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263A -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263A
KR20060111263A KR1020050033511A KR20050033511A KR20060111263A KR 20060111263 A KR20060111263 A KR 20060111263A KR 1020050033511 A KR1020050033511 A KR 1020050033511A KR 20050033511 A KR20050033511 A KR 20050033511A KR 20060111263 A KR20060111263 A KR 20060111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play module
spring
groov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8611B1 (ko
Inventor
시안-싱 우
춘-웨이 창
Original Assignee
윈테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테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윈테크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50033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611B1/ko
Publication of KR20060111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자동 회전 어셈블리가 설치되며, 상기 자동 회전 어셈블리에는 위치 고정편과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위치 고정편의 인장력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자 장치 상에서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 디스플레이 모듈, 회전축, 위치 고정편, 축 연결부, 수납 구멍, 피봇 연결부, 결합부, 걸림 장치, 스프링, 내부 공간부, 누름 버튼.

Description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OF AUTOMATICALLY ROTATABLE DISPLAY MODULE}
도 1은 종래 전자 장치의 외형 사시도.
도 2는 다른 하나의 종래 전자 장치의 외형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부품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부분적 부분의 조립 구조를 보여준 확대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위치 고정편의 동작을 보여준 표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연속 동작을 보여준 제1표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연속 동작을 보여준 제2표시도.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연속 동작을 보여준 제3표시도.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연속 동작을 보여준 제4표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부품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부분적 부분의 조립 구조를 보여준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걸림장치와 버튼 부품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부분적 부분의 조립 구조를 보여준 측면도.
* 주요 부품 부호에 대한 설명 *
1: 휴대폰 2: 수화기
3: 송화기 4: 형광 스크린
10: 전자 장치 11: 프레임
12: 본체 13: 수납 구멍
14: 피봇 연결부 20: 축 연결부
30: 디스플레이 모듈 31: 결합부
40: 회전축 41: 수납홈
42: 걸림홈 50: 스프링
60: 위치 고정편 70: 차단 부재
71: 위치 제한 홈 80: 걸림 장치
90: 버튼 91: 누름 부재
111: 내부 공간부 112: 구멍부
θ: 개방각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절첩식 구조를 가진 전자 장치는 작고,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버튼을 잘못 누를 염려가 없는 등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각종 전자 장치, 예를 들면 휴대폰, 노XM북, PSP(Play Station Portable), PDA 등 장치에 이용되며, 그 중에서도 특히 휴대폰으로 많이 이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절첩식 휴대폰(1)을 표시한 도면이다. 상기 절첩식 휴대폰(1)의 수화기(2)와 송화기(3)가 휴대폰(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통화시 상기 수화기(2)와 상기 송화기(3)는 사용자의 귀와 입에 아주 가깝게 접근한다. 직립식 휴대폰에 비하여 상기 휴대폰은 보다 깨끗한 통화 음질을 제공한다. 따라서, 절첩식 휴대폰(1)은 점차 시장의 주류가 되고 있다.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하기 위한 절첩식 구조를 가진 전자 장치는 대부분 2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가지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메인 스크린과 2차 스크린으로 불리운다. 절첩식 구성을 가진 전자 장치가 대기 상태(접은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디스플레이 정보가 2차 스크린으로부터 제공되며, 사용 상태(펼친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디스플레이 정보가 메인 스크린으로부터 제공된다.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치된 상기 종래의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리성을 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고가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메인 스크린으로 사용하고, 비교적 저렴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2차 스크린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절첩식 전자 장치의 두께, 무게 및 원가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2차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효과, 해상도, 콘트라스트, 컬러 등 디스플레이 기능이 메인 스크린에 비하여 많이 떨어지며, 사용자는 대부분의 경우에 2차 스크린의 저질의 화면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또한, 만약 전자 장치의 2차 스크린에 메인 스크린과 동일한 화상 품질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설치하게 되면, 원가, 두께 또는 무게가 많이 증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수용하기 힘들다.
