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811A - Display method for video system device using picture by picture - Google Patents

Display method for video system device using picture by pi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811A
KR20060105811A KR1020050028234A KR20050028234A KR20060105811A KR 20060105811 A KR20060105811 A KR 20060105811A KR 1020050028234 A KR1020050028234 A KR 1020050028234A KR 20050028234 A KR20050028234 A KR 20050028234A KR 20060105811 A KR20060105811 A KR 20060105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nsumer
producer
split
spli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2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90616B1 (en
Inventor
김영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8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616B1/en
Publication of KR20060105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8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6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2Hand implements for cleaning both sides simultaneously
    • A47L1/13Hand implements for cleaning both sides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upplying liquids, e.g.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5Cloths, sponges, pads, or the like, e.g. containing clean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8B1/143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기기의 분할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기기간의 인터페이스 스펙에 화면분할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하나의 컨슈머 화면을 다수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듀서(producer)와 컨슈머(consumer)를 직렬 버스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듀서와 컨슈머가 상대기기에게 화면분할 지원 여부를 알리는 단계와, 링크 연결이 시작되면 컨슈머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의 프로듀서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분할화면 기능이 설정되고 다수의 프로듀서가 선택되면 컨슈머가 상기 선택된 다수의 프로듀서에게 화면분할 설정을 알리는 단계와, 컨슈머가 상기 선택된 다수의 프로듀서로부터 스트림과 OSD(메뉴화면)을 수신하여 분할된 화면 각각에 해당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컨슈머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대응하는 분할화면에 해당 OSD를 표시하고 사용자 설정의 키신호를 해당 프로듀서에 전송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lit screen display method of a video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divide and display one consumer screen into a plurality of screens by adding a screen split function to an interface specification between digital device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y connecting at least one producer and a consumer to a serial bus, wherein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inform the counterpart device of whether the screen is supported for division and linking. When the connection is started, the consumer displays a list of a plurality of producers connected to the network; when the split screen function is set by a user and a plurality of producers are selected, the consumer notifies the plurality of producers of the screen division setting; The consumer receives streams and OSDs (menu screens) from the selected plurality of producers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images on each of the divided screens, and the consumer displays the corresponding OSDs on the divided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user's key operation and sets the user. To transmit the key signal to the producer. The name of a feature.

Description

영상 기기의 분할화면 디스플레이 방법{DISPLAY METHOD FOR VIDEO SYSTEM DEVICE USING PICTURE BY PICTURE}DISPLAY METHOD FOR VIDEO SYSTEM DEVICE USING PICTURE BY PICTURE}

도1은 일반적인 DTVLink를 이용한 영상기기의 제어 구성도. 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video device using a general DTVLink.

도2는 종래의 EIA/CEA-931와 DTVLink를 이용한 영상기기의 제어 구성도. 2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video device using conventional EIA / CEA-931 and DTVLink.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화면의 예시도. 3 is an exemplary view of a split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화면분할 지원을 위한 EIA-775-A DTV info의 구조도. 4 is a structural diagram of EIA-775-A DTV info for screen division suppor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도4에서 miscellaneous feature field의 구조도. FIG. 5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iscellaneous feature field in FIG. 4; FIG.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화면부할 지원을 EIA-775 Plug info의 구조도.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EIA-775 Plug info to support screen loa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LLOCATE_ATTACH 명령의 구조도. 7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LLOCATE_ATTACH comm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210 : 프로듀서(producer) 120,220 : 컨슈머(consumer) 110,210: Producer 120,220: Consumer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화면 분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기기의 분할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isplay screen divi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lit screen display method of a video device.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용어를 정의한다. Firs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are defined as follows.

Picture by Picture(이하 "PBP"라 약칭함)는 와이드형 티브이(TV)에서 화면을 반으로 나누어 2개의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이다. Picture by Picture (hereinafter, abbreviated as "PBP") is a method of displaying two screens by dividing the screen in half in a wide TV.

On-Screen Display(이하 "OSD"라 약칭함)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메뉴 화면의 의미로 사용한다.On-Screen Display (hereinafter, abbreviated as "OSD") is used to mean a menu screen used to control home appliances.

프로듀서(Producer)는 A/V 소스(source)가 되어 스트림을 보내주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OSD 데이터를 보내주는 기기로서, 셋톱 박스, DVHS 등이 있다.Producers are A / V sources that send streams and OSD data to control them, such as set-top boxes and DVHS.

컨슈머(Consumer)는 프로듀서가 보내는 스트림이나 OSD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기로서, DTV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DTV가 컨슈머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A consumer is a device that displays a stream or OSD data sent by a producer. There is a DTV. In this specification, DTV is used in the same sense as a consumer.

