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034A - Air cleaner - Google Patents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034A
KR20060111034A KR1020050033322A KR20050033322A KR20060111034A KR 20060111034 A KR20060111034 A KR 20060111034A KR 1020050033322 A KR1020050033322 A KR 1020050033322A KR 20050033322 A KR20050033322 A KR 20050033322A KR 20060111034 A KR20060111034 A KR 20060111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front frame
air clean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3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55745B1 (en
Inventor
김경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3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745B1/en
Publication of KR20060111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0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7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An air cleaner is provided to have a filter sensing switch firmly fixed to a front frame through a switch fixing protrusion so that the existence of a filter apparatus is discriminated. A filter sensing switch(190) is closely supported by a switch fixing protrusion(250). The filter sensing switch is inserted into a switch guide(192) by the interference fit method and then when the front frame and an orifice(20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front of the switch fixing protrusion is contacted with the rear of the filter sensing switch. Although a filter apparatus is mounted to a filter seating member of a front frame(120), the filter sensing switch is not separated from the switch guide.

Description

공기청정기 { Air cleaner }Air cleaner {Air clean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필터를 분해한 부분 분해사시도.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를 구성하는 전면프레임의 전방사시도.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fram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A-A'부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프레임의 배면도.Figure 7 is a rear view of the front frame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프레임과오리피스가 서로 결합될 때의 내부 상태를 보인 부분 평단면도.Figure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ate when the front frame and the orifice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each other.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공기청정기 110. 전방판넬100. Air purifier 110. Front panel

112. 주흡입구 120. 전면프레임112. Main inlet 120. Front frame

122. 전면지지대 123. 통기공122. Front Support 123. Vent

124. 필터안착부 126. 디스플레이창124. Filter seat 126. Display window

126'. 동작표시부 126". 오염표시부126 '. Operation Display 126 ". Pollution Display

130. 필터장치 132. 필터조립체130. Filter unit 132. Filter assembly

134. 필터프레임 136. 프리필터134. Filter frame 136. Prefilter

140. 하방흡입구 142. 공기안내공140. Downward suction 142. Air guide

144. 보조안내공 150. 발광투시부144. Assistant 150. Light emitting unit

154. 전원차단홈 160. 전원차단레버154. Power Shut-Off Groove

162. 센서제어판 170. 디스플레이제어판162. Sensor control panel 170. Display control panel

172. 오염표시발광체 174. 먼지센서172. Pollution indicator 174. Dust sensor

180. 오존발생장치 186. 가스센서180. Ozone generator 186. Gas sensor

190. 필터감지스위치 192. 스위치가이드190. Filter Detection Switch 192. Switch Guide

200. 오리피스 210. 오리피스공200. Orifice 210. Orifice Ball

220. 모터마운트 230. 오리피스통기구220. Motor mount 230. Orifice tube

240. 보호망 250. 스위치고정돌기240. Protection net 250. Switch fixing protrusion

310. 후면프레임 312. 후면지지대310. Rear frame 312. Rear support

314. 저면흡입구 320. 후방판넬314. Bottom suction port 320. Rear panel

322. 후면흡입구 410. 상면커버322. Rear intake 410. Top cover

420. 토출구 430. 토출루버420. Discharge port 430. Discharge louver

440. 조작버튼440. Operation Buttons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장치의 장착여부를 감지하여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필터감지스위치가 구비되고, 필터감지스위치는 전면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a filter detecting switch for selectively blocking power by detecting whether a filter device is mounted, and a filter detecting switch relates to an air purifier that is firmly fixed to a front frame. .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空氣淸淨器, air cleaner)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도 1 에는 종래 공기청정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에는 종래 공기청정기의 필터를 분해한 부분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In general, an air cleaner refers to a device for purifying contaminated air and converting it into fresh air.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air cleaner, and FIG. 2 is a filter of a conventional air cleaner.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ploded view is show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청정기(10)는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12)과 측면외관을 형성하는 측면판넬(14), 후면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판넬(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상면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판넬(16)에 의해 외관이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air cleaner 10 includes a front panel 12 forming a front appearance and a side panel 14 forming a side appearance, a rear panel forming a rear appearance (not shown), and The appearance is constituted by the top panel 16 forming the top appearance.

상기 공기청정기(10)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팬(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팬을 구동시키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각종 필터들이 구비된다.The air cleaner 10 includes a fan (not shown) that sucks air from the outside, a motor (not shown) that drives the fan, and various filters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by the fan.

상기 상면판넬(16)은 장방형으로 구성되며, 전단부와 측단부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상면판넬(16) 후단에는 공기청정기(10)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6')가 형성되고, 이러한 토출구(16')에 토출그릴(16")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판넬(16)의 선단부에는 조절부(16a)가 형성된다.The upper panel 16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side end portion ar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 discharge port 16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panel 16 through which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inside the air cleaner 10, and a discharge grill 16' is installed at the discharge port 16 '. The adjusting part 16a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upper panel 16.

상기 조절부(16a)는 상기 공기청정기(10)의 운전을 위한 각종 조작버튼(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공기청정기(10)의 동작상태와 실내공기의 상태를 알려주는 각종 표시램프(도시되지 않음)들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The adjusting unit 16a may include various operation buttons (not shown) for driving the air cleaner 10, and various display lamps (not shown)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cleaner 10 and the state of indoor air. Are provide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user.

