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232A - Music data produc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music data producing program - Google Patents

Music data produc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music data producing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232A
KR20060103232A KR1020060026920A KR20060026920A KR20060103232A KR 20060103232 A KR20060103232 A KR 20060103232A KR 1020060026920 A KR1020060026920 A KR 1020060026920A KR 20060026920 A KR20060026920 A KR 20060026920A KR 20060103232 A KR20060103232 A KR 20060103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music data
sequence
data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9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73186B1 (en
Inventor
가부라기 도시아끼
마스이 하야또
마또야마 사또루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3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2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1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68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title or artist information, time, location or usage information, user rat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bstract

단말기 유저에 의해 독자적인 3D 음악 콘텐츠를 자유롭게 생성하는 것으로, 이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인터넷 등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서버(SV)와 휴대 전화용 단말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CL)로 이루어진다. 클라이언트 단말기(CL)에서는, 유저가, 서버(SV)로부터 송신되어 온 원하는 원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면서, 3D 음향 공간을 나타내는 3D 시퀀스 입력 화면을 이용하여 가상적인 음상 위치를 순차적으로 지정하여 기록해 간다(C6). 기록된 일련의 음상 위치는 위치 시퀀스로서 서버(SV)로 송신되고, 서버(SV)에서는, 위치 시퀀스를 원 악곡 데이터에 부가하여 3차원(3D) 음향 특성 부여 악곡 데이터(3D 악곡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것을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배신한다(S5). 클라이언트 단말기(CL)에서는, 배신된 3D 악음 데이터에 따라 유저 독자의 위치 시퀀스에 대응하여 음상이 이동하는 악곡 연주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C7). By freely generating original 3D music contents by a terminal user, this music data generation system is composed of a server SV connected to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client terminal CL such as a mobile phone terminal. In the client terminal CL, the user sequentially designates and records virtual sound image positions using a 3D sequence input screen representing a 3D sound space while reproducing desired original music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SV ( C6). The recorded series of sound image positions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SV as a position sequence, and the server SV adds the position sequence to the original music data to generate three-dimensional (3D) acoustic characterization music data (3D music data). Then, this is distributed to the client terminal (S5). In the client terminal CL,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music playing space in which the sound image moves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 sequence of the user's original in accordance with the distributed 3D sound data (C7).

3차원 음향, 악곡 데이터, 음상, 3D 음향 시퀀스 3D sound, music data, sound image, 3D sound sequence

Description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악곡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MUSIC DATA PRODUC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MUSIC DATA PRODUCING PROGRAM}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music data generating system and music data generating program {MUSIC DATA PRODUC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MUSIC DATA PRODUCING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 전체의 개요 구성도.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ntire music data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체적인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processing operation in the music data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3차원(3D) 음향 특성 부여 악곡 데이터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al example of three-dimensional (3D) acoustic characteristic-providing music data generated in a music data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라이언트 단말기측 악곡 데이터 생성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4 is a flow chart showing a client terminal side music data gene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라이언트 단말기측 악곡 데이터 생성 처리 중의 시퀀스 입력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sequence input processing during client terminal side music data generation proc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키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6 illustrates an example of key arrangement of a client terminal.

도 7은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의 시퀀스 입력 화면(3D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quence input screen (3D screen) in a client terminal.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측 악곡 데이터 생성 처리를 나타내 는 플로우 차트. 8 is a flowchart showing a server-side music data genera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CL; CLa.CLb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PC 등으로 구성되는 서버(SV)와 통신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기(전자 음악 장치) CL; CLa.CLb A client terminal (electronic music de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a server (SV) consisting of a client terminal or a PC.

Gr : 좌표 그리드 Gr: coordinate grid

Po : 청취 위치 즉 원점 좌표 위치 Po: listening position, i.e. origin coordinate position

Pg : 음상 위치(음원 위치라고도 함) 또는 음상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 Pg: Image indicating sound image position (also called sound source position) or sound image position

Dg : 음상 위치 Pg의 최신 좌표값을 나타내는 현재 위치 표기 Dg: Current position notation indicating the latest coordinate value of sound position Pg

[비특허 문헌1] http://ascii24.com/news/i/tech/article/2004/12/09/653023-000. html[Non-Patent Document 1] http://ascii24.com/news/i/tech/article/2004/12/09/653023-000. html

[비특허 문헌2] http://www.yamaha.co.jp/news/2005/05011101.htm1[Non-Patent Document 2] http://www.yamaha.co.jp/news/2005/05011101.htm1

본 발명은,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사용하는 유저가 원하는 3차원(3D) 음향 특성 부여 악곡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 data generation system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3D) sound characteristic-provided music data desired by a user who uses a client terminal by communicatively connecting a server and a client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will be.

종래부터, 휴대 전화용 단말기에서, 인터넷 등을 통하여 콘텐츠 배신 사이트 로부터 제공되는 착신 멜로디용 악곡의 어레인지를 변경하는 것이 있다. 또한, 최근에 와서, 비특허 문헌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원이 가까워져 오는 등의 효과를 포함하는 3D 포지셔널 오디오 기술이 채용된 휴대 전화 단말기나, 이러한 휴대 전화 단말기로, 음을 이동시켜 입체 음향이나 음의 확산을 체감할 수 있는 3D 착신 멜로디를 배신하는 서비스가 출현하고 있다. 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in a mobile phone terminal, there is a change in arrangement of music for incoming melody provided from a content delivery site via the Internet or the like. In recent years, as shown in Non-Patent Documents 1 and 2, a sound is moved to a mobile phone terminal employing a 3D positional audio technology including an effect such as a sound source is approaching, or such a mobile phone terminal. There is a service that distributes 3D incoming melodies that can sense stereo sound and sound spread.

그러나, 착신 멜로디 배신 서비스의 대부분은, 변경하고 싶은 악곡(원 파일)내지 변경 가능한 파라미터를 미리 준비된 것 중에서 선택한다고 하는 소위 "템플릿형"의 곡 변환을 행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유저는,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원 파일을 변환할 때의 바리에이션을 선택할 수 있을 뿐, 유저 독자의 오리지널한 악곡 콘텐츠를 얻을 수 없다. However, most of the incoming melody delivery services use a so-called " template type " song conversion method in which a music (original file) or changeable parameter to be changed is selected from among those prepared in advance. That is, the user can only select the variation when converting the original file into the predetermined pattern, and cannot obtain the original music content of the user's original.

또한, 음상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게임 프로그램 혹은 트랙볼이나 죠이스틱 등의 조작자에 의해 음상 정위 위치의 이동 상태가 지시되는 데 따라서 좌우 2 채널로부터의 악음의 음상 위치를 제어하여 음상 이동의 리얼감을 풍부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트랙볼 등의 조작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조작 위치에 가까운 예정된 음상 이동 경로 상으로 음상을 확실하게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Moreover, as an apparatus which moves the position of a sound image, there exist something like patent document 1, 2, for example. In Patent Literature 1, as the movement state of the stereotactic position is instructed by a game program or an operator such as a trackball or a joystick, the sound position of the musical sound from the left and right two channels can be controlled to enrich the realism of the image movement. have. Patent Literature 2 also reliably moves a sound image on a predetermined sound image movement path close to the operation position based on the operation of an operator such as a track ball.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유저에 의한 위치 지정 조작에 기초하여 유저 독자의 3차원 음향 특성 부여 음악 콘텐츠를 자유롭게 생성할 수 있는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view of such circumstanc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sic data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freely generating three-dimensional sound characteristic-providing music contents of a user's original person based on a positioning operation by a user of a client terminal.

본 발명의 주된 특징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CN)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서버(SV) 및 클라이언트 단말기(CL; CLa, CLb)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으로서, 서버(SV)는, 복수의 악곡 데이터를 축적하는 원 악곡 축적 수단(DB)과, 원 악곡 축적 수단으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판독하는 원 악곡 판독 수단(S4, S12)과, 클라이언트 단말기(CL)로부터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시퀀스 수신 수단(S5, Sl1)과, 악곡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악곡 데이터에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부가함으로써, 3차원 음향 특성으로써 재생 가능한 위치 시퀀스 부여 악곡 데이터(3D 악곡 데이터 Md)를 생성하는 3차원 악곡 생성 수단(S5,S14∼S18)과, 위치 시퀀스 부여 악곡 데이터(Md)를 클라이언트 단말기(CL)로 송신하는 3차원 악곡 송신 수단(S5, S19)을 구비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가상적인 음상의 위치 좌표(Pg)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시퀀스 입력 수단(Cl9;C34∼C41)과, 입력된 일련의 위치 좌표를 위치 시퀀스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시퀀스 기록 수단(C19: C39, C40)과, 기록된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서버(SV)에 송신하는 시퀀스 송신 수단(C20)과, 위치 시퀀스 부여 악곡 데이터(Md)를 서버(SV)로부터 수신하는 3차원 악곡 수신 수단(C24)과, 수신된 위치 시퀀스 부여 악곡 데이터(Md)를 재생 가능하게 기억하는 3차원 악곡 기억 수단(2, 4; C25)과, 기억된 위치 시퀀스 부여 악곡 데이터(Md)를 3차원 음향 특성으로써 재생하는 3차원 악곡 재생 수단(C25')을 구비하는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 [청구항 1〕이 제공된다. 또한, 괄호 쓰기는 대응하는 실시예의 참조 기호 등을 나타내고, 이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According to a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comprising a server SV and a client terminal CL (CLa, CLb) communicatively connected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N, wherein the server SV is configured to store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data. Original music storing means DB for accumulating, original music reading means S4, S12 for reading music data from the original music storing means, and sequence receiving means S5 for receiving position sequence data from the client terminal CL; Sl1) and three-dimensional music generation means S5 for generating position sequence-provided music data (3D music data Md) reproducible as three-dimensional acoustic characteristics by adding position sequence data to the music data read by the music reading means. S14 to S18 and three-dimensional music transmission means S5 and S19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al sequence assignment music data Md to the client terminal CL, and the client terminal CL is a user. Sequence input means (Cl9) C34 to C41 for sequentially inputting the positional coordinates Pg of the virtual sound image based on the operation, and sequence recording means (C19: C39) for recording the inputted positional coordinates as position sequence data. , C40, sequence transmitting means C20 for transmitting the recorded position sequence data to the server SV, and three-dimensional music receiving means C24 for receiving the position sequence providing music data Md from the server SV. And three-dimensional music storage means (2, 4; C25) for reproducibly storing the received positional sequence-assigned music data (Md) and the stored positional sequenced music data (Md) as three-dimensional acoustic characteristics. A music data generating system [claim 1] provided with a three-dimensional music reproducing means C25 '. In addition, writing in parentheses indicates reference symbols and the like of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and the same also applies to the following.

본 발명에 의한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서, 서버(SV)는,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CL)로부터의 리퀘스트에 따라서 악곡 판독 수단(S4)에 의해 판독된 악곡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CL)로 송신하는 원 악곡 송신 수단(S4)을 구비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또한, 악곡 데이터를 요구하는 리퀘스트를 서버(SV)로 송신하는 리퀘스트 송신 수단(C5)과, 송신된 리퀘스트에 따라서 서버(SV)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는 원 악곡 수신 수단(C18)과, 수신된 악곡 데이터를 재생 가능하게 기억하는 원 악곡 기억 수단(2, 4; C18)을 구비하고, 시퀀스 입력 수단(Cl9)에 의한 위치 좌표(Pg)의 입력은, 원 악곡 기억 수단(2)에 기억된 악곡 데이터의 재생과 병행하여 행해지는(C33∼C41)〔청구항 2〕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In the music data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SV further transmits the music data read by the music reading means S4 to the client terminal CL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client terminal CL. The client terminal CL further comprises a music transmitting means S4, and the client terminal CL further includes a request transmitting means C5 for transmitting a request for the music data to the server SV, and the server SV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tted request. Original music receiving means (C18) for receiving music data transmitted from the memory; and original music storage means (2, 4; C18) for storing the received music data in a reproducible manner; The input of the positional coordinates Pg can be configured as described in Claim 2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reproduction of the music data stored in the original music storage means 2 (C33 to C41).

