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135A -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 상의 층을 통해 그의신체측으로부터 보이는 심미적 패턴을 갖는 흡수용품 - Google Patents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 상의 층을 통해 그의신체측으로부터 보이는 심미적 패턴을 갖는 흡수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135A
KR20060112135A KR1020050034577A KR20050034577A KR20060112135A KR 20060112135 A KR20060112135 A KR 20060112135A KR 1020050034577 A KR1020050034577 A KR 1020050034577A KR 20050034577 A KR20050034577 A KR 20050034577A KR 20060112135 A KR20060112135 A KR 20060112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back sheet
printed
top shee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정
김형범
박상민
김종균
Original Assignee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2135A/ko
Publication of KR20060112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0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0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 E05D2007/1027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 상의 층을 통해 그의 신체측으로부터 볼 수 있는 심미적 패턴을 갖는 흡수용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용품으로서, 배면 시트의 가먼트 대면 표면 또는 신체 대면 표면에 패턴이 인쇄되어 있고, 상부 시트를 배면 시트 위에 배치하여 측정한 상기 인쇄된 패턴의 분광광도계로 측정한 CIE 색상값의 L(명도) 값이 87 미만인 흡수용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용품은 흡수코어층이 상부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흡수용품의 전체 영역에서 배면 시트 상의 심미적 패턴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그의 제조 또는 사용 동안 상부 시트 또는 흡수 코어 물질의 파열을 야기할 수 있는 통상적인 엠보싱 처리와 같은 추가의 처리 과정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개선된 외관을 갖는, 보다 가볍고 얇은 흡수용품을 제공할 수 있다.
흡수용품, 배면 시트, 마스터배치, 패턴

Description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 상의 층을 통해 그의 신체측으로부터 보이는 심미적 패턴을 갖는 흡수용품{Absorbent Article With Aesthetic Pattern Visible From Its Body Side Through Layers Above The Printed Liquid-Impervious Backsheet}
도 1은 본 발명의 배면 시트를 적용할 수 있는, 커버 + 코어 + BF + 가먼트 접착제 + 박리 스트립 (이형 스트립) 구조의 팬티라이너를 보여주는 상부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면 시트를 적용할 수 있는, 커버 + BF + 가먼트 접착제 + 박리 스트립 (이형 스트립) 구조의 팬티라이너를 보여주는 상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따라 패턴 형성된 팬티라이너의 배면 시트를 보여주는 모식도.
본 발명은 인쇄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 상의 층을 통해 그의 신체측으로부터 볼 수 있는 심미적 패턴을 갖는 흡수용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용품은 여러 가지 생리적 작용에 의해 배설되는 체액을 흡수하는 제품을 의미하며, 기저귀, 배변 훈련용 속팬츠, 성인 실금용 제품, 흡수성 속옷, 여성 위생 제품, 특히 생리대, 팬티라이너 및 수유 패드 등이 있다.
흡수용품은 통상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체액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흡수용품의 착용 및 교체시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정서적으로도 좋지 않은 영향을 주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 및 정서적인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자로 하여금 정서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흡수용품에 그래픽을 부가하는 시도가 있었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0015145호에는 제1 광투과율을 갖는 신체 접촉층, 의복 접촉층, 및 신체접촉층과 의복 접촉층 사이에 배치된 흡수 코어를 포함하며, 흡수 코어는 코어 에지를 갖고, 코어 에지는 코어 에지 내의 코어 영역과 코어 영역 외부의 외부 영역을 규정하며, 의복 접촉층이 외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신체 대향 표면 상에 인쇄된 그래픽을 갖거나 신체 접촉층이 외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의복 대향 표면 상에 인쇄된 그래픽을 갖고, 사용자가 신체 접촉층을 통하여 그래픽을 볼 수 있는 흡수용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흡수용품은 인쇄된 그래픽이 의복 접촉층의 외부 영역의 신체 대향 표면 상에 존재하거나 신체 접촉층의 외부 영역의 의복 대향 표면 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래픽을 외부 영역에서만 볼 수 있다는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수용품의 일부 영역이 아니라 흡수용품의 전체 영역에서 배면 시트 상의 심미적 패턴을 볼 수 있는 