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377A - 광학 시이트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구비하는 백 라이트유닛 - Google Patents

광학 시이트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구비하는 백 라이트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377A
KR20060105377A KR1020050028112A KR20050028112A KR20060105377A KR 20060105377 A KR20060105377 A KR 20060105377A KR 1020050028112 A KR1020050028112 A KR 1020050028112A KR 20050028112 A KR20050028112 A KR 20050028112A KR 20060105377 A KR20060105377 A KR 20060105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ffusion layer
light
lenses
refl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근
소회섭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8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5377A/ko
Publication of KR20060105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2Function characteristic refle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시이트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구비하는 백 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이트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확산층과, 상기 확산층 상에 다수의 렌즈들로 형성되는 렌즈층과; 상기 확산층과 상기 렌즈층 사이에 일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반사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학 시이트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구비하는 백 라이트 유닛{Optical Sheet ,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Back 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광학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도 4b는 종래의 광학부재에 의한 광분포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광학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부재의 광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외부 광원에 의하여 형성된 광 분포를 나타낸 분포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부재를 통과한 후의 광 분포를 나타낸 분포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부재를 가지는 백 라이트 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102 : 액정표시패널 8, 18, 108, 118 : 편광 시이트
10 : 광학 시이트 12 : 확산판
14, 114 : 반사판 34, 134 : 케이스
36, 136 : 램프 110 : 광학 부재
120 : 확산층 130 : 렌즈
140 : 반사층
본 발명은 광학 시이트 및 백 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 휘도를 실현할 수 있는 광학 시이트 및 백 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이하 "LCD"라 함)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LCD는 사무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에 이용되고 있다. 한편, LCD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다수의 제어용 스위치들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광빔의 투과량이 조절되어 화면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LCD은 자발광 표시장치가 아니기 때문에 백 라이트(Back Light)와 같은 광원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LCD용 백 라이트는 직하형 방식과 에지형 방식 등이 있다. 에지형 방식은 평판 외곽에 램프를 설치한 것으로, 램프로부터 투명한 도광판을 이용하여 액정표시패널 전체의 면으로 빛이 입사된다. 직하형은 평면에 램프를 여러 개 배치한다. 그리고 램프와 액정표시패널 사이에 확산판을 설치하여 액정표시패널과 램프 사이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한편, 램프의 형태에 따라 구분하면, 램프의 유리관 양 끝단에 전극을 삽입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냉음극관("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이하 "CCFL")방식과, 램프의 유리관 양 끝단을 메탈재질로 감싸는 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ighting : 이하 "EEFL")방식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LC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LCD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2)과, 액정표시패널(2)에 균일한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2)은 상부 및 하부기판의 사이에 액정셀들이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형태로 배열되고, 이 액정셀들 각각에 전계를 인가하기 위한 화소전극들과 공통전극이 마련되게 된다. 이러한 화소전극들 각각은 스위치 소자로 사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에 접속되게 된다. 화소전극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따라 공통전극과 함께 액정셀을 구동하여 비디오신호에 해당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백 라이트 유닛은 케이스(34)와, 케이스(34)의 전면에 적층되는 반사판(14)과, 반사판(14)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램프(36)와, 다수의 램프(36) 상부에 배 치되는 확산판(12) 및 광학 시이트(10)를 구비한다.
케이스(34)는 다수의 램프들(36) 측면 및 배면으로 진행하는 가시광선을 전면, 즉 확산판(12)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램프들(36)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경로를 변환시킨다.
반사판(14)은 케이스(34)의 상면과 다수개의 램프(36)사이에 배치되어 램프들(36)로부터 발생된 광을 반사시켜 액정표시패널(2) 방향으로 조사되게 함으로써 광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다수의 램프들(36) 각각은 유리관과, 유리관 내부에 있는 불활성기체들과, 유리관의 양 끝단부를 감싸는 메탈 재질의 음극부 및 양극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다수의 램프들(36)은 케이스(34) 상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확산판(12)은 다수의 램프들(36)에서 발산된 광을 액정표시패널로 진행하도록 하고, 넓은 범위의 각도에서 입사할 수 있게 한다.
