 이는 일단 올바른 HS-SCCH 채널이 선택이 되었으면(채널이 있다면) HS-SCCH의 파트 2를 즉시 디코딩할 필요성에 기인한 중요한 설계적 고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전체 블록의 수신 전에,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한 메트릭을 계산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2의 단계(2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트 스트림의 한 샘플이 입력되고 디바이스의 역-스크램블 코드에 대하여 역-스크램블링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역-스크램블링은 선택된 샘플들의 부호를 디바이스 ID에 따라 바꾸는 것으로 구성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데이터 스트림은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브로드캐스트되는 복수의 가용 데이터 스트림들 중 하나이다. 데이터 스트림은 예를 들면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 제어 채널일 수 있다. 주어진 실시예에서, HSDPA 제어 채널은 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라 하며, 모바일 디바이스에 브로드캐스트되는 최대 4개가 있다.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에 브로드캐스트되는 제어 채널들 중 단지 하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택(또는 전혀 선택하지 않음)하게 하는 것이다.
단계(204)에서, 입력 심볼들은 특정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계된 해독으로 디 코딩된다. 펑춰 기술들이 이용된다면, 입력 심볼들은 단계(204)에서 추가로 디-펑춰될 수도 있다.
단계(206)에서, 디코더 출력은 관계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관된 암호화로 재-인코딩된다. 펑처 기술들이 이용된다면, 코딩된 심볼들은 단계(206)에서 추가로 펑춰될 수도 있다.
단계(208)에서, 디코딩 및 재-인코딩된 심볼은 원 역-스크램블링된 수신된 데이터와 비교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심볼들의 부호가 비교된다. 이들이 서로 다르다면, 관계된 제어 채널은 적절한 채널이 아닐 수 있다는 표시이다. 그러나, 잡음이 있는 환경에 기인해서, 단일 심볼 비교로는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비교에 보다 많은 심볼들이 이용될수록, 최종 선택 결정으로부터 환경적 조건들이 더욱 제거된다.
단계(210)에서, 비교된 심볼들의 부호들이 서로 다르다면, 이들의 크기들은 누산된다.
단계(212)에서, 어느 HS-SCCH가, 관계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게 한 것인지에 대한 판단이 행해진다. 블록 212는 최소 메트릭을 가진 HS-SCCH를 선택하는데, 그러나, 모든 메트릭들이 주어진 문턱치를 초과하거나 아니면 상회하는 경우엔 아무 HS-SCCH도 선택되지 않으며 모든 제어 채널들은 현재의 기간동안엔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무시된다. 문턱치는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 모든 가용 제어 채널들은 동시에 테스트되어, 가장 짧은 가능한 시간 내 한 제어 채널이 선택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하여, 4 HS-SCCH들을 포함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1의 회로는 각 HS-SCCH 제어 채널마다 1회로, 4회 반복된다. 물론, 수신된 제어 채널들의 일련의 테스트는 본 발명의 원리 내에 있다.
수행 결과들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HS-SCCH의 파트 1용의 디코더의 프레임 에러 레이트 수행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UE들에 속하는 데이터('x'로 표시한 점들)은 부정확하게 역-스크램블링되고 적절하게 디코딩되지 않을 수 있는데, 관계된 데이터(원들로 표시한 점들)는 올바르게 디코딩되어, 신호 대 잡음(SNR) 상태들의 개선으로 프레임 에러 레이트(FER)을 현격히 개선한다.
가장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메트릭들을 결정하기 위해서, 5개의 서로 다른 디코더 메트릭들이 구현되었다. 이들 6개의 디코더 메트릭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메트릭 1: 재-인코딩된 출력과 수신된 데이터간의 부호 차이들의 수를 카운트한다.
메트릭 2: 재-인코딩된 데이터와는 다른 부호를 갖는 수신된 샘플들의 크기를 합산한다.
메트릭 3: 재-인코딩된 데이터와는 다른 부호를 갖는 수신된 샘플들의 크기들을 제곱한 것들을 합산한다.
메트릭 4: 재-인코딩된 데이터의 부호로 곱한 수신된 샘플들을 합산한다.
메트릭 5: 제곱 유클리드 거리 메트릭(트렐리스 끝에서 제로 상태 메트릭의 생(raw) 값).
위의 메트릭들 각각의 수행은 잡음이 있는 상태들에서 다른 사용자에 속하는 HS-SCCH와 올바른 HS-SCCH 간의 가능한 판별이 얼마나 신뢰할 수 있을 것인가를 판정하기 위해 조사된다.
특히, 발명자들은 올바른 HS-SCCH와 다른 사용자에 속하는 HS-SCCH 간을 판별함에 있어 메트릭 2가 가장 신뢰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도 5는 메트릭 기반의 선택이 정확하게 디코딩된 블록을 얼마나 신뢰성 있게 고르는가를 측정함으로써, 메트릭 2를 이용하는 기술들의 신뢰도의 확증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트릭의 신뢰도는 메트릭 기반의 선택이 정확하게 디코딩된 블록을 얼마나 신뢰성 있게 고르는 가를 측정함으로써 확정된다.
