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887A - 반사판을 겸비한 발광다이오드. - Google Patents

반사판을 겸비한 발광다이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887A
KR20060105887A KR20050017596A KR20050017596A KR20060105887A KR 20060105887 A KR20060105887 A KR 20060105887A KR 20050017596 A KR20050017596 A KR 20050017596A KR 20050017596 A KR20050017596 A KR 20050017596A KR 20060105887 A KR20060105887 A KR 20060105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onnector
reflector
emitting diode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17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협
Original Assignee
강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협 filed Critical 강협
Priority to KR20050017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5887A/ko
Publication of KR20060105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887A/ko

Links

Image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의 동작에 의해 전기에너지나 전기신호를 광에너지나 광신호로 변환하는 소자인 단위 발광다이오드의 일반적인 형태에 각각 반사판을 겸비시킨 구조에 대한 것이다.
현재 전자기의 표시등, 신호등, 간판 등에 널리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는 기존의 제품보다 여러 가지 면에서 성능이 우수하지만 일반적으로 일방향에서 조도 및 명도를 확보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무지향적으로 난반사되는 광을 집중시키는 구조가 없어 조도 및 명도의 효율이 저하되는 실정에서 각각의 단위 발광다이오드에 반사체를 피복한 반사판을 각각 겸비시킴으로써 광을 일방향으로 방사시켜 가시면에서의 조도를 증대시키고, 다양한 색상의 단위 발광다이오드를 근접시켜 배치하는 경우에는 무지향적으로 난반사되어 생길 수 있는 색상간의 간섭을 최소화 시켜 문자 및 문양의 명도를 높일 수 있는 획기적인 구조를 제공하였다.
반사판, 발광소자, 발광다이오드, 수지몰드, LED.

Description

반사판을 겸비한 발광다이오드.{A light emitting diode with reflection board}
도1은 종래 제품의 일반적인 형상을 도시화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인 발광다이오드의 형상을 도시화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인 반사판의 형상을 도시화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조합 상태를 도시화한 사시도이다.
도5는 종래 제품의 작용을 도시화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작용을 도시화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발광다이오드 110. 베이스
120. 수지몰드 130. 반사판 후레임
140. 반사체 150. 연결구 a
160. 연결구 b 170. 반사판
180. 애노드 190. 캐소드
본 발명은 반도체의 동작에 의해 전기에너지나 전기신호를 광에너지나 광신호로 변환하는 소자인 단위 발광다이오드의 일반적인 형태에 각각 반사판을 겸비시킨 구조에 대한 것이다.
현재 전자기의 표시등, 신호등, 간판 등에 널리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는 기존의 제품보다 여러 가지 면에서 성능이 우수하지만 일반적으로 일방향에서 조도 및 명도를 확보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무지향적으로 난반사되는 광을 집중시키는 구조가 없어 조도 및 명도의 효율이 저하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각각의 단위 발광다이오드에 반사판을 겸비시켜 광을 일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으며, 회로기판 및 지지판에 장착이 쉬운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의 그림처럼 에너지를 전달하는 애노드(180)과 캐소드(190)을 관통시키며 반구형의 수지몰드(120)을 결합하는 원통형의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일면에 반구형의 수지몰드(120)가 결합되고 반도체의 동작에 의해 전기에너지나 전기신호를 광에너지나 광신호로 변환하는 소자인 발광다이오드(100)의 일반적인 형태에 있어서,
도3,도4 및 도6의 그림과 같이 일면은 넓고 나머지 일면은 좁은 관통공을 갖는 반구형의 후레임(130)에 있어서,
상기 후레임(130) 내부 전면에 반사체(140)가 피복되고,
상기 후레임(130)의 좁은 면 내부에 나사형태의 연결구a(150)가 성형된 반사판(170)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a(150)에 대응하며 외부면에 나사형태의 연결구b(160)가 성형된 반구형의 수지몰드(120)를 각각 구성하여,
상기 수지몰드(120)의 연결구b(160)에 상기 반사판(170)의 연결구a(150)를 체결하여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a(150)와 연결구b(160)의 체결은 경우에 따라 암수의 요철홈을 형성하거나, 연결구a(150)의 내경과 연결구b(160)의 외경을 긴밀하게 유지시켜 마찰력을 이용하는 체결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그림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5와 같이 반사판(170)을 겸비하지 않은 발광다이오드(100)에서 생성된 광은 무지향적으로 방사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에서의 조도가 저하되고 신호등 및 간판 등의 용도에서 사용되는 경우 및 다양한 색상의 단위 발광다이오드(100)를 근접시켜 배열하는 경우에는 색상이 상호 간섭을 받아 명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도6의 그림처럼 발광다이오드(10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반구형의 반사판(170)을 겸비시키면 무지향적으로 난반사 되던 광이 일방향으로 방향성을 갖게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에서의 조도와 명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도3의 그림처럼 반사판 후레임(130)의 내부에는 반사성능이 우수한 물질의 반사체(140)를 피복하여 반사효율을 증대시킨다.
이때 반사체(140)의 종류는 은박코팅, 은도금, 유리면 등 반사성능이 좋은 재질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구a(150)와 연결구b(160)의 체결은 암수 나사형태가 바람직하나 사용 방법 및 장소에 따라서는 암수의 요철 돌기를 갖는 홈을 형성하여 체결하거나 연결구a(150)의 외경과 연결구b(160)의 내경을 긴밀하게 형성하여 단순한 마찰력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분리되어 제작되어진 반사판(170)과 단위 발광다이오드(100)는 회로기판 및 지지판에 장착할 때 서로 간섭하는 경우가 없이 조립 및 분리가 쉬운 구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인 단위 발광다이오드(100)에 반사체(140)가 피복된 반사판(170)을 겸비시킴으로써 발광다이오드(100)이 광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반사판을 겸비한 단위 발광다이오드의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발명은,
최근 에너지 효율이 높고 내구성이 우수함 등 잇점이 많아 각종 전자기기의 표시등 , 숫자표시 및 각종 신호등, 간판 등에 널리 사용되는 단위 발광다이오드에 반사체를 피복한 반사판을 각각 겸비시킴으로써 광을 일방향으로 방사시켜 가시면에서의 조도를 증대시키고, 다양한 색상의 단위 발광다이오드를 근접시켜 배치하는 경우에는 무지향적으로 난반사되어 생길 수 있는 색상간의 간섭을 최소화 시켜 문자 및 문양의 명도를 높일 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품이다.

