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907A -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 측정기 - Google Patents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907A
KR20060105907A KR1020050027723A KR20050027723A KR20060105907A KR 20060105907 A KR20060105907 A KR 20060105907A KR 1020050027723 A KR1020050027723 A KR 1020050027723A KR 20050027723 A KR20050027723 A KR 20050027723A KR 20060105907 A KR20060105907 A KR 20060105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at
electrode
measuring
electrodes
lo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409B1 (ko
Inventor
홍순성
이호
Original Assignee
(주)아이아 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아 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아이아 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050027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409B1/ko
Publication of KR20060105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01G19/5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having additional measuring devices, e.g. for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가지는 제1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260) ; 제3전극 및 제4전극을 가지는 제2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를 포함하는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피측정자가 원하는 국소부위, 특히 내장지방분포를 감안하여야 할 부분을 측정할 때 전류를 관통시켜 CT 측정과 유사한 측정에 의하여 신체 내부 체지방 분포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측정전극부의 전극들이 신체 부위에 적응적으로 그 각각의 위치들이 가변되어 충실히 접촉되므로 정확한 체지방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고 이로인해 측정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국소부위, 내장지방,탄성부재

Description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 측정기{A BODY FAT MEASURING DEVICE HAVING PARTIAL MEASURING ELECTRODE MEMBERS FOR A CONTACT POSITION OF A HUMAN BODY}
도 1은 종래 부분 측정전극부를 구비한 체지방측정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체지방측정기의 부분 측정전극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 일실시예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 다른 실시예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실시예에 의한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측정기의 국소부위 측정전극부의 회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체지방측정기 110: 발판부 120: 몸체부 130: 상단부
160: 부분 측정전극부 260, 260': 제1 및 제2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
263, 264 : 제1 측정전극부 제1 및 제2 전극
265, 266 : 제2 측정전극부 제3 및 제4 전극
본 발명은 생체 전기저항분석법(Bio 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을 이용하여 인체 국소부위 체지방성분 등을 측정하는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측정자의 인체 특정 일부분에 분포된 내장지방을 포함한 체지방성분을 매우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이 체지방측정기는 생체 전기저항분석법을 이용하여 인체를 일종의 저항으로 보고, 인체의 측정부위에 일정한 전류를 흘려주고 이때의 전위차를 검출하여 그 저항값을 산출하고, 여기서 검출된 저항값과 피측정자의 신장, 나이, 성별 등의 변수와 함께 공지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체지방율 등을 산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피측정자에게 건강상태나 일종의 다이어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체지방측정기는 통상 인체를 상체부위와, 복부 및 몸통부위와, 하체부위 3부분으로 구분하여 체 지방을 측정하는 것을 공통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획일적인 체지방측정기들의 문제점은 피측정자가 원하는 국소부위, 예를 들어, 종아리, 엉덩이, 허벅지, 가슴, 배, 팔뚝, 목이나 안면부위 등과 같은 부분만을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특히, 인체 체지방은 피하지방 및 내장지방으로 대별되며, 복부비만은 대부분 내장지방으로부터 유래된다는 사실이 공지된 이후 복부를 포함한 내장지방 측정방법 및 장치와 관련하여 많은 관심이 유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인체 특정부위의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는 체지방측정기의 부분 측정전극부에 관한 기술을 출원한 바 있다(국내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35710호).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한 상기 기술에서는 부분 측정전극부 본체에 구비된 다수개의 전극들의 접촉위치가 고정되어 있어서 신체의 특정부분에 적응적이지 못하여 측정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무엇보다도 피하지방 측정에 중점을 두고 있어, 내장지방을 효율적으로 진달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 부분 측정전극부는 도전전극부 및 검출전압부가 단일 전극부에 구성되며, 상기 부분 측정전극부를 통하여 피측정자의 특정부위에 체지방을 검출하게 되는데, 상기 부분 측정전극부에 장착된 도전전극부를 통하여 전류를 흘려주며, 동시에 검출전압부가 체지방분포에 따른 전압을 검출하여 임피던스 수치에 의하여 체지방을 측정함에 있어서, 측정되는 체지방은 피측정자의 특정부위 피하에 존재하 는 피하지방에 국한되어, 결국 피측정자 관심사항인 내장지방 측정이 간과되는 결과를 주었다.