상기 공기청정기(10)의 전방에는 장방형의 전면판넬(12)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넬(12)의 하측에는 정화하고자 하는 실내공기가 상기 공기청정기(10)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구(1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2')에는 필터의 교환이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착탈가능한 흡입그릴(12")이 구비된다.A rectangular front panel 12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air cleaner 10, and an inlet 12 ′ in which indoor air to be purified is sucked into the air cleaner 10 is disposed below the front panel 12. Is formed. The suction port 12 ′ is provided with a removable suction grill 12 ″ to facilitate replacement or maintenance of the filter.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12)과 결합되어 상기 공기청정기(10)의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판넬(도시되지 않음) 및 측면판넬(14)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판넬(14)의 양측면 상부에는 상기 공기청정기(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4')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판넬의 하단에는 상기 공기청정기(1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플러그(P)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ear panel (not shown) and the side panel 14 which are combined with the front panel 12 to form the exterior of the air cleaner 10 are integrally formed. A handle 14 ′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ide panel 14 so as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air cleaner 10, and a handle 14 ′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rear panel. A power plug P for supplying power to the furnace is formed.

상기 공기청정기(10)의 내측에는 공기청정기(10) 외부로부터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조립체(18)가 구성된다. 상기 필터조립체(18)는 다수개의 필터결합체로 구성되어 공기중의 이물제거는 물론 세균박멸과 항균작용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Inside the air cleaner 10, a filter assembly 18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12 'from the outside of the air cleaner 10 is configured. The filter assembly 18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lter assembly is configured to have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removal of foreign matter in the air, as well as bactericidal and antibacterial action.

즉, 상기 필터조립체(18)는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비교적 큰 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18a)와,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18b), 그리고 전기적 작용으로 먼지를 모으는 집진필터(18c) 및 미세 먼지를 제거하는 헤파필터(18d)로 구성된다.That is, the filter assembly 18 includes a prefilter 18a for removing a relatively large dust contained in the inhaled air, a deodorizing filter 18b for removing odors, and a dust collecting filter 18c for collecting dust by an electrical action. And a hepa filter 18d for removing fine dust.

상기 필터조립체(18)의 상부에는 외부공기가 상기 필터조립체(18)를 통해 흡 입되도록 하는 팬(도시되지 않음)과 모터(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공기가 효과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오리피스(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10)의 하면에는 공기청정기(10)를 일정한 공간에서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는 이동바퀴(W)가 구비된다.An upper portion of the filter assembly 18 includes a fan (not shown), a motor (not shown), and an orifice guiding the air to effectively flow through the filter assembly 18. Not shown) is formed.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cleaner 10 is provided with a moving wheel (W)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air cleaner 10 in a predetermined space.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청정기(10)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전원플러그(P)를 콘센트에 꽂고 임의 선택으로 상기 조절부(16a)의 조작버튼(도시되지 않음)을 조작한다. 이렇게 상기 공기청정기(10)를 운전시키면 공기청정기(10) 내부에 위치한 모터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도시되지 않음)과 결합된 팬이 회전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하게 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first plugs the power plug (P) into the outlet and manipulates the operation button (not shown) of the control unit 16a by arbitrary selection. When the air cleaner 10 is operated in this way, a motor located inside the air cleaner 10 rotates, and a fan coupled to a rotating shaft (not shown) of the motor rotates to suck external air.

이때 외부공기는 상기 전면판넬(12)의 하단에 형성된 흡입구(12')의 흡입그릴(12")을 통해 흡입되고, 상기 필터조립체(18)의 필터들을 거치면서 각각의 필터들의 작용에 의해서 외부의 공기가 단계적으로 정화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external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grille 12 "of the suction port 1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12, and the external air by the action of each fil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s of the filter assembly 18 Air is purified step by step.

상기 필터조립체(18)에서 정화된 공기는 상기 공기청정기(10)의 내부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거쳐 상기 상면플레이트(16)의 후방에 형성된 토출구(16')의 토출그릴(16")을 통해서 상방으로 토출된다.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assembly 18 passes upward through the discharge grill 16 ″ of the discharge port 16 ′ formed at the rear of the upper plate 16 through an orifice formed in the air cleaner 10. Discharge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공기청정기(10)에서는 상기 필터조립체(18)의 장착여부에 관계없이 공기청정기(10)의 작동이 가능하므로, 필터조립체(18)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청정기(10)가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전력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ir cleaner 1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ir cleaner 10 can be operated regardless of whether the filter assembly 18 is mounted, the air cleaner 10 is not mounted. 10 can be operated. Therefore,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s,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the waste of power.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장치가 장착되는 않은 상태에서는 작동되지 않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air cleaner that does not operate without a filter device moun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장치의 장착여부를 판별하는 필터감지스위치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filter detecting switch which determines whether the filter device is mounted or more firmly fix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전반부의 골격을 이루는 전면프레임과; 후반부의 골격을 이루는 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모터 및 송풍팬과; 상기 전면프레임에 설치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장치와; 상기 필터장치의 장착 여부에 따라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필터감지스위치와; 상기 필터감지스위치가 견고하게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스위치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ront frame forming a skeleton of the first half; A rear frame forming a skeleton of the second half; An orifice installed between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to guide the flow of air; A fan motor and a blowing fan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rifice to generate air flow; A filter device installed on the front frame to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air; A filter detection switch for selectively blocking power depending on whether the filter device is mounted; The filter detecting swit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witch fixing projection to be fixedly mount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전력의 낭비와 필터감지스위치의 탈거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waste of power and removal of the filter detection switch are prevented.

