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018A - Antenna apparatus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Antenna apparatus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018A
KR20060103018A KR1020050025155A KR20050025155A KR20060103018A KR 20060103018 A KR20060103018 A KR 20060103018A KR 1020050025155 A KR1020050025155 A KR 1020050025155A KR 20050025155 A KR20050025155 A KR 20050025155A KR 20060103018 A KR20060103018 A KR 20060103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mobile communication
data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1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5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3018A/en
Priority to CNB2006100076612A priority patent/CN100461797C/en
Publication of KR20060103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0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위성 또는 지상파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신호를 송,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데이터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별도의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비디오 및 음향신호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채널 및 볼륨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요기능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디엠비신호를 송, 수신 할 수 있는 디엠비 신호수신부가 마련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360도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와 힌지 결합되며 그 전, 후면에 화상정보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폴더부를 갖는 폴더타입의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 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인출되며 그 전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부가 구비된 데이터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a separate data input for inputting a data sig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atellite or terrestrial DMB signal (DIMBTAL MULTIMEDIA BROADCASTING) By providing a device,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can watch the video and audio signals, and can easily adjust the channel and volume, as well as conveniently control the main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put device, and further comprising a main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DM signal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M signal, and hinged to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A folder having a folder section having first and second display sections for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on the screen In the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via the one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is received or withdrawn and comprises a data input unit having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front Provided is a data input device of a DMMB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 디엠비 신호수신부, 데이터 입력부 DMB communication terminal, DMB signal receiver, data input unit

Description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ANTENNA APPARATUS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Data input device of DMB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TENNA APPARATUS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1 and 2 illustrate a conventional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의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종래의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가 본체부에 대하여 360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lder of a conventional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a main body.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3 to 5 illustrate a data input device of a DMB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부가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에서 인출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a data input unit is drawn out of a main body of a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부가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ata input unit is rotated with respect to a main body of a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 110 : 폴더부100: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folder portion

111 : 서브 디스플레이부 112 : 메인 디스플레이부111: sub display unit 112: main display unit

120 : 본체부 121 : 키 입력부120: main body 121: key input unit

122 : 지지체 130 : 힌지부122: support 130: hinge portion

131 : 제1 연결부 132 : 제2 연결부131: first connecting portion 132: second connecting portion

133 : 제3 연결부 140 : 카메라모듈133: third connection portion 140: camera module

200 : 데이터 입력부 201 : 키 입력부200: data input unit 201: key input unit

202 : 메뉴 입력부202: menu input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위성 또는 지상파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신호를 송,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데이터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별도의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비디오 및 음향신호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채널 및 볼륨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요기능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a separate data input for inputting a data sig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atellite or terrestrial DMB signal (DIMBTAL MULTIMEDIA BROADCASTING) By providing a device,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can watch the video and audio signals, and can easily adjust the channel and volume, as well as conveniently control the main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It relates to a data input device.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특정인과의 음성통화가 가능한 무선 통신장치로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기 위하여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가 포함된 호출메시지를 기지국 호출채널을 통하여 송출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오는 경우에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and make a voice call with a specific pers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call message including a unique number of a recei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base station call channel to call a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that, when a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ystem is configured to enable a call between the sender and the receiver.

또한 상기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서비스는 상기 디 엠비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엠비신호 수신단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나 PDA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나 차량용 리시버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채널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신개념의 위성 방송 서비스이다.In additio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ervice can watch a multi-channel multimedia broadcast anytime, anywhere through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receiver such as a portable terminal or a PDA equipped with a DMB signal receiving end capable of receiving the DMB signal. It is a new concept satellite broadcasting service.

상기 디엠비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음성통화를 하거나 메시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디엠비 신호수신부에서 수신된 디엠비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비디오신호나 오디오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화상표시부 및 음향출력부를 통하여 시청하거나 청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the DMB signal is basically configured to make a voice call or a message communication as described above, but include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included in the DMMB signal received by the DMMB signal receiver. Can be viewed or listened to through the image display unit and the audio output unit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여기서 상기 디엠비신호를 통하여 비디오신호나 오디오신호를 시청하거나 청취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viewing or listening to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through the DM sig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종래의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가 본체부에 대하여 360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and 2 show a conventional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gure 2 is a folder portion of a conventional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ate rotated 360 degrees.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주요기능을 담당하는 복수의 칩(미도시)과 디엠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엠비 신호수신부(미도시)가 마련된 메인 피씨비(미도시)가 본체부(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120)는 그 전 후면에 각각 서브 디스플레이부(111)와 메인 디스플레이부(112)가 구비된 폴더부(110)와 힌지부(130)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어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plurality of chips (not shown) in charge of main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 DM signal receiving unit (not shown) capable of receiving DM signals. The main PC (not shown) provided with the main body 12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20, and the main body 120 has a sub display unit 111 and a main display unit 112 at the front and rear thereof, respectively. It is hinged by the folder unit 110 and the hinge unit 130.

