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777A -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텔레비전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텔레비전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777A
KR20060111777A KR1020050034125A KR20050034125A KR20060111777A KR 20060111777 A KR20060111777 A KR 20060111777A KR 1020050034125 A KR1020050034125 A KR 1020050034125A KR 20050034125 A KR20050034125 A KR 20050034125A KR 20060111777 A KR20060111777 A KR 20060111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etting
information
image
set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7111B1 (ko
Inventor
남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111B1/ko
Publication of KR20060111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5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xternal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 영상물의 시청분위기에 대한 셋팅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각 영상 매체로부터 상기 셋팅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셋팅정보에 해당하는 시청 분위기로 상기 영상물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텔레비전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상물의 영상정보 및 상기 영상물을 시청하기에 적합한 시청 분위기에 대한 셋팅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영상 매체가, 미디어 재생기에 삽입된 후 재생이 시작되면, 상기 미디어 재생기와 통신연결된 텔레비전의 제어부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영상정보 및 셋팅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셋팅정보의 셋팅값에 따라 상기 텔레비전 스크린의 콘트라스트(Contrast), 밝기(Brightness), 색상, 선명도(Sharpnes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설정에 의하여, 상기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에 맞는 분위기로 상기 영상물을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셋팅값, 영상물, 시청, 분위기

Description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텔레비전 및 그 방법{Television For Automatically Creating A Seeing And Hearing Atmosphere Of Image And Its Method}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물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텔레비전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셋팅정보의 다양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영상 매체
200 : 텔레비전
300 : 미디어 재생기
본 발명은 텔레비전의 각종 셋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영상물의 시청 분위 기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텔레비전(TV)들은 스크린의 밝기(Brigtness), 색상(R,G,B Gain), 콘트라스트(Contrast) 및 선명도(Sharpness)와 같은 영상 셋팅값 뿐만 아니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베이스음의 크기 및 음색 등과 같은 음향 셋팅값(이하에서는, 상기 영상 관련 셋팅값 및 음향 관련 셋팅값을 총칭하여 '셋팅값'이라 함)을 사용자가 직접 자신이 원하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비교적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동영상데이터의 압축 표준인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지털 영상 데이터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영화와 같은 대용량의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각종 영상 매체(예를 들어, DVD)가 발달되고 있다.
한편, 텔레비전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영상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영화와 같은 각종 영상물들은 각각 최적의 시청 분위기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보다 생동감 있는 영상 및 음향들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들어, 영화를 시청하기 위한 분위기는 각각의 영화들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상기와 같은 시청 분위기를 텔레비전의 셋팅값으로 정확히 맞춤으로서 보다 생동감 있는 영상물을 텔레비전를 통해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란 각종 영상 및 음향의 셋팅값에 의해 구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시원한 느낌을 주는 영상(Cool), 따뜻한 느낌을 주는 영상(Warm), 일반 영상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기술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액션 영화를 보던, 유아용 프로그램을 보던, 교육방송을 보던, 상기 셋팅값은 사용자 또는 텔레비전 제조사에 의해 기 설정되어 있는 설정값을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설정값으로 다양한 영화의 시청 분위기를 충분히 살리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미리 설정되어져 있는 텔레비전의 셋팅값만으로는 상기와 같은 각 영상물들의 시청 분위기를 다 살려주기는 무리이며, 사용자로 하여금 일일이 텔레비전의 영상 및 음향을 셋팅하도록 한다는 것도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의 기술로는, 사용자가 집에서 텔레비전를 통해 각종 영상물들을 감상할 때 그 시청 분위기를 충분히 살려 시청할 수 있는 방법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텔레비전의 셋팅값을 자동적으로 설정해 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국내특허출원 제1992-0017004호 및 국내특허출원 제2003-0043572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특허출원 제1992-0017004호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은 텔레비전 주위의 밝기 및 화면의 밝고 어두움에 따라 스크린의 밝기 등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물의 특징에 따라 스크린의 