EIA-775-A는 DTV와 프로듀서간에 IEEE-1394 버스를 사용하여 기저대역(Base-band)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규격으로, 아날로그 시스템과 유사한 레벨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EIA-775-A를 따르는 DTV와 디지털 셋톱 박스, 아날로그/디지털 하드디스크, 비디오 카세트레코더 등의 디지털 A/V 소스들간의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EIA-775-A is a specification for providing a baseband digital interface using an IEEE-1394 bus between a DTV and a producer. It provides a level of functionality similar to that of an analog system. It can also provide compatibility between ETV-compliant DTVs and digital A / V sources such as digital set-top boxes, analog / digital hard disks, and video cassette recorders.

EIA-799는 EIA-775-A에서 OSD를 전송할 때 사용해야 하는 OSD 포맷을 정의한 규격이다. EIA-799 is a standard that defines the OSD format that should be used when transmitting OSD from EIA-775-A.

EIA/CEA-931은 사용자의 리모콘 입력이나 패널 조작을 통한 키 값을 A/C Command를 통해 해당 기기에 전달해줄 수 있도록 만든 규격이다.EIA / CEA-931 is a standard designed to transmit key value through user's remote control input or panel operation to A / C Command.

EIA/CEA-849는 EIA-775-A를 따르는 DTV를 위한 응용 프로파일(application profiles)들을 정의하는 규격이다. 응용의 종류로는 ATSC 지상파, DBS(Direct Broadcast Satellite), US Cable, DV 캠코더 등이 있다.EIA / CEA-849 is a specification that defines application profiles for DTVs that comply with EIA-775-A. Applications include ATSC terrestrial, DBS (Direct Broadcast Satellite), US Cable, and DV camcorders.

한편, IEEE 1394는 Apple사와 Texas Instruments사가 1986년 공동으로 제창한 직렬버스 인터페이스(Serial Bus Interface) 규격으로, AV 기기간에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교환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1995년에 산업 표준이 되었다. IEEE 1394, a serial bus interface standard jointly proposed by Apple and Texas Instruments in 1986, was developed for large-capacity multimedia data exchange between AV devices and became an industry standard in 1995.

IEEE 1394의 가장 큰 특징은 빠른 전송 속도로 100~400Mbps의 전송이 가능하며, 현재 800Mbps, 1.6Gbps의 속도로 전송이 가능하도록 개발 중이어서 앞으로는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주변기기를 직접 연결해 디지털 오디오나 동화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biggest feature of IEEE 1394 is that it can transmit 100 ~ 400Mbps at high speed, and it is currently being developed to transmit at 800Mbps and 1.6Gbps, so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multimedia peripheral devices such as scanner, digital camera, digital video camera, etc. By connecting, you will be able to use digital audio or video information in real time.

또한, IEEE 1394는 비동기식 전송(Asynchronous transfer)과 등시 전송(Isochronous)을 지원하기 때문에 실시간 전송을 보장하여야 하는 고화질 동영상 전송에 적합하다. In addition, since IEEE 1394 supports asynchronous transfer and isochronous transfer, it is suitable for high-definition video transmission that should guarantee real-time transmission.

그리고, IEEE 1394의 물리적인 장점으로는 여러 가지 형태의 주변 장치들을 간단한 공용 플러그인 직렬 커넥터 하나로 연결할 수 있다는 점과 두꺼운 병렬 케이블이 아닌 얇은 직렬 케이블을 사용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The physical advantages of IEEE 1394 include the ability to connect several types of peripherals into a single, simple, common plug-in serial connector and use a thin serial cable rather than a thick parallel cable.

또한, 기기 사용을 중단하지 않고도 연결할 수 있는 핫 플러그(Hot Plug)와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를 지원하며, 종단 장치나 복잡한 설정 없이도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주변 장치들을 연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It also supports Hot Plug and Plug and Play for uninterrupted use of the device and the ability to connect peripherals in a variety of ways, without the need for termination or complex setups. .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현재 IEEE 1394를 지원하는 제품이 점차 많아지고 있 으며,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비디오 편집장비, 디지털 VCR,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등의 제품과, 1394 IC들과 커넥터, 케이블, 테스트장비, 소프트웨어 툴킷 등 1394 기본적인 부품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With the above features, there are more and more products supporting IEEE 1394, including products such as digital camcorders, digital video editing equipment, digital VCRs, digital cameras, digital audio players, 1394 ICs, connectors, cables, and tests. 1394 basic parts such as equipment and software toolkits are being announced one after another,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한편, DTVLink는 IEEE 1394를 이용한 방법이다. On the other hand, DTVLink is a method using IEEE 1394.

일반적인 DTVLink를 이용한 영상기기의 제어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394 Link로 연결된 A/V 소스기기(110)와 DTV(120)를 제어하려는 경우 그 각각의 기기에 대해 리모콘 또는 패널을 조작하여야 한다. As shown in FIG. 1, when controlling a video device using a general DTVLink, a remote controller or a panel must be operated for each of the devices to control the A / V source device 110 and the DTV 120 connected to the 1394 Link. do.

