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789A -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789A
KR20060111789A KR1020050034148A KR20050034148A KR20060111789A KR 20060111789 A KR20060111789 A KR 20060111789A KR 1020050034148 A KR1020050034148 A KR 1020050034148A KR 20050034148 A KR20050034148 A KR 20050034148A KR 20060111789 A KR20060111789 A KR 20060111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b
information
financial chip
electronic commerce
finan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종오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034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1789A/ko
Publication of KR20060111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증 정보만을 입력하여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수행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DMB 서비스중 데이터 채널에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사 시스템과, PIN 및 개인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금융칩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방송사 시스템에서 제공된 URL 정보를 인자값으로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달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DMB 전자 상거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시켜, 기지국을 통하여 전자 상거래 업체 및 이동통신단말기와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는 뱅킹서버로 구성된다.
DMB, 금융칩, 전자상거래, 모바일 뱅킹 서비스

Description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ELECTRONIC COMMERCIAL SYSTEM FOR INTERWORKING DMB AND FINANCIAL CHIP BASED MOBILE BANKING SERVICE AND METHOD THEREF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의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을 구현을 위해 필요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소프트웨어(S/W) 구성의 계측적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방송사시스템 200 : 이동통신 단말기
300 : 금융칩 400 : 기지국
500 : 뱅킹서버 600 : 상거래업체 서버
본 발명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인증 정보만을 입력하여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수행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DMB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DMB 방송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DMB에 노출된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전자 상거래 제공 업체와 통화하여 원하는 물품을 구입하였다. 또는, 사용자가 전자 상거래 제공 업체의 콜 센터(Call Center)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전자 상거래 제공 업체의 콜 센터(Call Center)와 연결한 후에, 방송되는 상거래 아이템 번호, 카드번호, 개인 신상 정보등을 입력하여, 원하는 물품을 구입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물품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불편함과 일반 전화망에서의 보안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지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대중화된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증 번호(PIN, 계좌 비밀번호 및 보안 카드 번호)만을 입력하여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수행하므로써, 이용 편리성과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은, DMB 서비스중 데이터 채널에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사 시스템과, PIN 및 개인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금융칩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방송사 시스템에서 제공된 URL 정보를 인자값으로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달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DMB 전자 상거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는 뱅킹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은, DMB 서비스중 데이터 채널에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 정보를 제공하는 제1 단계와, 상기 DMB 서비스 수신중에, 상기 제공된 URL 정보를 인자값으로 전송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전달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DMB 전자 상거래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은, DMB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DMB 서비스 수신중에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모바일 뱅킹 관련 핫 키(Hot Key)를 입력하면, 상기 제공된 URL 정보를 인자값으로 전송하는 제2 단계와, 사용자가 PIN을 입력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금융칩에 기 저장된 PIN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사용자가 인증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체 서비스 화면상에 DMB 전자 상거래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제4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이체 서비스 화면상에 계좌비밀 번호 및 보안카드번호를 입력하면, 뱅킹서버상에 기 등록된 계좌비밀번호 및 보안카드번호와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5 단계에서 계좌비밀 번호 및 보안카드번호가 일치하면,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종료한 후, 상기 DBM 서비스를 계속 수신중에, 지불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은, DMB 서비스중 데이터 채널에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사 시스템(100)과, PIN 및 개인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금융칩(30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방송사 시스템(100)에서 제공된 URL 정보를 인자값으로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200)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 전달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DMB 전자 상거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상에 디스플레이시켜, 기지국(400)을 통하여 전자 상거래 업체(6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0)와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는 뱅킹서버(50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서의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무선통신을 위한 기지국(400)과, PDSN(Packet Data Switching network)(700)와, 및 각 금융사의 뱅킹서버(500)를 포함한다. 