셋팅값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스크린 주위의 환경 변화에 따라 스크린의 밝기 등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국내특허출원 제2003-0043572호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은 실제 스크린의 밝기(Brightness) 및 콘트라스트(Contrast)를 입력 신호의 상태에 상관없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물 의 특징에 따라 스크린의 셋팅값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각 채널 또는 방송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 영상물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를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사용자가 동일한 밝기 및 콘트라스트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텔레비전 주위의 변화에 따라 스크린의 밝기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거나 또는 영상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스크린의 밝기 등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스크린의 밝기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으로서, 각 영상물별로 요구되는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는 없는 바,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물의 시청분위기에 대한 셋팅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각 영상 매체로부터 상기 셋팅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셋팅정보에 해당하는 시청 분위기로 상기 영상물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텔레비전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상물의 영상정보 및 상기 영상물을 시청하기에 적합한 시청 분위기에 대한 셋팅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영상 매체가, 미디어 재생기에 삽입된 후 재생이 시작되면, 상기 미디어 재생기와 통신연결된 텔레비전의 제어부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영상정보 및 셋팅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셋팅정보의 셋팅값에 따라 상기 텔레비전 스크린의 콘트라스트 (Contrast), 밝기(Brightness), 색상, 선명도(Sharpnes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설정에 의하여, 상기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에 맞는 분위기로 상기 영상물을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며, 튜너, 복조부, A/D컨버터, 신호분리부, 디코더, 오디오 처리부, 증폭기, 스피커, 비디오 처리부, 영상 처리부, 스크린, 제어부, 저장부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텔레비젼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음향신호 또는 상기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 중 음향신호를 스피커에 적합한 전기신호로 만들어 주며, 상기 비디오 처리부는,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신호 또는 상기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 중 영상신호를 스크린에 적합한 신호형태로 만들어 주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미디어 재생기와의 통신을 통해 영상정보 및 셋팅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셋팅정보에 따라 상기 비디오 처리부, 영상 처리부, 스크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셋팅정보에 따른 시청 분위기로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물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물 제공 시스템은, 각종 영상물의 영상정보(이때, 상기 영상정보란, 일반적인 영상 및 음향을 모두 포 함하는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하 동일하게 사용됨)와 함께 상기 영상물을 시청하는데 가장 적합한 시청 분위기에 대한 셋팅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DVD(Digital Video Ddisk)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영상 매체(100), 상기 영상 매체를 재생하기 위한 미디어 재생기(300) 및 상기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상기 영상정보와 함께 상기 셋팅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셋팅정보에 따라 각각의 영상물에 대한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상기 영상물을 출력할 수 있는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텔레비전(이하, 간단히 '텔레비전'이라 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영상물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영상 매체(100)를 상기 미디어 재생기(300)를 통해 재생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200)은 상기 영상 매체(100)에 저장되어 있는 셋팅정보를 분석한 후 상기 셋팅정보에 따라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적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란 각종 영상 및 음향의 셋팅값에 의해 구분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원한 느낌을 주는 영상(Cool), 따뜻한 느낌을 주는 영상(Warm), 일반 영상 등이 있을 수 있다. 즉, 이러한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는 스크린의 밝기(Brigtness), 색상(R,G,B Gain), 콘트라스트(Contrast) 및 선명도(Sharpness)와 같은 영상 셋팅값 뿐만 아니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및 음색 등과 같은 음향 셋팅값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텔레비 전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1 에 도시된 텔레비전(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200)은, 다수의 방송국으로부터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다수의 방송채널을 튜닝하기 위한 튜너(201), 튜너(201)를 통해 수신되는 복합영상정보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부(Demodulator)(202), 복조부(202)에 의해 복조된 아날로그 복합영상정보를 디지털 복합영상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203), A/D 