이때, A/V 소스기기(110)는 스트림과 OSD를 전달하여 DTV(120)의 화면에 표시시키게 된다. In this case, the A / V source device 110 transmits the stream and the OS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TV 120.

이에 따라, 사용자는 DTV(120)의 화면에 표시되는 OSD를 보면서 A/V 소스기기(110)를 제어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user controls the A / V source device 110 while viewing the OS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TV 120.

또한, 종래의 EIA/CEA-931과 DTVLink를 이용한 영상기기의 제어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V 리모콘으로 DTV(220)와 A/V 소스기기(210)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여러 제품의 리모콘을 사용함으로써 느끼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EIA-775-A, EIA/CEA-849, EIA-799, EIA/CEA-931 등의 규격에 맞게 프로듀서(producer)와 컨슈머(consumer)를 구현해야 한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IA / CEA-931 and the control of the video device using the DTVLink, as shown in FIG. By using the remote control of various products, you can eliminate the inconvenience. To this end, producers and consumers should b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of EIA-775-A, EIA / CEA-849, EIA-799, and EIA / CEA-931.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2개의 프로듀서 즉, 2개의 A/V 소스로부터 받은 스트림과 OSD를 하나의 컨슈머 화면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하고자 하여도 EIA-775-A 스펙에 지원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불편을 감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even if a user wants to display streams and OSDs received from two producers, that is, two A / V sources, on one consumer screen as shown in FIG.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you have to take the inconvenience because it is not presented.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디지털 기기간의 인터페이스 스펙에 화면분할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하나의 컨슈머 화면을 다수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서로다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창안한 영상 기기의 분할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one consumer screen into a plurality of screens by adding a screen splitting function to an interface specification between digital devices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isplay method.

즉,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하나의 컨슈머 화면에 2개의 프로듀서로부터 전송받은 스트림과 OSD를 디스프레이하여 DTVLink 프로듀서를 쉽게 제어하고자 하는데 있다. That is,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control the DTVLink producer by displaying the OSD and streams received from the two producers on one consumer screen.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하나의 컨슈머 화면에 컨슈머 자신의 화면과 프로듀서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데 있다.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a consumer's own screen and a producer's screen on one consumer screen.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듀서(producer)와 컨슈머(consumer)를 직렬 버스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듀서와 컨슈머가 연결되면 상대기기에게 화면분할 지원 여부를 알리는 단계와, 링크 연결이 시작되면 컨슈머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의 프로듀서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분할화면 기능이 설정되고 다수의 프로듀서가 선택되면 컨슈머가 상기 선택된 다수의 프로듀서에게 화면분할 설정을 알리는 단계와, 컨슈머가 상기 선택된 다수의 프로듀서로부터 스트림과 OSD(메뉴화면)을 수신하여 분할된 화면 각각에 해당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컨슈머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대응하는 분할화면에 해당 OSD를 표시하고 사용자 설정의 키신호를 해당 프로듀서에 전송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y connecting at least one producer and a consumer to a serial bu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if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are connected, whether to support screen division to an external device; Informing the user, and when the link connection is started, the consumer displays a list of a plurality of producers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when the split screen function is set by the user and a plurality of producers are selected, the consumer splits the selected plurality of producers Informing the setting, the consumer receiving streams and OSDs (menu screens) from the selected plurality of producers,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images on each of the divided screens, and the consumer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user's key operation. Display the OSD and send the custom key signal to the corresponding producer to The method compris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erform.

상기 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은 EIA-775-A 스펙 중에서 EIA-775 plug info와 DTV info 블록의 miscellaneous feature 필드를 확장하여 상대기기의 화면분할 기능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컨슈머는 DTV info 블록의 miscellaneous feature 필드를 이용하여 화면 분할 기능 지원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고, 프로듀서는 EIA-775 plug info의 reserve 필드를 이용하여 화면 분할 기능 이용 시에 사용될 수 있는 OSD를 가지고 있음을 알리도록 한다. In order to execute the above steps,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he miscellaneous feature fields of the EIA-775 plug info and DTV info blocks in the EIA-775-A specification so as to check whether the external device supports the screen splitting function. That is, the consumer checks whether the screen split function is supported by using the miscellaneous feature field of the DTV info block, and the producer has an OSD that can be used when using the screen split function by using the reserve field of the EIA-775 plug info. Let them know.

상기 단계를 실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DTV info 블록에 화면 분할 설정 시에 프로듀서의 스트림 출력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스캔 수와 OSD overlay 특성을 인터레이스와 프로그레시브에 대해 정의한다. In order to execute the above steps,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the number of display scans related to the producer's stream output and OSD overlay characteristics for interlace and progressive when setting the screen division in the DTV info block.

