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447A - 컵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컵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447A
KR20060104447A KR1020050026610A KR20050026610A KR20060104447A KR 20060104447 A KR20060104447 A KR 20060104447A KR 1020050026610 A KR1020050026610 A KR 1020050026610A KR 20050026610 A KR20050026610 A KR 20050026610A KR 20060104447 A KR20060104447 A KR 20060104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washing
fastener
housing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덕
Original Assignee
김기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덕 filed Critical 김기덕
Priority to KR1020050026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4447A/ko
Publication of KR20060104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4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22/00Materials of the tool or the workpiece
    • B25D2222/75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감속기를 구비함으로써 부피를 작게하여 협소공간에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는 스펀지재의 세척솔을 구비하여 세척솔이 고속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컵을 세척할 경우 물기가 비산되지 않고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솔의 상측에 컵 접촉시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구비하여 컵을 반자동으로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봉형상이나 "∩"자 형상의 체결구 하측에 세척솔을 체결하여 컵의 내측 및 외측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는 컵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면이 벽체에 고정되도록 벽체고정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안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로 형성된 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어하며,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된 제어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고정되며 상기 감속기와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체결되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에 연결되어 컵이 세척되도록 세제를 흡수하여 회전되는 세척솔로 이루어진 세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컵 세척장치 {A cup wash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에의 일부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컵의 외주부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부를 나타낸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요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컵 10 : 하우징
11 : 벽체고정부 12 : 덮개
20 : 동력전달부 21 : 모터
22 : 감속기 30 : 제어부
31 : 스위치 32 : 접촉센서
40 : 세척부 41 : 연결부
41a: 고정구 42 : 체결구
42a: 고정공 42b: 제1삽입홈
42c: 제1체결공 42d: 제2삽입홈
42e: 제2체결공 43 : 세척솔
44 : 고정핀 44a: 삽입절개부
44b: 걸림부
본 발명은 컵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감속기를 구비함으로써 부피를 작게하여 협소공간에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는 스펀지재의 세척솔을 구비함으로써 세척솔이 고속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컵을 세척할 경우 물기가 튕기지 않고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는 컵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세척솔의 상측에 컵 접촉시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구비하여 컵을 세척할 경우 세척솔에 접촉시켜 컵을 반자동으로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봉형상이나 "∩"자 형상의 체결구 하측에 고정되는 세척솔을 설치함으로써 컵의 내측 및 외측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는 컵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적인 주방에서는 다양한 용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식사 후 용기의 세척이 수반되는 바, 그릇이나 대접 등과 같은 음식 그릇은 외주부가 낮으므로 용이하 게 세척할 수 있으나 컵이나 병과 같이 외주부가 좁고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세척에 어려움이 따른다.
상기와 같이 음식 그릇이나 컵을 세척할 경우에는 세척기를 사용하거나 손으로 직접 세척하고 있으며, 상기 세척기는 부피가 크므로 좁은 공간에는 설치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컵과 같이 외주부가 높은 용기는 세척기의 구조상 내측 바닥부분이 깨끗하게 세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다수의 컵을 사용하는 전문업소의 경우에는 컵의 세척이 위생적으로 매우 중요하고, 또한 컵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직경이 높은 컵의 바닥을 깨끗하게 세척할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협소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외주부가 높은 컵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세척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컵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는 컵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컵 세척장치는 컵이나 용기의 내부 및 외부를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있어서, 일면이 벽체에 고정되도록 벽체고정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안착 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로 형성된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어하며,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된 제어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상기 감속기와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체결되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에 연결되어 컵이 세척되도록 세제를 흡수하여 회전되는 세척솔로 이루어진 세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부의 연결부 하측 외주부에는 일측이 연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탄발력을 가지는 고정구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구의 상측 외주부에는 상기 고정구가 탈착되도록 고정공이 천공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구는 컵의 내부를 세척토록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세척솔이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절개된 제1삽입홈과, 상기 제1삽입홈의 양측으로 관통된 제1체결공과,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된 세척솔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체결공에 안착되는 고정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핀은 제1체결공에 삽입 용이토록 일측이 절개된 삽입절개부와, 상기 삽입절개부의 일단 외주부에 앵커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구는 컵의 외주부를 세척토록 하측이 개방된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세척솔이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절개된 제2삽입홈과,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삽입홈의 양측에 관통된 제2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세척부의 상측에는 상기 세척솔이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세척솔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가 구비되는 것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컵 세척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에의 일부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컵의 외주부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부를 나타낸 개요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요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세척장치는 벽체에 고정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안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0)와, 상기 동력전달부(2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상기 하우징(10)의 하측에 고정되어 컵(1)을 세척하는 세척부(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10)은 일면이 볼트로 벽체에 고정되도록 벽체고정부(11)가 형성되며,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하우징(10)을 개폐할 경우 고정시키는 패킹(12)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2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안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1)와, 상기 모터(21)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22)로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30)는 동력전달부(20)와 연결되어 동력전달부(20)가 정속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어하며,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31)가 하우징(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세척부(40)의 상측에는 상기 세척솔(43)이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컵(1)을 접촉할 경우 감지하는 접촉센서(32)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부(40)는 하우징(10)의 하측에 상기 감속기(22)와 연결된 원통형의 연결부(41)와, 상기 연결부(41)의 하측에 체결되는 체결구(42)와, 상기 체결구(42)에 연결되어 컵(1)이 세척되도록 세제를 흡수하여 회전되는 스펀지재의 세척솔(43)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42)는 컵(1)의 내부를 세척토록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세척솔(43)이 삽입되는 제1삽입홈(42b)은 하측으로 절개되고, 상기 제1삽입홈(42b)의 양측에는 제1체결공(42c)이 관통되며, 상기 제1체결공(42c)에 안착되는 고정핀(44)은 상기 제1삽입홈(42b)에 삽입된 세척솔(43)을 볼트로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핀(44)은 제1체결공(42c)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일측이 절개된 삽입절개부(44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절개부(44a)의 일단 외주부에는 앵커형상의 걸림부(44b)가 형성된다.