광학 시이트들(10)은 확산판(12)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시야각을 좁게 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정면 휘도를 향상시키고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편광판(8,18) 및 액정의 광투과율이 좋지 않아 고 휘도를 달성하는데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 휘도를 달성하기 위한 광학 시이트(10)가 제안되었으나, 도 3에 도시된 광학 시이트(1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이드 로브(Side Lobe)와 같은 광손실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따라 램프들(36)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산란하여 확산성을 높이고, 집광성을 증대시켜 전체적으로 광 효 율을 개선할 수 있는 광학 부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 휘도를 달성할 수 있는 광학 시이트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구비하는 백 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이트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확산층과, 상기 확산층 상에 다수의 렌즈들로 형성되는 렌즈층과; 상기 확산층과 상기 렌즈층 사이에 일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반사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층의 일정패턴은 상기 다수의 렌즈들의 경계영역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층은 렌티큘라 렌즈들의 일정 배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층의 재질은 니켈(Ni), 크롬(Cr), 알루미늄(Al), 산화알루미늄(Al2O3) 등의 금속성 반사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이트의 제조방법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확산하는 확산층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확산층 상에 일정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확산층 및 상기 반사층의 상부에 상기 확산층으로부터 확산된을 집광시키는 렌즈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층은 다수개의 렌티큘라 렌즈들이 일정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들의 경계영역은 상기 반사층의 일정패턴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은 다수의 광원들이 액정표시장치에 설치되는 백 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확산층과, 상기 확산층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렌즈들로 형성된 렌즈층과; 상기 확산층과 상기 다수의 렌즈층 사이에 일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반사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렌즈들의 경계영역은 상기 반사층의 일정 패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 부재(1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 부재(110)는 확산층(120)과, 확산층(120) 상에 일정패턴으로 형성되는 반사층(140)과, 확산층(120) 및 반사층(140) 상에 형성되는 렌즈(130)를 구비한다.
확산층(120)은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액정표시패널(102)로 진행하도록 하고, 넓은 범위의 각도에서 입사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확산층(120)은 내부에는 다수의 비즈(Beads)가 형성되어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확산시킴으로써, 확산층(120)의 표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범위를 확장하게 된다. 이러한 확산층(120)의 재질로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 폴리 카보나이트(Polycarbonate),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MS 수지) 등의 광학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다.
반사층(140)은 다수의 렌즈(130)들의 접촉영역에 대응됨과 아울러 확산층(120)의 상면에 스퍼터링공정 등을 이용하여 라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반사층(140)의 재료로는 니켈(Ni), 크롬(Cr), 알루미늄(AL), 산화알루미늄(Al2O3) 등의 금속성 반사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층(14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층(120)의 배면에 형성되는 경우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층(120)의 배면의 상측에 형성되는 경우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확산층(120)의 전면에 패턴으로 형성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층(140)이 확산층(120)의 배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경우에는 광학부재(110)에 작용하는 외부의 물리적 압력 예를 들면, 스크래치 등에 의하여 반사층(140)이 쉽게 손상되어 반사층(140)의 역할을 적절히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층(140)이 확산층(120)의 배면의 상측 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기본 층에 전사방식 등을 이용하여 반사층(140)이 내장되도록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사방식은 그 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워 광학부재(110)의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사층(140)이 확산층(120)의 전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확산층(120)의 전면에 전면 증착이나 도포 등의 방법을 통하여 반사층(140)을 형성할 수 있으며, 형성된 반사층(140)에 패턴을 형성하기도 용이하다. 