본 발명에 의한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서는, 시퀀스 입력 수단(C19)은, 유저 조작에 의해 순차적으로 지시되는 좌표 위치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제1 입력 수단(C38), 및 / 또는, 유저 조작에 의해 지시되는 이동 양태에 따른 좌표 위치 계열을 생성하여 입력하는 제2 입력 수단(C40)을 구비하는〔청구항 3〕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In the music data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quence input means C19 instructs the first input means C38 for continuously inputting coordinate positions sequentially instructed by the user operation, and / or by the user operation. It can be comprised as [claim 3] provided with the 2nd input means C40 which generate | generates and inputs the coordinate position sequence which concerns on the movement mode to becom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CN)를 통하여 서버(SV)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컴퓨터(클라이언트 단말기: CL; CLa, CLb)에, 악곡 데이터를 요구하는 리퀘스트를 서버(SV)로 송신하는 리퀘스트 송신 스텝(C3)과, 송신된 리퀘스트에 따라서 서버(SV)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는 원 악곡 수 신 스텝(Cl8)과, 원 악곡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악곡 데이터를 재생 가능하게 기억하는 원 악곡 기억 스텝(C18)과, 원 악곡 기억 스텝에서 기억된 악곡 데이터를 재생함과 함께, 유저 조작에 의해 순차적으로 지시되는 좌표 위치를 연속적으로 입력함으로써(C38), 및 / 또는, 유저 조작에 의해 지시되는 이동 양태에 따른 좌표 위치를 입력함으로써(C40), 가상적인 음상의 위치 좌표(Pg)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시퀀스 입력 스텝(C34∼C41)과, 시퀀스 입력 스텝에서 입력된 일련의 위치 좌표를 위치 시퀀스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시퀀스 기록 스텝(C39, C40)과, 기록된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서버(SV)로 송신하는 시퀀스 송신 스텝(C20)과, 리퀘스트 송신 스텝에서 송신된 리퀘스트에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에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부가함으로써 생성된, 3차원 음향 특성으로써 재생 가능한 위치 시퀀스 부여 악곡 데이터(3D 악곡 데이터 Md)를, 서버(SV)로부터 수신하는 3차원 악곡 수신 스텝(C24)과, 3차원 악곡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위치 시퀀스 부여 악곡 데이터(Md)를 재생 가능하게 기억하는 3차원 악곡 기억 스텝(C25)과, 3차원 악곡 기억 스텝에서 기억된 위치 시퀀스 부여 악곡 데이터(Md)를 3차원 음향 특성으로써 재생하는 3차원 악곡 재생 스텝(C25')으로 이루어지는 수순을 실행시키기 위한 악곡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청구항 4〕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a request for music data is sent to a server (SV) from a computer (client terminal: CL; CLa, CLb)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server SV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N. The request data transmission step C3 to transmit, the original music reception step Cl8 which receives the music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SV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request, and the music data received by the original music reception step can be reproduced. By reproducing the original music storage step C18 and the music data stored in the original music storage step, and continuously inputting coordinate positions sequentially indicated by user operation (C38), and / or, By inputting the coordinate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mode instructed by the user operation (C40), the sequence input steps C34 to C41 for sequentially input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Pg of the virtual sound image, and the sequence entry. In the sequence recording steps C39 and C40 for recording the series of position coordinates input in the step as the position sequence data, the sequence transmission step C20 for transmitting the recorded position sequence data to the server SV, and the request transmission step. Three-dimensional music reception step of receiving position sequence-provided music data (3D music data Md) reproducible as a three-dimensional acoustic characteristic, generated by adding position sequence data to music data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request, from the server SV. (C24), the three-dimensional music storage step C25 for reproducibly storing the position sequence-assigned music data Md received in the three-dimensional music reception step, and the position sequence-provided music data stored in the three-dimensional music storage step Music data generation program for executing the procedure consisting of three-dimensional music reproduction step C25 'for reproducing (Md) as a three-dimensional acoustic characteristic The Save the ram computer-readable medium of claim [4] is provided.

〔시스템의 개요〕[Summary of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3D) 음향 특성 부여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 전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도 1의 (1)은, 3차원(3D) 음향 특성 부여 악곡 데이터(이하「3D 악곡 데이터」라고 함)를 제공하는 3D 악곡 제공 사이트로서 기능하는 서버(SV)와, 인터넷 등의 광역 통신 네트워크(CN)를 통하여 서버(SV)와 통신 가능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CL; CLa, CLb(기호“CL"은,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일반적으로 나타낸다)로 이루어진다. 이 예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유저 단말기)(CL)는, 예를 들면, 서버(SV)와의 통신 기능을 가지며 악곡 데이터 처리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전화용 단말기(CLa)나 퍼스널 컴퓨터(PC) 단말기(CLb) 등의 전자 음악 장치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CL)에는, 바람직하게는, 휴대 전화용 단말기(CLa)가 이용되며, 이 시스템에서 생성된 3D 악곡 데이터를 착신 멜로디 등으로서 임의의 사용 환경에서 즐길 수 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al example of the whole three-dimensional (3D) acoustic characteristic provision music data generation system by one Example of this invention. This music data generating system includes a server SV serving as a 3D music providing site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3D) acoustic characteristic-providing music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3D music data"). A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C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SV via a wide area communication network CN such as the Internet; CLa and CLb (symbol "CL" generally indicates a client terminal). In this example, the client terminal (user terminal) CL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server SV, for example, and music data. An electronic musical apparatus such as a mobile phone terminal CLa having a processing function, a personal computer (PC) terminal CLb, etc. The client terminal CL is preferably a mobile phone terminal CLa. 3D music data generated in this system can be enjoyed in any use environment as an incoming melody or the like.

서버(SV)의 대용량의 외부 기억 장치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CL)의 유저에 3D 악곡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DB)가 구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CL)에서 실행 가능한 3차원(3D) 음향 특성 부여 악곡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이하「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함)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용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축적된다. 악곡 데이터베이스에는, 3D 악곡 데이터를 생성하는 토대로 되는 기존 타입의 다수의 악곡 데이터(「원 악곡 데이터」라고 함)가 축적되며, 각 원 악곡 데이터는, 1 내지 복수의 악음 채널분의 음악 정보로 구성된다. 또한,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에는, 3D 악곡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위치 시퀀스를 부여하는 다수의 3D 템플릿이 축적되어 있다. In the large-capacity external storage device of the server SV, a plurality of databases DB for providing 3D music data to the user of the client terminal CL are constructed. For example, various applications for client terminals are stored in the application database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3D) acoustic characterization music data generation prog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pplication") that can be executed in the client terminal CL. In the music database, a large number of existing music data (referred to as "original music data"), which is the basis for generating 3D music data, are stored, and each original music data is composed of music information for one to a plurality of music channel channels. do. 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3D templates are stored in the template database for assigning a predetermined position sequence to generate 3D music data.

각 휴대 전화용 단말기(CL)는, 휴대 전화용 단말기(CLa)인 경우, 무선 기지 국(BS) 및 통신 네트워크(CN)를 통하여 서버(SV)에 접속되고, PC 단말기(CLb)인 경우는 통신 네트워크(CN)를 통하여 서버(SV)에 접속된다. 도 1의 (2)는, 이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클라이언트 단말기(CL)를 기준으로 도시하고 있다. Each mobile phone terminal CL is connected to the server SV through the wireless base station BS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CN in the cas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CLa, and in the case of the PC terminal CLb. It is connected to the server SV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CN. FIG. 1 (2) is a block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each apparatus which comprises this music data generation system, and is shown based on the client terminal CL.

클라이언트 단말기(CL)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로 휴대 전화용 단말기(CLa)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단, 통상의 전화 기능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기능 및 악음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갖춘 PC와 같은 범용의 정보 처리 장치(CLb)를 사용해도 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중앙 처리 장치(CPU)(1),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부(2), 판독 전용 메모리(ROM)부(3), 보조 기억부(4), 입력 디바이스(5), 음원(6), 표시기(7), 통신 인터페이스(통신 I/F)(8) 등을 구비하고, 이들 장치 l∼8은 버스(9)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어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lient terminal CL is mainly described as being used for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CLa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ordinary telephone function is omitted).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function and You may use the general-purpos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Lb, such as a PC with a music sound data processing function. The client terminal CL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1, a random access memory (RAM) unit 2, a read-only memory (ROM) unit 3, an auxiliary storage unit 4, and an input device 5. ), A sound source 6, a display 7, a communication interface (communication I / F) 8, and the like, and these devices 1 to 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bus 9.

CPU(1), RAM부(2) 및 ROM부(3)는 본체 처리부를 구성한다. ROM부(3)는, 기기 전체를 통괄 제어하기 위한 펌웨어나 각종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고 있으며, CPU(1)는, ROM부(3)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기기 전체를 통괄 제어한다. RAM부(2)는, 각종 처리에 있어서 OS나 각종 프로그램의 작업용 에리어로서 이용되고, 예를 들면, 위치 시퀀스 데이터 작성시에는, 원 악곡 데이터나 위치 이벤트 혹은 3D 템플릿 등의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가기억)해 두기 위한 각종 데이터 기억(템포러리 메모리) 영역이 확보된다. 더욱, 휴대 전화용 단말기(CLa)의 경우, RAM부(2) 내지 ROM부(3)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 할 수 있다. The CPU 1, the RAM unit 2, and the ROM unit 3 constitute a main body processing unit. The ROM unit 3 stores firmware, various programs, and the like for collective control of the entire apparatus, and the CPU 1 collectively controls the entire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stored in the ROM unit 3. The RAM unit 2 is used as a work area for the OS or various programs in various processes. For example, when creating position sequence data, the RAM unit 2 temporarily stores various pieces of data such as original music data, position events, or 3D templates. Various data storage (temporary memory) areas are secured for the temporary storage. Further, in the cas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CLa,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can be used for the RAM section 2 to the ROM section 3.

보조 기억부(외부 기억부)(4)는, 3D 악곡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나 네트 세션 제어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등을 기억(보존)해 두는 데 이용된다. PC 단말기(CLb)의 경우 하드디스크 구동 장치(HDD)가 이용되지만, 휴대 전화용 단말기(CLa)의 경우에는, HDD는 구비되지 않고,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가 이용된다. 이 경우, RAM부(2)나 ROM부(3)에 이용되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 보조 기억부(4)의 기능을 갖게 하며, 해당 반도체 메모리에 모든 데이터 종류를 보존해 두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auxiliary storage unit (external storage unit) 4 is used to store (store) various data including 3D music data, a net session control program, an application, and the like. In the case of the PC terminal CLb, the hard disk drive device HDD is used, but in the cas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CLa, no HDD is provided, and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is used. In this case, th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such as the flash memory used for the RAM section 2 or the ROM section 3 has the function of the auxiliary storage section 4, and all the data types are stored in the semiconductor memory. can do.

입력 디바이스(5)는, 각종 입력 키 등의 조작자와, 이들 조작자의 조작 내용을 검출하여 본체 처리부에 도입하는 조작 검출 회로로 이루어진다. 휴대 전화용 단말기(CLa)의 경우, 키 조작자로는, 예를 들면, 커서 키, 기능 키, 온 훅 키, 오프 훅 키, 전화용 숫자·기호 키 등이 있으며, PC 단말기(CLb)의 경우에는 마우스나 키보드가 조작자로 이용된다. 표시기(7)는, 각종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CPU(l)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회로로 이루어지며, 클라이언트 단말기(CL)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유저 조작에 대한 표시 원조를 행한다. The input device 5 consists of operators, such as various input keys, and the operation detection circuit which detects the operation content of these operators, and introduces into the main body process part. In the case of the cellular phone terminal CLa, the key operator includes, for example, a cursor key, a function key, an on-hook key, an off-hook key, a numeric and symbol key for a telephone, and a PC terminal CLb. The mouse or keyboard is used as the operator. The display 7 consists of a display which displays various screens, and a display circuit which controls a screen display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from CPU1, and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client terminal CL, or displays for user operation. Assistance

음원부(6) 및 음원부(6)에 접속되는 사운드 시스템(10)은 악음 재생부를 구성한다. 즉, 음원부(6)는, 음원 회로(TG)나 DSP(디지털 신호 처리기) 등을 포함하고, 원 악곡 데이터나 3D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는 악음 신호를 생성하고, 특히, DSP는 3D 악곡 데이터에 따라서 3D 음장 제어를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사운드 시 스템(10)은, D/A 변환부나 앰프, 스테레오 트윈 스피커를 갖추고, 음원부(6)로부터의 악음 신호에 기초한 악음을 발생하며, 특히, 3D 악곡 데이터의 재생에 의해, 악음의 음상이 소정의 경로로 이동하여 음의 확산이 있는 입체 음향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The sound source unit 6 and the sound system 10 connected to the sound source unit 6 constitute a music sound reproducing unit. That is, the sound source unit 6 includes a sound source circuit TG, a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the like, and generates a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music data or the 3D music data, and in particular, the DSP is applied to the 3D music data. Therefore, it has a function of performing 3D sound field control. The sound system 10 includes a D / A converter, an amplifier, and a stereo twin speaker, and generates sound based on the sound signal from the sound source unit 6, and in particular, the sound image of the sound by reproducing 3D music data. By moving along this predetermined path, a stereophonic sound space with sound diffusion can be realized.

통신 I/F(8)는, 적어도 인터넷에 직접적/간접적으로 접속 가능한 모뎀이나 이더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이며, 유선에 국한하지 않고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이어도 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통신 I/F(8)에 의해,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CN)를 통하여 서버(SV)와 교신할 수가 있으며, 서버(SV)에 대하여 원 악곡 데이터나 3D 악곡 데이터의 요구 및 수신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전화용 단말기(CLa)에서는, 통신 I/F(8)로부터 무선데이터 통신으로 기지국(BS)을 통하여 서버(SV)와 교신한다. The communication I / F 8 is at least a communication interface such as a modem or ether, which can b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may be an interfa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out being limited to a wire. The client terminal CL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SV by means of the communication I / F 8 via the network CN including the Internet, and the original music data and the 3D music data with respect to the server SV. Can be requested and received. In this case, the cellular phone terminal CLa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SV via the base station BS in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rom the communication I / F 8.

또한, 서버(SV)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의 (2)에서 설명한 클라이언트 단말기(CL)와 거의 동일하지만, 사운드 시스템(10)은 갖추고 있지 않아도 된다. 서버(SV)는 대용량의 외부 기억 장치(HDD 등)를 구비한다. 이 외부 기억 장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원 악곡 데이터, 3D 템플릿 등을 각각 축적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DB)가 구축됨과 함께,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 유저를 관리하기 위한 유저 관리 데이터 파일 등도 기억된다.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SV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client terminal CL described in FIG. 1 (2), but the sound system 10 may not be provided. The server SV includes a large capacity external storage device (HDD, etc.).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databases (DB) in which applications, original music data, 3D templates, and the like are accumulated are constructed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and user management data files for managing each client terminal user are also stored. .