이하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공기청정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an air cleaner that performs these various function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00)의 전면과 좌측면 외관은 전방판넬(110)이 형성한다. 즉 상기 전방판넬(110)은 상방에서 볼때 대략 'ㄴ'자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전방과 좌측방을 커버(cover)한다.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front and left side appearance of the air cleaner 100 is formed by the front panel 110. That is, the front panel 110 is shaped to have an approximately 'b'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to cover the front and left sides.

상기 전방판넬(110)에는 주흡입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주흡입구(112)는 상기 전방판넬(110)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주흡입구(112)는 전방판넬(110)의 좌측면에도 연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전방 뿐만 아니라 좌측방의 공기도 상기 주흡입구(112)를 통해 공기청정기(100) 내부로 유입된다.A main suction port 112 is formed in the front panel 110. The main suction port 112 is formed to penetrate the center portion of the front panel 110 and is formed long to the left and right. In addition, the main suction port 112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left side of the front panel 110. Therefore, the air in the left side as well as the front flows into the air cleaner 100 through the main inlet 112.

상기 전방판넬(110)의 후방에는 전면프레임(120)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은 공기청정기(100)의 전반부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이러한 전면프레임(120)의 전방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전방판넬(110)이 장착되는 것이다. The front frame 12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110. The front frame 120 constitutes the first half frame of the air cleaner 100, and the front panel 110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ont frame 120.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전방판넬(110)은 전면프레임(12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판넬(110)과 전면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을 통해 공기청정기(100)의 전방 상측과 전방 하측 및 우측방의 외부공기가 공기청정기(100) 내부로 흡입이 가능하게 된다.The front panel 110 installed on the front frame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frame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for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ront panel 110 and the front frame 120, the outside air of the front upper side, front lower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air cleaner 100 can be sucked into the air cleaner 100.

한편 공기청정기(100)의 후면과 우측면 외관은 후방판넬(32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후방판넬(320)은 상기 전방판넬(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며, 따라서 상기 후방판넬(320) 중앙부에도 상기 주흡입구(112)와 동일한 후면흡입구(322)가 형성된다. Meanwhile, the rear and right side appearances of the air cleaner 100 are formed by the rear panel 320. The rear panel 32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ront panel 110, so that the same rear suction port 322 as the main suction hole 11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ar panel 320.

상기와 같이 상기 전방판넬(110)과 후방판넬(320)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서로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후방판넬(320)을 상기 전방판넬(110)과 교체하게 되면, 상기 후면흡입구(322)가 상기 주흡입구(112)의 역 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ront panel 110 and the rear panel 320 are molded in the same shape, the front panel 110 and the rear panel 320 can be replaced with each other. As such, when the rear panel 320 is replaced with the front panel 110, the rear suction port 322 serves as the main suction hole 112.

도 4 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하단부에는 전면지지대(122)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지지대(122)는 상기 전면프레임(120)과 일체로 형성되며, 소정의 높이로 성형되어 상기 전면프레임(120)을 지지한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is, the front support 12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frame 120. The front support 12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frame 120, is molded to a predetermined height to support the front frame 120.

상기 전면프레임(120)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사각형상의 통기공(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123)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장치(130)가 안착되는 필터안착부(124)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상단부 우측에는 공기청정기(100)의 동작상태와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창(126)이 형성된다.The front frame 120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vent hole 123 penetrating back and forth. And the ventilation hole 123 is formed with a filter seating portion 124 is seated on the filter device 130 to be described below, the operation state and contamination of the air cleaner 100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front frame 120 The display window 126 indicating the degree is formed.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필터안착부(124)에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장치(13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장치(130)는 다수의 필터가 결합된 필터조립체(132)와, 상기 필터조립체(13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필터프레임(134) 그리고 상기 필터조립체(132)의 전방에 설치되는 프리필터(136)로 구성된다.The filter seat 124 of the front frame 120 is equipped with a filter device 130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The filter device 130 is a filter assembly 132, a plurality of filters are coupled, the filter frame 134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ilter assembly 132 and the pre-filter installed in front of the filter assembly 132 136.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후측에는 오리피스(200)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200)는 상기 전면프레임(12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오리피스공(210)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200)는 공기청정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An orifice 20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frame 120. The orifice 200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ront frame 120, the orifice hole 210 is formed to penetrate back and forth in the center portion. The orifice 200 serve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cleaner.

상기 오리피스(200)의 오리피스공(210)에는 모터마운트(220)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모터마운트(220)에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고, 팬모터에는 공기정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송풍팬(도시되지 않음)이 연결 설치된다.The motor mount 220 is integrally formed in the orifice hole 210 of the orifice 200. A fan motor (not shown) for generating rotational power is mounted on the motor mount 220, and a fan fan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fan motor to suck and discharge air in a space for air purification. .

또한 상기 오리피스(200)의 하단부에는 오리피스통기구(230)가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통기구(230)는 아래에서 설명할 후면프레임(310)의 저면흡입구(314)를 통해 흡입되는 후방의 공기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orifice 200 is formed so that the orifice through-hole 230 passes back and forth. The orifice tube 230 serves to guide the air of the rear that is sucked through the bottom suction hole 314 of the rear frame 310 to be described below to the front.