도 2는, 2001년 2월 1일 공고된 TW421270호 특허 "회전 형광 스크린을 가진 노트북"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노트북에는 형광 스크린(4)이 설치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필요에 따라 상기 형광 스크린(4)을 자유로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시와 대기시에 동일한 형광 스크린(4)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비록 상기 종래의 기술이 사용시와 대기시에 동일한 형광 스크린(4)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지만, 순전히 수동 방식에 의하여 형광 스크린(4)을 회전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조작상 상당한 불편함이 따르고, 사용자가 과다하게 압력을 가하여 형광 스크린(4)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조작상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본체, 2개의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회전축은 원기둥 모양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2개의 회전축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본체는 하나의 축 연결부를 통하여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자동 회전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자동적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자동 회전 어셈블리는 위치 고정편, 스프링 또는 상기 두 부품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위치 고정편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편은 만곡된 긴 막대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개방각이 최대일 때, 상기 위치 고정편의 일단이 상기 본체와 고정 결합되고, 위치 고정편의 중간부가 상기 축 연결부의 바깥쪽을 싸고 돌아 설치되며, 위치 고정편의 타단이 상기 회전축에 고정 설치된다. 이로써, 본체와 프레임의 개방각이 제로로 변할 때, 상기 위치 고정편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동시켜 회전시킨다.
상기 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회전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회전축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걸린다. 상기 구조는 사용자로 하여금 수동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시킨 다음,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자동적으로 초기 상태로 복원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자동 회전 기능을 달성한다. 상기 위치 고정편과 스프링은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회전에 동시에 이용됨으로써 완전 자동방식의 회전 메커니즘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목적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아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도 3,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30), 프레임(11), 본체(12), 2개의 회전축(40), 위치 고정편(60), 스프링(50) 및 차단 부재(7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 양쪽에 각각 하나의 결합부(31)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일단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11)에는 수납 구멍(13)이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을 수납한다. 상기 프레임(11)은 그 양쪽 내부에 각각 내부 공간부(111)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공간부(111)는 상기 회전축(40)까지 연장된다. 상기 프레임(11)에는 하나의 구멍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구멍부(112)는 상기 내부 공간부(111)와 서로 연통된다. 상기 프레임(11)의 상기 서로 대응되는 구멍부(112)의 위치에 각각 하나의 피봇 연결부(14)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본체(12)의 측면은 축 연결부(20)를 이용하여 피봇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본체(12)와 프레임(11) 사이의 각이 개방각(θ)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2개의 회전축(40)의 일단은 각각 상기 프레임(11)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어, 프레임(11) 양쪽의 피봇 연결부(14)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2개의 회전축(40)의 타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 양쪽의 결합부(31)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을 상기 수납 구멍(13) 내에 설치한다.
상기 위치 고정편(60)은 만곡된 긴 막대 모양으로 상기 프레임(11)의 내부 공간부 내에 설치된다. 상기 본체(12)와 상기 프레임(11) 사이의 개방각(θ)이 최대일 때, 상기 위치 고정편(60)의 일단은 상기 본체(12)에 고정 설치되고, 위치 고정 편(60)의 중간부는 상기 축 연결부(20)의 바깥쪽을 싸고 돌아 설치되며, 위치 고정편(60)의 타단은 상기 회전축(4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40)은 수납홈(41)이 형성되도록 중공 모양을 이루고, 상기 회전축(40)에는 축 방향으로 걸림홈(42)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42)과 상기 수납홈(41)은 서로 연통된다. 상기 회전축(40)은 상기 프레임(11)의 내부 공간부(111) 내에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회전축(40)의 수납홈(41) 내에 수납된다. 상기 본체(12)와 상기 프레임(11) 사이의 개방각(θ)이 최대일 때, 상기 스프링(50)의 일단은 상기 걸림홈(42)에 관통되어 설칭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11)의 내부 공간부(111)의 벽 표면에 위치된다.
