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6202A - Unit module of duct for wiring - Google Patents

Unit module of duct for wi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6202A
KR20060106202A KR1020050028692A KR20050028692A KR20060106202A KR 20060106202 A KR20060106202 A KR 20060106202A KR 1020050028692 A KR1020050028692 A KR 1020050028692A KR 20050028692 A KR20050028692 A KR 20050028692A KR 20060106202 A KR20060106202 A KR 20060106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duct
unit module
wiring duct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6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14420B1 (en
Inventor
김경미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050028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420B1/en
Publication of KR20060106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2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4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 단위 모듈로 이루어진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덕트의 일측에 배치된 숫 커넥터; 상기 숫 커넥터의 반대방향에 배치된 암 커넥터; 상기 숫 커넥터와 암 커넥터 사이에 식별이 가능한 표시가 부여되어 복수 쌍으로 배선되고, 각 쌍별로 극성이 표시된 전선; 및 상기 단위 모듈로 이루어진 배선용 덕트의 외관에 설치방향을 표시하는 식별 표시자를 포함하여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제작,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규격화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comprising: a male connecto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iring duct; A female connector disposed opposite the male connector; A wire provided with an identifiable mark between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and wired in a plurality of pairs, the polarity of each pair being indicated; And an identification indicator indicating an installation direction on the exterior of the wiring duct made of the unit module, so that the 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can be easily manufactured, installed, and maintained.

단위 모듈, 덕트, 조명등, 전선, 커넥터, 등기구 Unit module, duct, lighting, wires, connectors, luminaires

Description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Unit Module of Duct for Wiring}Unit Module of Duct for Wi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배선용 덕트의 단위 모듈별 규격화를 위한 커넥터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a connector for standardization of unit modules of a wiring duct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에 등기구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uminaire is mounted on the 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연결되는 전선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4A to 4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a wire connected to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re support member of the 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에 결합되는 등기구의 색상별 배선 설계도이다.6 is a color-specific wiring design of the luminaire coupled to the 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결선 작업을 위한 단위 모듈별 등기구의 색상 및 작업지지수단을 표시한 배선 설계도이다.Figure 7 is a wiring design showing the color and work support means of the luminaire for each unit module for the wire conn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등기구 색상에 따른 결선상태 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luminaire of the 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

10: 숫 커넥터 12: 암 커넥터10: male connector 12: female connector

14: 전선 16: 안정기14: wire 16: ballast

18: 식별 표시자 20: 베이스 커버18: identification indicator 20: base cover

21, 52: 관통공 22, 31, 32, 54: 통공21, 52: through hole 22, 31, 32, 54: through hole

30: 클립 34: 고정수단30: clip 34: fixing means

40, 44: 커넥터 50: 등기구 갓40, 44: connector 50: luminaire lampshade

60: 접속재 70: 전선지지부재60: connection member 70: wire support member

72: 절연튜브 73, 74: 지지편72: insulation tube 73, 74: support piece

80: 커버 100: 덕트80: cover 100: duct

101: 격벽 102: 요홈101: bulkhead 102: groove

104, 105: 고정턱104, 105: fixed jaw

본 발명은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규격화하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to standardize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and installation of the 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일반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 컴퓨터나 프린터, 또는 전화기나 스피커 등의 각종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케이블 또는 배선, 그리고 각종 배선기구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면, 전선들끼리 꼬이거나 엉키는 등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물체와의 간섭에 의하여 배선 상태에 대한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In general, if wires that supply electricity, cables or wire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signals such as computers or printers, telephones or speakers, and various wiring devic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 wires may be twisted or tangled, which may not be good. In addition, interference with other objects may cause a safety problem for the wiring state.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많은 전선이나 케이블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배선 상태의 정리가 용이하며, 전선이나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주로 배선용 덕트를 이용하게 된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a large number of wires or cables, etc.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wiring state can be easily organized, and the wiring ducts are mainly used to protect the wires or cables.

이러한 배선용 덕트는 통상적으로는 벽체 내부에 매입된 상태이거나 바닥면이나 벽체 또는 천정 등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배선용 덕트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되고, 배선 작업을 위한 단위 길이나 모듈의 형태로 적용되고,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한다.Such a wiring duct is usually installed in a state embedded in a wall or exposed to a floor, wall, or ceiling. Wiring ducts ar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pplied in the form of unit lengths or modules for wiring, and cut and used as necessary.

또한 배선용 덕트는 작업 환경이나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복수의 배선 덕트를 상호 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배선용 덕트는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복수의 덕트를 직선으로 연결 및 조합하거나 직선으로부터 분기하여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배선용 덕트를 설치하는 경우에 단순히 설계된 작업도면을 이용하거나 현장의 조건에 따라 즉흥적으로 설치하는 등, 배선용 덕트의 설치 및 배치가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져 미관 및 안전을 저해하는 단점이 노출되었다.In addition, the wiring duct is us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wiring ducts in considera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use environment. In addition, the wiring duct is installed by connecting and combining a plurality of ducts in a straight line or branching from a straight line according to the installed environment. Therefore, when installing the wiring duct, such as simply using the designed work drawings or on-the-fly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site, such as the installation and layout of the wiring duct irregularly exposed the disadvantages that impair the aesthetics and safety.