상기 오리피스(200)의 전면에는 보호망(240)이 더 설치된다. 상기 보호망(240)은 상기 필터장치(130)를 분리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인체의 일부분이 송풍팬(도시되지 않음)이 위치하는 오리피스(200)의 후방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하는 한편, 나노실버 또는 나노구리가 함유되어 항균/탈취기능을 하게 된다. The protection net 240 is further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rifice 200. The safety net 240 prevents a part of the human body such as a user's finger from entering the rear of the orifice 200 in which a blowing fan (not shown) is located when the filter device 130 is removed. On the other hand, it contains nano silver or nano copper, which is antibacterial and deodorant.

상기 오리피스(20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감지스위치(190)가 견고하게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스위치고정돌기(250)가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고정돌기(250)는 상기 오리피스(20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20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front of the orifice 200, a switch fixing protrusion 250 is formed to securely mount the filter detection switch 190 to be described below. The switch fixing protrusion 250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orifice 200, it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orifice 2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위치고정돌기(250)는 가는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오리피스(200)의 전면에 구비되며, 이러한 스위치고정돌기(250)의 후단 원주면에는 보강리브(252)가 더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252)는 상하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고정돌기(250)가 상기 오리피스(2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한다.More specifically, the switch fixing protrusion 250 is formed in a thin cylindrical shape,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orifice 200, the reinforcing rib 252 is further formed on the rear end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witch fixing protrusion 250. do. The reinforcing ribs 252 are formed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nd support the switch fixing protrusion 250 to be firmly fixed to the orifice 200.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위치고정돌기(250)는, 상기 전면프레임(120)과 오리피스(200)가 서로 결합하는 경우에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감지스위치(190)가 스 위치가이드(192)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In the switch fixing protrusion 25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front frame 120 and the orifice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lter detecting switch 190 to be described below is removed from the switch guide 192. It is fixed so as not to.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오리피스(200)의 후면에는 콘트롤박스가 구비된다. 상기 콘트롤박스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설치되어 공기청정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Although not shown, a control box i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orifice 200.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are installed in the control box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100.

상기 오리피스(200)의 후방에는 후면프레임(310)이 형성된다. 상기 후면프레임(310)은 공기청정기(100)의 후반부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하측에는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면지지대(122)와 같은 후면지지대(3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면프레임(120)을 지지한다.The rear frame 310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orifice 200. The rear frame 310 constitutes the rear half frame of the air cleaner 100, and the rear frame 312, such as the front support 122 of the front frame 120, is integrall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frame 120. Support.

상기 후면지지대(312)에는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된 후면함몰부(312')가 형성되고, 이러한 후면함몰부(312')의 상면에는 공기가 유동가능한 저면흡입구(314)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저면흡입구(314)는 후방 하측의 외부(실내공간)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이러한 저면흡입구(314)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200)의 오리피스통기구(230)와 아래에서 설명할 공기안내공(142)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조립체(132)로 유입된다.The rear support 312 is formed with a rear recessed part 312 'recessed in a forward direction, and a bottom suction hole 314 through which air flows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ar recessed part 312'. The bottom suction hole 314 is a passage for guiding the outside (indoor space) air of the rear lower side to be sucked into the inside, and the air suck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bottom suction hole 314 is an orifice vent of the orifice 200. 230 and the air guide hole 142 to be described below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assembly 132.

상기 후면프레임(310)의 후측에는 상기 후방판넬(320)이 설치된다. 상기 후방판넬(320)은 공기청정기(100)의 후면과 우측면의 외관을 동시에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후방판넬(320)은상방에서 볼 때, 대략 'ㄱ'형상으로 성형되어 공기청정기의 후면 및 우측면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방판넬(320)의 후면과 우측면 중앙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후면흡입구(322)가 형성된다.The rear panel 320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rear frame 310. The rear panel 32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rear and right sides of the air cleaner 100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rear panel 320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b'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to form the exterior of the rear and right sides of the air cleaner. In addition, the rear suction port 322 described ab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ar and right surfaces of the rear panel 320.

상기 전면프레임(120)과 후면프레임(310)의 상측에는 상면커버(410)가 구비 된다. 상기 상면커버(410)는 공기청정기(100)의 상면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토출구(420)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공기청정기(100)의 내부에서 정화된 깨끗한 공기가 공기정화를 위한 공간(실내공간)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한다.An upper cover 410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front frame 120 and the rear frame 310. The upper cover 410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leaner 100, in which the discharge port 420 is formed so that the clean air purified inside the air cleaner 100 has a space for air purification ( Guide the discharge to the indoor space).

상기 토출구(420)에는 토출루버(430)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루버(430)는 상기 토출구(42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상면커버(410) 저면에 설치되는 스텝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커버(410)의 우측단부에는 공기청정기(100)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조작버튼(440)이 형성된다.A discharge louver 430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ort 420. The discharge louver 430 controls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420 and is rotated by a step motor (not shown)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ver 410.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440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100 is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top cover 410.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100)의 전면프레임(120)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하단부에는 전면지지대(1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면지지대(122)에는 후방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된 전면함몰부(122')가 형성된다.5 is a front frame 120 of the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shown therein, the front support 122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frame 120, and the front support 122 is formed with the front recess 122 'recessed to be rounded rearward. .