〔동작의 개요〕[Summary of movem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체적인 처리 동작을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표시 화면의 추이와 함께 나타낸 도면 이다. 이 시스템의 처리 동작은, 어플리케이션 즉 3D 음향 특성 부여 악곡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 단말기(CL)에 다운로드하는 제1 단계와,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이언트 단말기(CL) 상에서 실행하는 제2 단계로 분리된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processing operation in the music data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transition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client terminal. 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is system is divided into a first step of downloading an application, that is, a 3D acoustic characterization music data generation program, to the client terminal CL, and a second step of executing the downloaded application on the client terminal CL.

제1 단계에서는, 우선, 유저는, 클라이언트 단말기(CL)로부터 서버(SV)에 어플리케이션을 요구한다(스텝 Cl). 이때, 어플리케이션의 리퀘스트와 함께 클라이언트 단말기(CL)의 기종, 유저 ID 등을 통지한다. 서버(SV)는, 신규 유저이면 유저 관리 데이터 파일에 유저 등록하고, 그렇지 않으면, 유저 관리 데이터 파일의 해당 단말기 유저의 등록 데이터와 대조하여 기종이나 유저 ID, 유저 어드레스 등을 확인한 후에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이언트 단말기(CL)에 배신한다(스텝 S1).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기(CL)에서는, 배신을 받은 어플리케이션을 기억 수단(보조 기억부(4) 또는 ROM부(3))에 기억한다(스텝 C2). In the first step, the user first requests an application from the client terminal CL to the server SV (step Cl). At this time, the model of the client terminal CL, the user ID, and the like are notified together with the request of the application. If the server SV is a new user, the user is registered in the user management data file. Otherwise, the server SV checks the model, the user ID, the user address, and the like against the registration data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user in the user management data file, and then the client terminal is executed. It delivers to CL (step S1). In the client terminal CL, the received applic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he auxiliary storage unit 4 or the ROM unit 3) (step C2).

제2 단계는, 클라이언트 단말기(CL)로써, 기억 수단에 기억된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함으로써 개시되고, 도시한 바와 같은 화면 추이 C3∼C7을 나타낸다. 우선,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면,「최근의 인기곡」이나「곡명별 검색」,「아티스트별 검색」 등의 악곡 선택에 필요한 항목을 실은 기동 화면(어플리케이션 톱 화면)이 표시기(7)의 디스플레이(이하, 기호「7」은 디스플레이의 참조에도 이용된다)에 표시된다(스텝 C3). 유저는 기동 화면을 이용하여 원하는 항목을 지시하는 조작을 행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지시된 항목에 대응하는 악곡 리스트를 서버(SV)에 요구한다. 서버(SV)는, 악곡 리스트의 리퀘스트에 수반하여 송신되어 온 기종이나 유저 ID 등을 확인한 후, 해당 악곡 리스트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 (CL)로 송신한다(스텝 S2). The second step is started by activating the applic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by the client terminal CL, and shows the screen transitions C3 to C7 as shown. First, when the application is started, a startup screen (application top screen) containing items necessary for selecting a piece of music such as "Recently Popular Songs", "Search by Song Name", and "Search by Artis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7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p Songs"). Symbol "7" is also used for reference of the display) (step C3). When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of instructing a desired item using the startup screen, the client terminal CL requests the server SV for a music list corresponding to the indicated item. The server SV confirms the model, the user ID, and the like transmitted with the request of the music list, and then transmits the music list to the client terminal CL (step S2).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서버(SV)로부터의 악곡 리스트의 수신에 따라서 해당 악곡 리스트를 실은 악곡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7)에 표시한다(스텝 C4). 유저는 악곡 선택 화면을 이용하여 원하는 악곡을 선택하는 조작을 행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악곡이 선택되었음을 서버(SV)에 통지하고, 서버(SV)는, 해당 선택 악곡에 대응 가능한 처리를 나타내는 처리 항목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CL)로 회신한다(스텝 S3).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music list from the server SV, the client terminal CL displays on the display 7 a music selection screen on which the music list is loaded (step C4). When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of selecting a desired piece of music using the piece of music selection screen, the client terminal CL notifies the server SV that the piece of music has been selected, and the server SV performs a process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selected piece of music. The processing item data shown is returned to the client terminal CL (step S3).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이것에 따라서 해당 선택 악곡의 처리 항목을 실은 처리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7)에 표시한다(스텝 C5). 이 처리 항목에는, 단말기 유저의 수동 입력으로 작성한 시퀀스에 기초하여 3D 악곡을 생성하는 제1 처리 방법과, 유저의 선택 조작으로 지시된 3D 템플릿에 기초하여 3D 악곡을 생성하는 제2 처리 방법이 있으며, 제2 처리 방법으로서는, 처리 항목 데이터에 포함되는 템플릿 정보에 의해, 서버(SV)에 미리 준비된 복수의 3D 템플릿의 명칭을 열거하고, 이것에 대한 유저의 템플릿 선택 조작에 의해서 원하는 3D 템플릿을 선택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The client terminal CL displays the process selection screen on which the processing item of the selected music piece is loaded on the display 7 accordingly (step C5). This processing item includes a first processing method for generating 3D music based on a sequence created by a terminal user's manual input, and a second processing method for generating 3D music based on the 3D template instructed by the user's selection operation. As the second processing method, names of a plurality of 3D templates prepared in advance in the server SV are enumerated by templ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ocessing item data, and a desired 3D template is selected by the user's template selection operation. Can be indicated.

이것에 대하여, 유저가 원하는 처리 방법을 선택하는 조작을 행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해당 처리 방법을 서버(SV)에 통지하고, 서버(SV)는, 해당 처리 방법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제1 처리 방법이 선택된 경우에는, 악곡 선택 화면에서 선택된 악곡에 대응하는 원 악곡 데이터를 악곡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판독하고, 그 악곡 ID와 함께 클라이언트 단말기(CL)로 송신한다. 또 한, 제2 처리 방법이 선택된 경우에는, 해당 원 악곡 데이터 및 악곡 ID에 추가로, 또한, 템플릿 선택 조작에 대응하여 선택된 3D 템플릿을 송신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of selecting a desired processing method, the client terminal CL notifies the server SV of the processing method, and the server SV performs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method. For example, when the first processing method is selected, the original piece of music data corresponding to the piece of music selected on the piece of music selection screen is read from the piece of music database DB and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CL together with the piece of music ID. In addition, when the second processing method is selected, in addition to the original music data and music ID, the 3D template selected in response to the template selection operation is transmitted.

제1 처리 방법이 선택된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서버(SV)로부터의 원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원 악곡 데이터를 RAM부(2)의 원 악곡 기억 영역에 저장함과 함께, 시퀀스 입력 화면(「3D 화면」이라고도 불린다)을 디스플레이(7)에 표시한다(스텝 C5). 단말기 유저는, 시퀀스 입력 화면을 이용하여, 원 악곡 데이터의 재생에 맞춰 수동 입력으로 악곡의 음상 위치를 순차적으로 지시함으로써, 일련의 음상 위치 이벤트 데이터 열로 이루어지는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해당 원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여 작성된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해당 원 악곡 데이터의 악곡 ID와 함께 서버(SV)로 송신한다. When the first processing method is selected, when the client terminal CL receives the original music data from the server SV, the client terminal CL stores the original music data in the original music storage area of the RAM unit 2 and inputs the sequence. A screen (also called a "3D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7 (step C5). The terminal user can create position sequence data consisting of a series of sound image position event data strings by sequentially instructing the sound image positions of the music pieces by manual input in accordance with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music data using the sequence input screen. The client terminal CL transmits the position sequence data created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piece of music data to the server SV together with the piece of music ID of the original piece of music data.

또한, 제2 처리 방법이 선택된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서버(SV)로부터의 원 악곡 데이터 및 3D 템플릿을 RAM부(2)의 원 악곡 및 템플릿 기억 영역에 저장하며, 템플릿 확인 화면(「3D 화면」이라고도 불린다)을 디스플레이(7)에 표시한다(스텝 C5). 템플릿 확인 화면에는, 원 악곡 데이터의 재생에 맞춰 3D 템플릿에 기초한 음상 위치가 표시되므로, 표시된 음상 이동 양태를 단말기 유저가 확인하여 요해(OK) 조작을 행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해당 3D 템플릿에 대한 요해 신호를 악곡 ID와 함께 서버(SV)로 송신한다. If the second processing method is selected, the client terminal CL stores the original music data and the 3D template from the server SV in the original music and template storage area of the RAM unit 2, and the template confirmation screen. (Also called a "3D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7 (step C5). On the template confirmation screen, the sound image position based on the 3D template is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music data. Therefore, when the terminal user confirms the displayed sound movement mode and performs an OK operation, the client terminal CL determines the 3D template. The request signal with respect to the music ID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SV.

또한, 선택한 처리 방법이나 3D 템플릿이 단말기 유저의 기호가 아닌 NG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처리 선택 스텝(C5)으로 되돌아가 처리 방법이나 3D 템플릿 의 재선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원 악곡 자체가 단말기 유저의 기호가 아닌 「되돌아가기」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악곡 선택 스텝(C4)으로 되돌아갈 수 있으며, 어떠한 경우라도 그 취지를 서버(SV)에 통지한다. If the selected processing method or 3D template is performed by NG operation other than the preference of the terminal user, the processing returns to the process selection step C5 to reselect the processing method or 3D template. In addition, when the original music itself is not returned to the terminal user's preference, the "back"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music composition selection step C4 can be returned, and the server SV is notified in any case.

서버(SV)는, 제1 처리 방법이 선택된 경우에는, 악곡 ID로 지정되는 원 악곡 데이터에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부가하여 원 악곡 데이터로부터 3D 악곡 데이터 즉, 3차원(3D) 음향 특성 부여 악곡 데이터로 변환하는 3D 변환을 행하며, 또한, 제2 처리 방법이 선택된 경우에는, 요해 신호의 수신에 의해, 선택된 3D 템플릿에 따라서 3D 변환을 행하며, 3D 변환에 의해 얻어진 3D 악곡 데이터(MD:도 3)를 클라이언트 단말기(CL)로 배신한다(스텝 S5). 또한, 제2 처리 방법이 선택된 경우의 처리 방법으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 악곡 데이터나 3D 템플릿의 송신(S4)이나 요해 신호의 수신(S5)을 거치지 않고, 즉시, 스텝 S4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CL) 측에서 선택된 3D 템플릿에 따라서 3D 변환해야 함을 결정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When the first processing method is selected, the server SV adds the position sequence data to the original music data designated by the music ID, and converts the original music data from the original music data into 3D music data, that is, three-dimensional (3D) sound characteristic-provided music data. 3D transform is performed, and when the second processing method is selected, the 3D transform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lected 3D template by receiving the required signal, and the 3D music data (MD: FIG. 3) obtained by the 3D transform is performed. It distributes to the client terminal CL (step S5). As the processing method in the case where the second processing method is selected, the client terminal (in step S4) is immediately executed in step S4 without passing the original music data, the transmission of the 3D template (S4) or the reception of the required signal (S5)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3D conversion should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3D template selected on the CL) side.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서버(SV)로부터 3D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면, 다운로드 통지 화면(3D 화면)을 디스플레이(7)에 표시하고, 유저가 음상의 이동을 확인하여 다운로드 통지 화면에 대하여 3D 악곡 데이터의 취득을 결정하는 조작을 행하면, 해당 3D 악곡 데이터를 기억 수단(2, 4)에 보존한다(스텝 C7). 이후, 클라이언트 단말기(CL)에서는 기억 수단에 보존된 3D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고, 유저가 작성한 위치 시퀀스 데이터 혹은 유저에 의해 선택된 3D 템플릿에 대응하여 악곡의 음상이 이동하는 악곡 연주 공간을 즐길 수 있으며, 또한, 이 악곡 재생에 맞춰 악곡의 음상 위치를 이동 표시하는 3D 악곡 재생 화면(3D 화면)을 디스플레이(7)에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client terminal CL receives the 3D music data from the server SV, the client terminal CL displays the download notification screen (3D screen) on the display 7, and the user confirms movement of the sound image, and the 3D music tune for the download notification screen. When the operation for determining the acquisition of data is performed, the 3D music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means 2 and 4 (step C7). Thereafter, the client terminal CL can reproduce the 3D mus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enjoy a music playing space in which the sound image of the music moves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 sequence data created by the user or the 3D template select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display 7 can display a 3D music playback screen (3D screen) which moves and displays the sound image position of the music in accordance with the music playback.