도 4 및 도 6에서, 상기 체결구(42)는 컵(1)의 외주부를 세척토록 하측이 개방된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세척솔(43)이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절개된 제2삽입홈(42d)과, 상기 고정핀(44)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삽입홈(42d)의 양측에 관통된 제2체결공(42e)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컵 세척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세척장치는 벽체에 고정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0)의 내측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0)가 안착되며, 상기 동력전달부(20)와 연결된 제어부(30)가 동력전달부(20)의 회전력을 제어하고, 상기 하우징(10)의 하측에 고정된 세척부(40)가 상기 동력전달부(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컵(1)을 세척하게 된다.
즉, 상기 하우징(10)은 후면에 돌출된 벽체고정부(11)가 형성되어 볼트로 벽체에 고정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내측 수용공간에는 동력전달부(20)와 제어부(30)가 수용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패킹(12)으로 고정시켜 세척시 발생되는 물기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2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안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1)에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22)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세척부(40)가 고속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컵을 세척할 경우 물기가 비산되지 않고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30)는 동력전달부(20)와 연결되어 동력전달부(20)가 항시 정속으로 회전되어 안심하고 컵을 세척할 수 있으며, 상기 세척부(40)의 상측에는 컵(1) 접촉시 이를 감지하는 접촉센서(32)가 구비됨으로써 사용된 컵을 상기 세척솔(43)에 접촉하면 상기 동력전달부(30)가 회전되어 반자동으로 컵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부(40)는 하우징(10)의 하측에 상기 감속기(22)와 연결된 원 통형의 연결부(41) 하측에 체결구(42)가 체결되며, 상기 체결구(42)에 연결된 스펀지재의 세척솔(43)이 세제를 흡수하여 회전됨으로써 소량의 세제로도 컵(1)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42)는 상기 세척솔(43)이 삽입되도록 제1삽입홈(42b) 하측으로 절개되고, 상기 제1삽입홈(42b)의 양측에는 제1체결공(42c)이 관통되어 상기 제1삽입홈(42b)에 삽입된 세척솔(43)을 고정핀(44)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상의 체결구(42) 하측에 체결된 세척솔(43)을 컵(1)의 내측에 삽입한 후 스위치(31)를 온으로 하여 컵(1)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핀(44)은 일측이 절개된 삽입절개부(44a)가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공(42c)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절개부(44a)의 일단 외주부에는 앵커형상의 걸림부(44b)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핀(44)이 제1체결공(42c)에 완벽하게 체결되어 상기 세척솔(4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구(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1)의 외주부를 세척토록 하측이 개방된 "∩"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체결구(42)의 양측에 2개의 세척솔(43)을 상기 고정핀(44)으로 체결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세척솔(43) 내측에 컵(1)을 삽입하여 컵의 외주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세척장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감속기를 구비함으로써 부피를 작게 하여 협소공간에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는 스펀지재의 세척솔을 구비함으로써 세척솔이 고속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컵을 세척할 경우 물기가 비산되지 않고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척부의 상측에 컵 접촉시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컵을 세척솔에 접촉시켜 컵을 반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더불어, 봉형상이나 "∩"자 형상의 체결구 하측에 세척솔을 체결함으로써 컵의 내측 및 외측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컵이나 용기의 내부 및 외부를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있어서,
    일면이 벽체에 고정되도록 벽체고정부(11)가 형성되며,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안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1)와, 상기 모터(21)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22)로 형성된 동력전달부(20)와;
    상기 동력전달부(2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어하며,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31)가 구비된 제어부(30)와;