여기서 상기 힌지부(130)는 상기 폴더부(110)가 상기 본체부(120)에 대하여 360도 회동되어 상기 본체부(12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종래의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더부(110)가 본체부(120)에 대하여 360되 회전함에 따라 상기 폴더부(110)에 구비되어 있던 메인 디스플레이부(112)가 외측으로 드러나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112)에서 출력되는 화상정보를 시청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Here, the hinge unit 130 is formed so that the folder unit 110 may be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it 120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unit 120, and the conventional DMB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s shown in FIG. 2, the main display unit 112 provided in the folder unit 110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folder unit 110 rotates 36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it 120. The user is configured to view imag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ain display unit 112.

그러나 상기 종래의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112)에서 출력되는 화상정보를 시청하는 중간에 필요에 의하여 방송을 중단하거나 단문메시지를 수신 받았을 때 그 확인 및 취소를 위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버튼을 눌러야 하는데, 종래의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메인 디스플레이부(112)가 구비되어 있는 상기 폴더부(110)에는 전술한 제어버튼이 구비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상기 본체부(120)에 구비되어 있는 키 입력부(121)를 사용하여 그 기능을 조작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tops the broadcast or receives a short message when necessary while the user is watching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ain display unit 112. It is necessary to press the corresponding control button, the main body portion 110 is provided with the main display unit 112 of the conventional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ecause the above-described control button is not provided in the main body por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unction must be manipulated using the key input unit 121 provided in the 120.

또한 상기 화상신호가 출력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2)는 가로상태로 보이고 상기 키 입력부(121)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112)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와는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술한 기능의 제어를 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비된 메인 디스플레이부(112)와 키 입력부(121)를 상호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display unit 112 outputting the image signal is shown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key input unit 121 is not provid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main display unit 112, In order to control one function, it is inconvenient to operate the main display unit 112 and the key input unit 121 provided in different direction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성 또는 지상파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신호를 송,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데이터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별도의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비디오 및 음향신호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채널 및 볼륨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요기능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sig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atellite or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ignal. By providing a data input device, a user watching the video and audio signal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easily adjust the channel and the volume, and can also conveniently control the main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input device of a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엠비신호를 송, 수신 할 수 있는 디엠비 신호수신부가 마련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360도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와 힌지 결합되며 그 전, 후면에 화상정보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폴더부를 갖는 폴더타입의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 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인출되며 그 전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부가 구비된 데이터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M signal receiving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M signal, and hinged to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it can be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the front, rear In a folder type DMB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older unit having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for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is stored in or withdrawn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un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is a data input device of a DMB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data input unit including a key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data.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위성 또는 지상파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신호를 송,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데이터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별도의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비디오 및 음향신호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채널 및 볼륨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요기능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by providing a separate data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data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atellite or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ignals. Thus, the user watching the video and audio signals can easily control the channel and the volume, and can conveniently control the main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부가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에서 인출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3 to 5 illustrate a data input device of a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hape in which a data input unit is drawn out of a main body of a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데이터 입력부(200)는 디엠비신호를 송, 수신 할 수 있는 디엠비 신호수신부(미도시)가 마련된 본체부(120) 및 상기 본체부(120)에 대하여 360도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20)와 힌지 결합되며 그 전, 후면에 화상정보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11, 112)가 구비된 폴더부(110)를 갖는 폴더타입의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20)의 일측 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부(120)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인출되며 그 전면에 상기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부(201)가 구비된 데이터 입력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data input unit 200 of the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unit 120 provided with a DM signal receiver (not shown)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M signals. And first and second display parts 111 and 112 which are hinged to the main body 120 so as to be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20 and output image information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reof. In the folder type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folder unit 110, through the one side of the main body 120 is received or withdrawn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20, the front of the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ata input unit 200 is provided with a key input unit 201 that can input data to the 100.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데이터 입력부(200)는 상기 본체부(120)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판면(板面)의 형상을 가지며 그 전면에는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키 입력부(201)와 각종 메뉴를 조작할 수 있는 메뉴키(202) 가 구비된다.The data input unit 200 of the DMB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a shape of a plate surface so that it can be stored or withdrawn into the main body 120.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key input unit 201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 menu key 202 for operating various menus.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부(120)에서 인출된 데이터 입력부(200)는 상기 폴더부(110)에 구비된 메인 디스플레이부(112)에서 제공되는 화상신호를 시청하기 위하여 상기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지면에 경사지게 놓았을 시 상기 지면과 경사진 각도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20)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데이터 입력부(200)가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부(120)에 대하여 회동되는 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data input unit 200 withdrawn from the main body unit 120 of the DMB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view an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main display unit 112 provided in the folder unit 110. For example, when the DMMB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clined to the ground, the DMMB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20 so as to correspond to an inclined angle with the ground. The data input unit 200 may be rotated.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rotated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부가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ata input unit is rotated with respect to a main body of a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데이터 입력장치로서 상기 본체부(120)에서 인출된 데이터 입력부(200)는 상기 본체부(120)에서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 상기 본체부(120)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그 일측 말단부가 상기 본체부(120)와 힌지 결합된다.As shown in FIG. 4, the data input unit 200 withdrawn from the main body 120 as a data input device of the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withdrawn from the main body 120. When one end portion is hinged to the body portion 120 so that it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120.