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측정방법은 CT 또는 MRI 측정방법과 유사한 국소부위 단층측정에 기인하는 것이며, 특히 내장지방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 있어서, 내장지방 분포율을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는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장치가 소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체지방측정기에 있어서, 피측정자의 신체 특정부위 내장비장을 포함한 체지방성분을 반영할 수 있는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가 구비된 체지방측정기를 제안하는 것이며, 추가적으로 인체 국소부위 적응적으로 그 접촉위치가 가변가능한 전극을 구비하여 신체 특정부위의 체지방 측정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인체 접촉위치에 적응적인 부분 측정전극부를 구비한 체지방측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접촉전극부가 상면에 형성되며 체중측정수단이 구비된 발판부와, 손접촉전극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모니터와 키보드 기능을 가지는 상단부를 포함하는 체지방측정기에 있어서,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가지는 제1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 ; 제3전극 및 제4전극을 가지는 제2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가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측정기 및,
상기 각각 측정전극부에는 상기 제1전극 내지 제4전극들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들이 각각 형성되어있고, 상기 제1전극 내지 제4전극들은 탄성부재를 매개로 상기 삽입홈들내에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접촉위치에 적응적인 부분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 측정기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전극 내지 제4전극들은 일정길이를 가지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삽입홈들내에 일정길이만큼 삽입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전극 내지 제4전극은 봉형상으로 단부가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측정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부분 측정전극부를 구비한 체지방측정기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지방측정기(100)는 발접촉전극부(111, 112)가 상면에 형성되며 체중측정수단을 가지는 발판부(110)와, 상기 발판부(110)의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몸체부(120)와, 상기 몸체부(120)의 상단에 일정각도를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고, 모니터와 터치스크린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표시부(131)가 형성된 상단부(130)로 구성 된다.
상기 몸체부(120)의 상단 양측면에는 각각의 홀더(150)(150')를 통해 거치되는 2개의 손접촉전극부(140)(140')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120)의 일측면에는 홀더(168)가 설치되고, 상기 홀더(168)에 거치되고 케이블(167)을 통해 몸체부(120)에 연결되는 부분 측정전극부(16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종래 부분 측정전극부(160)의 구성을 도 2를 통하여 설명한다. 손잡이 역할을 하며 사각면체 형상의 본체(161)와, 상기 본체의 일측 전면부(162)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일부가 돌출 형성된 원형의 제1전극 내지 제4전극(163~166)와, 상기 본체(161)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20)에 연결되는 케이블(167)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부분 측정전극부에서 도전되는 전류는 인체 국소부위를 관통하지 못하고 접촉부위 피하부분을 따라 통전되므로 내장지방 등 신체 내부에 존재하는 소위 내장지방 분포를 진단은 불가능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를 구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이에 의하면 제1전극(263) 및 제2전극(264)을 가지는 제1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260) ; 제3전극(265) 및 제4전극(266)을 가지는 제2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260′)가 각각의 케이블(267, 267’)에 의하여 몸체부(12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260, 260′)는 손잡이 역할의 본체(261,261’)와, 상기 본체(261,261‘)의 일측 전면부(262,262’)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일부가 돌출 형성된 제1전극 내지 제4전극(263~266)와, 상기 본체(261,261’)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20)에 연결되는 케이블(267,267‘)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전극 내지 제4전극(263~266)은 원형이외에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상으로 구성할 수 도 있으며, 그 재질은 전도성 재질의 금속재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전극 내지 제4전극(263~266)은 상기 본체(261,261‘)에 형성된 삽입홈들(도 5참조)에 탄성부재(도 5참조)를 개재하여 그의 단부 일정부분이 삽입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전극 내지 제4전극(263~266)은 상기 본체(261,261')내의 삽입홈들로 삽입될 수 있으며, 초기에는 모두 일정거리 만큼 동일길이를 가지고 평행하게 노출되어 있다.