상기 PDSN(700)은 기지국(400), 제어국 등 으로 이루어지는 RAN(Radio Access Network)과 DCN(Data Core Network)간에서 PPP 및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패킷데이터 전송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동작을 도 4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는,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서비스 된다. 상기 뱅킹서버(500)는, 모바일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해 각 금융사별로 구비되는 장치로서,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계좌조회를 위한 요청메시지, 이체/송금 관련 요청메시지, 대출현황 조회/이자 납입 관련 요청메시지 등을 수신하며, 소정의 고객 인증과정을 거친후 그 호스트 서버와 연동하여 수신메시지를 처리하고, 그 결과 및 관련 데이터를 상기 PDSN(700)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뱅킹서버(500)는 TPC/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접속되며, 이들 사이의 각종 데이터나 정보의 송수신은 무선테이터망을 이용한 무선 TCP/IP 통신을 이용한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무선 데이터통신을 위해 제반의 하드웨어 장치를 구비한 핸드폰, 스마트폰, PDA 등의 단말기로서, 그 단말기에는 착탈 가능한 금융칩(300)과 모바일 금융계좌 조회, 모바일 이체/송금, 모바일 대출현황 조회 및 이자납입) 등을 위한 제반의 소프트웨어(S/W)를 탑재하는 기억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금융칩(300)은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착탈 가능한 것으로, 금융칩 (300)의 비밀번호인 PIN 정보를 입력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인증에 의해 그 내장정보에 접근이 가능하며, PIN 정보와, 사용자 및 타인의 금융계좌 정보, 고객정보 등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금융칩(300)에는 각 금융계좌나 각 대출계좌에 대해서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와 해당 금융사 코드, 계좌 종류(예, 보통예금, 저축예금, 정기적금, 주택자금대출 등) 등의 관련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금융칩(300)의 내장정보는 은행 등의 금융사 창구에서 IC 카드칩(11)의 발급시 설정되고, 또한 사용자는 금융칩(300)에 저장된 PIN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200)상에서 입력되는 PIN 정보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PIN 인증을 통해 상기 금융칩(300)에 로그인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200)상에서 금융계좌(계좌번호, 비밀번호 등)를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그 외 금융사 창구를 방문하지 않고, 우편서비스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금융칩(300)을 신청하는 경우, 금융사는 PIN 정보의 설정이 불가능한 상태로 금융칩(300)을 발송하여 사용자가 금융칩(300)을 수령한, 금융사에 수령사실을 통보하는 시점에 금융칩(300)이 장착된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대상으로 단문메시지(SMS:Short Message Service)를 발송하여 PIN 정보의 설정이 가능한 상태로 금융칩(300)을 조작하여 금융칩(300)의 배송시 분실, 도난 등으로 인한 오남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금융사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금융칩(300)을 발급 받을 수 있도록 지원된다. 즉, 상기 단문메시지는 PIN 정보의 설정 제어메세지를 포함하며,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며,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전송된 PIN 정보의 설정 제어메세지는 이동통신단말기(200)에 내장된 IC 카드 API(13)를 호출한다( 도 3 참조). 이후, 자바 가상머신(JAVA VM)(14)은 IC카드 API의 데이터를 시스템 소프트웨어(S/W)(15)를 통해 IC 카드 드라이버(16)로 해당 설정 제어메세지를 전달한다. 이후, 해당 설정 제어메세지는 금융칩(300)을 조작하여 PIN 정보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금융칩(300)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본인 혹은 타인의 금융계좌들 중 일부가 그 예금주 정보와 함께 송금/이체의 편리성을 위해 '즐겨쓰는 입금계좌'로서 등록 관리될 수 있다. 상기 금융칩(300)은 PIN 인증을 통해서만 그 내장정보에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체결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별도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금융계좌 관련 정보의 입력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고 그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뱅킹서버(500)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데이터 및 금융정보의 보안을 위해서 E2E(End to End), WPKI(Wireless Public Key Infrastructure) 암호기법을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소프트웨어(S/W) 구성에 대한 계층적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소프트웨어(S/W) 구성은 금융칩(300)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IC 카드 드라이버(16)와 단말기의 기본 기능을 관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S/W)(15)를 하위 구조로 갖고, 자바 가상머신(Java VM)(14) 위에, 뱅킹 어플리케이션(12)과 IC 카드 API(13)를 상위 구조로 갖는다. 상기 뱅킹 어플리케이션(12)은 모바일 금융계좌 조회, 모바일 이체/송금, 모바일 대출/납입 등 해당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 소프트웨어(S/W) 프로그램이다. 상기 자바 가상머신(Java VM)(14)은 O/S 또는 플랫폼에 상관없이 상기 뱅킹 어플리케이션(12)(모바일 뱅킹 어플리케이션)이 가상머신에 의해 실행될 수 있도록 정의된 중간코드이다. 상기 뱅킹 어플리케이션(12)은 모바일 계좌조회에 대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갖는 소프트웨어(S/W) 프로그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통해서 데이터 및 선택명령을 입력받거나 조회 결과 등을 출력하고, 금융칩(300) 및 뱅킹서버(5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한다. 