그리고 상기 전면함몰부(122')의 상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방흡입구(140)가 형성된다. 상기 하방흡입구(140)는 공기청정기(100) 외부의 전방 하측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된다.In addition, a lower suction opening 140 as illustrated in FIG. 6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ont recess 122 ′. The lower suction opening 140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rom the front lower side of the air cleaner 100 is introduced.

상기 전면지지대(122) 상측에는 상기 하방흡입구(140)과 상기 후면프레임(310)의 저면흡입구(314)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필터조립체(132)로 안내하는 공기안내공(142)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방흡입구(14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안내공(142)을 통해 전방으로 이동된 다음, 상기 필터조립체(132)로 유입되어 필터링된다. An air guide hole 142 that guide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lter assembly 132 through the bottom suction port 314 of the lower suction port 140 and the rear frame 310 above the front support 122. It is formed through. Therefore, as shown in cross section in Figure 6,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lower suction opening 140 is moved forward through the air guide hole 142, and then flows into the filter assembly 132 is filtered do.

상기 공기안내공(142)의 우측에는 보조안내공(144)이 더 형성된다. 상기 보조안내공(144)은 상기 하방흡입구(14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통과하는 곳으로, 이때 아래에서 설명할 오존발생장치(180)에서 발생되는 오존(O3)이 함께 유입된다.An auxiliary guide hole 144 is further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air guide hole 142. The auxiliary guide hole 144 is a place where a part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lower inlet 140 passes through, with the ozone (O 3 ) generated from the ozone generator 180 to be described below. Inflow.

상기 보조안내공(144)의 우측에는 상기 전방판넬(110)이 부착되는 하단부착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하단부착부(146)에는 한 쌍의 영구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전방판넬(110)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한다.The right side of the auxiliary guide hole 144 is formed with a lower attachment portion 146 to which the front panel 110 is attached. The lower attachment portion 146 is provided with a pair of permanent magnets so that the front panel 110 is easily fixed to the front frame 120.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형성되는 통기공(123)의 테두리에는 상기 필터장치(130)가 고정되는 필터고정부(123')가 다수 형성된다. 이러한 필터고정부(123')에는 상기 필터장치(130)의 필터프레임(134)이 스크류(screw)에 의해 장착된다.A plurality of filter fixing parts 123 ′ in which the filter device 130 is fixed are formed at the edge of the air vent 123 formed in the front frame 120. The filter fixing part 123 ′ is equipped with a filter frame 134 of the filter device 130 by a screw.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우측단부 중앙에는 먼지홀(148)이 형성된다. 상기 먼지홀(148)은 원형의 관통홀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먼지홀(148)에는 원형의 홀커버(148')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먼지홀(148)은 아래에서 설명할 먼지센서(174)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되며, 이러한 먼지홀(148)을 통해 사용자는 먼지센서(174)에 부착되는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 dust hole 148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ight end of the front frame 120. The dust hole 148 is formed of a circular through hole, the circular hole cover 148 ′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dust hole 148. The dust hole 148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dust sensor 174 to be described below, and through the dust hole 148,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dust sensor 174. Will be.

상기 먼지홀(148)의 상측에는 발광투시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발광투시부(15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프레임(120)을 전후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오염표시발광체(172)가 전방에서 투시 가능하도록 한다.The light emitting unit 150 is formed on the dust hole 148. The light emitting unit 150 is formed to be vertically long and penetrates the front frame 120 back and forth to allow the pollution display light emitting body 172 to be described below to be viewed from the front.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우측 상단부, 즉 상기 발광투시부(150)의 상측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창(126)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창(126)은 공기청정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126')와 공기의 오염상태를 도시하는 오염표시부(126")로 구성된다. The display window 126 described above is form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front frame 120, that is, above the light emitting unit 150, and the display window 126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air cleaner 100. The operation indicator 126 'and the pollution indicator 126 ", which shows the state of air pollution.

즉 디스플레이창(126)의 상반부에는 공기청정기(100)의 운전상태를 도시하는 동작표시부(126')가 형성되고, 하반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공기의 오염정도를 나타내는 오염표시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오염표시부(126")에는 공기의 오염정도가 막대그래프 및 백분율(%)로 도시된다.That is, an operation display unit 126 ′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air cleaner 100 is formed in the upper half of the display window 126, and in the lower half of the display window 126, a pollution display unit indicating the pollution degree of air detected by various sensors described below ( 126 ". The pollution indicator 126" show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ir in bar graphs and percentages.

상기 디스플레이창(126)의 좌측에는 상단부착부(152)가 구비된다. 상기 상단부착부(152)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하단부착부(146)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영구자석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전방판넬(110)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한다.The upper attachment part 152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window 126. Like the lower attachment part 146 described above, a pair of permanent magnets are fixed to the upper attachment part 152 so that the front panel 110 is easily fixed to the front frame 120.

상기 상단부착부(152)의 좌측에는 전원차단홈(154)이 형성된다. 상기 전원차단홈(154)에는 상기 전방판넬(1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전원차단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전방판넬(110)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장착되면, 상기 전방판넬(110)의 전원차단돌기가 상기 전원차단홈(154)에 삽입되면서 아래에서 설명할 전원차단레버(160)를 유동시켜 공기청정기(100) 내부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The power blocking groove 154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attachment part 152. The power blocking protrusion 154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a power blocking protrusion (not shown)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10. That is, when the front panel 110 is mounted on the front frame 120, the power cutoff projection of the front panel 110 is inserted into the power cutoff groove 154 and the power cutoff lever 160 to be described below. The flow is such that power is applied into the air cleaner 100.