또한, 다른 악곡에 대하여 3D 악곡 데이터를 희망하는 경우에는, 입력 디바이스(5)의「되돌아가기」(「F3」키) 조작에 의해 악곡 선택 화면(C3)으로 되돌아가, 전술한 처리 동작 C3∼C7, S2∼S5를 반복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기(CL)의 유저는, 새로운 원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새로운 3D 악곡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3D music data is desired for another music, it returns to the music selection screen C3 by operation of the "return" ("F3") of the input device 5, and the above-mentioned process operations C3-. C7 and S2 to S5 can be repeated, whereby the user of the client terminal CL can acquire new 3D music data based on the new original music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특히, 3D 악곡 데이터의 생성에 필요한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CL) 측에서 시퀀스 입력 화면(C6)을 이용하여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시스템의 요점은 다음과 같다: 클라이언트 단말기(CL)에서는, 유저가, 서버(SV)로부터 송신되어 온 원하는 원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면서, 3D 음향 공간을 나타내는 3D 시퀀스 화면을 이용하여 가상적인 음상 위치를 순차적으로 지정하여 기록해 간다(C6). 기록된 일련의 음상 위치는 위치 시퀀스로서 서버(SV)로 송신되며, 서버(SV)에서는, 위치 시퀀스를 원 악곡 데이터에 부가함으로써 3차원(3D) 음향 특성 부여 악곡 데이터(3D 악곡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것을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배신한다(S5). 클라이언트 단말기(CL)에서는, 배신된 3D 악음 데이터에 따라 유저 독자의 위치 시퀀스에 대응하여 음상이 이동하는 악곡 연주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C7). The music data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particular, position sequence data required for generation of 3D music data is created on the client terminal CL side using the sequence input screen C6. That is, the gist of the system is as follows: In the client terminal CL, the user reproduces the desired original music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SV, while using a 3D sequence screen representing the 3D sound space to be virtual. The sound image positions are sequentially designated and recorded (C6). The recorded series of sound image positions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SV as a position sequence, and the server SV generates three-dimensional (3D) acoustic characterizing music data (3D music data) by adding the position sequence to the original music data. Then, this is distributed to the client terminal (S5). In the client terminal CL,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music playing space in which the sound image moves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 sequence of the user's original in accordance with the distributed 3D sound data (C7).

〔3D 악곡 데이터의 구조〕[3D Music Data Structure]

도 3은, 서버에서의 3D 변환에 의해 얻어지는 3D 악곡 데이터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3D 악곡 데이터(Md)는, 헤더 정보(Hd), 악음 트랙 정보(Mt) 및 위치 시퀀 스 트랙 정보(St)로 이루어진다. 헤더 정보(Hd)는, 이 3D 악곡 데이터(Md)에는, 어떠한 종류의 트랙이 몇 개 있으며, 각 트랙은 어떠한 종류의 채널이 있는지, 각 트랙 및 각 채널의 어드레스 정보 등을 나타내며, 3D 악곡 데이터(Md) 선두의 헤더 부분에 기술되어 있다. 악음 트랙 정보(Mt)는, 원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여 악음 트랙에 기술되는 음악 정보이며, 원 악곡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멜로디나 반주 등의 파트에 대응하는 임의 개수의 채널로 이루어진다. 각 채널의 음악 정보는, MIDI 형식 혹은 MIDI 형식과 유사한 이벤트 형식으로 악음을 나타내는 이벤트 시퀀스 데이터, 혹은, ADPCM 등의 부호화 형식으로 악음 파형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 데이터로 구성된다. 3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3D music data obtained by 3D conversion on a server. 3D music data Md consists of header information Hd, music track information Mt, and position sequence track information St. As shown in FIG. The header information Hd indicates how many kinds of tracks are in the 3D music data Md, and what kind of channels each track has, the track information of each track and each channel, and the like. (Md) is described in the header section at the beginning. The music track information Mt is music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music track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music data, and, like the original music data, consists of any number of channels corresponding to parts such as melody and accompaniment. The music information of each channel is composed of event sequence data representing musical notes in an MIDI format or an event format similar to the MIDI format, or audio signal data representing musical waveforms in an encoding format such as ADPCM.

또한, 위치 시퀀스 트랙에 기술되는 위치 시퀀스 트랙 정보(St)는, 소정 채널의 악음 트랙 정보(Mt)에 대응하여, 해당 악음 트랙 정보(Mt)에 기초한 각 악음의 음상 위치를 미소한 이동 시간(△t) 마다의 위치 이벤트로 시퀀셜하게 규정하는 음상 위치 규정 데이터이다. 위치 시퀀스 트랙 정보(St)는, 좌표 위치 Pg(r, θ, φ)와 그 시간 정보를 세트로 하여 1개의 위치 이벤트를 나타낼 수 있으며, 시간 정보에는, 악음 트랙 정보(Mt)의 연주 개시부터의 절대 시간( 시각 데이터)(t) 및 이동 시간(△t)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1개의 위치 이벤트에 대하여, 위치 이벤트 시각(t)을 2 바이트, 이동 시간(△t)을 2 바이트, 이동 후의 좌표 위치 Pg(r, θ, φ)를 3 바이트〔극 좌표값〕로 한 계 7 바이트의 데이터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ition sequence track information St described in the position sequence track corresponds to the music track information Mt of a predetermined channel, and has a movement time (Minimum) of the sound image position of each music sound based on the music track information Mt. Sound image position definition data that is sequentially defined by the position event for each? T). The position sequence track information St can represent one position event by setting the coordinate positions Pg (r, θ, φ) and the time information as a set. The time information includes the start of the performance of the music track information Mt. The absolute time (time data) t and the travel time Δt are used. For example, for one position event, the position event time (t) is 2 bytes, the movement time (Δt) is 2 bytes, and the coordinate position Pg (r, θ, φ) after the movement is 3 bytes (polar coordinate value). 7 bytes of data can be obtained.

또한, 시퀀스 입력 화면(C6)에서 입력되는 위치 이벤트 시퀀스의 내용은,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위치 시퀀스 트랙 정보(St)와 동일한 형식이지만, 좌표계는, 묘화 좌표계(유클리드계, 직교 좌표계) 혹은 극 좌표계 중의 어느 것을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1 위치 이벤트에 대하여, 위치 이벤트 시각 t= 2 바이트, 이동 시간 △t= 2 바이트, 이동 후의 좌표 위치 Pg(x, y, z)= 3 바이트〔직교 좌표값〕 혹은 Pg(r, θ, φ)= 3 바이트〔극 좌표값〕로 한 계 7 바이트의 데이터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content of the position event sequence input in the sequence input screen C6 is basically the same format as the above-mentioned position sequence track information St, a coordinate system is a drawing coordinate system (Euclide system, Cartesian coordinate system) or a pole. Any of the coordinate systems may be used. For example, for one position event, the position event time t = 2 bytes, the movement time Δt = 2 bytes, and the coordinate position Pg (x, y, z) = 3 bytes after the movement [Cartesian coordinate value] or Pg (r , θ, φ) = 3 bytes (polar coordinate value) can be 7 bytes of data.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의 처리〕[Process at Client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3D 악곡 데이터 생성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클라이언트 단말기(CL)에서는, 서버(SV)로부터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Sl, C2:도 2)을 기동하면, CPU(1)는, 초기화를 행하고, 우선, 디스플레이(7)에 기동(탑) 화면을 표시하며, 이어서, 이 화면에서 요구한 원하는 악곡 리스트가 서버(SV)로부터 송신되어 오기 때문에(S2:도 2), 해당 악곡 리스트를 취득한다(스텝 C11). 이에 따라서, 키 기능 및 메뉴를 악곡 선택용으로 할당하고 (스텝 Cl2), 취득한 악곡 리스트를 악곡 선택 화면에 표시하고 (스텝 C13), 악곡 선택 화면에 대한 유저 조작을 대기한다(스텝 Cl4→NO). 4 is a flowchart showing 3D music data generation processing executed in a clien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lient terminal CL, when the applications Sl and C2 (FIG. 2) downloaded from the server SV are started, the CPU 1 initializes and first displays the startup (top) screen on the display 7. The desired music list requested by this screen is the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SV (S2: Fig. 2), so that the music list is acquired (step C11). Accordingly, key functions and menus are assigned for music selection (step Cl2), the acquired music list is displayed on the music selection screen (step C13), and the user operation on the music selection screen is waited (steps Cl4 to NO). .

여기서, 유저 조작에 의해 원하는 악곡을 선택하면(C14→YES), 선택된 악곡의 정보는 서버(SV)로 통지되며, 해당 선택 악곡에 대응하는 처리 항목이 서버(SV)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S3:도 2)것에 따라서, 키 기능 및 메뉴를 처리 선택용으로 할당함과 함께 (스텝 C15), 이들의 처리 항목을 처리 선택 화면에 표시하고 (스텝 C16), 처리 선택 화면에 대한 유저 조작을 대기한다(스텝 C17). Here, when a desired piece of music is selected by user operation (C14? YES),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piece of music is notified to the server SV, and processing item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iece of music are sent from the server SV (S3: According to Fig. 2, key functions and menus are assigned for process selection (step C15), and these process items are displayed on the process selection screen (step C16), and the user operation on the process selection screen is awaited. (Step C17).

처리 선택 화면에 대한 유저 조작에 의해, 유저 자신이 수동 입력에 의해 스 스로 선택 악곡에 대한 위치 시퀀스의 입력 처리를 행하는 취지를 선택했을 때는(Cl7→YES),그 취지가 서버(SV)로 통지되고, 선택된 악곡의 내용을 나타내는 원 악곡 데이터가 서버(SV)로부터 송신되어 오기 때문에(S4:도 2), 해당 원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고 RAM부(2)의 원 악곡 기억 영역에 저장한다(스텝 C18).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이어서, 시퀀스 입력 처리(도 5)를 행하고, 수신한 원 악곡 데이터에 대하여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작성한다(스텝 C19). 그리고, 작성된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악곡 데이터의 악곡 ID와 함께 서버(SV)로 송신한다(스텝 C20). When the user himself selects to perform the input processing of the position sequence for the selected music by manual input by user operation on the process selection screen (Cl7 → YES), the notification is notified to the server SV. Since the original music data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selected music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SV (S4: FIG. 2), the original music data is received and stored in the original music storage area of the RAM unit 2 (step). C18). Next, the client terminal CL performs a sequence input process (FIG. 5), and creates position sequence data with respect to the received original music data (step C19). Then, the created position sequence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SV together with the music ID of the music data (step C20).

한편, 처리 선택 화면에 대한 유저 조작에 의해, 서버(SV)에 미리 준비되어 있는 3D 템플릿중에서 소정의 3D 템플릿을 선택하고, 이 3D 템플릿에 따라서 선택 악곡을 3D 변환하는 취지를 선택했을 때에는(C17→NO), 그 취지가 서버(SV)로 통지되고, 선택된 악곡의 내용을 나타내는 원 악곡 데이터와 함께 선택된 3D 템플릿이 서버(SV)로부터 송신되어 오기 때문에(S4:도 2), 이들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스텝 C21), 악음 재생부(6-10) 및 디스플레이(7)의 템플릿 확인 화면에서 재생한다(스텝 C22). 그리고,이 템플릿 확인 화면에 의한 음상 위치의 이동 표시를 유저가 관찰하여 해당 3D 템플릿이 마음에 든 경우에는, 유저 조작에 의해 요해(OK)한 취지를 서버(SV)로 통지한다(스텝 C23). On the other hand, when a predetermined 3D template is selected from 3D templates prepared in advance in the server SV by user operation on the process selection screen, and the purpose of 3D converting the selected piece of music is selected according to this 3D template (C17). NO), the effect is notified to the server SV, and the selected 3D template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SV together with the original music data indicating the content of the selected music (S4: Fig. 2). Received (step C21) and reproduced on the template confirmation screen of the sound reproduction part 6-10 and the display 7 (step C22). And when the user observes the movement display of the sound image position by this template confirmation screen, and the 3D template is satisfied, it notifies the server SV that it was OK by user operation (step C23). .

즉, 서버(SV)에는, 청취 위치를 원점으로 하여 악곡의 음상 위치가, 예를 들면, 원점을 중심으로 하여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회전하는, 회전하면서 멀리서부터 서서히 원점에 가까워지고 다시 멀어지는, 좌우, 전후 또는 비스듬히 진자 형상, 곡선형상 또는 직선 형상으로 왕복 운동하는,‥,등등의 음상 이동 양태가 3D 템플릿으로서 준비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단말기(CL)에는, 템플릿 정보에 따라서 이들의 음상 이동 양태가 처리 선택 화면에 템플릿 선택지로서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 조작에 의해 어느 것인가의 템플릿을 선택하면, 템플릿 확인 화면이 디스플레이(7)에 표시되며, 선택 악곡의 재생(악음 재생부(6-l0))에 맞춰서,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된 어느 것인가의 템플릿의 위치 시퀀스 데이터에 따라서 해당 악곡의 음상 위치가 템플릿 확인 화면 내로 이동 표시되므로, 유저의 희망에 매치한 3D 템플릿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server SV, the sound image position of the piece of music is rotated in a circular or elliptic shape, for example, with the listening position as the origin, gradually approaching and returning to the origin from a distance while being rotated. Sound image movement modes such as ..., etc. reciprocating in a pendulum shape, a curved shape or a straight line shape in a left-right, front-back or oblique manner are prepared as a 3D template, and the client terminal CL has these sound image movement modes in accordance with the template information. It is displayed as a template option on the process selection screen. Therefore, when one of the templates is selected by the user operation, the template confirmation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7, which is selected by the user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production of the selected piece of music (the sound reproducing unit 6-10). According to the position sequence data of the template, the sound image position of the piece of music is displayed and moved into the template confirmation screen,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3D template matched the user's desire.

서버(SV)는, 스텝 C20, C23에서의 통지에 따라서, 대응하는 3D 악곡 데이터 (Md)를 작성하여 3D 변환 완료된 파일로서 배신되기 때문에(S5:도 2),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이 3D 악곡 데이터(3D 변환 완료된 파일)(Md)를 취득하고 (스텝 C24), 이 3D 악곡 데이터를 다운로드 통지 화면(3D 화면)에 표시하고 그 음상 이동 내용을 확인한 후, 기억 수단(2,4)에 재생 가능하게 보존한다(스텝 C25). In response to the notification in steps C20 and C23, the server SV creates the corresponding 3D music data Md and delivers it as a 3D-converted file (S5: FIG. 2). After acquiring the 3D music data (3D converted file) Md (step C24), the 3D music data is displayed on the download notification screen (3D screen) and the contents of the image movement are checked, and then the storage means (2, 4). Are stored so that they can be reproduced (step C25).