상기 단계를 실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LLOCATE_ATTACH command의 PBP_EN 필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화면 분할 기능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게 한다. In order to execute the above step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selectively set the screen division function by using the PBP_EN field of the ALLOCATE_ATTACH command.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면분할 기능을 설정할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듀서와 컨슈머를 선택함으로써 컨슈머의 영상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듀서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o display the image of the consumer and the image of the producer selected by the user at the same time by selecting at least one producer and the consumer when setting the screen split func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프로듀서와 컨슈머간을 DTVLink로 연결하여 화면분할 설정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상을 동시에 감상하면서 각 분할화면에 대응하는 프로듀서를 OSD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may be connected to the DTVLink to simultaneously watch at least two or more images displayed by the screen division setting and control the producer corresponding to each split screen through the OSD.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네트워크는 도2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Network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즉, 프로듀서(210)와 DTV(220)간에 1394 link를 연결하여 비트맵(OSD)를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한 키 신호를 EIA/CEA-931 규격으로 상기 DTV(220)로부터 프로듀서(21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That is, a 1394 link is connected between the producer 210 and the DTV 220 to transmit a bitmap (OSD), and a key signal by a user is transmitted from the DTV 220 to the producer 210 in the EIA / CEA-931 standard. Configured to deliver.

도2에는 하나의 프로듀서만을 도시하였으나, 다수의 프로듀서가 연결될 수 있다. Although only one producer is shown in FIG. 2, multiple producers may be connect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2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DTV(220)가 도3의 예시도와 같이 화면을 2개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화면에 2개의 프로듀서 화면 또는 1개의 프로듀서 화면과 DTV(220) 자신의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TV 220 connected to the network of FIG. 2 divides the screen into two,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3, and each producer screen includes two producer screens or one producer screen and a DTV ( The operation of displaying one's own screen will be describ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능을 확장하여 정의한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and defines the function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DTV(220)와 프로듀서(210)가 상대기기의 화면 분할 지원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서 EIA-775-A 스펙의 내용 중 EIA-775 plug info와 DTV info 블록의 miscellaneous feature 필드를 확장하여 이용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DTV 220 and the producer 210 support screen division of the external device, the miscellaneous feature fields of the EIA-775 plug info and the DTV info block are included in the EIA-775-A specification. Expand to use.

즉, DTV(220)는 DTV info 블록의 miscellaneous feature 필드의 한 비트를 할당하여 화면 분할 기능을 지원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프로듀서(210)는 EIA-775 plug info의 reserve 필드에 자신이 화면 분할 기능 이용 시에 사용될 수 있는 OSD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That is, the DTV 220 indicates that the bit splitting function can be supported by allocating one bit of the miscellaneous feature field of the DTV info block, and the producer 210 uses the splitting function in the reserve field of the EIA-775 plug info. Indicates an OSD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DTV info 블록의 reserve 필드를 이용하여 DTV(220)의 화면 분할 화면에서 프로듀서(210)의 스트림 출력에 관련된 디스플레이 스캔 수와 OSD overlay 특성에 관련된 항목을 인터레이스(interlace)와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항목에 대하여 정의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tem related to the number of display scans related to the stream output of the producer 210 and an OSD overlay characteristic is interlaced on the split screen of the DTV 220 using the reserve field of the DTV info block. And progressive items.

즉, 프로듀서(210)가 스트림을 보낼 경우 DTV(220)에서 더블 화면을 위해 정의된 값을 이용하여야 하는 것을 프로듀서(210)에서 인지하고, 이에 맞는 OSD 및 스트림 출력을 전송한다. That is, when the producer 210 sends the stream, the producer 210 recognizes that the value defined for the double screen is used in the DTV 220, and transmits the OSD and the stream output accordingly.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화면 분할 기능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the screen division function.

즉, DTV(220)에서 화면 분할 기능을 지원하고 프로듀서(210)에서 화면 분할 기능 이용 시에 사용될 OSD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화면 분할 기능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ALLOCATE_ATTACH 명령의 PBP_EN 필드를 "0"값으로 채워서 보낸다. That is, even if the DTV 220 supports the screen division function and the producer 210 has the OSD to be used when the screen division function is used, if the user does not want the screen division function, the PBP_EN field of the ALLOCATE_ATTACH command has a value of "0". Fill it with and send it.

그렇지만, DTV(220)와 프로듀서(210)가 화면 분할 기능을 원하는 상황에서 연결을 맺을 때에는 PBP_EN 필드가 "1"인 ALLOCATE_ATTACH 명령을 사용하여야 한다. However, when the DTV 220 and the producer 210 establish a connection in a situation in which a screen division function is desired, an ALLOCATE_ATTACH command having a PBP_EN field of “1” should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개의 프로듀서로부터의 스트림과 OSD를 DTV(220)의 화면에서 동시에 감상하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사용자가 DTV(220)의 화면과 하나의 프로듀서(210)의 화면을 동시에 볼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viewing the streams and OSDs from two producers on the screen of the DTV 220 at the same time, and the user may view the screen of the DTV 220 and the screen of one producer 210.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of viewing at the same time.