상기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260,260')는 피측정자의 특정부위 양단에 접촉시켜 내장지방을 포함한 체지방성분을 검출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측정전극부(260,260’)의 구성에 따른 체지방 측정과정을 도 6a 및 6b의 회로 구성을 통해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측정자의 특정 신체 부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피측정자 가 상기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260,260')를 신체의 특정부위 양단에 접촉하면, 도 6a와 같이 제1 측정전극부(260) 일측면에 장착된 제1전극(263)과 제2전극(264) 사이에는 저항(ra)이 존재하고, 마찬가지로 제2 측정전극부(260') 일측면에 설치된 제3전극(265)과 제4전극(266) 사이에는 저항(ra)이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저항(ra)과 저항(ra)사이에 직렬로 존재하는 저항(RA)이 피측정자의 측정부위에 포함된 체지방을 분석하는 변수값(수치)이 되는 것이다. 그 측정방법은 상기 제1전극(263)과 제4전극(266) 사이에는 일정한 전류(i)를 흘려주어 신체 특정부위를 관통시키고, 이때 제2전극(264)과 제3전극(265) 사이의 전압(V)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저항(RA)을 구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b에서와 같이 전류-전압계(200)를 통해 검출된 전압(V)은 증폭부(210)를 통해 증폭되고, 제어부(220)에서 그 저항(RA)값을 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20)에서는 발판부 제충측정수단(230)을 통해서 입력되는 피측정자의 체중값과 함께 상기 검출된 저항(RA)값 및 터치스크린기능을 가지는 표시부로부터 입력된 피측정자의 나이, 성별, 신장 등의 변수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체지방율 등 각종 체성분을 기능성 표시부(131)에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제1전극 내지 제4전극(263~266)들이 직접 전류-전압계(2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 내지 제4전극(263~266)들은 탄성부재들을 매개로 하여 전류-전압계(200)에 연결된다. 한편, 제어부(220)에서는 인터페이스가 더욱 부가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는 외부 또는 체 지방 측정기에 내장된 PC(240)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 상기 PC는 인터넷을 통하여 웹상에서 다이어트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정의 서버에 접속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도 3의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의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전극부(260, 260')의 제1전극 내지 제4전극(263~266)들은 신체의 형태에 적응적으로 가변된다. 즉 제1전극 내지 제4전극(263~266)은 각각 신체의 접촉부위에 적응적으로 접촉되어 있고 이로인해 본체(261,261')의 삽입홈들(263b,264b,265b,266b)로부터 노출된 길이가 서로 다르다. 즉, 본 발명의 선호형상인 제1전극 내지 제4전극(263~266)들은 종래 기술에 비해 좀더 정확하게 신체의 특정부위에 밀착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전극 내지 제4전극(263~266)들은 봉형상으로 단부가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선택적 측정전극부 부분 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260,260')의 본체에는 제1전극 내지 제4전극(263~266)들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들(263b,264b,265b,266b)이 각각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제1전극 내지 제4전극(263~266)들은 탄성부재(263a,264a,265a,266a)를 매개로 삽입홈들내에 왕복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접촉위치에 적응적인 측정전극부를 구비한 체지방 측정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측정전극부(260,260')의 상기 제1전극 내지 제4전극(263~266)들을 신체 특정부위에 접촉시키면, 상기 제1전극 내지 제4전극(263~266)들은 신체 특정부위에 접촉되면서 동시에 그와 연결된 탄성부재들(263a,264a,265a,266a)을 밀면서 각각 일정한 길이만큼 삽입홈들(263b,264b,265b,266b)내로 삽입되고, 각각 개별적으로 정확한 접촉위치를 찾게된다. 즉 제1전극 내지 제4전극(263~266)은 각각 신체의 접촉부위에 적응적으로 접촉되고 이후 측정을 개시함으로서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를 구비한 체지방 측정기에 의하면, 생체 전기저항분석법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신체 특정부위별로 체지방을 측정할 때, 예를 들면, 피측정자가 원하는 국소부위, 특히 내장지방분포를 감안하여야 할 부분을 측정할 때 전류를 관통시켜 CT 측정과 유사한 측정에 의하여 신체 내부 체지방 분포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측정전극부의 전극들이 신체 부위에 적응적으로 그 각각의 위치들이 가변되어 충실히 접촉되므로 정확한 체지방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고 이로인해 측정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등록청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 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발접촉전극부가 상면에 형성되며 체중측정수단을 가지는 발판부(110)와, 손접촉전극부가 형성되는 몸체부(120)와, 모니터와 키보드 기능을 가지는 상단부(130)를 포함하는 체지방측정기에 있어서, 제1전극(263) 및 제2전극(264)을 가지는 제1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260) ; 제3전극(265) 및 제4전극(265)을 가지는 제2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260')가 더욱 몸체부(120)에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260)에는 상기 제1전극 내지 제2전극(263, 264)들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들(263b,264b)이 각각 형성되어있고, 상기 제1전극 내지 제2전극(263, 264)들은 탄성부재(263a,264a)를 매개로 상기 삽입홈들내에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측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260')에는 상기 제3전극 내지 제4전극(265, 266)들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들(265b,266b)이 각각 형성되어있고, 상기 제3전극 내지 제4전극(265, 266)들은 탄성부재(265a,266a)를 매 개로 상기 삽입홈들내에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측정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내지 제4전극(263~266)들은 일정길이를 가지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삽입홈들(263b,264b,265b,266b)내에 일정길이만큼 삽입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측정기.