상기 뱅킹 어플리케이션(12)과 상기 IC 카드 API(13)는, 상기 자바 가상머신(Java VM)(14)의 기능을 이용하여, 하위의 구조와 독립적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소프트웨어(S/W)의 다운로드 및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뱅킹 어플리케이션(12)에서 IC 카드칩에 접근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IC 카드칩(11)에 내장된 PIN 정보 및 금융계좌 정보를 읽어오기 위하여, 상기 뱅킹 어플리케이션(12)에서 IC 카드 API(13)를 호출하게 되고, 자바 가상머신(Java VM)(14)은 IC 카드 API(13)의 데이터를 시스템 소프트웨어(S/W)(15)를 통해 IC 카드 드라이버(16)로 해당 정보에 대한 읽기 명령어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IC 카드 드라이버(16)는 상기 IC 카드칩(11)을 구동하여 해당 정보를 읽어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뱅킹 어플리케이션(12)은 상기 IC 카드칩(11)에서 읽어온 정보들을 가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표시창에 표시하고, 뱅킹서버(500)측으로 모바일 금융계좌 조회, 모바일 이체/송금, 모바일 대출계좌 조회 및 이자납입에 따른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 및 DMB 연동하는 방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이통통신 단말기(200)는 방송사 시스템(100)에 제공하는 DMB 서비스를 수신한다(S100). 상기 DMB 서비스 수신중에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설치된 모바일 뱅킹 관련 핫 키(Hot Key)(본 실시예에서는 BankOn 키)를 입력하면(S10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방송사 시스템(100)에서 제공된 URL 정보를 인자값으로 기지국(400)를 통하여 뱅킹 서버(500)에 제공한다. 상기 제공되는 URL 정보는 상거래 아이템 번호, 입금 계좌번호 및 판매금액을 포함한다.
상기 뱅킹 서버(5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제공된 인자값을 수신한 후, 이를 인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02). 상기 인자값이 인식이 안되면, 상기 뱅킹 서버(500)는 일반적인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S103).
이후, 사용자가 PIN을 입력하면(S104),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장착된 금융칩(300)에 기 저장된 PIN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105). 상기 금융칩(300)에는 사용자의 신용카드정보, 이동통신 멤버쉽 카드정보, 및 상품권 정보등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가 인증되면, 상기 뱅킹 서버(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이체 서비스 화면상에 DMB 전자 상거래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킨다(S106).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DMB 전자 상거래 정보는 입금계좌번호, 입금은행 및 이체금액을 포함한다. 상기 입금계좌번호는 DMB 수신 계좌번호이고, 상기 입금은행은 DMB 수신 은행이고, 상기 이체금액은 DMB 수신금액이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체 서비스 화면상에 계좌비밀 번호 및 보안카드 번호를 입력하면, 뱅킹서버(500)는 기 등록된 계좌비밀번호 및 보안카드번호와 일치여부를 확인한다(S107-S109).
상기 계좌비밀 번호 및 보안카드번호가 일치하면, 뱅킹 서버(500)는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종료하게 된다(S110,S111).
상기 모바일 뱅킹 서비스가 종료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DBM 서비스를 계속 수신중에, 지불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S112,S113).
이상에서 몇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 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 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증 번호(PIN, 계좌 비밀번호 및 보안 카드 번호)만을 입력하여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수행하므로써, 이용 편리성과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널리 보급된 금융칩 탑재 단말기를 이용한 DMB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지원하므써, 사용자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DMB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6)

  1. DMB 서비스중 데이터 채널에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사 시스템과;
    PIN 및 개인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금융칩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방송사 시스템에서 제공된 URL 정보를 인자값으로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달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DMB 전자 상거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체서비스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는 뱅킹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뱅킹서버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데이터 및 금융정보의 보안을 위해 E2E(End to End), WPKI(Wireless Public Key Infrastructure) 암호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URL 정보는 상거래 아이템 번호, 입금 계좌번호 및 판매금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모바일 뱅킹 관련 Hot Ke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칩은 신용카드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칩은 이동통신 멤버쉽 카드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칩은 상품권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상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되는 DMB 전자 상거래 정보는 입금계좌번호, 입금은행 및 이체금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금계좌번호는 DMB 수신 계좌번호이고, 상기 입금은행은 DMB 수신 은행이고, 상기 이체금액은 DMB 수신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10. DMB 서비스중 데이터 채널에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 정보를 제공하는 제1 단계와;
    상기 DMB 서비스 수신중에, 상기 제공된 URL 정보를 인자값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전달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DMB 전자 상거래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체 서비스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이동통신단말기와 뱅킹서버간의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뱅킹서버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데이터 및 금융정보의 보안을 위해 E2E(End to End), WPKI(Wireless Public Key Infrastructure) 암호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제공되는 URL 정보는 상거래 아이템 번호, 입금 계좌번호 및 판매금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DMB 전자 상거래 정보는 입금계좌번호, 입금은행 및 이체금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입금계좌번호는 DMB 수신 계좌번호이고, 상기 입금은행은 DMB 수신 은행이고, 상기 이체금액은 DMB 수신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모바일 뱅킹 관련 Hot Ke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금융칩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칩은 신용카드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칩은 이동통신 멤버쉽 카드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칩은 상품권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20. DMB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DMB 서비스 수신중에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모바일 뱅킹 관련 핫 키(Hot Key)를 입력하면, 상기 제공된 URL 정보를 인자값으로 전송하는 제2 단계와;