상기 차단 부재(70)는 상기 프레임(11)의 상기 내부 공간부(111) 내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 부재(70)에는 위치 제한 홈(71)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50)의 일단은 상기 걸림홈(42)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차단 부재(70)의 위치 제한 홈(71)에 걸린다. 또한 상기 차단 부재(70)의 위치 제한 홈(71)은 L자 모양을 이루고, 스프링(50)의 일단이 상기 위치 제한 홈(71)의 L자 모양의 끝단 만곡부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스프링(50)을 고정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 고정편(60)의 인장력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을 회전시키는 연속 동작을 보여준 도면이다. 상기 위치 고정편(60)의 일단은 상기 축 연결부(20)를 싸고 돌아 상기 본체(12)의 B점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축(40)을 싸고 돌아 회전축(40)의 A점에 결합된다. 전자 장치(10)의 개방각(θ)이 최소(제로)인 경우, 상기 위치 고정편(60)을 따른 A점으로부터 B점까 지의 길이는 상기 축 연결부(20)를 싸고 돌기 때문에 약간 증가된다(증가된 길이는 상기 위치 고정편(60)과 상기 축 연결부(20) 사이의 새로 접촉된 부분이다). 그러나, 상기 회전축(40)과 상기 프레임(11)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40)은 회전하여, 상기 위치 고정편(60)과 상기 축 연결부(20) 사이의 새로 접촉된 부분의 길이를 상쇄시켜, 상기 위치 고정편(60)으로 하여금 상기 축 연결부(20)를 둘러쌀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40)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도 따라서 회전하며, 상기 축 연결부(20)의 외경의 치수와 상기 위치 고정편(60)이 둘러싸는 상기 회전축(40)의 외경을 규제하여, 회전축(40)의 외주의 길이의 절반=축 연결부(20)의 외주의 길이×개방각(θ)/2π로 되도록 하기만 하면, 전자 장치(10)의 개방각(θ)이 최대치로부터 최소치(제로)로 변화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상기 위치 고정편(60)의 인장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50)을 압축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1)과 본체(12)가 서로 덮어진 상태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 표면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의 개방각(θ)이 최소치(제로)로부터 최대치로 변하는 경우, 상기 회전축(40)은 상기 스프링(50)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초기 상태로 복원될 수 있어, 상기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완전 자동 방식의 회전 메커니즘을 달성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위치 고정편(60)은 연성 인쇄회로기판(FPC; Flexible Print Circuit)으로 제조되며, 이 때 상기 위치 고정편(60)은 상기 회전축(40)을 둘러싸 고정된 다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 내부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필요한 회로 신호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 제조된 상기 위치 고정편(60)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위치 고정편(60)은 천, 철편, 스틸 와이어 등 만곡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짐으로써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필요한 회로 신호는 별도의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제공된다.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30), 프레임(11), 본체(12), 2개의 회전축(40), 스프링(50), 차단 부재(70), 걸림 장치(80), 누름 버튼(90)과 회전 버튼(95)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 양쪽에 각각 하나의 결합부(31)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일단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납 구멍(13)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을 수납하며, 상기 프레임(11)은 양쪽 내부에 각각 하나의 내부 공간부(11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내부 공간부(111)는 상기 회전축(40)까지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11)에는 구멍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구멍부(112)와 상기 내부 공간부(111)는 서로 연통되며, 상기 프레임(11)은 서로 대응되는 구멍부(112)에 각각 하나의 피봇 연결부(14)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2)와 상기 프레임(11)은 축 연결부(20)에 의하여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회전축(40)은 그 내부에 수납홈(41)이 형성되도록 중공 모양을 이룬다. 또한 상기 회전축(40)에는 축 방향으로 걸림홈(4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42)과 수납홈(41)은 서로 연통되며, 상기 회전축(40)은 프레임(11)의 내부 공간부(111) 내에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50)은 회전축(40)의 수납홈(41)에 수납되며, 상기 본체(12)와 프레임(11) 사이의 개방각(θ)이 최대인 경우, 상기 스프링(50)의 일단은 상기 걸림홈(42)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11)의 내부 공간부(111)의 벽 표면에 위치된다.