이처럼 상기 전원차단홈(154)과 전원차단돌기는 상기 전방판넬(110)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장착되면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인가되고, 반대로 상기 전방판넬(110)이 전면프레임(120)으로부터 탈거되면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s such, when the front panel 110 is mounted on the front frame 120, the power cut-out groove 154 and the power cut-off protrusion are a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and conversely, the front panel 110 has the front frame 120. When removed from the power source from the outside is cut off, thereby preventing the safety accident in advance.

도 7에는 도 5에 도시된 전면프레임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프레임(120)이 후면 상단부에는 상기 전방판넬(110)의 탈거시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레버(160)가 구비된다.FIG. 7 is a rear view of the front frame shown in FIG. 5.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ront frame 120 is provided with a power cutoff lever 160 that cuts off power when the front panel 110 is removed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frame.

그리고 상기 전원차단레버(160)의 좌측(도 7에서 볼때, 이하에서는 도 7을 기준으로 설명한다.)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각종 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제어판(162)이 구비되며, 이러한 센서제어판(162)의 좌측 즉 상기 디스플레이창(126)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디스플레이제어판(170)이 구비되어 디스플레이창(126)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a sensor control panel 16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arious sensors to be described below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power cut-off lever 160 (see FIG. 7,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7). The display control panel 170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of the control panel 162, that is, the rear of the display window 126, to control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126.

상기 디스플레이제어판(170)의 하부에는 오염표시발광체(172)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오염표시발광체(172)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며, 이러한 발광다이오드가 공기의 오염상태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오염표시발광체(172)는 상기 발광투시부(150)의 후방에 설치되어 전방에서 투시가 가능하게 된다.The contamination display light emitting body 172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control panel 170. The pollution display light emitting body 17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nd the light emitting diodes have various colors according to the air pollution state. In addition, the pollution display light emitting body 172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light emitting unit 150 to be viewed from the front.

상기 오염표시발광체(172)의 하부에는 먼지센서(174)가 설치된다. 상기 먼지센서(174)는 상기 먼지홀(148)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공기중의 먼지량을 측정한다.The dust sensor 174 is installed under the pollution display light emitting body 172. The dust sensor 174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of the dust hole 148, and measures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한편 상기 오염표시발광체(172)의 우측에는 공기중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176)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실내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더 설치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a humidity sensor 176 for measuring humidity in the air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pollution display light emitting body 172. Although not shown,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may be further installed.

상기 먼지센서(174)의 하측에는 오존발생장치(180)가 설치된다. 상기 오존발생장치(180)는 오존발생부(182)와 오존분사부(184)로 구성되며, 상기 오존발생부(182)에서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사용하여 오존(O3)을 발생시켜 공기중에 분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오존분사부(184)는 상기 오존발생부(182)로부터 발생되는 오존(O3)을 공기중에 분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안내공(144)의 후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오존분사부(184)로부터 분사되는 오존(O3)이 상기 보조안내공(144)을 통과하는 공기중에 함유되어 상기 필터조립체(132)로 유입되는 것이다.An ozone generator 180 is installed below the dust sensor 174. The ozone generator 180 includes an ozone generator 182 and an ozone sprayer 184. The ozone generator 182 generates ozone (O 3 ) by using a power source applied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ir. The ozone injection unit 184 serves to inject the ozone (O 3 ) generated from the ozone generator 182 into the air, as shown in the auxiliary guide hole 144.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Therefore, ozone (O 3 ) injected from the ozone injection unit 184 is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guide hole 144 and flows into the filter assembly 132.

상기 전면지지대(122)의 전면함몰부(122') 후면에는 가스센서(186)가 설치된다. 상기 가스센서(186)는 상기 하방흡입구(14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각종 가스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A gas sensor 186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ront recess 122 ′ of the front support 122. The gas sensor 186 serves to measure various gases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lower suction port 140.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후면에는 필터감지스위치(190)가 더 설치된다. 상기 필터감지스위치(190)는 상기 필터장치(130)의 장착 여부에 따라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필터감지스위치(190)는, 상기 필터장치(130)가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필터안착부(124)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도시되지 않음)과 팬모터(도시되지 않음)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공기청정기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 filter detection switch 190 is further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20. The filter detection switch 190 serves to selectively block power depending on whether the filter device 130 is mounted. That is, the filter detecting switch 190 is the blower fan (not shown) and the fan motor (not shown) when the filter device 130 is not mounted on the filter seat 124 of the front frame 120. Power supply to the air purifier to prevent the air cleaner from operating.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후면에는 상기 필터감지스위치(190)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스위치가이드(19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후면에는 터널 형상의 스위치가이드(192)가 전후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감지스위치(190)를 수용한다. 상기 필터감지스위치(190)는 상기 스위치가이드(192)에 억지끼움으로 장착됨이 바람직하다.A switch guide 192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front frame 120 to accommodate and fix the filter detection switch 190. That is, a tunnel-shaped switch guide 192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front frame 120 to accommodate the filter detection switch 190. The filter detection switch 190 is preferably mounted to the switch guide 192 by interference fit.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공기청정기(10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오리피스(200)에 구비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팬모터(도시되지 않음)의 회전에 의해 송풍팬(도시되지 않음)이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송풍팬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청정기(100) 내부로 흡입된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air cleaner 100, a motor (not shown) provided in the orifice 200 rotates. The blowing fan (not shown)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an motor (not shown), the outside air is sucked into the air cleaner 100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blowing fan.