컨버터(203)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복합영상정보를 음향신호와 영상신호로 분리하기 위한 신호 분리부(DEMUX)(204), 신호 분리부(204)에 의해 분리된 음향신호와 영상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205), 음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06), 디코더(205)에 의해 디코딩된 음향신호 또는 상기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 중 음향신호를 스피커(206)에 적합한 전기신호로 만들어 주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207), 오디오 처리부(207)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시켜 스피커(206)로 출력하는 증폭기(208),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209)과, 디코더(205)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신호 또는 상기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 중 영상신호를 스크린(209)에 적합한 신호형태로 만들어 주는 비디오 처리부(210), 비디오 처리부(210)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스크린(209)에 출력시키기 위한 영상 처리부(215), 상기 미디어 재생기와의 통신을 통해 영상정보 및 셋팅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214),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11) 및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각 부의 기능을 통해 상기 스피커 및 스크린을 통해 출력하는 한편 상기 셋팅정보에 따라 상기 오디오 처리부, 증폭기, 비디오 처리부, 영상 처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튜너(201)는 다수의 방송국으로부터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다수의 방송채널을 수신하되, 제어부(213)가 수신을 지시하는 방송채널을 튜닝하여 튜닝한 방송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복합영상정보를 복조부(202)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복조부(202)는 방송국으로부터 변조되어 전송되는 복합영상정보를 튜너(201)를 통해 입력받아 변조된 복합영상정보를 복조시켜 A/D 컨버터(203)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A/D 컨버터(203)는 제어부(213)의 제어에 따라 복조부(202)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복합영상정보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복합영상정보로 변환시킨 후 디지털 복합영상정보를 신호 분리부(204)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신호 분리부(204)는 제어부(213)의 제어에 따라 A/D 컨버터(203)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복합영상정보를 음향신호와 영상신호로 분리시켜 디코더(205)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디코더(205)는 제어부(213)의 제어에 따라 신호 분리부(204)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와 영상신호를 디코딩하여 압축된 음향신호와 영상신호의 압축을 푼 다음, 디코딩한 음향신호를 오디오 처리부(207)로 출력하고 디코딩한 영상신호를 비디오 처리부(21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207)는 제어부(213)의 제어에 따라, 디코더(205) 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상기 미디어 재생기로 부터 전송된 영상정보 중 음향신호를 스피커(206)에 적합한 전기적 음향신호로 변환시켜 증폭기(208)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비디오 처리부(210)는 제어부(213)의 제어에 따라 디코더(205)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 또는 상기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 중 영상신호를 스크린(209)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시켜 영상 처리부(215)로 출력하며, 상기 스크린(209)은 영상 처리부(215)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214)는 상기 미디어 재생기(3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리모콘,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레코드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등을 통해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213)는 상기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상기 미디어 재생기(3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오디오 처리부(207), 증폭기(208), 스피커(206), 비디오 처리부(210), 영상 처리부(215) 및 스크린(209) 등을 통해 출력하되, 상기 미디어 재생기(300)로부터 수신된 셋팅정보에 따라 상기 각 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셋팅정보에 해당되는 시청 분위기가 상기 스피커(206) 및 스크린(209)을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또한,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셋팅정보의 다양한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텔레비전(200)을 통하여 시청 분위기(영상 및 음향 포함)를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영상 매체(100)에 영상물의 영상정보 뿐만 아니라 셋팅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때, 도 4 에는 각 영상물별 셋팅정보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영상물들은 각각의 시청 분위기에 따라 서로 다른 셋팅정보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셋팅정보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콘트라스트(Contrast), 밝기(Brigtness), 색상(R,G,B Gain) 및 선명도(Sharpness)와 같은 영상 셋팅값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베이스 음의 크기(Bass) 및 음색 등과 같은 음향 셋팅값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셋팅값들에 의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시청 분위기(시원한 느낌을 주는 영상(Cool), 따뜻한 느낌을 주는 영상(Warm), 일반 영상 등)들이 텔레비전의 스피커 및 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영상 매체(100)가 상기 미디어 재생기(300)에 삽입된 후 재생이 시작되면, 상기 미디어 재생기(300)는 상기 영상정보 및 셋팅정보를 상기 텔레비전(200)으로 전송한다(S502).