상기 걸림 장치(80)는 프레임(11)의 내부 공간부(111)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장치(80)에는 베이스(82), 압축 스프링(83) 및 걸림부(81)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82)에는 오목홈(85)이 설치되고, 상기 압축 스프링(83)과 걸림부(81)의 일단은 각각 상기 오목홈(85)내에 설치됨으로써 걸림부(81)의 일단이 상기 압축 스프링(83)과 맞닿도록 한다. 또한, 걸림부(81)의 타단 측면에는 한 경사면(84)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81)의 상기 경사면(84)은 상기 베이스(82)로부터 돌출되며 바깥쪽으로부터 상기 걸림부(81)의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다. 걸림부(81)의 상단 면적은 상기 회전축(40)의 걸림홈(42)보다 작으며, 상기 걸림부(81)가 상기 압축 스프링(83)의 압축 상태에서 회전축(40)의 외경과 맞닿음으로써 상기 걸림부(81)의 상기 경사면(84)의 일단이 상기 회전축(40)의 걸림홈(4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맞닿는 위치는 상기 회전축(40) 상에서 걸림홈(42)의 반대쪽 부분이다(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버튼(90)은 상기 프레임(11)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버튼(90)에는 상기 걸림 장치(80)의 걸림부(81)로 향하여 누름 부재(91)가 설치되며, 상기 누름 부재(91)는 누름면(911)을 구비한다. 상기 누름 부재(91)는 상기 누름면(911)을 이용하여 상기 걸림부(81)의 경사면(84)과 맞닿는다. 상기 누름 부재(91)의 누름면(911)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81)의 경사면(84)과 대응함으로써 상기 누름면(911)이 면접촉 방식으로 상기 경사면(84)과 맞닿는다.
상기 차단 부재(70)는 상기 프레임(11)의 내부 공간부(111)내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 부재(70)에는 위치 제한 홈(71)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50)의 일단은 상기 걸림홈(42)에 의하여 위치가 제한되고, 타단은 상기 위치 제한 홈(71)에 의하여 제한된다. 또한 상기 위치 제한 홈(71)의 모양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모양을 이루고, 상기 스프링(50)의 일단이 상기 위치 제한 홈(71)의 L자 모양의 끝단 만곡부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프링(50)이 상기 위치 제한 홈(71)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버튼(95)은 회전축(40)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11)의 일단으로부터 관통되어 나온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버튼(95)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회전축(40) 내의 스프링(50)을 동시에 압축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이 회전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81)는 걸림 장치(80)의 압축 스프링(83)의 탄성에 의해 상기 회전축(40)의 걸림홈(42)내에 삽입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30)이 프레임(11)에 고정된다. 상기 버튼(90)을 누르면, 상기 누름 부재(91)의 누름면(911)이 상기 걸림부(81)의 경사면(84)을 눌러 상기 걸림부(81)를 압박하는 동시에, 상기 압축 스프링(83)을 압축하여 상기 베이스(82)를 걸림홈(42)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디 스플레이 모듈(30)의 위치 고정 효과를 없애며, 상기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이 자동 회전하여 초기 상태로 복원되도록 한다.
상기 두 실시예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자동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휴대폰을 예로 들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휴대폰에 한정되지 않으며, PDA, 노트북, PSP와 같이 절첩식 구조를 가진 모든 전자제품에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해당할 뿐, 본 발명의 실시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따른 모든 균등 변화와 첨가 등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 범위에 해당하여야 마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을 자동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Claims (14)

  1. 본체,
    프레임,
    디스플레이 모듈,
    2개의 회전축, 및
    위치 고정편
    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단에 축 연결부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상기 축 연결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에 수납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수납 구멍의 양쪽에 각각 하나의 피봇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수납 구멍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양쪽에 각각 하나의 결합부가 설치되며, 2개의 상기 결합부는 각각 상기 2개의 피봇 연결부와 서로 대응되고,
    상기 2개의 회전축은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피봇 연결부에 설치되고, 상기 2개의 회전축의 일단은 각각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피봇 연결부를 관통하며, 상기 2개의 회전축의 타단은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결합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위치 고정편의 일단은 상기 본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위치 고정편의 중간부는 상기 축 연결부를 싸고 돌아 설치되며, 상기 위치 고정편의 타단은 상기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각도는 개방각이며, 상기 2개의 회전축의 외주의 길이의 절반 = 상기 축 연결부의 외주의 길이×개방각/2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그 양쪽 내부에 각각 하나의 내부 공간부를 구비하여, 상기 위치 고정편이 상기 내부 공간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중공 모양이고, 상기 회전축 내부에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측면에는 축 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걸림홈에 관통하여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부의 벽 표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부 내에 차단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 부재에는 위치 제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걸림홈에 관통하여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위치 제한 홈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한 홈의 형상은 L자 모양이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위치 제한 홈의 L자 모양의 끝단 만곡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편은 연성 인쇄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편은 천(布)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편은 철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10. 본체,