더욱이 배선용 덕트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설계된 후에 현장에서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단위 모듈별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접속 및 연결하고 있지만, 단위 모듈별로 제작하는 방법이 규격화되어 있지 않아 배선 작업자가 임의로 전선의 배선 및 커넥터의 조립, 그리고 등기구의 설치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현장 시공자도 배선도나 설계도를 원칙으로 하여 현장에서 배선용 덕트를 설치하고는 있지만, 이 또한 현장 시공자가 일일이 현장 조건이나 작업 환경 등에 따라 각각 달라질 뿐만 아니라, 시공자 위주의 편의에 의한 설치로 인하여 다른 시공자나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자가 용이하게 관리할 수 없었다. 또한 배선도나 설계도를 기반으로 배선 및 제작, 그리고 설치작업 도중에 어느 한 작업자나 시공자 등이 임의로 작업하거나 시공을 하는 경우에는 배선용 덕트의 설치 후에 배선의 단락(short)에 의한 등기구나 전선의 망실로 인한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발생하거나 배선의 개방(open) 등에 의한 재배선이나 덕트의 재설치 등의 문제가 빈번한 실정이었다.Moreover, the wiring duct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designer's intention, and then manufactured by unit module for easy installation on site, and easily connected and connected on site. Although wiring and connectors are assembled and luminaires are installed, the site builders install wiring ducts in the field based on wiring diagrams and design drawings. Not only will it be different, but the installation by the installer-oriented convenience could not be easily managed by other installers or maintenance managers. In addition, when any worker or contractor works or constructs during the wiring,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work based on the wiring diagram or design drawing, the short circuit of the wiring after the wiring duct is installed, Problems such as re-wiring and re-installation of ducts due to safety accidents such as fires or opening of wires have been frequent.

이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제작 및 설치, 그리고 유지보수 등에 일관성이 없어 제작 및 설치, 그리고 유지보수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 등도 상승하는 문제가 노출되었다.This is inconsistent with the manufacture and installation of wiring ducts for each module, and maintenance, which takes considerable time to manufacture, install, and maintain, and raises manufacturing costs and installation costs.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정해진 규칙과 일관성 등을 통일화시켜 도면 설계자, 배선 작업자, 현장 시공자 및 유지관리자 등이 공통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unit module standardized so that drawing designers, wiring workers, site installers and maintainers can be easily identified in common by unifying the 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to the predetermined rules and consistency, etc.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uct for star wiring.

더욱이 본 발명은 단위 모듈을 규격화하기 위하여 배선을 위한 커넥터의 배 치와 배선에 사용되는 복수 전선의 식별을 위한 표시, 그리고 해당하는 한 조의 전선에 극성을 표시하고,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외관에 설치방향을 각각 표시함으로서, 규격화된 배선용 덕트의 단위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rk the arrangement of the connector for wiring and the identification of a plurality of wires used for wiring in order to standardize the unit module, and to display the polarity of a set of wires, and to the appearance of the 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unit module of a standardized wiring duct by displaying the installation directions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위 모듈로 이루어진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the wiring duct made of a unit module,

상기 배선용 덕트의 일측에 배치된 숫 커넥터;A male connecto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iring duct;

상기 숫 커넥터의 반대방향에 배치된 암 커넥터;A female connector disposed opposite the male connector;

상기 숫 커넥터와 암 커넥터 사이에 식별이 가능한 표시가 부여되어 복수 쌍으로 배선되고, 각 쌍별로 극성이 표시된 전선; 및A wire provided with an identifiable mark between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and wired in a plurality of pairs, the polarity of each pair being indicated; And

상기 단위 모듈로 이루어진 배선용 덕트의 외관에 설치방향을 표시하는 식별 표시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including an identification indicator indicati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on the appearance of the wiring duct made of the unit modu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배선용 덕트를 단위 모듈별로 규격화하기 위한 커넥터의 배선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wiring of a connector for standardizing a wiring duct for each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먼저, 본 발명은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규격화함에 있어서, 배선용 덕 트를 단위 모듈화하고, 단위 모듈별로 커넥터의 배치 및 접속방법, 전원의 방향, 전선의 극성, 접속재의 위치, 등기구의 설치 및 커버 등을 규격화시켜 제작하고, 제작된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시공과 배선 설계 등을 일관성이 있도록 표시하며, 배선용 덕트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standardizes the wiring duct for each module, and the wiring duct is modularized, and the arrangement and connection method of the connector for each module module, the direction of the power source, the polarity of the wire,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the installation and the cover of the luminaire. The standardization and the like are made, and the construction and wiring design of the wiring ducts for each unit module are consistently displayed, and the maintenance of the wiring ducts is facilitated.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제작에 있어서, 일정 규격의 덕트(100)를 준비하고, 덕트(100) 내부 또는 외부 등에 배치, 배열 또는 구비되는 각종 구성요소를 준비한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duction of the duct for wiring per unit module, the duct 100 of a predetermined standard is prepared, and various components arranged, arranged or provided in the duct 100 or the like are prepared.