상기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상기 정보들을 수신한 상기 텔레비전(200)의 제어부(213)는 상기 영상정보를 출력하기에 앞서, 상기 셋팅정보의 내용을 분석한다(S504). 즉, 영상과 관련된 셋팅정보는 무엇이며, 음향과 관련된 셋팅정보는 무엇인지를 분석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분석에 따라 수신된 셋팅정보가 파악된 후, 상기 제어부 (213)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 설정되어 상기 저장부(211)에 저장되어 있는 셋팅정보(구 셋팅정보)와 수신된 상기 셋팅정보를 분석하여 차이가 있는 부분을 분석한다(S506). 이때, 상기 분석과정들(S504, S506)은 상술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하나의 과정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부(213)는 상기 셋팅정보와 구 셋팅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차이가 있는 셋팅정보를 추출한 후 차이가 있는 셋팅정보에 따라 상기 오디오 처리부(207), 증폭기(208), 비디오 처리부(210), 영상 처리부(2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에 가장 적합한 셋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한 후(S508), 상기 셋팅값에 따라 영상 및 음향을 상기 스피커(206) 및 스크린(209)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S510). 이때, 본 발명은 상기 구 셋팅정보와 수신된 상기 셋팅정보를 비교하는 과정(S506)은 생략한 채 상기 셋팅정보에 따라 상기 스피커 및 스크린의 셋팅값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 자동 설정 방법은 사용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 자동 설정 방법을 이용하기 원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 자동 설정 방법을 이용할지의 여부를 설정해 놓을 수 있는 옵션을 상기 저장부(211)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리모콘 또는 텔레비전에 구비된 버튼 등을 통해 본 발명에 자동 설정 방법을 이용하지 않겠다는 옵션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213)는 상기 옵션 내용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이후 상기 분석 과정(S504)에서 상기 옵션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그 이 하의 과정(S506 내지 S510)을 생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영상물을 제작한 제작자가 상기 영상물에 대한 최적의 영상 셋팅값 및 음향 셋팅값을 영상 매체에 저장하여 배포한 경우에, 상기 영상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셋팅값 및 음향 셋팅값를 전송받은 텔레비전이 상기 영상 셋팅값 및 음향 셋팅값에 따라 스크린 및 스피커의 셋팅값을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영상물에 대한 최적의 영상 및 음향이 스크린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능에 의하여 사용자들이 보다 생동감 있는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텔레비전을 통해 느낄 수 있도록 한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상물의 영상정보 및 상기 영상물을 시청하기에 적합한 시청 분위기에 대한 셋팅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영상 매체가, 미디어 재생기에 삽입된 후 재생이 시작되면, 상기 미디어 재생기와 통신연결된 텔레비전의 제어부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영상정보 및 셋팅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셋팅정보의 셋팅값에 따라 상기 텔레비전 스크린의 콘트라스트(Contrast), 밝기(Brightness), 색상, 선명도(Sharpnes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설정에 의하여, 상기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에 맞는 분위기로 상기 영상물을 출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정보들을 수신한 상기 텔레비전의 제어부가 상기 영상정보를 출력하기에 앞서, 상기 셋팅정보의 내용을 분석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분석에 따라 수신된 셋팅정보가 파악된 후,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에 의해 이미 설정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셋팅정보(구 셋팅정보)와 수신된 상기 셋팅정보를 분석하여 차이가 있는 셋팅값을 추출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셋팅값에 따라 상기 제 2 단계를 수행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가 리모콘 또는 텔레비전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 제 1 단계 내지 제 3 단계의 과정을 이용하지 않겠다는 옵션을 선택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옵션 내용을 상기 텔레비전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가 설정된 후 상기 제 1 단계를 통해 영상정보 및 셋팅정보가 전송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셋팅정보에 상관 없이,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셋팅값에 따라 상기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제 8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셋팅정보의 셋팅값에 따라 상기 텔레비전 스피커의 음향의 크기, 베이스음의 크기, 음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제 9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9 단계의 설정에 의하여, 상기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에 맞는 분위기로 상기 영상물을 출력하는 제 10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5.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며, 튜너, 복조부, A/D컨버터, 신호분리부, 디코더, 오디오 처리부, 증폭기, 스피커, 비디오 처리부, 영상 처리부, 스크린, 제어부, 저장부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텔레비젼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음향신호 또는 상기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 중 음향신호를 스피커에 적합한 전기신호로 만들어 주며,