흡수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쇄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 상의 층을 통해 그의 신체측으로부터 볼 수 있는 심미적 패턴을 갖는 흡수용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용품으로서, 배면 시트의 가먼트 대면 표면 또는 신체 대면 표면에 패턴이 인쇄되어 있고, 상부 시트를 배면 시트 위에 배치하여 측정한 상기 인쇄된 패턴의 분광광도계로 측정한 CIE 색상값의 L(명도)값이 87 미만인 흡수용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태양에서, 상부 시트는 천공 필름, 스펀레이스 또는 TABCW, TBCW, SB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존재할 경우 흡수 코어는 티슈, 스펀레이스, SB, TBCW, TABCW, 티슈, 또는 에어-레이드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상부 시트는 다공성 발포체, 망상조직화된 발포체, 천공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 천연섬유,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의 배합물과 같은 광범위한 종류의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시트는 100% 순면섬유로 구성된 스펀레이스 부직포 또는 레이온/폴리올레핀 혼합 스펀레이스 부직포 또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스펀본드 섬유웹 또는 천연 섬유 및(또는) 합성 섬유로 구성된 본디드 카디드 웹(TBCW 또는 TABCW)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펀레이스와 본디드 카디드 웹은 천공이나 메쉬/스크린/엠보싱으로 다양한 모양을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부 시트는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소수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거나, 목적하는 수준의 습윤성 및 액체 투과성을 부여하도록 다른 식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상부 시트의 예는 미국 특허 제 5,879,343호, 미국 특허 제5,490,846호, 미국 특허 제5,364,382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09/209,177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흡수 코어는 초흡수제 입자, 목재 펄프 플러프 섬유, 합성 위드 (weed) 펄프 섬유, 합성 섬유 및 천연섬유 또는 이들의 배합물과 같은 하나 이상의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코어는 티슈, 스펀레이스, 스펀본드 섬유 웹, 멜트블로운 섬유 웹 또는 본디드 카디드 섬유웹, 에어레이드 부직포, 펄프시트, SAP 시트 등이 될 수 있다. 흡수 코어는 각종 형상일 수 있으며, 그의 크기는 목적하는 흡수용량, 흡수용품의 목적하는 용도, 및 본 기술분야의 숙련인에게 공지되어 있는 그 밖의 인자들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상부 시트의 기초 중량은 8 내지 150 gsm (제곱미터당 그램)이고, 흡수 코어의 기초 중량은 0 내지 70 gsm이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의 두께는 배면 시트의 가먼트 대면 표면 또는 신체 대면 표면에 패턴을 보다 잘 볼 수 있도록 약 0.4 내지 3.0 mm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수용품은 팬티라이너, 요실금용 패드, 요실금용 기저귀 또는 유아용 기저귀, 배변연습용 팬티를 포함하고,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흡수용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용품은 일반적인 흡수용품과 같이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용품으로서, 배면 시트의 가먼트 대면 표면 또는 신체 대면 표면 전체에 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생리대 및 팬티라이너의 경우, 예를 들어 엠보싱 처리는 그의 제조 또는 사 용 동안 상부 시트 또는 흡수 코어 물질의 파열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용품에서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에 인쇄된 심미적 패턴은 상부 시트 및 흡수 코어를 통해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갖는 통상적인 생리대의 엠보싱과 같은 추가의 처리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개선된 외관을 갖는, 보다 가볍고 얇은 흡수용품을 제공할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는 비통기성 또는 통기성 필름, 부직포, 예를 들어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S) 또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MS), 또는 필름/부직포 라미네이트일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에 심미적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배면 시트는 매스터 배칭 방법에 의해 백색이 아닌 그의 고유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면 시트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배면 시트는 필름, 부직포 또는 필름/부직 적층물 등의 형태로서, 필름 형태의 배면 시트를 참로고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형태의 배면 시트는 첨가제를 배면 시트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중합체와 블렌드하여 제조한 마스터배치를 일반적인 배플 마스터배치와 혼합한 후, 주조 또는 팽창 필름 압출, 또는 다른 적합한 필름-형성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T-다이를 통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형태의 배면 시트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배플 마스터배치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 및 혼합한 후 T-다이 내부의 스 크린 팩 (Screen Pack) 장치를 통해 세밀한 분산을 유도하고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 후, T-다이 다이스를 통해 필름으로 캐스팅한다. 