또한, 기억 수단에 보존된 3D 악곡 데이터(Md)에 대해서는, 필요할 때에, 3D 악곡 재생 화면에서 3D 악곡의 선택 및 재생을 지시함으로써, 원하는 3D 악곡 데이터(Md)가 판독되며, 악음 재생부(6-10)를 통하여, 시퀀스 입력 처리 또는 선택된 3D 템플릿으로 지정된 위치 시퀀스에 따라서 음상 위치가 이동하도록 악곡을 재생할 수가 있으며, 또한, 해당 3D 악곡 데이터(Md)의 위치 시퀀스 트랙 정보(St)를 토대로, 악곡 재생에 맞춰 해당 악곡의 음상 위치를 디스플레이(7)의 3D 악곡 재생 화면(3D 화면)에 애니메이션적으로 이동 표시할 수도 있다 (스텝 C25'). Further, with respect to the 3D music data Md stored in the storage means, when necessary, the 3D music data Md is read out by instructing selection and reproduction of the 3D music on the 3D music playback screen, whereby the sound reproduction unit 6 Through -10), the music can be reproduced so that the sound image position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sequence input processing or the position sequence designated by the selected 3D template, and based on the position sequence track information St of the 3D music data Md, In accordance with the music playback, the sound image position of the music can be animatedly displayed on the 3D music playback screen (3D screen) of the display 7 (step C25 ').

또한, 3D 악곡 데이터의 보존 처리(C25) 후, 이 3D 악곡 데이터 생성 처리를 종료하는지의 여부가 유저에게 타진되고 (스텝 C26), 처리를 종료하지 않은 취지를 지시했을 때는(C26→NO), 원 악곡 선택 단계(C12)로 돌아가고, 새롭게 선택한 원 악곡에 대하여 전술한 스텝 C12∼C25의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종료의 취지를 지시했을 때에는(C26→YES), RAM부(2)의 각종 데이터 기억 영역에 남아 있는 데이터를 모두 소거하여 이 3D 악곡 데이터 생성 처리를 종료한다. After the 3D music data preservation process (C25), whether or not the 3D music data generation process is finished or not (step C26), when the user is instructed not to finish the process (C26-> NO), Returning to the original music selection step C12,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of steps C12 to C25 are repeated for the newly selected original music. Then, when instructing to end (C26? YES), all data remaining in the various data storage areas of the RAM unit 2 is erased, and the 3D music data generation process is terminated.

〔시퀀스 입력 처리의 예〕[Example of Sequence Input Processin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퀀스 입력 처리, 즉, 도 4의 클라이언트 단말기(CL) 측에서의 3D 악곡 데이터 생성 처리에 있어서의 시퀀스 입력 처리(Cl9)의 구체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시퀀스 입력 처리에 이르러서는, 도 4의 스텝 C12, C15와 마찬가지로, 키 기능 및 메뉴를 시퀀스 입력 처리용에 할당하여 시퀀스 입력 화면이 표시되며, 유저는, 시퀀스 입력 화면을 이용하여 소정의 키 조작을 행함으로써, 자력 입력으로 원하는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the sequence input process Cl9 in the sequence input proc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3D music data generation process on the client terminal CL side in FIG. In this sequence input processing, similarly to steps C12 and C15 in Fig. 4, a key sequence and a menu are assigned for sequence input processing, and a sequence input screen is displayed. The user operates a predetermined key using the sequence input screen. By doing this, the desired position sequence data can be generated by the magnetic force input.

도 6은, 휴대 전화용 단말기와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있어서, 입력 디바이스로서 이용되는 키의 전형적인 배치 예 및 숫자 키로의 기능 할당 예를 나타낸다. 도 6(l)의 키 배치 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디바이스(5)의 조작자로서는, 메뉴 등을 표시하기 위한 펑션 키로서 이용되는 「Fl」∼「F3」키, 「결정」 키, 그 상하 좌우의 「커서 이동」 키, 「온」 및 「오프」훅 키,「1」∼「9」,「*」,「0」,「#」의 숫자· 기호 키 등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악곡 선택 화면(C4)에서 원 악곡 리스트를 표시하거나 3D 악곡 재생 화면(C25')에서 3D 악곡의 선택이 나 재생을 지시할 때에는,「F1」 키로 메뉴를 표시하고, 커서 키로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며,「결정」 키로 확정 조작을 행하는 식으로, 각 키에 소정의 기능이 할당된다. Fig. 6 shows a typical arrangement example of a key used as an input device and an example of function assignment to numeric keys in a client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terminal. As shown in the key arrangement example of FIG. 6 (l), as the operator of the input device 5, the "Fl" to "F3" keys, the "decision" key, which are used as function keys for displaying menus, etc., Up and down left and right cursor keys, &quot; on &quot; and &quot; off &quot; hook keys, &quot; 1 &quot; to &quot; 9 &quot;, &quot; * &quot;, &quot; 0 &quot;, &quot;# &quot; For example, when the original music list is displayed on the music selection screen C4 or when the 3D music selection or playback is instructed on the 3D music playback screen C25 ', the menu is displayed using the F1 key, and the menu is moved with the cursor keys. A predetermined function is assigned to each key by selecting an item and performing a deciding operation with the "decision" key.

또한, 시퀀스 입력 처리시에는, 「Fl」키에는 리트라이(retry), 「F2」키에는「모드 1」∼「 모드 3」의 모드 변경, 「F3」 키에는 원 악곡 재생의 진행을 그 조작시마다 순차적으로 기동/ 정지하는 플레이/스톱 기능,「*」키에는 시점 위치 변경, 이라고 하는 식으로 각 키에 소정의 기능이 할당된다. 또한, 시퀀스 입력 처리의 모드에는, 유클리드계(직교 좌표)에서 위치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입력(스텝)할 수 있는「모드 1」과, 극 좌표에서 위치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모드 2」와, 점프나 이동 경로를 지시하는 임의의 자동 제어 처리(점프)로 모든 위치 이벤트를 입력하는「모드 3」(좌표계는 직교 좌표이거나 극 좌표가 좋다)가 있으며, 숫자 키에는, 도 6의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모드 마다 소정의 기능이 할당된다. During the sequence input processing, retry is performed on the "Fl" key, mode changes are made between "Mode 1" and "Mode 3" on the "F2" key, and playback of the original music is reproduced on the "F3" key. The play / stop function which starts / stops sequentially at each time, and a predetermined function are assigned to each key by changing the viewpoint position to the "*" key. In the mode of sequence input processing, "mode 1" which can sequentially input (step) position events in the Euclidean system (orthogonal coordinates), and "mode 2" which can input position events sequentially in polar coordinates And "mode 3" (coordinate system is orthogonal or polar) which inputs all positional events by arbitrary automatic control processing (jumping) indicating a jump or a movement path, and the numeric keys (Fig. As shown in 2), a predetermined function is assigned to each mode.

도 7은, 클라이언트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시퀀스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클라이언트 단말기(CL)에서의 시퀀스 입력 처리 시에 디스플레이(7)에 표시되는 시퀀스 입력 화면은, 청취 위치 즉 사운드 시스템(10)의 헤드폰 위치 (Po)를 원점으로 표시한 좌표 그리드에 따라서 악곡의 청취 공간을 3차원적으로 모의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도 7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청취 공간을 예시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예를 들면, 그리드의 메쉬는 간략화되어 있으며, 원점 및 정점의 좌표값〔단위는 m(미터)〕도 실제의 표시가 아니다 (단, 필요에 따라 표시해도 된 다). 또한, 청취 공간의 크기나 메쉬 사이즈는 임의의 척도로 설정된다. 7 shows an example of a sequence input screen displayed on the client terminal display. The sequence input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7 at the time of the sequence input processing in the client terminal CL, listens to the music according to the coordinate grid in which the listening position, that is, the headphone position Po of the sound system 10 as the origin. It simulates space in three dimensions. In addition, FIG. 7 is an exemplary representation of a listening space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For example, the mesh of the grid is simplified, and the coordinate values [unit: m (meter)] of the origin and vertices are also actually displayed. (But may be marked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size of the listening space and the mesh size are set on an arbitrary scale.

유저는, 원 악곡을 재생하면서, 키 조작에 의해서, 악음의 음상을 나타내는 도형(간단히「음상」라고도 함) Pg를 시퀀스 입력 화면의 청취 공간 내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리얼 타임으로 음상 위치의 지정 및 제어를 행하며, 음상의 위치 이벤트를 시퀀셜로 결정하여 리얼 타임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시퀀스 입력 화면상에서 순차적으로 설정된 음상(Pg)의 궤적(x, y, z)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시간 동안 페이드 아웃 표시되며, 예를 들면, 최신 설정된 위치까지의 일정 시간에 걸친 음상 Pg(x, y, z)를, 새로운 시점의 음상 위치일수록 짙게 표시하고 오래된 음상 위치일수록 옅게 표시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다운로드 통지 화면이나 3D 악곡 재생 화면(C7, C25, C25')에 있어서도, 이러한 페이드 아웃 표시가 이루어진다. By reproducing the original music, the user moves the figure (also referred to simply as the "sound") Pg, which represents the sound image of the musical sound, into the listening space of the sequence input screen by key operation, thereby specifying the sound position in real time and By performing contro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event of sound image sequentially and to record in real time. At this time, the trajectories (x, y, z) of the sound images Pg sequentially set on the sequence input screen are faded out for a predetermined time as shown in FIG. 7, for example, a schedule up to the latest set position. The image Pg (x, y, z) over time is displayed in a thicker form at the new image position and lighter at an old image position. The fade-out display is also performed on the download notification screen and the 3D music reproduction screens C7, C25, and C25 'described above.

키 조작과 위치 이벤트의 관계를 간단히 설명하면, 예를 들면, 모드 1에서는,「2」키를 조작할 때마다 전(+y) 방향으로 l 단위 거리만큼 이동하고,「4」키를 조작할 때마다 좌(-x) 방향으로 1단위 거리만큼 이동한다. 이와 같이, 「2」,「4」,「6」,「8」 키의 조작에 의하면, 스텝 바이 스텝으로 음상 위치를 지정해 갈 수 있으며, 이 타입의 위치 입력 방법은 "스텝"형이라고 불린다. 또한,「1」,「3」,「5」,「 7」,「9」 키를 조작하면, 그 시점에 지정되어 있던 현재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형상의 이동 경로를 거쳐 소정의 위치로 점프할 수가 있으며, 이 경로는,「직선 형상」,「지그재그 형상」「랜덤(불규칙한 곡선 형상)」등 이동 궤적에 요동을 갖도록 별도 지정할 수 있다. 이 타입의 위치 입력 방법은, "점프" 형이라 고 불리고, 키 조작에 의한 지시에 따른 자동 제어 처리에 의해, 미리 정해진 위치 이벤트가 자동으로 작성된다. 또한,「0」키는, 키 기능의 좌표계를 변경하기 위해 설치되고,「0」키 조작마다,「1」∼「3」,「7」∼「9」키 조작에 의한 점프점 또는 이동 방향은 전후(+y.-y)와 상하(+z,-z)가 절환된다. Briefly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 operation and the position event. For example, in Mode 1, each time the "2" key is operated, the unit moves in the forward (+ y) direction by l unit distance and operates the "4" key. Each time, it moves by 1 unit in the left (-x) direction.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2", "4", "6", and "8" keys, the sound image position can be specified in step-by-step, and this type of position input method is called "step" type. In addition, by operating the "1", "3", "5", "7", and "9" keys, it is possible to jump from the current position specified at that tim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via a predetermined movement path. In addition, this path can be separately designated so as to have fluctuations in the movement trajectory such as "linear shape", "zigzag shape" and "random (irregular curved shape)". This type of position input method is called a "jump" type, and a predetermined position event is automatically created by an automatic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instruction by a key operation. In addition, the "0" key is provided to change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key function, and the jump point or the movement direction by the "1" to "3", "7" to "9" key operation for each "0" key operation. Is switched back and forth (+ y.-y) and up and down (+ z, -z).

「F2」키를 한번 조작한 후의 모드 2에서는, 도 7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이벤트가 극 좌표 형식으로 입력된다. 예를 들면,「2」키를 조작할 때마다 앙각 φ을 + 방향(+z측)으로 1단위 각도만큼 변위하고,「4」키를 조작할 때마다 방위각 θ를 - 방향(x-y 평면 상을 우회전)으로 l 단위 각도만큼 변위하고, 「5」키를 조작할 때마다 원점으로부터 거리(r)를 - 방향(원점측)으로 1 단위 거리만큼 이동한다고 하는 식으로, 「2」,「4」∼「6」,「8」 키에 의해 "스텝"형으로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l」,「3」,「7」, 「9」 키를 조작하면, 모드 1과 마찬가지로, "점프"형으로 입력된다. 또한, 모드 1에서「O」키가 조작되어 전후와 상하가 절환된 경우, 이 절환 상태는 모드 2의「l」,「3」,「7」,「8」 키의 조작에 대해서도 유지된다. 예를 들면, 모드 1에서 「O」키 조작을 조작하여 「전후」로부터 「상하」로 절환한 후, 모드 2로 들어가 「1」키를 조작하면, 상(+z) 방향 좌측의 정점으로 점프한다. In Mode 2 after the "F2" key is operated once, as shown in the right side of FIG. 7, the position event is input in the polar coordinate format. For example, each time the "2" key is operated, the elevation angle φ is shifted by one unit angle in the + direction (+ z side), and each time the "4" key is operated, the azimuth angle θ is moved in the-direction (xy plane). Right)) and shift the distance by 1 unit and move the distance r from the origin by 1 unit in the-direction (origin side) every time the "5" key is operated. The position can be input in the "step" type by the "6" and "8" keys. In addition, when the &quot; l &quot;, &quot; 3 &quot;, &quot; 7 &quot; and &quot; 9 &quot; keys are operated, it is input in the &quot; jump &quot; In addition, when the "O" key is operated in the mode 1 and the front, rear, and up and down are switched, this switching state is also maintained for the operation of the "l", "3", "7", and "8" keys of the mode 2. For example, in Mode 1, operate the "O" key operation to switch from "before and after" to "up and down", and then enter Mode 2 and operate the "1" key to jump to the vertex on the left side of the up (+ z) direction. do.