도 6은 1dB의 신호 대 잡음 비(SNR)에서 메트릭 2의 확률밀도함수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6은 맞는 HS-SCCH(좌측곡선)과 틀린 HS-SCCH(우측곡선)간을 판별하는 메트릭 2의 능력을 도시한 것이다.
잘못된 선택이 전체 시스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은 메트릭 선택의 결과(삼각형들로 표시한 점들)을 포함하는 올바른 UE에 대한 프레임 에러 레이트(FER)와 이상적 선택(원들로 표시한 점들)이 되었다고 가정한 의도된 핸드셋에 대한 FER을 비교함으로써, 도 3에서 볼 수 있다. 메트릭 2에 기초한 선택과 이상적 선택간에는 거의 측정불가한 차이를 관찰하였다.
또한, 메트릭 2는 CRC를 입수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현 UE 앞으로 보낼 HS-SCCH가 없을 때를 추정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어떠한 수신된 HS-SCCH도 정확하게 디코딩되지 않거나 현 UE 앞으로 보낼 것이 없는 경우들의 판별을 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어떤 HS-SCCH도 선택되지 않을 것이라는 문턱치가 이용될 수 있다.
위의 두 가지의 조합을 이용하여, 메트릭이 미리 결정된 문턱치 미만이라면(예를 들면, 시뮬레이트된 채널 상태들에서는 8의 문턱치가 유용할 것임(도 6 참조)), 최소 메트릭을 가진 HS-SCCH 블록이 선택된다.
본 발명은 소형 디지털 회로에 구현하기에 매우 간단하여, 종래 기술의 시스템들에 비해 큰 잇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채널에 관한 진보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예를 들면, 잡음 편차의 추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최소 메트릭의 블록의 선택은 고신뢰도의 가장 양호한 블록에 대응한다. 메트릭 문턱치의 이용은 어떤 HS-SCCH가 의도된 UE를 위한 것인지를 판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임의의 3GPP 릴리즈 5 핸드셋에 적용가능하고, ASCI 혹은 펌웨어, 예를 들면 핸드셋의 펌웨어에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의 실시예들을 참조로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기술된 실시예들에 다양한 수정을 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라서, 전체 데이터 블록의 수신 전에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는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로부터 입력심볼을 디코딩하는 디코드 모듈을 포함하고, 전체 데이터 블록의 수신 전에,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해 메트릭을 계산하는 방법은,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로 수신된 데이터 블록의 초기 부분을 역-스크램블링하고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laims (23)

  1. 전체 데이터 블록의 수신 전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로부터 입력 심볼을 디코딩하는 디코드 모듈;
    상기 디코드 모듈로부터 출력된 디코딩된 심볼들을 재-인코딩하는 재-인코딩 모듈;
    수신된 심볼의 양상(aspect)을 상기 디코딩/재-인코딩된 심볼의 대응하는 양상과 비교하여 하나의 값을 출력으로서 계산하는 비교 모듈; 및
    상기 비교 모듈의 누산된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가장 양호한 것을 선택하는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드 모듈은 주어진 모바일 디바이스에 고유한 암호화에 기초하여 디코딩하는,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상은 상기 심볼의 부호인,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 나를 선택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값은,
    sign(received_sample)=re-encoded_bit일 때, yi=0;
    그 외의 경우, yi=absolute_value(received_sample)
    로서 계산되는,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비교 모듈로부터의 출력들을 누산하는 누산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데이터 블록에 관련된 어떤 순환 중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 데이터의 이점 없이 상기 데이터 블록의 수신된 부분을 디코딩하는,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은 단지 40개의 수신된 샘플들만을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는,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은 제어 채널들을 4개까지 포함하는,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블록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제어 채널의 일부인,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HSDPA 제어 채널은 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인,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은 상기 데이터 채널에서 임베딩된 ID의 수신을 완료하기 전에 행해지는,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은 순환 중복 검사(CRC) 값의 수신을 완료하기 전에 행해지는,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전송 전에 스크램블링되는,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링은 수신처 모바일 디바이스 ID에 연관된 고유 마스크(unique mask)에 의존하는,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은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되는, 복수의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장치.
  16. 전체 데이터 블록의 수신 전에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해 메트릭을 계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로 수신된 데이터 블록의 초기 부분을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블록의 상기 초기 부분을 재-인코딩하는 단계;
    디코딩/재-인코딩된 데이터와 상기 대응하는 수신된 데이터의 비교에 기초하여 비매칭된 데이터 심볼들(mis-matched data symbols)의 수에 관련된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주어진 문턱치를 넘는 상기 계산된 값의 누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 중 가장 양호한 것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해 메트릭을 계산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sign(received_sample)=sign(re-encoded_bit)일 때, yi=0;
    그 외의 경우, yi=absolute_value(received_sample)
    에 기초하는,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해 메트릭을 계산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 중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음으로써 수행되는,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해 메트릭을 계산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펑춰링 및 디-펑춰링이 코드 레이트를 변경하기 위해서 상기 인코더 및 디코더에 의해 채용되는,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해 메트릭을 계산하는 방법.