상기 구성요소로서, 일정 규격을 갖는 덕트(100)의 양단까지 배열되는 복수 조(組)의 전선(14)을 일정 길이로 마련하고, 각 전선은 식별이 용이한 소정의 색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전선(14)의 양단에는 암 커넥터(12) 및 숫 커넥터(10)를 각각 결합한다. 조명등의 점등을 위한 안정기(16), 조명등(56)의 고정을 위한 베이스 커버(20), 그리고 베이스 커버(20)에 고정되는 램프홀더(42) 등도 준비한다. 상기 안정기(16)로부터 램프홀더(42)까지 연결되는 소정 길이를 갖는 전선(14)의 일단에 램프홀더(42)에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는 커넥터(40)를 결합한다. 덕트(100)의 내부 공간에 배열되는 전선(14)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단자대 등을 준비한다.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베이스 커버(20) 사이에 조명등(56)의 반사를 위한 등기구 갓(50)을 준비하고, 덕트(100)와 덕트를 내측으로부터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접속재(60)와 외측으로부터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 등을 준비한다. 덕트(100)에 고정되는 베이스 커버(20) 사이에 등기구 갓(50)을 제외한 부분을 덮을 수 있는 커버 등을 준비한다. 그리고 구성요소의 고 정을 위한 각종 고정부재나 고정수단 등도 준비한다.As the component,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pairs of wires 14 arranged to both ends of the duct 10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r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each wire has a predetermined color for easy identification. . And the female connector 12 and the male connector 10 is coupled to both ends of each wire 14, respectively. A ballast 16 for lighting the lamp, a base cover 20 for fixing the lamp 56, and a lamp holder 42 fixed to the base cover 20 are also prepared. The connector 40, which can be connect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lamp holder 42,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wire 1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ed from the ballast 16 to the lamp holder 42. In order to fix the electric wire 14 arrange | position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duct 100, a some terminal block etc. are prepared. Prepare a lampshade 50 for the reflection of the lamp 56 between the base cover 20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rom the outside and the connecting member 60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duct 100 and the duct from the inside Prepare fixing means such as bolts for connection and fixing. Between the base cover 20 is fixed to the duct 100 to prepare a cover and the like to cover the portion except the lampshade (50). Also, prepare various fixing members or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omponents.

이와 같이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규격화하기 위한 제반 구성요소를 준비한 후에 조립과정을 거치게 된다.As such, after preparing all the components for standardizing the 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the assembly process is performed.

즉 상기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100)의 일측에 숫 커넥터(10)를 배치하고, 타측에 암 커넥터(12)를 배치한다. 예를 들어, 숫 커넥터(10)는 덕트(100)의 왼쪽에 배치하고, 암 커넥터(12)는 덕트(100)의 오른쪽에 배치한다. 숫 커넥터(10) 및 암 커넥터(12)는 작업성이 용이한 위치에 각각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male connector 1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iring duct 100 for each unit module, and the female connector 12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For example, the male connector 1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duct 100, and the female connector 12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duct 100. The male connector 10 and the female connector 12 are preferably arranged at positions where workability is easy.

상기 숫 커넥터(10) 및 암 커넥터(12) 사이에 배선되는 복수 쌍의 전선(14)에는 식별이 가능한 표시를 각각 부여한다. 즉 도 4a에서, 복수 쌍의 전선(14, 14a)에는 각각 고유의 색상(예로, R-적색, G-녹색, B-청색 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쌍의 전선(14, 14a)을 커넥터(10)의 상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10)의 형상이나 전선(14)의 수용량에 따라 연결되는 전선의 수는 달라지고 배치되는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A plurality of pairs of wires 14 wired between the male connector 10 and the female connector 12 are each provided with an identifying mark. That is, in FIG. 4A, the plurality of pairs of wires 14, 14a preferably have their own colors (eg, R-red, G-green, B-blue, etc.), and each pair of wires 14, 14a. Is preferably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connector 10.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onnector 10 or the capacity of the wire 14, the number of wires to be connected may be different and the location of the wires may be different.

또한, 상기 숫 커넥터(10) 및 암 커넥터(12)에 각각 배선되는 한 조의 전선(14, 14a)에 극성을 표시한다. 이는 도 4b 내지 도 4d에서, 숫 커넥터(1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커넥터(10)에 배선되는 한 쌍의 전선(14, 14a)에 양극(+) 및 음극(-)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4b와 같이 양극(+)에 태그(tag)(15)를 부착하거나 또는 음극(-)에 태그(15)를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c에서, 한 쌍의 전선(14, 14a)을 양극(+) 및 음극(-)으로 구별하기 위하여 어느 한 전선(14) 또는 (14a)에 스트립과 같은 줄무늬 등을 적용하거나, 도 4d와 같이 커넥터(10)의 상부에 연결된 전선(14)을 양극(+)으로 하부에 연결된 전선(14a)을 음극(-)으로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polarity is indicated on a pair of wires 14 and 14a wired to the male connector 10 and the female connector 12, respectively. This is illustrated by taking the male connector 10 as an example in FIGS. 4B-4D. That is, the positive electrode (+) and the negative electrode (−) can be represented on the pair of wires 14 and 14a wired to the connector 10. For example, the tag 15 may be attached to the positive electrode (+) or the tag 15 may be attached to the negative electrode (−) as shown in FIG. 4B. In addition, in FIG. 4C, a stripe or the like such as a strip is applied to any one of the wires 14 or 14a to distinguish the pair of wires 14 and 14a into a positive electrode (+) and a negative electrode (−). As shown in FIG. 4D, the wire 14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or 10 may be represented by the positive electrode (+), and the wire 14a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may be represented by the negative electrode (−).