    프레임,
    디스플레이 모듈,
    2개의 회전축, 및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단에 축 연결부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상기 축 연결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에 수납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납 구멍의 양쪽에 각각 하나의 피봇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수납 구멍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양쪽에 각각 하나의 결합부가 설치되며, 2개의 상기 결합부는 각각 상기 2개의 피봇 연결부와 서로 대응되고,
    상기 2개의 회전축은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피봇 연결부에 설치되고, 상기 2개의 회전축의 일단은 각각 상기 프레임의 상기 피봇 연결부를 관통하며, 상기 2개의 회전축의 타단은 각각 상기 디스플 레이 모듈의 상기 결합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은 내부에 수납홈이 형성되도록 중공 형상을 이루며, 상기 회전축은 축 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수납홈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걸림홈에 관통하여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부의 벽 표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걸림 장치, 및
    버튼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 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고, 순차적으로 베이스, 압축 스프링 및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오목홈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 스프링 및 상기 걸림부의 일단은 각각 상기 오목홈 내에 수납됨으로써 상기 걸림부의 일단이 상기 압축 스프링과 맞닿으며, 상기 걸림부의 타단의 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의 경사면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의 상기 걸림홈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버튼은 상기 프레임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버튼에는 상기 걸림 장치의 상기 걸림부로 향하여 누름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누름 부재는 누름면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부재의 상기 누름면은 상기 걸림부의 상기 경사면에 맞닿 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부 공간부 내에는 차단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차단 부재에는 위치 제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걸림홈에 관통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위치 제한 홈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한 홈의 형상은 L자 모양을 이룸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위치 제한 홈의 L자 모양의 끝단 만곡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단으로부터 관통되어 나온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회전 버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0050033511A 2005-04-22 2005-04-22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KR100648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511A KR100648611B1 (ko) 2005-04-22 2005-04-22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511A KR100648611B1 (ko) 2005-04-22 2005-04-22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263A true KR20060111263A (ko) 2006-10-26
KR100648611B1 KR100648611B1 (ko) 2006-11-23

Family

ID=37620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511A KR100648611B1 (ko) 2005-04-22 2005-04-22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61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4591A (ja) 2001-05-15 2002-11-29 Kyocera Corp 折り畳み式携帯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611B1 (ko)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2726B2 (en) Apparatus for mounting a rotational lens housing in a folder-type telephone
JP2718265B2 (ja) 複数の係止位置を有する係止ヒンジ装置
KR100486611B1 (ko) 회전가능한 액정표시장치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49451B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US7117564B2 (en)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having rotation type display
US7832058B2 (en) Swivel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WO2003078854A1 (fr) Articulation, terminal portatif de type a ouverture/fermeture presentant une telle articulation
KR20010068807A (ko)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KR1005568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연결장치
KR20050050432A (ko) 화면창 변환이 가능한 폴더 회전형 휴대용 단말기
KR100575746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100461769B1 (ko) 외장형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장착된 스타일러스 및 이를채용한 무선 단말기
KR100648611B1 (ko) 자동 회전 기능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US20080066262A1 (en) Hinge and foldable electronics device using the hinge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200214945Y1 (ko) 회전 개방식 휴대폰
CN100525596C (zh) 用于移动通信终端的摆转铰链模块的锁定设备
KR100442689B1 (ko)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KR10058573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40077168A (ko) 액정화면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537992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KR100640838B1 (ko) 회전형 카메라모듈의 비고정식 접점구조 및 이를 적용한휴대폰
KR200334306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KR200317852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KR200338326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