캐스팅한 필름을 냉각 롤 (cooling roll)에 통과시킨다. 이후 필름을 원하는 폭에 따라 절단하고 권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필름 형태의 배면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조 공정에 일반적인 배면 시트 공정인 코로나 처리 또는 엠보싱 공정을 필요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스터배치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중합체 40~60% 및 첨가제 40~60%의 조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충진제 입자 및 염료 및 첨가제 등 목적하는 특성에 따라 다양한 성분일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중합체로는 극저밀도 폴리에틸렌 (V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폴리프로필렌, 에틸렌과 C3-C12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C4-C12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 주쇄 내의 어택틱 및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위를 둘다 포함하는 프로필렌-기재 중합체를 포함한 가용성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코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코폴리(스티렌/에틸렌-부틸렌), 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스티렌,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등과 같은 화학식 A-B-A' 또는 A-B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제조된 필름을 본 발명에서 배면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으나, CaCO3와 같은 충진제 입자를 첨가한 배플 마스터배치를 첨가제 함유 마스터배치와 함께 캐스팅하여 제조한 필름을 예열 공정, 신장 공정 및 열 고정 공정의 3단계를 거쳐 단축으로 또는 이축으로 신장시켜 통기성을 부여한 필름을 본 발명에서 배면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장된 필름은 구조적 일체성 및 액체 불투과성을 가능하게 하는 두께를 가져야 한다. 신장 후의 필름은 약 50~300 미크론, 바람직하게는 약 100 미크론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패턴은 유채 및 무채색을 포함한 다양한 색상을 이용한 상이한 형태의 디자인으로서, 1도 내지 10도의 색상을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형태로서 형성시킬 수 있다.
배면 시트에 심미적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인쇄 방법은 그라비어 인쇄, 플렉소 인쇄, 회전 스크린, 플레이트 제조 또는 플레이트 마운팅을 포함하고,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인쇄용 잉크의 수준은 팬톤 컬러 칩 (Pantone Color Chip) 기준으로 커버 또는 커버 및 코어를 배면 시트 상에 배치할 경우, 분광광도계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한 CIE 색상값의 L(명도) 값이 87 미만이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L은 CIE LAB 공간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CIE 색상값은 CIE (국제조명위원회)에서 규정한 색상값으로서 우리 눈이 감지할 수 있는 색차와 색 공간에서 수치로 표현한 색차를 일치시킬 수 있는 색 공간으로서 CIE LAB 색 공간을 발표하였다. CIE LAB에서의 색 좌표는 L, a, b로 표시하게 되며, L은 명도, a는 적색과 녹색의 정도, b는 황색과 청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입체 좌표로서, 수학에서의 입체 공간 X, Y, Z와 유사하다. 명도를 나타내는 수치 L은 그 값이 100일 경우 흰색(광원의 색에 가까운 색)을 의미하고, 0일 경우 검은색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L값이 87 이상인 경우에는 흡수용품의 배면 시트 상에 인쇄된 패턴의 색상이 흰색에 가까워 육안으로 인지할 수 없게 됨을 밝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용품에 따르면 1층의 상부 시트와 적어도 1층의 흡수 코어를 통해 배면 시트에 인쇄된 패턴을 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흡수용품은 기초 중량이 20 내지 50 gsm인 면 스펀레이스 상부 시트, 기초 중량이 20 내지 50 gsm인 스펀레이스 흡수 코어 및 패턴이 인쇄된 통기성의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를 포함하는 팬티라이너일 수 있다. 상기 패턴은 다양한 색상의 상이한 패턴으로서 인쇄용 잉크를 사용하여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의 신체 대향 표면 상에 인쇄될 수 있다. 팬티라이너의 두께는 흡수 코어층 및 상부 시트를 통해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 상의 패턴을 볼 수 있도록 0.4 내지 3.0 mm일 수 있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물품의 두께는 밀리미터 (mm) 단위로 스타레트 (Starret)형 벌크 시험기로 0.05 psi에서 측정하였다. 두께는 측정을 10회 반복하여 구한 평균 치로 제시하였다.