더욱이 상기 커넥터(10)의 상하 표시는 커넥터(10)의 외관에 형성된 걸림턱(11)이나 물림턱의 위치에 따라 구분하거나 외관에 상하를 표시하는 문자 또는 기호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displays of the connector 10 may be divid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cking jaw 11 or the biting jaw formed on the exterior of the connector 10 or may display letters or symbols indicating the top and bottom on the exterior.

그리고 상기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100)의 외관 일측에 설치방향, 예를 들어, 전원방향을 나타내기 위하여 식별 표시자(18)를 적용한다. 전원방향을 나타내는 식별 표시자(18)는 단위 모듈로 구성된 덕트(100)를 연결할 때에 분전함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을 표시하거나 규격화된 덕트(100)를 어느 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원방향을 나타내는 식별 표시자(18)는 작업자나 시공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화살표와 같은 기호로 표시하거나 문자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접속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한 식별수단으로서, 전원방향이나 충전방향 등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n identification indicator 18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exterior of the wiring duct 100 for each unit module to indicate an installation direction, for example, a power supply direction. The identification indicator 18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he power supply indicates the direction of the power applied from the distribution box when connecting the duct 100 composed of the unit modules or to easily connect the standardized duct 100 in one direction. . It is preferable that the identification indicator 18 indicating the power direction is displayed by a symbol such as an arrow or a letter so that an operator or a builder can easily recognize it. This is an identification means for the direction to be connected, and can display the power supply direction or the charging direction.

상기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100) 사이의 접속을 위한 접속재(60)를 덕트(100)의 일단에 연결한다. 접속재(60)는 덕트와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속재(60)는 덕트의 일단, 예를 들어, 덕트(100)의 왼쪽에 접속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오른쪽에 접속하여도 좋다. 단, 어느 한쪽으로만 일관성이 있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member 60 for connection between the wiring ducts 100 for each unit modul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uct 100. The connecting member 60 is for connecting the duct and the duct. The connecting member 60 is prefer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uct, for example, to the left side of the duct 100, but may be connected to the right side. However, it is desirable to connect so that only one side is consistent.

상기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100)에 램프 홀더(42)가 결합된 베이스 커버(20)를 배치한다. 램프 홀더(42)가 결합된 베이스 커버(20)는 덕트(100)에 소정 간격, 즉 램프 홀더(42)에 장착되는 조명등(56)의 길이에 해당하는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한다. 램프 홀더(42)는 장착되는 조명등(56)에 전원을 공급하고, 조명등(56)을 지지하는 것으로, 안정기(16)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도록 배선되어 있는 것이다. 안정기(16)로부터 램프 홀더(42)로 배선되는 전선(14)의 일단에는 커넥터(40)가 결합되어 있어 램프 홀더(42)에 구비되는 커넥터(44)와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안정기(16)로부터 연결되는 커넥터(40)를 암 커넥터로 구성하고, 램프 홀더(42)에 구비되는 커넥터(44)를 숫 커넥터로 구성하는 것이다. 램프 홀더(42)는 덕트(100)와 결합되는 베이스 커버(20)의 외측으로부터 베이스 커버(20)에 형성된 관통공(21)을 통하여 끼워지고, 안정기(16)로부터 연결되는 커넥터(40)는 덕트의 내측으로부터 관통공(21)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한다. 커넥터(40) 및 (44)의 연결은 억지끼움에 의하여 커넥터에 형성된 돌기 및 걸림턱에 의하여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커넥터(40)와 램프홀더(42)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해당 형상이나 모양으로 가공된 관통공(21)을 통하여 직접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cover 20 to which the lamp holder 42 is coupled is disposed in the wiring duct 100 for each unit module. The base cover 20 to which the lamp holder 42 is coupled is spaced apart from the duct 1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at is,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amp 56 mounted on the lamp holder 42. The lamp holder 42 supplies power to the lamp 56 to be mounted and supports the lamp 56 and is wi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ballast 16. The connector 4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wire 14 that is wired from the ballast 16 to the lamp holder 42 so that the connector 44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44 provided in the lamp holder 42. That is, the connector 40 connected from the ballast 16 consists of a femal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44 provided in the lamp holder 42 consists of a male connector. The lamp holder 42 is fitted through the through hole 21 formed in the base cover 20 from the outside of the base cover 20 to be coupled to the duct 100, the connector 40 is connected from the ballast 16 It is conn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21 from the inside of the duct.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ors 40 and 44 is preferably to be firmly fixed by the projection and the locking step formed on the connector by interference fit. In addition, when the connector 40 and the lamp holder 42 are integrally manufactured, it is preferable to fix the connector 40 and the lamp holder 42 directly through the through hole 21 processed into the shape or shape.