더욱, 「F2」키를 조작하면 모드 3으로 들어간다. 이 모드는 자동 제어 모드라고도 불리고, 「1」,「3」,「7」,「9」 키의 조작에 의해 모드 1과 마찬가지로 점프할 뿐만 아니라, 다른 어떤 키를 조작해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경로를 거쳐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는 "점프"형으로 모든 위치 이벤트가 입력된다. 예를 들면, 「1」 키를 조작하면, 현재 위치에서 소정 형상의 이동 경로를 거쳐, 미리 이산적으로 정해진 특정한 좌표 위치(정점 또는 랜덤한 점) a∼d 중 하나의 좌표 위치 a로 점프하고, 「2」 키를 조작했을 때는, x-y 평면에 관해서 현재 위치(x, y, z)와 대칭적인 위치(x, y,-z)로 점프한다. 또한,「4」 키를 조작하면, x -y 평면과 평행한 면상을 z축을 중심으로 1 회전하여 현재 위치(x, y, z)로 되돌아가고, 「0」키 조작이 있으면, 원점(0, 0, 0)과 현재 위치(x, y, z)를 포함하는 임의의 평면 위를 소정 좌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1 회전한 후, 재차, 현재 위치(×, y, z)로 되돌아간다. In addition, operation of the "F2" key enters mode 3. This mode is also called an automatic control mode, and jumps in the same manner as in Mode 1 by the operation of the "1", "3", "7", and "9" keys. As described above, all position events are input in a &quot; jump &quot; type that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via a predetermined path. For example, when the "1" key is operated, it jumps to the coordinate position a of one of predetermined coordinate positions (vertex or random point) a-d previously determined through a movement path of a predetermined shape from the current position. When the "2" key is operated, the jump jumps to the position (x, y, -z) which is symmetrical with the current position (x, y, z) with respect to the xy plane. In addition, when the "4" key is operated, the plane parallel to the x-y plane is rotated by 1 about the z axis to return to the current position (x, y, z). , 0, 0) and any plane including the current position (x, y, z) are rotated once about a predetermined coordinate position, and then returned to the current position (x, y, z).

그런데, 도 5의 시퀀스 입력 처리의 제1 스텝에서는, CPU(l)는, 시퀀스 입력 화면(도 7:3D 화면)에 대한 유저의 설정 조작에 따라서 음상(Pg)의 초기 위치를 설정한다(스텝 C31). 이때 설정된 음상 위치 Pg(x, y, z)는, 화면의 3D 청취 공간에 화상으로서 표시됨과 함께 단부의 현재 위치 표기 Dg에서 좌표값으로 표시되어 유저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위치 설정 스텝(C31)에서는, 모드 1 또는 모드 2로 「*」 키를 조작한 후, 숫자 키(2,4,6,8.0)의 조작으로 시점 위치를 변경하고 「결정」키로 확정하여 좌표 그리드의 시점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By the way, in the 1st step of the sequence input process of FIG. 5, CPU1 sets the initial position of sound image Pg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a sequence input screen (FIG. 7: 3D screen) (step C31). The sound image position Pg (x, y, z) set at this time is displayed as an image in the 3D listening space of a screen, and is displayed as a coordinate value in the current position notation Dg of an edge part, and a user can confirm. Further, in the initial position setting step C31, after operating the "*" key in the mode 1 or the mode 2, the viewpoint position is changed by the operation of the numeric keys (2, 4, 6, 8.0), and the determination is made with the "decision" key. You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coordinate grid.

다음으로, 「F3」키 조작으로 처리를 개시하고, 음상 위치 이벤트의 이동 시간 (Δt)을「0」으로 리세트하여, 설정된 음상 초기 위치 Pg(x, y, z)및 시간 정보( 절대 시간 t=「0」, 이동 시간 Δt=「0」)를 RAM부(2)의 위치 이벤트 기억 영역에 최초의 위치 이벤트로서 기록함과 함께 (스텝 C32), RAM부(2)의 원 악곡 기억 영역으로부터 원 악곡 데이터를 판독하여 악음 출력부(6-10)를 통하여 재생을 개시 한다(스텝 C33). 또한, 이어서 「F3」키를 조작함으로써 원 악곡의 재생을 일시 정지할 수가 있으며, 더욱 「F3」키를 조작함으로써 원 악곡의 재생을 재개할 수 있다. 한편, 원 악곡의 재생 정지중은 계시 동작은 정지하고, 재생 재개로 다시 계시 동작을 개시한다. Next, processing starts with the operation of the "F3" key, resets the moving time (Δt) of the sound image position event to "0", and sets the set sound image initial position Pg (x, y, z) and time information (absolute time). t = "0" and movement time [Delta] t = "0") are recorded in the position event storage area of the RAM unit 2 as the first position event (step C32) and from the original music storage area of the RAM unit 2; The original music data is read out and playback is starte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6-10 (step C33). In addition, playback of the original music can be paused by operating the "F3" key later, and playback of the original music can be resumed by further operating the "F3" key. On the other hand, while the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music is stopped, the counting operation is stopped and the counting operation is started again by resuming the reproduction.

이어서 위치 이벤트에 관한 유저의 입력 조작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 C34), 위치 입력 조작이 없을 때는 (C34→NO), 원 악곡의 재생이 없을 때는 (스텝 C35→NO) 입력 조작 판정 스텝(C34)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위치 입력 조작이 있었을 때는 (C34→YES), 전회의 위치 입력 조작 시점(시퀀스 입력 처리의 개시 당초는「F3」키에 의한 개시 조작 시점)부터 해당 위치 입력 조작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으로 음상 위치 이벤트의 이동 시간 (Δt)을 갱신한 뒤(스텝 C36), 위치 이벤트에 관한 입력 조작의 종별 판정을 행한다 (스텝 C37). 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user input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on the position event (step C34), and when there is no position input operation (C34 → NO), when there is no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music (step C35 → NO), an input operation determination is performed. Return to step C34. Then, when there is a position input operation (C34-> YES), the sound is elapsed from the time of the previous position input operation (the beginning of the sequence input processing is the start operation time by the "F3" key) to the time of the position input operation. After updating the movement time (DELTA) t of a position event (step C36), the type determination of the input operation regarding a position event is performed (step C37).

여기서, 입력 조작의 종별이 "스텝"(순차)형 위치 입력일 때에는(C37→YES), 입력 조작에 기초한 이동 내지 변위량에 따라서 음상의 현재 위치 Pg(x, y, z)를 갱신하고 (스텝 C38), 갱신 후의 음상 현재 위치 Pg(x, y, z)와 그 시간 정보(원 악곡 데이터의 재생 개시로부터의 절대 시간 (t) 및 이동 시간(Δt))로 이루어지는 위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것을 RAM부(2)의 위치 이벤트 기억 영역에 기록한다(스텝 C39). Here, when the type of the input operation is "step" (sequential) type position input (C37? YES), the current position Pg (x, y, z) of the sound image is upd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vement or displacement based on the input operation (step C38). ), A position event consisting of the current image position Pg (x, y, z) after updating and its time information (absolute time t from the start of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music data and the moving time Δt) is generated, and this It records in the position event storage area of the section 2 (step C39).

한편, 입력 조작의 종별이 "점프"(자동 제어)형 위치 입력일 때에는(C37→NO), 입력 조작에 의해 지정되는 이동 내용에 따라서, 음상이 이동하는 경로를 자동 제어하고, 해당 경로에 상당하는 대표적인 복수의 좌표 위치와 이들의 시간 정 보(경과 시간 Δt로부터 산출한 각 좌표 위치 통과 시점을 나타내는 절대 시간 및 상대적 이동 시간)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위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것을 RAM부(2)의 위치 이벤트 기억 영역에 순차적으로 기록한다(스텝 C40). 또한, "점프"(자동 제어) 형 위치 입력으로 음상 위치를 이동할 때의 이동 속도는, 등속도라도 되고, 등가속도(가속 방향, 감속 방향)라도 되며, 등가속도의 장소에 있어서의 가속과 감속의 정도는 같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궤적에는, 지그재그 경로나 랜덤 한 요동 등, 요동을 갖게 하더라도 좋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ype of the input operation is a "jump" (automatic control) type position input (C37? NO), the path in which the sound image moves is automatically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contents designated by the input operation, and the corresponding Generates a series of position event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epresentative coordinate positions and their time information (absolute time and relative movement time indicating the point of time passing each coordinate position calculated from the elapsed time Δt), and this is the position of the RAM section 2. The data is sequentially recorded in the event storage area (step C40). In addition, the moving speed at the time of moving a sound image position by a "jump" type (automatic control) type | mold position input may be a constant speed, an equivalent acceleration (acceleration direction, a deceleration direction), and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in the place of equivalent acceleration speed. Does not have to be the same.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trajectory may have a fluctuation such as a zigzag path or a random fluctuation.

또한, 새로운 위치 이벤트가 기록되었을 때에는(C39, C40), 도 7의 화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신의 음상 위치(Pg)로부터 일정 시간 전까지의 음상을 3D 청취 공간 내에 화상으로서 페이드아웃 표시함과 함께, 화면 단부의 현재 위치 표기(Dg)로 최신 음상 위치의 좌표값 Pg(x, y, z)를 표시한다. 이러한 위치 입력 조작에 기초한 위치 이벤트의 기록 처리가 있으면 (C39, C40), 즉각, 이동 시간(Δt)을「0」값으로 리세트하여 (스텝 C41), 위치 입력 조작 검출 단계(C34)로 돌아가고, 원 악곡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하지 않은 동안은(C35→NO), 전술한 스텝 C34∼C41의 동작을 반복하고, 위치 이벤트 기억 영역에 원 악곡 데이터 1곡 분량의 위치 이벤트를 기록하여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완성할 수 있다. When a new position event is recorded (C39, C40), as shown in the screen of Fig. 7, the sound image up to a certain time from the latest sound position Pg is faded out as a picture in the 3D listening space. At the same time, the coordinate value Pg (x, y, z) of the latest sound image position is displayed by the current position notation Dg at the end of the screen. If there is a recording process of the position event based on such a position input operation (C39, C40), the movement time Δt is immediately reset to a value of "0" (step C41), and the position input operation detection step C34 is returned. While the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music data is not finished (C35? NO), the above operations of steps C34 to C41 are repeated, and the position sequence data is recorded by recording the position event of one piece of the original music data in the position event storage area. Can be completed.

그리고 위치 입력 조작이 없고 (C34→NO) 더구나 원 악곡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되었을 때에는(C35→YES),「리트라이(retry)」를 지시하는 조작이 이루어졌는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C42). 즉, 원 악곡 데이터의 재생 종료시에는, 펑션 키(F2, F3)의 기능 할당이 변경되고,「F2」키에는 리플레이(replay) 기능이 할당되 며,「F3」키에는「(스텝 C13으로)되돌아가기」기능이 할당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스텝(C42)에서「F1」의 유저 조작에 의하여 리트라이(retry)를 지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래서 리트라이의 지시가 있었을 때는(C42→YES), 펑션 키(F2, F3)의 기능 할당을 원상 복귀한 후, 스텝 C3l로 돌아가, 재차, 스텝 C31∼C42의 동작을 반복하여 동일한 원 악곡 데이터에 관하여 새로운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작성한다. Then, when there is no position input operation (C34-> NO) and when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music data is finished (C35-> YE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 operation for instructing "retry" has been performed (step C42). . That is, at the end of playback of the original music data, the function assignments of the function keys F2 and F3 are changed, the replay function is assigned to the "F2" key, and the "(step C13)" is assigned to the "F3" key. "Retry" function is assigned, and it is determined in this step C42 whether a retry is instructed by the user operation of "F1". Therefore, when the retry instruction is issued (C42 to YES), the function assignments of the function keys F2 and F3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and the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C3l, and the operations of Steps C31 to C42 are repeated again. Create new position sequence data with respect to.

또한, 리트라이 지시가 아니라「F2」키 조작에 의한 리플레이(replay)의 지시가 있었을 때에는(C42→NO), 이 시퀀스 입력 처리를 종료하고, 도 4의 스텝 C20으로 리턴하여, 서버(SV)에 원 악곡 데이터의 악곡 ID와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송신하고 3D 악곡 데이터로의 변환을 리퀘스트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F3」키 조작에 의한「되돌아가기」지시가 있었을 때에도, 이 시퀀스 입력 처리를 종료하고, 즉각, 도 4의 스텝 C13(도 2의 스텝 C4에 상당)으로 되돌아가 새로운 원 악곡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replay instruction is issued by the operation of the &quot; F2 &quot; key instead of the retry instruction (C42? NO), the sequence input processing is terminated,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C20 in FIG. The music ID and the position sequence data of the original music data are transmitted, and a request for conversion to 3D music data is requested. Although not shown, even when a "back" instruction is issued by the operation of the "F3" key, this sequence input processing is terminated and immediately returns to step C13 (equivalent to step C4 in FIG. 2) of FIG. Original music data can be selected.