    상기 하우징(10)의 하측에 상기 감속기(22)와 연결된 연결부(41)와, 상기 연결부(41)의 하측에 체결되는 체결구(42)와, 상기 체결구(42)에 연결되어 컵(1)이 세척되도록 세제를 흡수하여 회전되는 세척솔(43)로 이루어진 세척부(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40)의 연결부(41) 하측 외주부에는 일측이 연결부(4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탄발력을 가지는 고정구(41a)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구(42)의 상측 외주부에는 상기 고정구(41a)가 탈착되도록 고정공(42a)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세척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42)는 컵(1)의 내부를 세척토록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세척솔(43)이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절개된 제1삽입홈(42b)과, 상기 제1삽입홈(42b)의 양측으로 관통된 제1체결공(42c)과, 상기 제1삽입홈(42b)에 삽입된 세척솔(43)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체결공(42c)에 안착되는 고정핀(4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세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44)은 제1체결공(42c)에 삽입 용이토록 일측이 절개된 삽입절개부(44a)와, 상기 삽입절개부(44a)의 일단 외주부에 앵커형상의 걸림부(44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세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42)는 컵(1)의 외주부를 세척토록 하측이 개방된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세척솔(43)이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절개된 제2삽입홈(42d)과, 상기 고정핀(44)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삽입홈(42d)의 양측에 관통된 제2체결공(42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세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40)의 상측에는 상기 세척솔(43)이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세척솔(43)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세척장치.
KR1020050026610A 2005-03-30 2005-03-30 컵 세척장치 KR20060104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610A KR20060104447A (ko) 2005-03-30 2005-03-30 컵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610A KR20060104447A (ko) 2005-03-30 2005-03-30 컵 세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737U Division KR200388084Y1 (ko) 2005-03-30 2005-03-30 컵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447A true KR20060104447A (ko) 2006-10-09

Family

ID=37634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610A KR20060104447A (ko) 2005-03-30 2005-03-30 컵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44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0168A (zh) * 2015-05-24 2015-08-19 慈溪市南盾电器有限公司 水杯清洗器
CN108041797A (zh) * 2017-12-11 2018-05-18 何伯春 一种自动化长杯清洗装置
CN112656110A (zh) * 2020-12-28 2021-04-16 浙江建设职业技术学院 一种电动杯刷设备
CN112690731A (zh) * 2019-10-23 2021-04-23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餐具清洗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0168A (zh) * 2015-05-24 2015-08-19 慈溪市南盾电器有限公司 水杯清洗器
CN108041797A (zh) * 2017-12-11 2018-05-18 何伯春 一种自动化长杯清洗装置
CN112690731A (zh) * 2019-10-23 2021-04-23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餐具清洗装置
CN112656110A (zh) * 2020-12-28 2021-04-16 浙江建设职业技术学院 一种电动杯刷设备
CN112656110B (zh) * 2020-12-28 2022-08-05 浙江建设职业技术学院 一种电动杯刷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351B1 (ko) 푸시 앤드 스핀 구조의 야채 및 과일 세척기
KR20060104447A (ko) 컵 세척장치
CN113056581B (zh) 超声波清洗装置及洗衣机
JP7217881B2 (ja) 超音波洗浄装置および洗濯機
KR200388084Y1 (ko) 컵 세척장치
KR20110000730U (ko) 누름회전 설거지 브러시
KR101379754B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19990076479A (ko) 세정기
KR101833523B1 (ko) 브러시 세척장치
KR200235715Y1 (ko)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KR200383513Y1 (ko) 핸디형 다목적 초음파 세정기
KR100382211B1 (ko) 싱크대용 수도물 비산방지장치
KR101772532B1 (ko) 취식 도구용 음식물 찌꺼기 불림기
JP3060627U (ja) 容易に洗浄殺菌できる遠心脱水機
KR970002541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잠금장치
KR200491792Y1 (ko) 회전 수납부가 설치된 싱크대
KR200164980Y1 (ko) 살균 세정제 용기용 결착구
KR200401322Y1 (ko) 젖병 세척용 뚜껑
KR20080002883U (ko) 휴대용 세척기기
KR0137982Y1 (ko) 초음파 세척장치가 부착된 씽크대
KR200167398Y1 (ko) 위생세척물통
KR200215662Y1 (ko) 전기보온밥통용 보조수납기
JPH0630921Y2 (ja) シャワー設備の防水構造
KR970005243Y1 (ko) 과채류 세척기
KR100341449B1 (ko) 세탁기를 이용하는 음식물 및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