따라서, 본 발명에서 DTVLink는 A/V 소스인 DTVLink 프로듀서(210)의 영상과 OSD를 DTVLink DTV(220)에 전송하여 DTV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통해 DTVLink 프로듀서(210)의 제어를 손쉽게 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TVLink transmits an image and an OSD of the DTVLink producer 210, which is an A / V source, to the DTVLink DTV 220 for display on the DTV screen, thereby easily controlling the DTVLink producer 210.

즉, 본 발명은 스펙 확장을 통해 DTVLink를 지원하는 다수의 기기가 연결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더블화면 기능의 DTV(220)와 2개의 프로듀서를 연결하여 OSD 전송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OSD transmission and control by connecting the DTV 220 having a double screen function and two producers in a network in which a plurality of devices supporting DTVLink are connected through the specification extension.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정의한 EIA-775-A의 DTV info 블록을 도시한 것이다. 4 illustrates a DTV info block of EIA-775-A defin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TV info 블록은 해당 기기가 컨슈머일 때 포함되는 것으로, 지원되는 OSD 포맷, 더블 버퍼링의 지원여부, DTV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 기본 비디오 포맷, 아날로그 비디오 변환 포맷 및 DTV에서 프로듀서(210)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 비디오 스캔 수와 OSD 스캔 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The DTV info block is included when the device is a consumer and displays the supported OSD format, whether to support double buffering,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DTV, basic video format, analog video conversion format, and the output of the producer 210 on the DTV. In this cas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video scans and the number of OSD scans is included.

DTV(220)가 화면 분할을 지원하는 것을 프로듀서(210)에게 알리기 위해서 DTV info 블록의 miscellaneous feature의 일부 영역에 도5와 같이 PBP 지원 필드를 새로이 정의한다. In order to notify the producer 210 that the DTV 220 supports screen division, a PBP support field is newly defined as shown in FIG. 5 in a part of the miscellaneous feature of the DTV info block.

그리고 화면 분할 시 DTV(220)에서 프로듀서(210)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디오 스캔 수와 OSD 스캔 수 그리고 4:3 화면을 14:9 또는 16:9 화면으로 늘리는 것이 가능한지, 한 픽셀의 폭(width)과 높이(height) 비율 등의 속성을 정의한다. 이를 위해 화면 분할 시에 프로듀서(210)가 분할 화면의 해상도를 가진 스트림과 OSD를 제공하도록 DTV info 블록의 영역 중

Figure 112005017806832-PAT00001
~
Figure 112005017806832-PAT00002
영역과
Figure 112005017806832-PAT00003
~
Figure 112005017806832-PAT00004
영역을 도4와 같이 인터레이스와 프로그레시브 각각에 대한 alignment 데이터를 위한 필드로 할당하여 사용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video scans and OSD scans used to display the output of the producer 210 in the DTV 220 and the 4: 3 screen to 14: 9 or 16: 9 screen when the screen is divided. Defines properties such as width and height ratio. For this purpose, the producer 210 provides a stream having the resolution of the split screen and an OSD at the time of splitting the screen.
Figure 112005017806832-PAT00001
To
Figure 112005017806832-PAT00002
Area and
Figure 112005017806832-PAT00003
To
Figure 112005017806832-PAT00004
As shown in Fig. 4, the area is allocated and used as a field for alignment data for each of the interlace and the progressive.

또한, 본 발명에서 프로듀서(210)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화면 분할 이용 시에 사용할 OSD를 가지고 있음을 컨슈머(220)에 알리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er 210 notifies the consumer 220 of having the OSD to be used when using the screen division as described above.

이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듀서(210)의 Unit identifier descriptor의 구성요소인 EIA-775 plug info의 reserve 영역 중

Figure 112005017806832-PAT00005
영역에 화면 분할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를 추가하는 것에 의해 달성하게 된다. 여기서,
Figure 112005017806832-PAT00006
필드의 값이 "1"이면 해당 기기가 프로듀서이며, 화면 분할 기능 이용 시에 사용될 OSD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is shown in FIG. 6, in the reserve area of the EIA-775 plug info, which is a component of the unit identifier descriptor of the producer 210.
Figure 112005017806832-PAT00005
This is achieved by adding a field indicating whether or not to support screen division in the region. here,
Figure 112005017806832-PAT00006
If the value of the field is "1", it means that the device is a producer and has an OSD to be used when using the split screen function.