또한, 반사층(140)의 상면에 렌즈(130)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반사층(140)이 외부의 물리적 압력 등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확산층(120)의 배면에 형성되는 경우 보다 렌즈(130)에 보다 가깝게 형성됨으로써 확산층(120)의 배면에 형성되는 반사층(140)의 크기 보다 작게 형성하고도 동일한 효과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확산층(120)의 배면에 형성되는 경우 보다 반사층을 형성하는 패턴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그에 따른 확산층(120)의 개구율을 확대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광의 휘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렌즈(130)는 확산층(120) 상에 다수개의 렌티큘라 렌즈가 일정배열로 배치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렌즈(130)의 배열 즉, 렌즈(130)들의 경계영역 하부에 반사층(140)이 형성되게 된다. 예를 들면, 반사층(140)을 포함하는 두개의 렌즈(130a, 130b) 중 제1 렌즈(130a)는 반사층(140)의 좌측 부분의 상측에, 제2 렌즈(130b)는 반사층(140)의 우측 부분의 상측에 형성됨으로써 제1 및 제2 렌즈(130a, 130b)의 경계영역 상에 반사층(140)이 놓여지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부재(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30)들의 경계영역으로 조사되는 광은 반사층(140)에 의하여 반사시켜 재집광시킴과 아울러 렌즈(130)의 중앙부에 조사되는 광은 집광되어 출사됨으로써 집광효율을 포함하여 시야각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부재(110)의 형성과정에는 스퍼터링 방식,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 스핀 및 스핀리스 코팅 방식 등에 의하여 반사층(140)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반사층(140)의 상부에 렌즈(130)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반사층(140)의 형성과정에 대하여 스퍼터링 방식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먼저 스퍼터링 장치는 타깃부와 기판부를 각각 전원의 음극단과 양극단에 연결하고, 고주파를 발생시키면서 직류전원을 인가하면 전기장의 작용으로 타깃에서 전자가 발생하고 이 전자들은 양극단으로 가속된다. 이 때, 가속 전자들이 챔버에 공급된 불활성가스와 충돌하여 가스가 이온화된다. 불활성 가스의 양이온은 전기장의 작용으로 음극단에 연결된 타깃과 충돌하여 타깃 표면에서 타깃 원자들이 이탈되는 스퍼터링 현상이 발생된다. 한편, 타깃에서 방출되어 양극단으로 가속되는 전자는 중성원자와 충돌하여 여기되고 이때 플라즈마가 발생한다. 플라즈마는 외부의 전위가 유지되고 전자가 계속 발생할 경우 유지된다. 이러한 스퍼터링 현상에 의하여 확산층(120)의 상면 전체에 반사층(140)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반사층(140)은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공정을 이용하여 렌즈(130)들의 경계영역과 대응되는 패턴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반사층(140)에 형성되는 패턴의 포토리소그라피공정에 대해서 살펴보면, 먼저 반사층 (140)에 감광성물질을 도포한다. 다음으로, 반사층(140)에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에 대응되는 마스크를 배치한 후, 자외선(UV)을 조사한다. 이후, 현상과정을 거쳐 노광부분을 제거한 후, 식각공정을 거쳐 반사층(140) 패턴을 완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반사층(140)의 패턴 상부에 렌즈(130)들의 경계영역이 놓여지도록 렌즈(130)들을 배열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 부재(11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집광분포를 가지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렌즈(130)들의 경계영역 하부에 반사층(140)반사층(140)에 의하여 반사되어 재집광되고, 렌즈(130)들의 중앙부 영역에서는 직접적으로 집광되어 출사됨으로써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확산 및 집광 분포의 특성을 가지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부재(110)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02)과, 액정표시패널(102)에 광을 조사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부재(110)를 포함하는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102)은 상부 및 하부 유리기판의 사이에 액정셀들이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형태로 배열되게 되고 아울러 액정셀들 각각에는 비디오신호를 절환하기 위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패널(102)은 액정셀들 각각의 굴절율이 비디오신호에 따라 변화됨으로써 비디오신호에 해당하는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패널(102) 의 하부기판 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실장된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가 부착된다. 또한, 액정표시패널(102)의 전면 및 배면에는 편광 시이트(108, 118)가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편광 시이트(108, 118)는 액정셀들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시야각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백 라이트 유닛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액정표시패널(102)에 광을 조사하는 다수개의 램프(136)와, 다수개의 램프(136)를 수납하는 케이스(134)와, 램프(136)와 케이스(134) 사이에 설치되어 램프(136)로부터 발생된 광의 누설을 방지함과 아울러 반사시키는 반사판(114)과, 램프(136)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확산시킴과 아울러 집광시키는 광학부재(110)를 구비한다.
다수의 램프(136)들 각각은 유리관과, 유리관 내부에 있는 불활성기체들과, 유리관의 양 끝단부에 설치되는 음극 및 양극으로 구성된다. 유리관 내부에는 불활성기체들이 충진되어 있으며, 유리관 내벽에는 형광체가 도포되어 있다. 이러한 다수의 램프들(136) 각각은 인버터로부터의 교류전압이 고압전극 및 저압전극에 인가되면, 저압전극으로부터 전자가 방출되어 유리관 내부의 불활성기체들과 충돌하여 기하급수적으로 전자의 양이 늘어나게 된다. 이후, 늘어난 전자들에 의해 유리관 내부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러한 전자에 의해 불활성기체가 여기되면서 자외선이 방출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방출된 자외선은 유리관 내측벽에 도포된 발광성 형광체와 충돌하여 가시광선을 방출시킨다.