그리고 베이스 커버(20)에 등기구 갓(50)을 결합하기 위하여 베이스 커버(2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22)에 통공(31) 및 (32)을 갖는 금속 클립(30)을 부착하며, 관통공(22) 및 금속 클립(30)의 통공(31) 및 (32)을 통하여 고정수단(34)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베이스 커버(20)의 재질이나 두께에 의하여 고정수단(34)을 직접 결합하였을 경우에 고정수단(34)이 베이스 커버(20)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금속 클립(30)을 결합한 것이다. 금 속 클립(30)은 베이스 커버(20)의 내외측으로 삽입되어 관통공(22)에 일치하는 통공(31) 및 (32)이 형성되어 있고, 금속 클립(30)은 고정수단(34)으로 고정할 때에 보강력을 위하여 쉽게 마모되지 않는 강성을 갖는 재질을 적용하며, 금속 클립(30)의 일면에 형성된 통공(31)에 슬릿(31a)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수단(34), 예를 들어, 나사가 결합되면서 나사의 나사골에 통공(31)이 맞물려지면서 슬릿(31a)의 변형으로 고정수단(34)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And attaching the metal clip 30 having the through-holes 31 and 32 in the through-holes 22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cover 20 to couple the lampshade 50 to the base cover 20, The fastening means 34 can be fastened through the through holes 31 and 32 of the through hole 22 and the metal clip 30. This is a separate metal clip 30 to prevent the fixing means 34 is not firmly fixed to the base cover 20 when the fixing means 34 are directly coupled by th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base cover 20. ) Is combined. The metal clip 3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ase cover 20 to form through holes 31 and 32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22, and the metal clip 30 is fixed to the fixing means 34. When fixing, a material having rigidity that is not easily worn for reinforcement is applied, and a slit 31a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31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etal clip 30, so that the fixing means 34, for example, As the screw is coupled, the through hole 31 is engaged with the screw bone of the screw, so that the fixing means 34 is firmly fixed by the deformation of the slit 31a.

상기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100) 사이의 접속과 대응하는 커넥터(10) 및 (12)을 연결한 후에 접속 부위에 단위 길이를 갖는 하부덮개(80)를 각각 결합한다. 즉 덕트(100) 내부에 배선이 완료된 후에 덕트의 양단에 하부덮개(80)를 결합하여 규격화된 단위 모듈의 배선용 덕트를 제작한다.After connecting the connectors 10 and 12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ring ducts 100 for each unit module, the lower cover 80 having a unit length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site, respectively. That is, after the wiring is completed in the duct 100, the lower cover 8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duct to manufacture a standardized unit wiring duct.

또한,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100)에는 덕트 내부에 배선되는 전선의 수가 많아지면 전선(14)들이 엉키거나 꼬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배선 중이거나 배선 후에 전선의 정리가 불가피하게 되고, 또, 유지 보수를 할 때에 보수 시간이 길어지며, 전선들끼리 간섭에 의한 단락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wiring duct 100 for each unit module, if the number of wires that are wired inside the duct increases, a problem such as entanglement or twisting of the wires 14 may occur, which may inevitably organize the wires during or after wiring.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time becomes long when the maintenance is performed, and tha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short circuit due to interference between wires can be caused.

따라서 전선(14)들을 덕트(100) 내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밀착시켜 일정하게 정리 및 정돈이 이루어지도록 전선지지부재(70)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선지지부재(70)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합성수지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성을 위하여 금속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재질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금속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 튜브(72) 등을 씌우는 것이 좋다. 또한, 절연용 분체도료를 사용하여 분체 도장된 표면을 갖는 전선지지부재(70)를 적용할 수도 있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wire support members 70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wires 14 closely adhere to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the inside of the duct 100 so that the wires 14 are regularly arranged and arranged. That is, the wire support member 70 is preferably to apply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t is preferable to apply a synthetic resin, it is possible to apply a metal material for rigidity. When the metal material is applied, it is preferable to cover the insulating tube 72 and the like so that the metal surfac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wire support member 70 having a powder-coated surface using the powder coating for insulation.

이와 같은 실시예로서, 도 5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덕트(100)의 내측에 배선되는 전선(14)들을 전선지지부재(70)를 이용하여 덕트(100)의 내측면에 밀착시켜 고정시킨다. 전선지지부재(70)는 양단에 절곡된 지지편(73, 74)이 형성되어 있지만, 지지편(73, 74)이 없어도 좋다. 전선지지부재(70)는 덕트(100) 내측에 형성된 고정턱(104, 105)에 각각 지지편(73, 74)이 고정되고, 지지편(73, 74)은 전선지지부재(70)의 탄성을 지지함과 동시에 고정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전선지지부재(70)가 전선(14)들을 눌러 고정 및 지지하거나 덕트(100) 내측에 형성된 요홈(102)에 의하여 전선지지부재(70)가 가압되어 탄성을 갖도록 하는 것도 좋다. 또한, 나사공(75)을 통하여 고정수단(77)으로 전선지지부재(70)를 요홈(102)에 견고히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uch an embodiment, referring to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the wires 14 wired inside the duct 100 ar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100 by using the wire support member 70. Although the support pieces 73 and 74 are bent at both ends, the wire support member 70 may be free from the support pieces 73 and 74. The wire support member 70 is fixed to the support pieces 73 and 74 to the fixing jaws 104 and 105 formed inside the duct 100, respectively, and the support pieces 73 and 74 are elastic of the wire support member 70. It is for fixing and at the same time supporting. In addition, the wire support member 70 may be fixed and supported by pressing the wires 14, or the wire support member 70 may be pressed to have elasticity by the groove 102 formed inside the duct 10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 support member 70 is firmly fixed to the groove 102 by the fixing means 77 through the screw hole 75.