즉, 상기와 같이 EIA-775 plug info와 DTV info 블록에 각기 화면 분할 지원 여부에 대해서 명시해 놓음으로써 프로듀서이면서 컨슈머인 기기에서도 역할에 따라 화면 분할 지원 여부를 알 수 있게 한다. 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whether the split screen is supported in each of the EIA-775 plug info and the DTV info blocks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split screen is supported according to the role of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한편, 컨슈머(220)가 화면 분할 기능을 지원할 수 있고 프로듀서(210)가 화면 분할 기능 이용 시에 사용될 OSD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화면 분할 기능의 사용 여부는 사용자가 결정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consumer 220 may support the screen division function and the producer 210 has an OSD to be used when using the screen division function, the user decides whether to use the screen division function.

따라서, 도7과 같이 ALLOCATE_ATTACH 명령을 확장하여 기존의 res 필드를 PBP_EN 필드로 사용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7, the ALLOCATE_ATTACH command is extended to use the existing res field as the PBP_EN field.

사용자가 프로듀서(210)의 화면 분할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해당 기기를 선택한 경우에만 컨슈머(220)는 ALLOCATE_ATTACH 명령의 PBP_EN 필드를 "1"로 세팅하 여 프로듀서(210)에 전송한다. Only when the user selects a corresponding device to use the screen division function of the producer 210, the consumer 220 transmits the PBP_EN field of the ALLOCATE_ATTACH command to “1” and transmits it to the producer 210.

이에 따라, 프로듀서(210)는 ALLOCATE_ATTACH 명령의 PBP_EN 필드의 값을 확인하여 컨슈머(220)에서 화면 분할 기능의 사용을 요청하는지 확인한 후 이에 대응하는 OSD를 상기 컨슈머(220)에 전송한다. Accordingly, the producer 210 checks the value of the PBP_EN field of the ALLOCATE_ATTACH command, checks whether the consumer 220 requests the use of the screen division function,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OSD to the consumer 220.

따라서, 상기에 정의된 기능을 이용한 화면분할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refore, the screen splitting process using the function defined above is described as follows.

사용자가 핫 키(Hot key)를 누르거나 컨슈머(220)의 GUI를 이용하여 DTVLink를 시작하면 컨슈머(220)의 화면에는 상기 컨슈머(220)에 연결된 프로듀서들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된다. When a user presses a hot key or starts DTVLink using the GUI of the consumer 220, a list of producers connected to the consumer 220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nsumer 220.

이때, 화면 분할 기능을 지원하는 컨슈머(220)는 화면에 각 프로듀서의 화면분할 지원 여부도 디스플레이한다. In this case, the consumer 220 supporting the screen division function also displays whether or not each producer supports screen division.

이에 따라, 3가지 경우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Thus, it is possible to achieve three cases.

1.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듀서(210)의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보면서 그 프로듀서(210)로부터 전송받은 OSD를 통해 상기 프로듀서(210)를 제어한다. 1. The producer 210 controls the producer 210 through the OSD received from the producer 210 while viewing the screen of the producer 210 selected by the user in full screen.

이 과정은 기존의 DTVLink의 일반적인 경우와 동일한 것으로, 컨슈머(220)는 ALLOCATE_ATTACH 명령의 PBP_EN 필드를 "0"값을 세팅하여 프로듀서(210)에 전송하고, 상기 프로듀서(210)는 화면 분할 기능 이용 시에 사용될 스트림과 OSD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스트림과 OSD를 컨슈머(220)에 전송하게 된다 This process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ventional DTVLink, and the consumer 220 transmits the PBP_EN field of the ALLOCATE_ATTACH command to the producer 210 by setting a value of "0", and the producer 210 uses the screen division function. Instead of transmitting the stream and OSD to be used for the general purpose, the general stream and the OSD are transmitted to the consumer 220.

2.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듀서(210)에서 제공하는 영상과 컨슈머(220)에서 제공하는 영상을 분할된 화면 각각에 디스플레이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2. The user can display and view the image provided by the producer 210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image provided by the consumer 220 on each of the divided screens.

여기서는 공중파 방송을 볼 수 있는 컨슈머와 케이블 셋탑박스인 프로듀서가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In this case, for example, a consumer who can watch air broadcasting and a producer that is a cable set-top box are connected.

이 과정은 화면 분할 지원이 필요한 경우로, 컨슈머는 ALLOCATE_ATTACH 명령의 PBP_EN 필드를 "1" 값으로 채워 전송한다. This process is necessary for split screen support, and the consumer transmits the PBP_EN field of the ALLOCATE_ATTACH command with a value of "1".