다수의 램프(136)를 수납하는 케이스(134)는 다수의 램프들(136)의 측면 및 배면으로 진행하는 가시광선을 전면, 즉 광학부재(110) 방향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램프들(136)에서 발생되는 광의 경로를 변환시킨다. 이러한 케이스(134)에는 다수의 램프(136)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열된다.
반사판(114)은 케이스(134)의 상면과 다수개의 램프(136)사이에 배치되어 램프들(136)로부터 발생된 광 중 액정표시패널(102)의 반대방향으로 조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환시켜 액정표시패널(102) 방향으로 조사되게 함으로써 광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광학 부재(110)는 램프(136)들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함과 아울러 광의 경로를 변환함으로써 액정표시패널(102)로 입사되는 광이 액정표시패널(102)로 직사될 수 있도록 조절함으로써 액정표시패널(102)의 정면 휘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광학 부재(110)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이트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구비하는 백 라이트 유닛은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집광효율을 비약적으로 개선하여 액정표시장치의 고휘도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9)

  1.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확산층과,
    상기 확산층 상에 다수의 렌즈들로 형성되는 렌즈층과;
    상기 확산층과 상기 렌즈층 사이에 일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반사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의 일정패턴은
    상기 다수의 렌즈들의 경계영역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층은
    렌티큘라 렌즈들의 일정 배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의 재질은
    니켈(Ni), 크롬(Cr), 알루미늄(Al), 산화알루미늄(Al2O3) 등의 금속성 반사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이트.
  5.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확산하는 확산층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확산층 상에 일정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확산층 및 상기 반사층의 상부에 상기 확산층으로부터 확산된을 집광시키는 렌즈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이트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층은
    다수개의 렌티큘라 렌즈들이 일정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이트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들의 경계영역은
    상기 반사층의 일정패턴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이트 제조방법.
  8. 다수의 광원들이 액정표시장치에 설치되는 백 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확산층과,
    상기 확산층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렌즈들로 형성된 렌즈층과;
    상기 확산층과 상기 다수의 렌즈층 사이에 일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반사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렌즈들의 경계영역은
    상기 반사층의 일정 패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유닛.
KR1020050028112A 2005-04-04 2005-04-04 광학 시이트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구비하는 백 라이트유닛 KR20060105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112A KR20060105377A (ko) 2005-04-04 2005-04-04 광학 시이트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구비하는 백 라이트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112A KR20060105377A (ko) 2005-04-04 2005-04-04 광학 시이트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구비하는 백 라이트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377A true KR20060105377A (ko) 2006-10-11

Family

ID=37635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112A KR20060105377A (ko) 2005-04-04 2005-04-04 광학 시이트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구비하는 백 라이트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53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2862A1 (en) * 2007-08-14 2009-02-19 Lg Chem, Ltd. Condensing film for lcd backlight unit
KR100936714B1 (ko) * 2007-11-28 201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시트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US8319907B2 (en) 2007-08-14 2012-11-27 Lg Chem, Ltd. Condensing film for LCD backlight uni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2862A1 (en) * 2007-08-14 2009-02-19 Lg Chem, Ltd. Condensing film for lcd backlight unit
US8319907B2 (en) 2007-08-14 2012-11-27 Lg Chem, Ltd. Condensing film for LCD backlight unit
KR100936714B1 (ko) * 2007-11-28 201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시트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82928B (en) Liquid crystal display, backlight unit, and fluorescent tube for backlight unit
US7377681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146428B1 (ko) 광학 시이트 및 그를 구비하는 백 라이트 유닛
US730767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2008003064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60105377A (ko) 광학 시이트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구비하는 백 라이트유닛
US776433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with scattering material coating on upper surface portion of lamp
KR100610614B1 (ko) 광학 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US7520653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096711B1 (ko) 직하형 백라이트
KR100610613B1 (ko) 광학 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KR100610617B1 (ko) 광학 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KR101211707B1 (ko) 확산판과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20070041939A (ko) 액정 표시모듈과 그의 조립방법
KR100610615B1 (ko) 광학 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KR20060059103A (ko) 광학 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US7936118B2 (en) Light source apparatus comprising a stack of low pressure gas filled light emitting panels and backlight module
KR100982493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 라이트 유닛
KR20070055131A (ko) 백라이트 유닛
KR10123717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037088B1 (ko) 백 라이트 유닛
KR100701898B1 (ko) 광학 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KR20050058112A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유닛
KR20060059104A (ko) 광학 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US20100118513A1 (en)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618

Effective date: 2013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