〔서버측의 처리〕Server-side processing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에 의한 서버측의 악곡 데이터 생성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며, 이 처리 플로우는, 특히, 도 2의 3D 변환 스텝(S5)에서, 유저 독자의 위치 시퀀스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3D 악곡 변환 동작의 보다 상세한 수순을 나타낸다. 서버(SV)는, 원 악곡 데이터베이스(DB)에 다수의 원 악곡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으며, 유저 관리 데이터 파일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CL)의 기종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나 유저 ID, 유저 어드레스 등의 단말기 정보를 기억하고 있 다. 또한, 이들의 원 악곡 데이터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MIDI 형식 혹은 MIDI 형식과 유사한 이벤트 형식으로 악음을 나타내는 이벤트 시퀀스 데이터, 혹은, ADPCM 등의 부호화 형식으로 악음 파형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 데이터이다. Fig. 8 is a flow chart showing music data generation processing on the server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processing flow is based on the position sequence of the user's own reader, especially in the 3D conversion step S5 of Fig. 2. Shows a more detailed procedure of the 3D music conversion operation to be performed. The server SV stores a large number of original music data in the original music database DB, and in the user management data file,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model of the client terminal CL, terminals such as a user ID and a user address, etc. I remember the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se original piece music data are event sequence data representing the sound in MIDI format or an event format similar to the MIDI format, or audio signal data representing the sound waveform in a coding format such as ADPCM.

그런데, 서버(SV)는, 3D 변환 대상이 되는 원 악곡 데이터의 악곡 ID와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CL)로부터 수신하여 3D 악곡으로의 데이터 변환의 리퀘스트를 접수하면, 우선, 수신한 악곡 ID 및 위치 시퀀스 데이터, 클라이언트 단말기(CL)의 기종,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CL)의 유저 어드레스 등의 리퀘스트 내용을 확인한다(스텝 Sl1). 다음으로, 해당 악곡 ID에 의해 특정되는 원 악곡 데이터를 원 악곡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판독하고 (스텝 S12), 또한, 유저 관리 데이터 파일로부터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CL)의 단말 정보를 판독한다(스텝 Sl3). 여기서, 판독되는 단말기 정보에는, 음량 밸런스 등의 보정 정보가 포함된다. By the way, when the server SV receives the music ID and position sequence data of the original music data to be 3D converted from the client terminal CL and receives a request for data conversion to the 3D music, the received music ID is first received. And request contents such as the position sequence data, the model of the client terminal CL, and the user address of the client terminal CL (step S1). Next, the original music data specified by the music ID is read from the original music database DB (step S12), and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client terminal CL is read from the user management data file (step Sl3). ). Here, the terminal information to be read includes correction information such as a volume balance.

다음으로, 수신한 위치 시퀀스 데이터의 좌표계를 음향용 좌표계로 변환한다 (스텝 Sl4). 그리고, 원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부분을 악음 트랙 정보(Mt)로 하고, 위치 시퀀스 트랙을 추가한다(스텝 S15). 이어서, 좌표계의 변환이 이루어진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위치 시퀀스 트랙에 기록하여 위치 시퀀스 트랙 정보(St)로 하고, 원 악곡 데이터의 헤더 부분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한 것을 헤더 정보(Hd)로서 부가함으로써, 원 악곡 데이터를 입체 음상 변화 효과 부여 악곡 데이터로 변환한다(스텝 S16). 또한, 악음 트랙 정보(Mt)가 복수 채널로 구성되는 경우, 위치 시퀀스 트랙 정보(St)에 대응되는 악곡 채널은 고정된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멜로디 파트 의 채널). 한편, 원 악곡 데이터가 이벤트 시퀀스 데이터 형식인 경우는, 서버(SV)측의 음원 회로에 의해, 원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오디오 신호 데이터를 악음 트랙 정보(Mt)로 치환한다. Next,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received position sequence data is converted into an acoustic coordinate system (step Sl4). Then, the data portion of the original music data is regarded as the music track information Mt, and a position sequence track is added (step S15). Subsequently, the position sequence data obtained by transforming the coordinate system is recorded in the position sequence track to be the position sequence track information St, and the addition of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header portion of the original music data is added as the header information Hd. The music data is converted into stereoscopic image change effect-providing music data (step S16). In addition, when the music track information M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nnels, the music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sequence track information St is assumed to be fixed (for example, a channel of the melody part). On the other hand, when the original music data is in the event sequence data format, the audio source circuit on the server SV side generates corresponding audio signal data based on the original music data, and converts the generated audio signal data into the soundtrack track information ( Mt).

이어서, 변환된 입체 음상 변화 효과 부여 악곡 데이터에 대하여, 음량 밸런스 등을 조정하는 밸런스 보정을 행한다(스텝 S17). 즉, 3D 악곡 변환을 리퀘스트한 클라이언트 단말기(CL)에 실장되어 있는 DSP의 사양에 따라서는, 3D 음향 효과를 부여한 채널의 볼륨이, 3D 음향 효과가 부여되지 않은 다른 채널의 볼륨보다도 내려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유저 단말기의 기종 정보로부터 음량 밸런스 등의 보정 정보를 취득하고, 이 보정 정보에 따라서 악음 트랙 정보(Mt)의 각 채널의 볼륨 보정을 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최적화한 음량 밸런스를 재현한다. Next, the balance correction which adjusts a volume balance etc.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converted stereoscopic sound change effect provision music data (step S17). That is,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DSP mounted on the client terminal CL requesting 3D music conversion, the volume of the channel to which the 3D sound effect is applied may be lower than the volume of another channel to which the 3D sound effect is not applied. . Therefore, correction information such as volume balance is obtained from the model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volume correction of each channel of the soundtrack track information Mt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orrection information to reproduce the volume balance optimized for the client terminal. .

이에 의해, 밸런스 보정이 이루어진 오디오 신호 데이터로 구성되는 악음 트랙 정보(Mt)와, 좌표계의 변환이 이루어진 위치 시퀀스 데이터로 구성되는 위치 시퀀스 트랙 정보(St)로 이루어지는 3D 악곡 데이터(Md)를 생성한다(스텝 Sl8). 그리고, 생성된 3D 악곡 데이터(Md)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CL)에 배신하면 (스텝 S19), 해당 리퀘스트에 대한 악곡 데이터 생성 처리를 종료하고, 새로운 리퀘스트의 접수 단계로 리턴한다. Thereby, 3D music data Md which consists of sound track information Mt composed of audio signal data with balance correction and position sequence track information St composed of position sequence data whose coordinate system is transformed is generated. (Step Sl8). When the generated 3D music data Md is distributed to the client terminal CL (step S19), the music data generation process for the request is ended, and the process returns to the accepting step of the new request.

〔여러 가지의 실시 양태〕 [Various embodiments]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은 단순한 일례이고, 본 발명은,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양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는, 서버측에서 ADPCM 형식 등의 오디오 신호 데이터로 변환한 3D(입체 음향 부여) 악곡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했지만, 3D 변환 기능을 클라이언트 단말기측에 갖게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서 변환을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one suitable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is invention can be variously chang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ind of invention,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aspects.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the server side provides 3D (stereoscopic sounding) music data converted into audio signal data such as ADPCM format, but the 3D conversion function is provided on the client terminal side to perform the conversion on the client terminal. It may be done.

실시예에서는, 원 악곡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송신하도록 했지만,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보존하고 있는 악곡 데이터를 원 악곡 데이터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성된 위치 시퀀스와 함께 서버로 송신하여 3D 변환을 리퀘스트하도록 해도 되며, 전술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서 3D 변환을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In the embodiment, the original music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but the music data stored in the client terminal can be used as the original music data. In this case, the 3D transformation may be requested by transmitting to the server along with the created position sequence, or 3D transformation may be performed on the client terminal as described above.

변환후의 3D 악곡 데이터의 악곡 트랙 정보(Mt)는, ADPCM 형식으로 국한하지 않는다. 다른 형식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 데이터여도 되며, MIDI 등의 이벤트 시퀀스 데이터 형식이어도 된다. 또한, MIDI 등의 이벤트 시퀀스 데이터 형식의 악곡 트랙 정보를 갖는 3D 악곡 데이터인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오디오 신호 데이터를 작성하여 3D 음향 효과를 부여하는 것은, 처리량적으로 곤란할 수가 있기 때문에, 3D 악곡 데이터의 이용에 앞서서 미리, 이벤트 시퀀스 데이터 형식의 악곡 트랙 정보를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데이터 형식의 악곡 트랙 정보로 치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usic track information Mt of the 3D music data after the conversion is not limited to the ADPCM format. The digital audio signal data in other formats may be used, or may be in the form of event sequence data such as MIDI. In addition, in the case of 3D music data having music track information in the form of event sequence data such as MIDI, it is difficult to produce audio signal data in real time and give 3D sound effects in the client terminal. Prior to use of the music data, it is preferable to replace the music track information of the event sequence data format with the music track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udio signal data format in advance.

위치 시퀀스 트랙 정보(St)에 의한 3D 효과는, 복수 채널의 악곡 트랙 정보(Mt)에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특정한 악곡 채널에 3D 음향 효과가 부가되어 있는 3D 악곡 데이터의 다른 악음 채널에 동일한 3D 효과를 부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1개의 원 악곡 데이터에 대하여 복수회 위치 시퀀스를 입력하고, 각 위치 시퀀스에 의해 원 악곡 데이터의 각 채널에 3D 변환을 가해도 된다. The 3D effect by the position sequence track information St can be added to the music track information Mt of a plurality of channels. For example, the same 3D effect may be added to another music channel of 3D music data in which the 3D sound effect is added to a specific music channel in advance. Moreover, you may input a position sequence multiple times with respect to one original music data, and may perform 3D conversion to each channel of original music data by each position sequence.

3D 효과가 이미 부가되어 있는 3D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면서, 그 위치 시퀀스 트랙을 수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3D 효과가 부여된 3D 악곡 데이터를 재생 중에 위치 시퀀스의 입력이 있으면, 기존의 위치 시퀀스로부터의 상대 변위로 위치 시퀀스를 갱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The position sequence track may be corrected while reproducing 3D music data to which a 3D effect has already been added. For example, if there is an input of a position sequence during reproduction of 3D music data given a 3D effect, the position sequence may be updated with relative displacement from the existing position sequence.

3D 악곡 데이터로의 변환을 행할 때, 연속하는 3 이상의 위치 변위의 궤적이 원점을 지나는 평면상에서 단조 변화할 경우에는, 2점간의 이동으로 치환하고, 데이터량의 압축을 도모하도록 해도 된다. 혹은, 시간 분해능을 떨어뜨려 데이터를 씨닝하여도 된다. When converting into 3D music data, when the trajectory of three or more continuous positional displacements is monotonically changed on the plane passing through the origin, it may be replaced by movement between two points to compress the data amount. Alternatively, the data may be thinned at a reduced time resolution.

과금 처리에 대해서는, 실시예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임의의 시점에서 과금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환 후의 3D 악곡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서 재생 가능하게 기록하는(즉,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데이터 라이브러리에 등록한다)시점에서 과금 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3D 악곡 데이터의 다운로드에 대한 과금과, 원 악곡 데이터로부터 3D 악곡 데이터로의 변환에 대한 과금을 나누어도 된다. 예를 들면, 이미 과금 처리가 실행되어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보존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를 변환하는 경우에는, 악곡 데이터 자체에 대한 재과금은 행하지 않고 변환 처리에 대해서만 추가 과금을 행한다. Although billing processing has not been described in the examples, billing can be performed at any point in time. For example, the charging process may be performed at the time when the converted 3D music data is downloaded and recorded on the client terminal so as to be reproduced (that is, registered in the data library of the client terminal). In this case, the charge for downloading the 3D music data and the charge for the conversion from the original music data to the 3D music data may be divid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converting music data that has already been charged and stored in the client terminal, additional charging is only performed for the conversion process without recharging the music data itself.