KR1020050027723A 2005-04-01 2005-04-01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 측정기 KR100702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723A KR100702409B1 (ko) 2005-04-01 2005-04-01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723A KR100702409B1 (ko) 2005-04-01 2005-04-01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 측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080U Division KR200388394Y1 (ko) 2005-04-01 2005-04-01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907A true KR20060105907A (ko) 2006-10-12
KR100702409B1 KR100702409B1 (ko) 2007-04-06

Family

ID=3762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723A KR100702409B1 (ko) 2005-04-01 2005-04-01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4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115A1 (ko) * 2018-10-12 2020-04-16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체성분 측정을 위한 체성분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29659A (ko) * 2019-09-06 2021-03-16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심전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KR20220111787A (ko) * 2021-02-02 2022-08-10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분절형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식을 이용한 림프부종 측정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115A1 (ko) * 2018-10-12 2020-04-16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체성분 측정을 위한 체성분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41775A (ko) * 2018-10-12 2020-04-2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체성분 측정을 위한 체성분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2996470A (zh) * 2018-10-12 2021-06-18 保迪弗兰德有限公司 包括用于测量体成分的体成分测量组件的按摩装置及其控制方法
CN113367953A (zh) * 2018-10-12 2021-09-10 保迪弗兰德有限公司 按摩装置及其控制方法
JP2022512279A (ja) * 2018-10-12 2022-02-03 ボディーフレンド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体性分を測定するための体成分測定モジュールを含むマッサージ装置及び体成分測定方法
EP3865108A4 (en) * 2018-10-12 2022-07-13 Bodyfriend Co., Ltd. MASSAGE DEVICE WITH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BODY COMPOSI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29659A (ko) * 2019-09-06 2021-03-16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심전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KR20220111787A (ko) * 2021-02-02 2022-08-10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분절형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식을 이용한 림프부종 측정 장치
KR20230149766A (ko) * 2021-02-02 2023-10-2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생체 임피던스 측정 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림프부종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409B1 (ko) 200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0800B2 (en) Impedance measurement process
KR100879787B1 (ko) 생체전기 임피던스 계측방법 및 계측장치
JP4024774B2 (ja) 体脂肪測定装置
AU2012351988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relative spatial change in subsurface resistivities across frequencies in tissue
JP5161772B2 (ja) インピーダンスパラメータ値
AU2022202574B2 (en) Body state classification
RU2396901C2 (ru) Прибор для измерения состава тела с распознаванием участка тела, используемого при вычислении компонента состава
JP2008502382A (ja) 浮腫検出
JPH0951885A (ja) 部分インピーダンス及び複数の周波数インピーダンスを使用する身体インピーダンスデータの獲得のための改良された装置
CA2615845A1 (en) Index determination
JP5970476B2 (ja) 組織量指標の決定
JP2020162834A (ja) 健康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健康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100702409B1 (ko)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 측정기
CN111887847A (zh) 基于人体成分仪的内脏脂肪测量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8055823A (zh) 流体水平确定
KR200388394Y1 (ko) 국소부위 체지방 측정전극부들을 구비한 체지방 측정기
KR101150380B1 (ko) 생체전기를 이용한 외과수술용 니들장치
Dai et al. Blood impedance characterization from pulsatile measurements
KR100437488B1 (ko) 생체전기 임피던스 측정장치
KR200304168Y1 (ko) 체지방측정기의 부분 측정전극부
JP4647639B2 (ja) 体脂肪測定装置
US20130172776A1 (en) Tissue indicator determination
CN108652622A (zh) 自动检测人体成分的方法和系统
KR100592828B1 (ko) 체성분 분석방법 및 장치
Bohuslávek Estimation of EUROP-Conformation and Fatness of Beef Carcasses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