이때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전방판넬(110)의 주흡입구(112) 및 상기 전방판넬(110)과 전면프레임(120)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입된다. 즉 상기 전방판넬(110)과 전면프레임(12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틈새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At this time,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is introduced through the main inlet 112 of the front panel 110 and the gap between the front panel 110 and the front frame 120. That is,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between the front panel 110 and the front frame 120, the outside air is sucked through this gap.

한편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방흡입구(140)를 통해서도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며, 상기 후방판넬(320)과 후면프레임(310) 사이의 틈새와 상기 후면흡입구(322) 및 후면프레임(310)의 저면흡입구(314)를 통해서도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side air is also sucked through the lower suction opening 14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frame 120, the gap between the rear panel 320 and the rear frame 310 and the rear suction port 322 and the rear Outside air is also sucked through the bottom suction port 314 of the frame 310.

이때 상기와 같이 공기청정기(100)의 후방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오리피스통기구(230)를 거쳐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전면프레임(120)의 공기안내공(142)을 통과한 다음, 상기 필터장치 (130)로 유입되어 정화된다.At this time, the air sucked from the rear of the air cleaner 100 moves forward through the orifice tube 23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rifice 200. Then, after passing through the air guide hole 142 of the front frame 120, it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device 130 and purified.

상기 필터장치(130)에는 다수의 필터 결합체인 필터조립체(13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필터조립체(132)에 의해 공기중의 각종 이물과 악취가 제거된다. 그리고 필터조립체(13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200)에 장착되어 있는 송풍팬(도시되지 않음)을 거쳐 상방으로 유동된다.Since the filter device 130 is provided with a filter assembly 132 which is a plurality of filter assemblies, various foreign substances and odors in the air are removed by the filter assembly 132.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132 flows upward through a blower fan (not shown) mounted on the orifice 200.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되는 정화된 공기는 상기 상면커버(410)에 형성된 토출구(420)를 통해 상방으로 배출되며, 이때 상기 토출구(420)에 설치된 토출루버(430)에 의해 토출방향이 제어된다.The purified air flowing upward by the blower fan is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discharge port 420 formed in the upper cover 410, and the discharge direction is controlled by the discharge louver 430 installed in the discharge hole 420. Controlled.

한편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후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센서에서는 공기중의 오염을 측정한다. 즉 상기 먼지센서(174)에서는 흡입되는 공기중의 먼지량을 측정하고, 상기 가스센서(186)에서는 공기중에 함유된 다양한 가스를 측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제어판(170)으로 전달한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front frame 120 measures the contamination in the air. That is, the dust sensor 174 measures the amount of dust in the intake air, the gas sensor 186 measures the various gases contained in the air and transmits to the display control panel 170.

상기 디스플레이제어판(170)에서는 상기의 먼지센서(174)와 가스센서(186)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창(126)을 통해 표시하는 한편, 상기 오염표시발광체(172)로도 전달하여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색상을 제어한다.The display control panel 170 displays the data measured by the dust sensor 174 and the gas sensor 186 through the display window 126, and also transmits the measured data to the contamination display light emitting body 172 so as to display the light emitting diode. Control the emission color.

상기 디스플레이제어판(170)에 전달되는 공기중의 오염도는 콘트롤박스(도시되지 않음)로도 전달되고, 이러한 측정된 오염상태에 따라 공기청정기(100)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제어되기도 한다.Pollution degree in the air delivered to the display control panel 170 is also transmitted to a control box (not shown), and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100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easured pollution state.

상기와 같은 공기청정기(100)을 일정기간 사용한 다음에는 상기 필터장치(130)의 필터조립체(132)를 교환할 필요가 있으며, 내부의 청소나 내부부품의 고장 수리를 위해서는 상기 전방판넬(110)을 상기 전면프레임(120)으로부터 탈거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원차단레버(160)가 오프(OFF)되어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After using the air cleaner 100 as described abo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filter assembly 132 of the filter device 130, and the front panel 110 for cleaning the interior or troubleshooting of internal parts. It is removed from the front frame 120, in this case, the power cut off lever 160 of the front frame 120 is turned off (OFF) to cut off the power.

또한 상기 필터감지스위치(190)도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즉 상기 필터감지스위치(190)는 상기 필터장치(130)가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필터안착부(124)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과 팬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공기청정기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detection switch 190 also selectively blocks the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That is, when the filter device 130 is not mounted on the filter seat 124 of the front frame 120, the filter detection switch 190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blower fan and the fan motor. Does not work.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감지스위치(190)는 상기 스위치고정돌기(250)에 의해 밀착 지지된다. 즉 상기 필터감지스위치(190)는 상기 스위치가이드(192)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프레임(120)과 오리피스(200)가 서로 결합되면, 도 8과 같이 상기 스위치고정돌기(250)의 선단이 상기 필터감지스위치(190)의 후단에 밀착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8, the filter detection switch 190 is closely supported by the switch fixing protrusion 250. That is, when the front frame 120 and the orifice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the filter detecting switch 190 is inserted into the switch guide 192 by interference fit, the switch fixing protrusion 250 as shown in FIG. 8. The front end of the contac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filter detection switch 190.