상기 실시 예에서는 덕트(100)에 상단에 상부덮개(25)가 구비되고, 하단에 베이스 커버(20) 및 하부덮개(80)가 결합되며, 내측에 격벽(101)이 형성되고, 격벽(101) 중앙 부분에 요홈(102)이 형성된 경우에 적용된 것이지만, 상부덮개(25)가 형성되지 않은 일반적인 덕트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덕트 내측의 구조에 따라 전선지지부재(70)에 지지편이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전선지지부재(70)에 부착되는 절연튜브(72)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를 덮어씌우거나 코팅 또는 도포함으로서 전선(14)에 의한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덕트(100) 내에 배선되는 전선(14)을 종류, 색깔 또는 용도별로 분리하여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upper cover 25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duct 100, the base cover 20 and the lower cover 80 are coupled to the lower end, the partition wall 101 is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the partition wall 101 is provided. ) It is applied when the groove 102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but it is also applicable to a general duct in which the upper cover 25 is not formed. And the support piece may not be formed in the wire support member 70 according to the structure inside the duct. Insulation tube 72 attached to the wire support member 70 is to cover the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or to prevent the short circuit by the wire 14 by coating or coating. Therefore, the wires 14 that are wired in the duct 100 may be arranged separately by type, color, or use.

더욱이 도 6은 단위 모듈의 배선용 덕트(100)에 결합된 등기구에 해당하는 색상별 배선 설계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덕트(100)를 통하여 배선되는 복수 쌍의 전선(14)이 해당하는 색상으로 표시되어 있고, 배선 설계도에 의하여 조명등(56)이 동시에 또는 일부 라인만 점등 또는 소등을 하고, 이는 복수의 배선 스위치(S1, S2), 그리고 분전함(PB) 등과의 연결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Figure 6 shows a wiring design for each color corresponding to the luminaire coupled to the wiring duct 100 of the unit module. That is, a plurality of pairs of wires 14 that are routed through the duct 100 are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color, and according to the wiring design, the lighting lamp 56 simultaneously turns on or turns off only some of the lines, which is a plurality of wiring switches. It is preferable to design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on to (S1, S2) and the distribution box (PB).

도 7의 전선 결선 작업을 위한 단위 모듈별 등기구의 색상 및 작업지시수단을 표시한 배선 설계도에는 가로방향으로 6라인(A~F-Line)의 배선 및 약 5개 내외의 조명등(L), 그리고 세로방향으로 2라인(G, H-Line) 및 약 10개 내외의 조명등(L)이 설치되도록 하고, 조명등(L)에는 해당하는 색상이 표시되어 있다. 즉 흑색, 청색 및 적색의 조명등(L)을 번갈아 설치하거나 해당하는 라인에 동일한 색상의 조명등(L)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전선 결선 작업에 해당하는 가로 및 세로방향의 라인 배선과 조명등의 설치 개수는 해당하는 현장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설계도에 의하여 현장 시공자는 덕트의 설치 및 시공을 하면서 해당하는 조명등(L)의 색상을 참고하여 작업지시수단으로 이용하게 된다. 즉 배선 설계도에 표시된 색상을 갖는 조명등(L)은 단위 모듈 내의 색상을 갖는 복수 쌍의 전선(14)이 배선 스위치(S1, S2)에 의하여 각각 구분되어 점멸되는 조명용 점멸회로를 식별하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이다.The wiring design diagram showing the color and work instruction means of the luminaire for each unit module for the wire connection work of FIG. 7 includes six lines (A to F-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bout five lighting lamps (L), and Two lines (G, H-Line) and about 10 lamps (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o be installed, the lamp (L) is marked with the corresponding color. That is, alternately installing black, blue and red lamps L or installing the same color lamps L in the corresponding lines.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ine wiring and the lighting corresponding to the wire connection work may be added or subtract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ite. Therefore, according to the wiring design, the site installer will use the work instruction means referring to the color of the corresponding lamp L while installing and constructing the duct. That is, the lamp L having the color indicated in the wiring schematic is used as a means for identifying a flashing circuit for lighting in which a plurality of pairs of wires 14 having colors in the unit module are separately blinked by the wiring switches S1 and S2. Will be.