    상기 비디오 처리부는,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신호 또는 상기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 중 영상신호를 스크린에 적합한 신호형태로 만들어 주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미디어 재생기와의 통신을 통해 영상정보 및 셋팅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셋팅정보에 따라 상기 비디오 처리부, 영상 처리부, 스크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셋팅정보에 따른 시청 분위기로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텔레비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셋팅정보에 따라 상기 오디오 처리부, 증폭기,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셋팅정보에 따른 시청 분위기로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텔레비젼.
KR1020050034125A 2005-04-25 2005-04-25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텔레비전 및 그방법 KR100757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125A KR100757111B1 (ko) 2005-04-25 2005-04-25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텔레비전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125A KR100757111B1 (ko) 2005-04-25 2005-04-25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텔레비전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777A true KR20060111777A (ko) 2006-10-30
KR100757111B1 KR100757111B1 (ko) 2007-09-10

Family

ID=37620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125A KR100757111B1 (ko) 2005-04-25 2005-04-25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텔레비전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7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39372A (zh) * 2022-01-04 2022-04-12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154B1 (ko) * 2001-06-23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tv의 영상/음향 선택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39372A (zh) * 2022-01-04 2022-04-12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控制方法
CN114339372B (zh) * 2022-01-04 2024-05-28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7111B1 (ko) 2007-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41740B (zh) 设备联动装置
US20100169925A1 (en) Broadcast receiver and output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249420A1 (en) Method for configuring video apparatus according to video system and content, and video apparatus and server applying the same
KR20070009058A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신호 재생 방법
JP2007282077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受信方法
KR100757111B1 (ko) 영상물의 시청 분위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텔레비전 및 그방법
KR20100039717A (ko) 개인용 녹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186920A (ja) 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再生方法
KR20080054474A (ko) 사용자별 시청선호도에 따른 하이라이트 영상 구현방법
WO2011013669A1 (ja) 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100731533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 및 음성 모드 자동 조정 방법
KR100738663B1 (ko) Pvr 장치의 편집 방법
KR20040066594A (ko) Pvr장치 및 pvr장치에서의 vbi로부터 추출한epg에 의한 예약 녹화 방법
JP2002041562A (ja) コンテンツ評価方法
KR100681647B1 (ko) Pvr의 편집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720556B1 (ko) 녹화물에 채널번호 설정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채널번호 설정 방법
KR101390010B1 (ko) 시청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
WO2011037204A1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音声パラメータ設定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60128179A (ko) 사용자의 선호채널 목록 및 프로그램 목록이 포함된시작화면을 제공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
KR20040066593A (ko) Pvr장치의 채널별 음량 및 화질 설정값 자동 조정방법
KR100751129B1 (ko) 시청정보를 이용한 디스크 재생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수상기 및 방법
KR100595259B1 (ko) 색채 학습 가능한 영상 기기 및 그를 이용한 색채 학습 방법
KR100985312B1 (ko) 외부 입력 디지털 파일 재생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43639A (ko) 사용자 식별 기반의 방송 수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90074626A (ko) 어학용 방송 프로그램 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