이에 따라, 프로듀서(210)는 컨슈머(220)의 DTV info 블록의

Figure 112005017806832-PAT00007
~
Figure 112005017806832-PAT00008
영역(PBP align for interlace) 또는
Figure 112005017806832-PAT00009
~
Figure 112005017806832-PAT00010
영역(PBP align for progressive)에 정의된 비디오 스캔 수와 OSD 스캔 수에 맞추어 스트림과 OSD 데이터를 컨슈머(220)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한 화면을 통해 DTV의 화면과 프로듀서(210)의 화면을 볼 수 있게 한다. 이후, 프로듀서(210)의 OSD를 통해 그 프로듀서(210)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oducer 210 of the DTV info block of the consumer 220
Figure 112005017806832-PAT00007
To
Figure 112005017806832-PAT00008
PBP align for interlace or
Figure 112005017806832-PAT00009
To
Figure 112005017806832-PAT00010
Streams and OSD data are sent to the consumer 220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video scans and OSD scans defined in the area (PBP align for progressive)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screen of the DTV and the screen of the producer 210 on one screen. To be. Thereafter, the producer 210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OSD of the producer 210.

3. 컨슈머(220)에 2개의 프로듀서가 연결된 경우 화면 분할을 통해 2개의 프로듀서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분할 화면 각각에 디스플레이하여 감상하면서 각각의 프로듀서로부터의 OSD를 통해 각각의 프로듀서를 제어한다. 3. When two producers are connected to the consumer 220, each producer is controlled through an OSD from each producer while displaying and viewing the images provided by the two producers on each of the divided screens through screen division.

이때, PBP_EN 필드가 "1"인 ALLOCATE_ATTACH 명령을 사용하여 OSD를 전송할 비동기 연결(asynchronous connection)을 맺는 과정을 상기 두번째 경우와 동일하게 수행한다. At this tim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 asynchronous connection for transmitting the OSD using the ALLOCATE_ATTACH command having the PBP_EN field of “1”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econd case.

그런데, 이 과정에서는 2개의 프로듀서와 연결을 맺음으로 도6의 EIA-775 plug info에 정의된 새로운 플러그 ID들을 사용하게 된다. However, in this process, by connecting with two producers, the new plug IDs defined in EIA-775 plug info of FIG. 6 are used.

또한, 상기 두번째와 세번째 경우에서 프로듀서로 전송될 리모콘 키가 입력되면 컨슈머(220)는 분할된 두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전환 키를 통해 현재 제어 포커스를 가진 화면과 연결을 맺은 프로듀서에 EIA/CEA-931 기반으로 해당 리모콘 키 명령을 전송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second and third cases, when a remote controller key to be transmitted to the producer is input, the consumer 220 sends an EIA to the producer that has connected to the screen having the current control focus through a screen change key for selecting one of the two divided screens. It transmits the corresponding remote control key command based on / CEA-931.

만일, 컨슈머(220)가 리모콘 키를 확인하여 자신의 기능 제어로 확인되면 그 리모콘 키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게 된다. If the consumer 220 confirms the remote control key and checks the func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the consumer 220 execut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key.

상기에서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Could be.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면분할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컨슈머에서 2개의 프로듀서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감상하면서 각각의 OSD를 통해 해당 프로듀서를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reen splitting function so that the consumer can control the corresponding producer through each OSD while watching the images transmitted from the two producers.

또한, 본 발명은 컨슈머의 영상과 프로듀서에서 제공된 영상을 동시에 감상하면서 프로듀서가 전송한 OSD를 이용하여 그 프로듀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producer using the OSD transmitted by the producer while simultaneously watching the image of the consumer and the image provided by the producer.