<실시예 1>
기초 중량이 30 gsm인 면 스펀레이스로 상부 시트를 제조하고, 기초 중량이 30 gsm인 스펀레이스로 흡수 코어를 제조하였다. 통기성 폴리에틸렌 필름(Breathable PE Film)으로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를 제조하고, 청색 잉크, 즉 PMS(Pantone Management System) #2925를 사용하여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배면 시트의 신체 대향 표면 상에 인쇄하였다.
상기 상부 시트, 흡수 코어 및 배면 시트를 사용하여 두께가 0.7 mm인 팬티라이너를 제조하였다. 팬티라이너의 제조 과정에서 상부 시트와 흡수 코어를 고온 용융 접착제로 접착시킨 후, 주변 밀봉을 일단 진행하였다. 그 후, 인쇄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를 고온 용융 접착제로 접착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팬티라이너를 상부 시트 상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배면 시트의 신체 대향 표면 상에 인쇄된 패턴을 볼 수 있었다. 분광광도계 (GretagMacbeth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한 L값은 85.70이었다.
<실시예 2>
기초 중량이 30 gsm인 면 스펀레이스 부직포로 상부 시트를 제조하고, 기초 중량이 30 gsm인 스펀레이스 부직포로 흡수 코어를 제조하였다. 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MS)로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를 제조하고, 적색 잉크, 즉 PMS(Pantone Management System)#032를 사용하여 플렉소 인쇄법으로 배면 시트의 가먼트 대면 표면 상에 인쇄하였다.
상기 상부 시트, 흡수 코어 및 배면 시트를 사용하여 두께가 0.8 mm인 팬티라이너를 제조하였다. 팬티라이너의 제조 과정에서 상부 시트와 흡수 코어를 고온 용융 접착제로 접착시킨 후, 주변 밀봉을 일단 진행하였다. 그 후, 인쇄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를 고온 용융 접착제로 접착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팬티라이너를 상부 시트 상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배면 시트의 신체 대향 표면 상에 인쇄된 패턴을 볼 수 있었다. 분광광도계 (GretagMacbeth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한 L값은 85.03이었다.
<실시예 3>
기초 중량이 20 gsm인 TABCW 부직포로 상부 시트를 제조하고, 기초 중량이 60 gsm인 에어-레이드 부직포로 흡수 코어를 제조하였다. 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MS)로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를 제조하고, 적색 잉크, 즉 PMS(Pantone Management System)#032를 사용하여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인쇄법으로 배면 시트의 가먼트 대면 표면 상에 인쇄하였다.
상기 상부 시트, 흡수 코어 및 배면 시트를 사용하여 두께가 0.8 mm인 팬티라이너를 제조하였다. 팬티라이너의 제조 과정에서 상부 시트와 흡수 코어를 고온 용융 접착제로 접착시킨 후, 주변 밀봉을 일단 진행하였다. 그 후, 인쇄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를 고온 용융 접착제로 접착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팬티라이너를 상부 시트 상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배면 시트의 신체 대향 표면 상에 인쇄된 패턴을 볼 수 있었다. 분광광도계 (GretagMacbeth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한 L값은 84.03이다.
<실시예 4>
기초 중량이 80 gsm인 스펀레이스로 상부 시트를 제조하고, PE 필름/SB 부직포 라미네이트로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를 제조하고, 청색 잉크 (PMS#2925)를 사용하여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배면 시트의 신체 대향 표면 상에 인쇄하였다.