  20. 전체 데이터 블록의 수신 전에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해 메트릭을 계산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 중 하나로 수신된 데이터 블록의 초기 부분을 디코딩하는 수단;
    상기 데이터 블록의 상기 초기 부분을 재-인코딩하는 수단;
    디코딩/재-인코딩된 데이터와 상기 대응하는 수신된 데이터의 비교에 기초하여 비매칭된 데이터 심볼들의 수에 관련된 값을 계산하는 수단; 및
    주어진 문턱치를 넘는 상기 계산된 값의 누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 중 가장 양호한 것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해 메트릭을 계산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값을 계산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값을 심볼 부호들과 심볼 크기의 비교에 기초하는,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해 메트릭을 계산하 는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수단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들 중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선택을 수행하는,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해 메트릭을 계산하는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선택은 단지 40개의 수신된 샘플들만을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는, 스크램블링된 데이터 채널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해 메트릭을 계산하는 장치.
KR1020050117925A 2005-04-26 2005-12-06 n개의 스크램블링된 코드 블록들 중 하나의 선택 KR200601121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14,023 US20060239457A1 (en) 2005-04-26 2005-04-26 Selection of 1-out-of-n scrambled code blocks
US11/114,023 2005-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174A true KR20060112174A (ko) 2006-10-31

Family

ID=3608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925A KR20060112174A (ko) 2005-04-26 2005-12-06 n개의 스크램블링된 코드 블록들 중 하나의 선택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239457A1 (ko)
EP (1) EP1717983A1 (ko)
JP (1) JP2006311553A (ko)
KR (1) KR20060112174A (ko)
CN (1) CN1855796A (ko)
AU (1) AU2005222566A1 (ko)
TW (1) TW2006423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7608A1 (ko) * 2012-11-14 201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4071B2 (en) * 2005-06-27 2008-09-09 Icera Inc. Decoder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 decoding reliability indicator
US8731562B2 (en) * 2005-08-30 2014-05-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etection of control messages for HSDPA
US8483215B2 (en) * 2011-11-08 2013-07-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other user equipment oper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60286534A1 (en) * 2015-03-23 2016-09-29 Qualcomm Incorporated Early determination in high-speed shared control channel decod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947317B (en) * 1993-09-24 1995-05-10 Qualcomm Inc Multirate serial viterbi decoder fo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applications
US6175590B1 (en) * 1997-08-08 2001-01-16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rate of received data in a variable rate communication system
US7162675B2 (en) * 2002-04-05 2007-01-09 Lucent Technologies Inc. Error detection method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680216B2 (en) * 2002-07-01 2010-03-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daptive thresholds for high speed downlink shared control channel (HS-SCCH) (part I) detection schem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7608A1 (ko) * 2012-11-14 201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US9730202B2 (en) 2012-11-14 2017-08-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downlink control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222566A1 (en) 2006-11-09
JP2006311553A (ja) 2006-11-09
TW200642343A (en) 2006-12-01
US20060239457A1 (en) 2006-10-26
EP1717983A1 (en) 2006-11-02
CN1855796A (zh) 200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89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blindly detecting a discontinuously transmitted shared channel, in particular blind 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s detection
ES2291737T3 (es) Metodo y sistema para calcular la tasa de error de los bits de una señal recibida.
KR100385594B1 (ko) W-cdma 전송속도 추정방법 및 장치
CN110890940B (zh) 对pbch所携带的mib的解码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US792495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decoding encoded data frame having dummy bit sequences included therein
US8223869B2 (en) Control channel detection scheme
USRE42453E1 (en) Decoder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 decoding reliability indicator
EP1603265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time division multiplexing fram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44796A (ko) 고속 공유 제어 채널의 신뢰 가능한 디코딩
KR20060107589A (ko) 고속의 공유 제어 채널의 고속 검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US75550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forward packet dat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packet data service
KR100780560B1 (ko) 채널에 의해 야기되는 에러들을 추정하는 통신 시스템, 수신기 및 방법
US6546515B1 (en) Method of encoding a signal
KR20060112174A (ko) n개의 스크램블링된 코드 블록들 중 하나의 선택
KR10141217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복호 장치 및 방법
JP3741686B2 (ja) ターボデコーダの伝送率検出装置及び方法
US75909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uncture position in a symbol stream encoded by punctured convolutional coding scheme
US2004015759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the quality of data packets transmitted via a radio channel
JP2008054235A (ja) 変調方式判定装置、受信装置、変調方式判定方法及び変調方式判定プログラム
JP2002501328A (ja) 情報を、ソース制御チャネルデコーディングを使用してコーディング、デコーディングおよび伝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1387516A1 (en) Blind transport format detection in spread spectrum receivers
WO2009115099A1 (en) Error checking with data presence detection
US70887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channel transmission accuracy
WO2003039058A2 (en) Estimation of channel parameters using re-encoding
KR100450952B1 (ko) 다중화된 패킷데이터제어 채널의 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