    사용자가 PIN을 입력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금융칩에 기 저장된 PIN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사용자가 인증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체 서비스 화면상에 DMB 전자 상거래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제4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이체 서비스 화면상에 계좌비밀 번호 및 보안카드번호를 입력하면, 뱅킹서버상에 기 등록된 계좌비밀번호 및 보안카드번호와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5 단계에서 계좌비밀 번호 및 보안카드번호가 일치하면,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종료한 후, 상기 DBM 서비스를 계속 수신중에, 지불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제공되는 URL 정보는 상거래 아이템 번호, 입금 계좌번호 및 판매금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금융칩은 신용카드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칩은 이동통신 멤버쉽 카드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칩은 상품권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DMB 전자 상거래 정보는 입금계좌번호, 입금은행 및 이체금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입금계좌번호는 DMB 수신 계좌번호이고, 상기 입금은행은 DMB 수신 은행이고, 상기 이체금액은 DMB 수신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KR1020050034148A 2005-04-25 2005-04-25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11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148A KR20060111789A (ko) 2005-04-25 2005-04-25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148A KR20060111789A (ko) 2005-04-25 2005-04-25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789A true KR20060111789A (ko) 2006-10-30

Family

ID=37620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148A KR20060111789A (ko) 2005-04-25 2005-04-25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17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529B1 (ko) * 2007-02-07 2008-04-07 주식회사 국민은행 방송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69753B1 (ko) * 2009-08-24 2014-03-06 인텔 코포레이션 시스템 제어 시그널링에서의 단문 사용자 메시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529B1 (ko) * 2007-02-07 2008-04-07 주식회사 국민은행 방송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69753B1 (ko) * 2009-08-24 2014-03-06 인텔 코포레이션 시스템 제어 시그널링에서의 단문 사용자 메시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5254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plural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US8924290B2 (en) Method and apparatus enabling improved protection of consumer information in electronic transactions
US6250557B1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a smart card wallet and uses thereof
AU2008298677B2 (en) Wirelessly executing financial transactions
US8332272B2 (en) Single tap transactions using an NFC enabled mobile device
US7885870B2 (en) System for providing banking services by use of mobile communication
EP1402484B1 (en) Payment authorisation through beacons
CN101615322B (zh) 实现有磁支付功能的移动终端支付方法及系统
US20050222961A1 (e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ating contactless payment transactions across different payment systems using a common mobile device acting as a stored value device
KR20110068116A (ko)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카드 및 그 방법
US201000496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executing a charge transaction
KR101439136B1 (ko) 결제 채널 관리 시스템
CN102892096B (zh) 实现账户充值的系统、方法、业务运营支撑系统和设备
KR20060111789A (ko) Dmb와 금융칩 기반 모바일 뱅킹서비스를 연동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7059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결제시스템과 그 방법
KR100861498B1 (ko) 에스크로우 계좌 관리방법
KR20130036262A (ko) 결제처리서버 및 그 구동 방법
KR100423389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서비스 방법
KR100900992B1 (ko) 휴대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치지불부 충전시스템 및 충전방법
KR1004233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서비스 시스템
KR1004234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대출현황 조회/이자납입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2076A (ko)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결제 서비스 이용 방법 및 결제시스템
KR1004233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계좌 조회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07685A (ko) 이동식 휴대용전화를 이용한 인터넷 전자결제 시스템과 그전자결제 방법
KR100955613B1 (ko) 브이오아이피 단말과 통신연결된 서버의 전자화폐 충전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530

Effective date: 200802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404

Effective date: 2009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