상기 상부 시트, 흡수 코어 및 배면 시트를 사용하여 두께가 0.9 mm인 팬티라이너를 제조하였다. 팬티라이너의 제조 과정에서 상부에 주변 밀봉을 일단 진행하였다. 그 후, 인쇄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를 고온 용융 접착제로 접착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팬티라이너를 상부 시트 상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배면 시트의 신체 대향 표면 상에 인쇄된 패턴을 볼 수 있었다. 분광광도계 (GretagMacbeth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한 L값은 85.01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용품은 흡수코어층이 상부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흡수용품의 전체 영역에서 배면 시트 상의 심미적 패턴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그의 제조 또는 사용 동안 상부 시트 또는 흡수 코어 물질의 파열을 야기할 수 있는 통상적인 엠보싱 처리와 같은 추가의 처리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개선된 외관을 갖는, 보다 가볍고 얇은 흡수용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용품으로서, 배면 시트의 가먼트 대면 표면 또는 신체 대면 표면에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흡수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패턴이 배면 시트의 가먼트 대면 표면 또는 신체 대면 표면의 중앙부에 인쇄되어 있고, 상부 시트를 배면 시트 위에 배치하여 측정한 상기 인쇄된 패턴의 분광광도계로 측정한 CIE 색상값의 L(명도)값이 87 미만인 흡수용품.
  3. 제1항에 있어서,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 사이에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용품.
  4. 제1항에 있어서, 흡수용품이 팬티라이너, 생리대, 요실금용 패드, 요실금용 기저귀, 유아용 기저귀 또는 배변연습용 팬티인 흡수용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시트의 기초 중량이 8 내지 150 gsm인 흡수용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시트가 천공 필름 또는 스펀레이스 또는 TABCW, TBCW, SB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0.4 내지 3.0 mm인 흡수용품.
  7. 제3항에 있어서, 상부 시트가 천공 필름 또는 스펀레이스 또는 TABCW, TBCW, SB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흡수 코어가 티슈, 스펀레이스, TBCW, SB, TABCW, 에어-레이드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0.4 내지 3.0 mm인 흡수용품.
KR1020050034577A 2005-04-26 2005-04-26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 상의 층을 통해 그의신체측으로부터 보이는 심미적 패턴을 갖는 흡수용품 KR20060112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577A KR20060112135A (ko) 2005-04-26 2005-04-26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 상의 층을 통해 그의신체측으로부터 보이는 심미적 패턴을 갖는 흡수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577A KR20060112135A (ko) 2005-04-26 2005-04-26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 상의 층을 통해 그의신체측으로부터 보이는 심미적 패턴을 갖는 흡수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135A true KR20060112135A (ko) 2006-10-31

Family

ID=3762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577A KR20060112135A (ko) 2005-04-26 2005-04-26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 상의 층을 통해 그의신체측으로부터 보이는 심미적 패턴을 갖는 흡수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21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867B1 (ko) * 2007-03-26 2014-10-01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선명한 무늬가 형성된 커버 시트를 구비하는 흡수 제품 및커버 시트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867B1 (ko) * 2007-03-26 2014-10-01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선명한 무늬가 형성된 커버 시트를 구비하는 흡수 제품 및커버 시트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5005B2 (en) Absorbent article and disposable diaper having viewed-through top sheet
KR101124917B1 (ko) 부직포 측방향 구역을 갖는 흡수용품
EP1753385B1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wetness appearing graphics
US20050234414A1 (en) Disposable obsorbent articles having printed wetness indicators
JP2017536882A (ja) ゾーン状パターン化有孔ウェブ、積層体、及びその作製方法
CA2379877A1 (en) Discrete absorbent article
JP2005160710A (ja) 吸収性物品
CN109069323B (zh) 具有图形的可穿着制品
EP1962758B1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a partially visible graphic
AU2017422277B2 (en) Disposable hygiene absorbent product
CA2961684A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performance signals
JP6550474B2 (ja) おむつ、衛生パンツ、又は失禁パンツのような、パンツの形態の吸収性物品
CN114746598A (zh) 具有视觉可辨别的图案和改善的纹理感知的非织造纤维网
CN112153952B (zh) 一次性裤型物品和制造一次性裤型物品的方法
KR20060112135A (ko)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 상의 층을 통해 그의신체측으로부터 보이는 심미적 패턴을 갖는 흡수용품
AU2016405629B2 (en) Absorbent article with indicated absorption zone
US20170224544A1 (en) Absorbent article with exudate indicator
CN112004506A (zh) 吸收制品
JP4390449B2 (ja) 着色された吸収性物品
US20200146902A1 (en)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wetness indic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410

Effective date: 2013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