본 발명에 의한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서는, 서버(SV)는, 통신 수단(8)으로부터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CN)를 통하여, 통신 기능 및 악곡 재생 기능 을 갖는 휴대 전화용 단말기(CLa)나 퍼스널 컴퓨터(CLb)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CL)간에 송수신가능하고, 3차원(3D) 음향 특성 부여 악곡 데이터(3D 악곡 데이터 Md)의 토대로 되는 복수의 악곡 데이터(원 악곡 데이터)를 축적하는 원 악곡 축적 수단(DB)을 구비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CL)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원 악곡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원 악곡 데이터를 3차원 음향 특성 부여 악곡 데이터(3D 악곡 데이터 Md)로 변환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CL)로 배신할 수 있다. In the music data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SV is a mobile telephone terminal CLa or a personal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music reproduction function from the communication means 8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N such as the Internet. Original music accumulation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between client terminals CL, such as computer CLb, and accumulate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data (original music data) that are based on three-dimensional (3D) sound characteristic-provided music data (3D music data Md). A means DB, which transmits original music data in accordance with a request from the client terminal CL, or converts the original music data into three-dimensional acoustic characteristic-provided music data (3D music data Md) to the client terminal CL. You can betray

우선, 서버(SV)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CL)에 원 악곡 데이터가 송신되면(S4),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수신된 원 악곡 데이터의 진행에 대응하여, 유저 조작에 따라서 가상적인 음상 위치(Pg)가 되는 3차원(3D) 위치 좌표를 순차적으로 지시하고, 지시된 일련의 좌표 위치를 기억 수단에 기록해 간다(C6, C19, C34∼C41). 이 경우, 좌표 위치의 입력 방법에는, 실제의 좌표 위치를 연속적으로 순차 입력해 가는 제1 방법(C38)과, 유저 조작에 의해 지시되는 이동 양태에 따라서 좌표 위치를 입력하는 제2 방법(C40)이 있으며, 어느 하나의 방법 혹은 양쪽 방법을 병용할 수 있다. First, when the original music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SV to the client terminal CL (S4), the client terminal CL responds to the progress of the received original music data, and according to the user operation, the virtual sound image position ( The three-dimensional (3D) position coordinates to be Pg) are sequentially indicated, and the indicated series of coordinate positions are recorded in the storage means (C6, C19, C34 to C41). In this case, in the input method of the coordinate position, the first method C38 for continuously inputting the actual coordinate position sequentially and the second method C40 for inputting the coordinate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mode instructed by the user operation. There may be any one method or both methods in combination.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이와 같이 하여 1개의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여 일련의 좌표 위치(Pg)를 입력하면(C38, C40), 이 입력에 대응하여 기록된 일련의 좌표 위치를 위치 시퀀스 데이터로서 서버(SV)로 송신하고(S20), 서버(SV)는, 수신된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원 악곡 데이터에 부가하여 3차원 음향 특성 부여 악곡 데이터(Md)를 생성하고(S14∼S18), 이 3D 악곡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CL)에 배신한다(S19).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기(CL)는, 서버(SV)로부터 취득한 3차원 음향 특성 부여 악곡 데이터(Md)를 보존해 두고, 필요시에 입체 음향으로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기(CL)가 휴대 전화용 단말기(CLa)인 경우에는, 마치 스피커 위치를 뛰어넘어 자유롭게 음이 날아오는 것 같이 들리는 착신 통지음(착신 멜로디)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When the client terminal CL inputs a series of coordinate positions Pg corresponding to one piece of music data in this manner (C38, C40), the server sets the series of coordinate positions recor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put as the position sequence data. (S20), the server (SV) adds the received position sequence data to the original music data to generate three-dimensional acoustic characterization music data (Md) (S14 to S18). The data is distributed to the client terminal CL (S19). The client terminal CL stores the three-dimensional acoustic characteristic-provided music data Md obtained from the server SV, and can reproduce the stereoscopic sound if necessary. For example, when the client terminal CL is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CLa, it can be used as an incoming notification sound (incoming melody) that sounds as if a sound freely flows beyond the speaker posi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위치 지정 조작에 기초하여 가상 음원 위치(3D 위치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3차원 음향 특성 부여 악곡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유저 독자의 3차원 음향 특성 부여 음악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악곡 데이터의 어레인지를 행하는 것은 아니고, 가상 음원 위치를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원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면서, 유저에 의해 임의의 가상 음원 위치를 지정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3D 악곡 데이터를 그 악곡에 매치한 입체 음향으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좌표 위치의 시퀀스 입력에는 2가지의 방법이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의 지정이 곤란한 경우에는, 미리 준비해 둔 제2 방법에 의한 자동 기능에 따라서 위치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ree-dimensional acoustic characterization music data is generated by recording the virtual sound source position (3D position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positioning operation by the user in the client terminal, the user's own three-dimensional Sound characterization music content can be created. Furthermore, the virtual sound source position can be freely designated without arranging the music data. Further, since the user can designate an arbitrary virtual sound source position while reproducing the original music data, the 3D music data can be reproduced in three-dimensional sound matching the music. In addition, since two methods are prepared for the sequence input of the coordinate position, when the position designation is difficult, the position sequence can b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automatic function by the second method prepared in advance.

Claims (4)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으로서, A system comprising a server and a client terminal communicatively connected via a communication network, the system comprising: 서버는, The server, 복수의 악곡 데이터를 축적하는 원 악곡 축적 수단과, Original music storage means for accumulating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data; 상기 원 악곡 축적 수단으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판독하는 원 악곡 판독 수단과, Original music reading means for reading music data from the original music storing means;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시퀀스 수신 수단과, Sequence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position sequence data from a client terminal; 상기 악곡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악곡 데이터에 상기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부가함으로써, 3차원 음향 특성으로써 재생 가능한 위치 시퀀스 부여 악곡 데이터를 생성하는 3차원 악곡 생성 수단과, Three-dimensional music generation means for generating position sequence-provided music data reproducible as three-dimensional acoustic characteristics by adding the position sequence data to the music data read by the music reading means; 상기 위치 시퀀스 부여 악곡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송신하는 3차원 악곡 송신 수단을 구비하며, Three-dimensional music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said positional sequence provision music data to a client terminal,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The client terminal is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가상적인 음상의 위치 좌표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시퀀스 입력 수단과, Sequence input means for sequentially inputting position coordinates of a virtual sound image based on a user operation; 입력된 일련의 위치 좌표를 위치 시퀀스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시퀀스 기록 수단과, Sequence recording means for recording the input position coordinates as position sequence data; 기록된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하는 시퀀스 송신 수단과, Sequence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recorded position sequence data to the server; 위치 시퀀스 부여 악곡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3차원 악곡 수신 수단과, Three-dimensional music reception means for receiving position sequence-adjusted music data from a server; 수신된 위치 시퀀스 부여 악곡 데이터를 재생 가능하게 기억하는 3차원 악곡 기억 수단과, Three-dimensional music storage means for reproducingly storing the received positional sequence provision music data; 기억된 위치 시퀀스 부여 악곡 데이터를 3차원 음향 특성으로써 재생하는 3차원 악곡 재생 수단Three-dimensional music reproducing means for reproducing the stored position sequence-provided music data as three-dimensional acoustic characteristics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 Music data 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서버는,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의 리퀘스트에 따라서 상기 악곡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악곡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송신하는 원 악곡 송신 수단을 구비하며, The server further comprises original music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music data read by the music reading means to the client terminal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client terminal,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또한The client terminal, 악곡 데이터를 요구하는 리퀘스트를 서버로 송신하는 리퀘스트 송신 수단과, Request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a request for music data to a server; 송신된 리퀘스트에 따라서 서버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는 원 악곡 수신 수단과, Original music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music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tted request; 수신된 악곡 데이터를 재생 가능하게 기억하는 원 악곡 기억 수단을 구비하며, Original music storage means for reproducibly storing the received music data, 상기 시퀀스 입력 수단에 의한 위치 좌표의 입력은, 상기 원 악곡 기억 수단 에 기억된 악곡 데이터의 재생과 병행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 The input of the position coordinates by the sequence input means is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reproduction of the music data stored in the original music storage mean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시퀀스 입력 수단은, 유저 조작에 의해 순차적으로 지시되는 좌표 위치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제1 입력 수단, 및 / 또는, 유저 조작에 의해 지시되는 이동 양태에 따른 좌표 위치 계열을 생성하여 입력하는 제2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 The sequence input means includes: first input means for continuously inputting coordinate positions sequentially instructed by a user operation, and / or second second for generating and inputting a coordinate position sequence according to a movement mode instructed by a user operation. A music data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input means.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컴퓨터에게, To a computer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 server via a communications network, 악곡 데이터를 요구하는 리퀘스트를 서버로 송신하는 리퀘스트 송신 스텝과, A request sending step of sending a request for music data to a server, 송신된 리퀘스트에 따라서 서버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는 원 악곡 수신 스텝과, An original music reception step of receiving music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tted request; 원 악곡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악곡 데이터를 재생 가능하게 기억하는 원 악곡 기억 스텝과, An original music storage step for reproducingly storing music data received in the original music reception step, and 원 악곡 기억 스텝에서 기억된 악곡 데이터를 재생함과 함께, 유저 조작에 의해 순차적으로 지시되는 좌표 위치를 연속적으로 입력함으로써, 및 / 또는, 유저 조작에 의해 지시되는 이동 양태에 따른 좌표 위치를 입력함으로써, 가상적인 음상의 위치 좌표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시퀀스 입력 스텝과, By reproducing music data stored in the original music storage step, continuously inputting coordinate positions sequentially indicated by user operation, and / or inputting coordinate positions according to the movement mode indicated by user operation. A sequence input step of sequentially inputting position coordinates of a virtual sound image, 시퀀스 입력 스텝에서 입력된 일련의 위치 좌표를 위치 시퀀스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시퀀스 기록 스텝과, A sequence recording step of recording a series of position coordinates input in the sequence input step as position sequence data; 기록된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하는 시퀀스 송신 스텝과, A sequence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recorded position sequence data to the server; 리퀘스트 송신 스텝에서 송신된 리퀘스트에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에 상기 위치 시퀀스 데이터를 부가함으로써 생성된, 3차원 음향 특성으로써 재생 가능한 위치 시퀀스 부여 악곡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3차원 악곡 수신 스텝과, A three-dimensional music reception step of receiving, from the server, position sequence-provided music data that can be reproduced as a three-dimensional acoustic characteristic, generated by adding the position sequence data to the music data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transmitted in the request transmission step; 3차원 악곡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위치 시퀀스 부여 악곡 데이터를 재생 가능하게 기억하는 3차원 악곡 기억 스텝과, A three-dimensional music storage step for reproducibly storing the positional sequence-provided music data received in the three-dimensional music reception step; 3차원 악곡 기억 스텝에서 기억된 위치 시퀀스 부여 악곡 데이터를 3차원 음향 특성으로써 재생하는 3차원 악곡 재생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수순을 실행시키기 위한 악곡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music data generating program for executing a procedure comprising a three-dimensional music reproducing step of reproducing a position sequence-provided music data stored in a three-dimensional music storage step as a three-dimensional acoustic characteristic.
KR1020060026920A 2005-03-24 2006-03-24 Music data produc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music data producing program KR10077318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86869A JP4075901B2 (en) 2005-03-24 2005-03-24 Music data generation system and program
JPJP-P-2005-00086869 2005-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232A true KR20060103232A (en) 2006-09-28
KR100773186B1 KR100773186B1 (en) 2007-11-02

Family

ID=3701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920A KR100773186B1 (en) 2005-03-24 2006-03-24 Music data produc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music data producing progra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75901B2 (en)
KR (1) KR100773186B1 (en)
CN (1) CN1838230B (en)
TW (1) TW20070538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006B1 (en) * 2009-06-24 2014-03-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externalized sound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9322B2 (en) * 2006-10-12 2014-01-15 ヤマハ株式会社 Sound image moving device
JP4905206B2 (en) * 2007-03-23 2012-03-28 ヤマハ株式会社 Sequence playback device
JP5401864B2 (en) * 2008-08-01 2014-01-29 ヤマハ株式会社 Acoustic apparatus and program
KR102137589B1 (en) * 2018-08-27 2020-07-24 남민우 System for Providing 3D Stereophonic Sound and Method thereof
CN109920397B (en) * 2019-01-31 2021-06-01 李奕君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udio function in physics
CN115225884A (en) * 2022-08-30 2022-10-21 四川中绳矩阵技术发展有限公司 Interactive reproduction method, system, device and medium for image and soun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86628A2 (en) * 2000-05-05 2001-11-15 Sseyo Limited Automated generation of sound sequences
JP3724410B2 (en) 2001-10-29 2005-12-07 ヤマハ株式会社 Music edit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and music editing program used for portable terminal
KR20030073914A (en) * 2002-03-13 2003-09-19 김인권 how to make a sound resource into handset bell sound by user editing himself
KR20040049224A (en) * 2002-12-05 2004-06-11 주식회사 블루치네트워크 Real-time Authoring System and Method for Audio Data Using Internet
KR20060033467A (en) * 2004-10-15 2006-04-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Sound package surpporting system and sound package surpor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iton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006B1 (en) * 2009-06-24 2014-03-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externalized sound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186B1 (en) 2007-11-02
TWI295794B (en) 2008-04-11
CN1838230A (en) 2006-09-27
TW200705383A (en) 2007-02-01
JP2006267672A (en) 2006-10-05
CN1838230B (en) 2010-05-12
JP4075901B2 (en)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186B1 (en) Music data produc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music data producing program
KR20060069209A (en) Hand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laying electronic music
JP4755672B2 (en) Content edit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JP723493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7199220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music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JP4232445B2 (en) File delivery apparatus, file delivery method and program
JP598638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lyrics display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795358B1 (en) Music video service method and system and terminal
JP2014071226A (en) Music reproduction system and music reproduction method
JP2002244654A (en) Device and system for distribution and play device
JP5630447B2 (en) Karaoke system
JP4983012B2 (en) Apparatus and program for adding stereophonic effect in music reproduction
JP2006091680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gram
JP2011191357A (en) Karaoke system
WO20220497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0731232B1 (en) Musical data edit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erefor
JP7149203B2 (en) karaoke system
JP6699137B2 (en) Data management device, content playback device, content playback method, and program
JP2014071214A (en) Music reproduction device, music reproduction system and music reproduction method
JP3876262B2 (en) Sound image localization changing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5278195A (en) Apparatus for creating/reproducing program, method therefore and storage medium
KR100574436B1 (en) Garaoke system for collecting the hire of sound source and method of collecting the hire of sound source in the system
JP4546431B2 (en) Song data providing device, song data providing method, song data extraction program
JP3811765B2 (en) GAME DEVICE, GAME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2420005A (en) Panoramic sound effect network collabo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