이렇게 되면, 상기 필터장치(130)를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필터안착부(124)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상기 필터감지스위치(190)가 필터장치(130)에 밀려 상기 스위치가이드(192)로부터 탈거되는 현상이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even when the filter device 130 is mounted on the filter seat 124 of the front frame 120, the filter detection switch 190 is pushed by the filter device 130, the switch guide 192 The phenomenon of being removed from it does not occur.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modifications may be made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에서는, 필터감 지스위치가 구비되어 필터장치가 장착된 경우에만 공기청정기가 작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력의 낭비와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detecting switch is provided to operate the air purifier only when the filter device is mount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ste of power and safety accidents are prevented.

즉 사용자의 착오에 의해 필터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공기청정기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공기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공기청정기가 작동되어 전력이 낭비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필터장치를 분리하면 팬모터나 송풍팬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므로, 공기청정기의 분해시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와 같은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filter device is not installed due to a user's error, the air cleaner is not operated. Thus, the air cleaner is operated without the air purification, thereby preventing the waste of power. When the filter device is separated, the power supplied to the fan motor or the blower fan is cut off, so that safety accidents such as an electric shock that may occur when the air cleaner is disassembled ar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터감지스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스위치고정돌기를 오리피스에 형성 하였다. 따라서 필터장치를 착탈하는 경우에도 필터감지스위치가 필터장치에 의해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switch fixing protrusion was formed in the orifice to fix the filter detecting switch. Therefore, even when the filter device is attached or detach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henomenon that the filter detection switch is removed by the filter device is prevented.

Claims (5)

전반부의 골격을 이루는 전면프레임(120)과;A front frame 120 forming a frame of the first half; 후반부의 골격을 이루는 후면프레임(310)과;A rear frame 310 forming a skeleton of the second half; 상기 전면프레임(120)과 후면프레임(310)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오리피스(200)와;An orifice (200) installed between the front frame (120) and the rear frame (310) to guide the flow of air; 상기 오리피스(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모터 및 송풍팬과;A fan motor and a blowing fan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rifice 200 to generate air flow;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설치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장치(130)와;A filter device 130 installed at the front frame 120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상기 필터장치(130)의 장착 여부에 따라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필터감지스위치(190)와;A filter detection switch 190 for selectively blocking power depending on whether the filter device 130 is mounted; 상기 필터감지스위치(190)가 견고하게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스위치고정돌기(2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The filter detecting switch 190 has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switch fixing protrusion (250) to be fixedly moun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감지스위치(19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lter detection switch 190,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장치(130)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과 팬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Is installed on the front frame 120, the air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ilter device 130 is not mounted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blowing fan and the fan moto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후면에는 상기 필터감지스위치(190)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스위치가이드(19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The air cleaner of claim 1 or 2, wherein a switch guide (192) is formed at a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20) to accommodate and fix the filter detection switch (19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고정돌기(250)는 상기 오리피스(200)의 일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The air purifier of claim 3, wherein the switch fixing protrusion (250)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orifice (20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고정돌기(250)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witch fixing protrusion 250, 상기 오리피스(20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면프레임(120)과 오리피스(200)가 서로 결합하는 경우에 일단이 상기 필터감지스위치(190)의 후단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The air cleaner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orifice 200, one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filter detection switch 190 when the front frame 120 and the orifice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
KR1020050033322A 2005-04-21 2005-04-21 Air cleaner KR1011557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322A KR101155745B1 (en) 2005-04-21 2005-04-21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322A KR101155745B1 (en) 2005-04-21 2005-04-21 Air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034A true KR20060111034A (en) 2006-10-26
KR101155745B1 KR101155745B1 (en) 2012-06-12

Family

ID=3761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322A KR101155745B1 (en) 2005-04-21 2005-04-21 Ai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745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187A (en) * 2002-03-08 2003-09-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Aircleaner with a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745B1 (en)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576B1 (en) Air cleaner
KR101076957B1 (en) Air cleaner
KR101152512B1 (en) Air cleaner
KR101158594B1 (en) Air cleaner
KR100564497B1 (en) Air cleaner
KR101155745B1 (en) Air cleaner
KR100621247B1 (en) A pollution displaying apparatus for air cleaner
KR100621246B1 (en) Air cleaner
KR100564495B1 (en) Air cleaner
KR100564496B1 (en) Filter device of air cleaner
KR20060111033A (en) Air cleaner
KR100571213B1 (en) Air cleaner
KR100621245B1 (en) Air cleaner
KR101158574B1 (en) Air cleaner
KR101157669B1 (en) Air cleaner
KR100518423B1 (en) Air cleaner
KR101158595B1 (en) Air cleaner
KR100621252B1 (en) Display apparatus of pollution level for air cleaner
KR101158575B1 (en) Air cleaner
KR20050108861A (en) Air cleaner
KR20060100496A (en) Air cleaner
KR20060100492A (en) Air cleaner
KR20060100497A (en) Air cleaner
KR20060111027A (en) Air cleaner
KR101270416B1 (en) Air-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