또한 상기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지면에 놓았을 시 본체부(120)가 지면에 닿는 부분을 하면이라 하고, 그와 대응되는 부분을 상면이라 하며, 각각 좌, 우측 방향에 따라 좌면 및 우면이라 하였을 시, 상기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112)에서 제공되는 화상신호의 출력방향과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 입력부(200)는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100) 본체부(120)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placed on the ground, the main body portion 120 is called the lower surface,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is called the upper surfac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data input unit 200 may maintain the same balance as the output direction of the image signal provided by the main display unit 112 while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D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100) it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20).

그리고 상기 본체부(120)에는 상기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눕혔을 때 상기 본체부(120)가 상기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유지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체(1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ody 122 is formed on the main body 120 so that the main body 120 can be supported by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when the DMMB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laid down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mor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Naturally, it belongs to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위성 또는 지상파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신호를 송,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데이터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별도의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비디오 및 음향신호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채널 및 볼륨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요기능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DMB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eparately input a data sig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atellite or terrestrial DMB signal. By providing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user, the user watching the video and audio signals using the mobile terminal can not only easily adjust the channel and volume, but also can conveniently control the main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Claims (4)

디엠비신호를 송, 수신 할 수 있는 디엠비 신호수신부가 마련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360도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와 힌지 결합되며 그 전, 후면에 화상정보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폴더부를 갖는 폴더타입의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First and second hinge-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to be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DM signal re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MB signal and the main body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on the front and rear In the folder-type DMB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older unit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상기 본체부의 일측 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인출되며 그 전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부가 구비된 데이터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And a data input unit having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or withdrawing into the main body unit through one side of the main body unit and having a front panel for inputting data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ata entry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그 일측 말단부가 상기 본체부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And the one end portion of the data input unit is hinged to the main body unit so that the data input unit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it when completely extracted from the main body uni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본체부의 일측 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 길이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One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is a data input device of the DM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눕혔을 때 상기 본체부가 상기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유지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The main body un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formed so that the main body portion can be supported by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aid down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Data input device.
KR1020050025155A 2005-03-25 2005-03-25 Antenna apparatus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103018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155A KR20060103018A (en) 2005-03-25 2005-03-25 Antenna apparatus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B2006100076612A CN100461797C (en) 2005-03-25 2006-02-15 Data input device for DMB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155A KR20060103018A (en) 2005-03-25 2005-03-25 Antenna apparatus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018A true KR20060103018A (en) 2006-09-28

Family

ID=3701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155A KR20060103018A (en) 2005-03-25 2005-03-25 Antenna apparatus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103018A (en)
CN (1) CN100461797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1477B (en) * 2011-08-19 2016-09-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obile terminal and screen layout's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84702Y (en) * 2001-05-09 2002-04-03 周学良 Portable telescopic mobile telephone set
EP1335567A1 (en) * 2002-02-04 2003-08-13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Double rotation axis type clam shell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61797C (en) 2009-02-11
CN1838684A (en)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8285B1 (en) Mobile terminal
CN102196072B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US8467833B2 (en) Mobile terminal
JP4111988B1 (en) Open / clos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video switching method
US8140055B2 (en) Method for perform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n a dual-hinge type mobile terminal
JP2005136457A (en) Mobile phone, reproducing method, and program
WO2006051669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N101087375A (en) Multichannel scan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ual DMB-enabled mobile phone
JP200608118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in terminal equipment
KR101463808B1 (en) Mobile terminal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KR100703371B1 (en) Method for offer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87442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63447B1 (en)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in wireless terminal
JPH0758814A (en) Portable telephone set
JP4859796B2 (en) Open / clos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20060103018A (en) Antenna apparatus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99969B1 (en) Antenna with integrated dmb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80261B1 (en) DMB TV using support battery case
JP4667227B2 (en) Mobile phone
JP2005101879A (en) Portable telephone device
KR20040036466A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vision in mobile telephone
KR100690769B1 (en) Service mode conversion apparatus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32588B1 (en) Portable terminal
EP1835643A1 (en) Method for simultaneously outputting first and second digital broadcast data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JP4907404B2 (en) Electr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