이와 같이 동일한 색상으로 제작, 시공 및 보수 작업을 할 때에 회로 점검을 별도로 하지 않더라도 배선 설계도면(도 7)에 등기구로 표시된 색상과 조명등(L)의 점멸을 위한 배선 스위치(S1, S2)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회선이 해당하는 조명등(L)의 안정기에 접속되므로(도 8 참조) 덕트 및 조명등의 조립을 위한 작업지시, 현장의 설치를 위한 작업지시, 그리고 사후 보수관리 등을 위한 동일한 일체화된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이다.In this way, even if the circuit inspection is not performed separately when manufacturing, constructing, and repairing the same color, the wiring switches S1 and S2 for flashing the color indicated by the luminaire in the wiring design drawing (FIG. 7) and the lamp L are flashed. Since the switched line is connected to the ballast of the corresponding lamp (L) (see Fig. 8), the work order for the assembly of the duct and the lamp, the work order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ite, and the same integrated means for the post maintenance It is used.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제작함에 있어서, 일관성 및 통일화된 배선 작업에 의하여 규격화된 덕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정해진 과정을 통하여 단위 모듈별로 제작하기 보다는 커넥터의 배치 방향, 전원의 방향 표시, 전선의 색상 및 극성 표시, 그리고 단위 모듈별 덕트와 덕트의 연결을 위한 접속재의 접속 위치, 등기구 및 커버 등을 규격화하고, 배선 설계도에 전선의 색상 및 전원방향을 표기함으로서 도면 설계자, 배선 작업자, 현장 시공자, 유지관리자 등이 공통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규격화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nufacture of wiring ducts for each unit module, to provide a standardized duct by the consistent and unified wiring work,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 direction of the power source rather than to manufacture for each unit module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ss By designating the marking, the color and polarity of the wire, the connection location of the connecting material for connecting the duct and the duct by unit module, the luminaire and the cover, etc., the drawing designer and the wiring worker It is standardized so that it can be easily identified by site builders and maintenance workers.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well known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claims. Anyone who owns it can easily find ou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는 단위 모듈별로 제작되는 배선용 덕트를 소정의 방향이나 위치를 갖도록 커넥터의 배치, 전원방향의 표 시, 전선의 색상 및 극성의 부여, 그리고 단위 모듈별 덕트와 덕트의 연결을 위한 접속재의 접속 위치, 등기구 및 커버 등을 규격화하고, 배선 설계도에 전선의 색상 및 전원방향을 표기함으로서 도면 설계자, 배선 작업자, 현장 시공자, 유지관리자 등이 공통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규격화함으로서, 빠른 시공, 간편한 식별, 용이한 보수 및 관리, 그리고 제작 및 설치비용 등의 절감을 도모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the connector to have a predetermined direction or position for the wiring duct manufactured for each unit module, to indicate the direction of power, to give the color and polarity of the wire, and to the unit module. Standardizes the connection location, luminaire and cover of the connection material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duct and the color of the wire and the direction of the power supply in the wiring design diagram, so that the drawing designer, the wiring worker, the site installer, and the maintenance manager can easily identify them in common. By standardizing it, it has the effect of quick construction, easy identification, easy maintenance and management, and reduction of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costs.

더욱이 규격화된 단위 모듈별로 배선용 덕트를 제작 및 공급함으로서, 배선용 덕트를 소정 공간을 갖는 현장에서 시공할 때에 커넥터의 연결과 접속재의 접속 및 결합만으로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재수급이 원활하며, 덕트를 이용한 배선 작업에 편의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Furthermore, by manufacturing and supplying wiring ducts for each standardized unit module, it is easy to construct the wiring ducts at the sit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by simply connecting the connectors and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connecting materials.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convenience in wiring work using ducts.

Claims (8)

단위 모듈로 이루어진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In the wiring duct consisting of a unit module, 상기 배선용 덕트의 일측에 배치된 숫 커넥터;A male connecto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iring duct; 상기 숫 커넥터의 반대방향에 배치된 암 커넥터;A female connector disposed opposite the male connector; 상기 숫 커넥터와 암 커넥터 사이에 식별이 가능한 표시가 부여되어 복수 쌍으로 배선되고, 각 쌍별로 극성이 표시된 전선; 및A wire provided with an identifiable mark between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and wired in a plurality of pairs, the polarity of each pair being indicated; And 상기 단위 모듈로 이루어진 배선용 덕트의 외관에 설치방향을 표시하는 식별 표시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Wiring ducts for each unit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dentification indicator for displayi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on the appearance of the wiring duct made of the unit modu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위 모듈의 배선용 덕트에 결합된 등기구에 해당하는 색상을 배선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Wiring ducts for each unit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corresponding to the luminaire coupled to the wiring duct of the unit module is displayed on the wiring diagra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배선도에 표시된 색상을 갖는 조명등은 단위 모듈 내의 색상을 갖는 복수 쌍의 전선이 배선 스위치에 의하여 각각 구분되어 점멸되는 조명용 점멸회로를 식별하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The lighting lamp having the color shown in the wiring diagram is used as a means for identifying a flashing circuit for lighting in which a plurality of pairs of wires having a color in the unit module is separated and flashed by the wiring switch, respectively.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배선도에 등기구로 표시된 색상과 조명등의 점멸을 위한 배선 스위치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회선이 해당하는 조명등의 안정기에 접속되므로 덕트 및 조명등의 조립을 위한 작업지시, 현장의 설치를 위한 작업지시, 그리고 사후 보수관리를 위한 동일한 일체화된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Since the line switched by the wiring switch for blinking of the lamp and the color indicated by the luminaire in the wiring diagram is connected to the ballast of the corresponding lamp, the work order for assembling the duct and the lamp, the work order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ite, and the post-maintenance 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used as the same integrated means for managem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숫 커넥터 및 암 커넥터의 상하 표시로서 걸림턱이나 물림턱의 위치 또는 외관에 상하를 표시하는 문자 또는 기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The upper and lower display of the male connector and female connector duct for each modul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of the characters or symbols indicating the upper and lower to the position or appearance of the locking jaw or bleeding jaw is appli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선의 식별이 가능한 표시로서 색상이나 태그를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or tag is given as a display that can identify the wir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설치 방향은 전원방향 또는 충전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The installation direction is a duct for wiring per unit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of the power direction or charging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에 램프 홀더가 결합된 베이스 커버가 배치되고, 베이스 커버에 등기구 갓을 결합하기 위하여 베이스 커버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에 통공을 갖는 금속 클립이 부착되고, 관통공 및 금속 클립을 통하여 고정수단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A base cover coupled with a lamp holder is disposed in the wiring duct for each unit module. A through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ase cover to couple the lampshade to the base cover, and a metal clip having a through hole is attached to the through hole. And a unit module wiring 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ans is fastened through the metal clip.
KR1020050028692A 2005-04-06 2005-04-06 Unit Module of Duct for Wiring KR1007144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692A KR100714420B1 (en) 2005-04-06 2005-04-06 Unit Module of Duct for Wi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692A KR100714420B1 (en) 2005-04-06 2005-04-06 Unit Module of Duct for Wi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202A true KR20060106202A (en) 2006-10-12
KR100714420B1 KR100714420B1 (en) 2007-05-04