즉, 점차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와이드형 DTV에 DTVLink가 적용되는 경우 EIA-775-A를 지원하는 DVD 플레이어와 셋톱박스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서 동시에 감상하거나 DTV의 방송과 프로듀서가 전송한 영상을 동시에 감상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각의 OSD를 통해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조작 편의를 제공함은 물론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DTVLink is applied to wide-screen DTVs that are spreading gradually, images played on DVD players and set-top boxes that support EIA-775-A can be simultaneously viewed on a single screen, or broadcasted by producers and broadcasters of DTV. It is possible to watch the images at the same time, and can be controlled through each OSD to provide the user with ease of operation as well a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Claims (8)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듀서(producer)와 컨슈머(consumer)를 직렬 버스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y connecting at least one producer and a consumer to a serial bus, 프로듀서와 컨슈머가 연결되면 상대기기에게 화면분할 지원 여부를 알리는 단계와, When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are connected, informing the counterpart device whether or not to support split screen; 링크 연결이 시작되면 컨슈머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의 프로듀서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와, When the link is initiated, the consumer displays a list of multiple producers connected to the network; 사용자에 의해 분할화면 기능이 설정되고 다수의 프로듀서가 선택되면 컨슈머가 상기 선택된 다수의 프로듀서에게 화면분할 설정을 알리는 단계와, When the split screen function is set by the user and a plurality of producers are selected, the consumer notifies the plurality of selected producers of the split screen setting; 컨슈머가 상기 선택된 다수의 프로듀서로부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분할된 화면 각각에 해당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의 분할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And a consumer receiving the streams from the selected plurality of producers and displaying a corresponding image on each of the divided screens. 제1항에 있어서, 컨슈머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대응하여 분할화면에 스트림과 동시에 수신된 해당 OSD를 표시하고 사용자 설정신호를 해당 프로듀서에 전송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의 분할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sumer displays the corresponding OSD received simultaneously with the stream on the split screen in response to a user's key operation, and transmits and controls a user setting signal to the producer. Split screen display method of the video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직렬통신방식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ial communication method IEEE 1394 기반의 DTVLink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의 분할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Method for displaying a split screen of an image device, characterized by IEEE 1394 based DTVLink. 제1항에 있어서, 화면분할 지원 여부를 알리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notifying whether the screen split is supported 컨슈머가 DTV info 블록의 miscellaneous feature 필드에 분할화면 지원 여부를 설정하는 과정과, Setting whether the consumer supports split screen in the miscellaneous feature field of the DTV info block; 프로듀서가 EIA-775 plug info에 분할화면 설정 시에 사용할 OSD 유무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의 분할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A method for displaying a split screen of a vide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ducer se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SD to be used for setting the split screen in the EIA-775 plug info. 제4항에 있어서, EIA-755 plug info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IA-755 plug info is 분할화면 설정시에 사용될 OSD의 유무를 알리는 정보 외에도 화면분할 OSD 식별명, 화면분할 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 식별명, 화면분할 디지털 전송 스트림 식별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의 분할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A split screen display method for a video device, comprising: a screen split OSD identification name, a screen split analog video input / output identification name, and a screen split digital transport stream identification name, in addition to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an OSD is to be used when setting a split screen. 제4항에 있어서, DTV info 블록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TV info block 분할화면 지원 여부, 비디오 스캔 수, OSD 스캔 수, 화면 포맷 변환, 픽셀 속성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의 분할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A method of displaying a split screen of a video device, comprising information on whether a split screen is supported, the number of video scans, the number of OSD scans, screen format conversion, and pixel properties. 제1항에 있어서, 화면분할 설정은 The screen splitting setting of claim 1, wherein IEEE 1394 규격의 ALLOCATE_ATTACH 명령에 화면분할 설정 필드를 할당하여 이 필드의 설정값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의 분할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And assigning a screen division setting field to the ALLOCATE_ATTACH command of the IEEE 1394 standard, and determining the split screen according to the setting value of the field. 제1항에 있어서, 화면분할 기능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creen split function 적어도 둘 이상의 프로듀서를 선택하는 경우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듀서와 컨슈머를 선택하는 경우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의 분할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A method for displaying a split screen of a video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is made of at least two producers or at least one producer and a consumer.
KR1020050028234A 2005-04-04 2005-04-04 Display method for video system device using picture by picture KR1006906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234A KR100690616B1 (en) 2005-04-04 2005-04-04 Display method for video system device using picture by pi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234A KR100690616B1 (en) 2005-04-04 2005-04-04 Display method for video system device using picture by pi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811A true KR20060105811A (en) 2006-10-11
KR100690616B1 KR100690616B1 (en) 2007-03-09

Family

ID=3763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234A KR100690616B1 (en) 2005-04-04 2005-04-04 Display method for video system device using picture by pi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616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915A (en) * 2000-05-19 2001-11-29 양인모 Process for the decontamination of soil containing toxic organic materials and heavy metal
KR100747518B1 (en) * 2001-04-06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 screen in digital TV
KR100580245B1 (en) * 2003-06-26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ouble picture at the same time
KR100652573B1 (en) * 2004-12-31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nu picture display method for digital tv link system using os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616B1 (en)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9520B2 (en) Electronic equipment,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s hav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sing predetermined lines
US7904938B2 (en) Digital cable TV receiver, diagnosis method for the same, and data structure of HDMI status report
RU2461054C2 (en) Dlna-compliant device, dlna connection setting method and program
US8903523B2 (en) Audio processing device, audio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4605231B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system, transmission method and display method
EP1624670A2 (en) Digital cable TV receiver, diagnostic method for the same and data structure of DVI status report
JP2008067024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JP2008084366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video recording system
US20130117478A1 (en) Device control apparatus,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initiating control of an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US20110167465A1 (en) Device control apparatus,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790310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with optimal external input setting capability
EP2262252A1 (en) HDMI switch with analogue inputs
JP6915401B2 (en) Video / audio output device
KR100690616B1 (en) Display method for video system device using picture by picture
KR100677235B1 (en) DISPLAY METHOD FOR CAPTION DATA BASED ON DTVLink
KR100652573B1 (en) Menu picture display method for digital tv link system using osd
KR100619702B1 (en) High resolution on screen display method for dtvlink
KR20100043422A (en) External input mode switching method of television
KR200800576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put/output mode of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in home-thea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