Claims (3)

  1. 원통형의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일면에 반구형의 수지몰드(120)가 결합되고 반도체의 동작에 의해 전기에너지나 전기신호를 광에너지나 광신호로 변환하는 소자인 발광다이오드(100)의 일반적인 형태에 있어서;
    일면은 넓고 나머지 일면은 좁은 관통공을 갖는 반구형의 후레임(130)에 있어서;
    상기 후레임(130) 내부 전면에 반사체(140)가 피복되고;
    상기 후레임(130)의 좁은 면 내부에 나사형태의 연결구a(150)가 성형된 반사판(170)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a(150)에 대응하며 외부면에 나사형태의 연결구b(160)가 성형된 반구형의 수지몰드(120)를 각각 구성하여;
    상기 수지몰드(120)의 연결구b(160)에 상기 반사판(170)의 연결구a(150)를 체결하여 마무리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발광다이오드(100)의 광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반사판을 겸비한 발광다이오드.
  2. 상기 청구항1에 있어서;
    연결구a(150)와 연결구b(160)의 형상을 요철홈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반사판을 겸비한 발광다이오드.
  3. 상기 청구항1에 있어서;
    연결구a(150)와 연결구b(160)의 체결을 마찰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 반사판을 겸비한 발광다이오드.
KR20050017596A 2005-02-28 2005-02-28 반사판을 겸비한 발광다이오드. KR20060105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7596A KR20060105887A (ko) 2005-02-28 2005-02-28 반사판을 겸비한 발광다이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7596A KR20060105887A (ko) 2005-02-28 2005-02-28 반사판을 겸비한 발광다이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887A true KR20060105887A (ko) 2006-10-12

Family

ID=3762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17596A KR20060105887A (ko) 2005-02-28 2005-02-28 반사판을 겸비한 발광다이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58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5113B2 (en) 2017-02-24 2021-03-23 Lg Innotek Co., Ltd. Light-emitting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5113B2 (en) 2017-02-24 2021-03-23 Lg Innotek Co., Ltd. Light-emitting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82179A1 (en) Flexibly deformable hard linear lamp
US7175306B2 (en) LED illuminating module
JP5669480B2 (ja) 照明装置
US9857069B2 (en) Spherical lamp with easy heat dissipation
US20110084586A1 (en) LED recessed light with heat sink
JP2009277586A (ja) 電球型led照明器具
US7797866B2 (en) Illuminated sign and light source for use with said sign
US20110058377A1 (en) LED illumination device capability of increasing lighting illumination
US20110069501A1 (en) LED recessed light with heat dissipation
JP2013219004A (ja) 蛍光灯取付具に使用するためのledライト管
US20080074873A1 (en) Wall lamp
US8360618B2 (en) LED unit
KR100945175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US11480307B2 (en) Downlight apparatus
KR200396825Y1 (ko) 엘이디를 사용한 조명램프
KR20060105887A (ko) 반사판을 겸비한 발광다이오드.
KR20090009386U (ko) Led를 이용한 확장 가능한 광원 장치
JP5970210B2 (ja) 電球形ledランプ
KR100945173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US20190056069A1 (en) Lamp structure
KR102011276B1 (ko) 조명장치
AU2016357508B2 (en) LED lighting device having pipe shape
JP3171864U (ja) Led発光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
EP2650588A1 (en) LED light tube for use in fluorescent light fixture
JP2002352602A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