Family

ID=3762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692A KR100714420B1 (en) 2005-04-06 2005-04-06 Unit Module of Duct for Wi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420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411A (en) * 2012-09-26 2014-04-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Electric power distribution unit an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436814B1 (en) * 2012-12-20 2014-09-02 박인철 Cable tray
KR20160077629A (en) * 2014-12-24 2016-07-04 박인철 Cable tray with grounding and light
KR20210027649A (en) * 2019-08-30 2021-03-1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work
KR102617799B1 (en) * 2023-02-03 2023-12-27 박건순 Construction method for modularization electric wiring used oun-touch wiring pipe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41248B (en) 2019-06-26 2024-05-28 三元艾特有限公司 Wiring bracket and module combining device combined with same
KR20190084216A (en) 2019-06-26 2019-07-16 삼원액트 주식회사 Wiring bracke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251B2 (en) * 1993-07-28 1996-03-04 株式会社ブレスト工業研究所 Continuous fluorescent lamp system
KR100221195B1 (en) 1997-02-05 1999-09-15 노시열 Fluorescent lamp
KR200317843Y1 (en) 2003-03-22 2003-06-27 채한병 discernment matter for cognizing power cable
KR200334290Y1 (en) 2003-08-26 2003-11-22 조현상 An external structure of fluorescence light
KR100423258B1 (en) 2003-11-18 2004-03-19 김경미 Lighting device for modularized to unit length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411A (en) * 2012-09-26 2014-04-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Electric power distribution unit an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436814B1 (en) * 2012-12-20 2014-09-02 박인철 Cable tray
KR20160077629A (en) * 2014-12-24 2016-07-04 박인철 Cable tray with grounding and light
KR20210027649A (en) * 2019-08-30 2021-03-1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work
KR102617799B1 (en) * 2023-02-03 2023-12-27 박건순 Construction method for modularization electric wiring used oun-touch wiring pipe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4420B1 (en) 200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420B1 (en) Unit Module of Duct for Wiring
KR101394831B1 (en) Lighting Fixture and Rail Module
US20030207612A1 (en) Rai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O2014115936A1 (en) Led bar having structure capable of assembling block without cable
US20200220292A1 (en) Combination of power outlet and plug-in member for plugging electrical fixtures in an electrical box
KR101048020B1 (en) Light duct
US11149933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luminaire assembly
KR100731839B1 (en) Fluorescent lighting device with improved power connection
JP6480855B2 (en) Passenger conveyor
CN103148364A (en) Illumination system used for straight tubular led lamp
KR100734491B1 (en) Raceway lighting system and it's assembly method
CN213065835U (en) LED plant lighting lamp with detachable sleeve structure
KR20160077629A (en) Cable tray with grounding and light
KR101035631B1 (en) Duct for Lamp and Wiring
KR20190084216A (en) Wiring bracket
KR20190083063A (en) Multi Connector of Righting Bushway
WO2011162570A2 (en) Wireless led module using conduction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traffic safety mark to which wireless led module is attached
KR20070031592A (en) The floor distributing wires box
US11054118B2 (en) Apparatus to detachably attach LED light fixture to ceiling or recessed lighting fixture housing
KR101911774B1 (en) 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sliding structure
CN202550163U (en) Socket outlet and switch conveniently installed on wall body
KR200399919Y1 (en) Electric sign
KR20060128557A (en) Insertable and removable general-purpose socket for electric lamp
CN212323372U (en) Alternating current connector and display screen assembly with same
JP2001155535A (en) Signboard lighting fixture and its power supply wire connec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