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2758A - Usb digital stethoscope - Google Patents

Usb digital stethosco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2758A
KR20060102758A KR1020050024678A KR20050024678A KR20060102758A KR 20060102758 A KR20060102758 A KR 20060102758A KR 1020050024678 A KR1020050024678 A KR 1020050024678A KR 20050024678 A KR20050024678 A KR 20050024678A KR 20060102758 A KR20060102758 A KR 20060102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unit
biosignal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6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69532B1 (en
Inventor
박기영
Original Assignee
썬메디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메디텍 (주) filed Critical 썬메디텍 (주)
Priority to KR1020050024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532B1/en
Priority to PCT/KR2006/001101 priority patent/WO2006101375A1/en
Priority to CNA2006800095024A priority patent/CN101146482A/en
Publication of KR20060102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7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5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69Greenhouses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9Outdoor lighting of gard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청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집된 흉부음을 증폭 및 필터링하여, 유에스비포트를 통해 생체신호분석알고리즘에 의해 흉부음의 파형을 저장하고 들을 수 있는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stethosco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B stethoscope that can amplify and filter the collected chest sounds, and store and listen to the waveform of the chest sounds by a biosignal analysis algorithm through the USB port.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생체신호를 집음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집음기로 이루어진 입력부; 상기 전기음향신호를 증폭시키는 제 1 증폭기, 상기 증폭된 전기음향신호 중 소정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초저역통과필터, 상기 초저역통과필터를 통해 출력된 생체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증폭기, 상기와 같이 증폭된 생체신호를 소정의 필터를 통해 일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잡음을 제거하는 오디오유닛부로 이루어진 제어부; 상기 π필터&역 L형필터를 통해 출력된 신호를 음향신호로 출력하는 이어폰 또는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출력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진단시 흉부음 데이터베이스와 진단소스트웨어에 근거한 임상데이터와 처방전을 발행하기 때문에 신뢰성 있는 진단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USB digital stethoscop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mprises: an input unit including a collector for collecting and converting a biological signal generated from a human body into an electrical signal; A first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lectroacoustic signal, an ultra low pass filter for pass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mong the amplified electroacoustic signals, a second amplifier for amplifying a biosignal output through the ultra low pass filter, and the like A control unit including an audio unit unit for removing the noise by passing only the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hrough the amplified biosignal through a predetermined filter; An output unit comprising an earphone or a speaker for outputting a signal output through the π filter & inverse L-type filter as an acoustic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because the clinical data and prescription based on the thorax sound database and diagnostic software at the time of diagnosis provides a reliable diagnosis possible effect.

청진기, 디지털청진기, 흉부음, 생체신호, 유에스비 Stethoscope, Digital Stethoscope, Chest, Biosignal, USB

Description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USB DIGITAL STETHOSCOPE}USB Digital Stethoscope {USB DIGITAL STETHOSCO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로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의 시스템블록도,1 is a system block diagram of a USB digital stethoscop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로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의 시스템블록도,2 is a system block diagram of a USB digital stethoscop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로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의 시스템블록도,3 is a system block diagram of a USB digital stethoscop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분석프로그램의 진행을 나타낸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progress of a biosignal analysis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의 시스템블록도내의 π필터와 역 L형 필터를 나타낸 회로도,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π filter and an inverse L-type filter in a system block diagram of a USB digital stethosc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의 시스템블록도내의 샘플과 호울드에 대해 설명한 신호표시도,6 is a signal display diagram illustrating samples and holders in a system block diagram of a USB digital stethosc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분석과 진단프로그램을 캡춰한 화면,7 is a screen capturing a biosignal analysis and diagnostic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내지 도 7d는 생체진단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출한 임상진단그래프를 캡춰한 화면이다.7A to 7D are screens capturing clinical diagnostic graphs detected using a biopsy program.

본 발명은 디지털 청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집된 흉부음을 증폭 및 필터링하여, 유에스비포트를 통해 생체신호분석알고리즘에 의해 흉부음의 파형을 저장하거나 출력하여 청취할 수 있는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stethosco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US digital stethoscope that amplifies and filters the collected chest sounds, and stores or outputs the waveforms of the chest sounds by a biosignal analysis algorithm through a USB port. It is about.

1819년 라에네크가 발명한 전통적인 아날로그 청진기는 흉부음 탐지부와 이어피스부(earpiece)와 상기 흉부음 탐지부와 이어피스부를 연결하는튜부를 포함한 청진기이다.The traditional analog stethoscope, invented by Raenek in 1819, is a stethoscope that includes a thoracic detector and an earpiece and a tub connecting the thoracic detector and the earpiece.

상기 기계식으로 이루어진 청진기는 현재까지 의료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자식 청진기(아날로그 증폭방식)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The mechanical stethoscope is widely used in the medical field to date, and recently, the electronic stethoscope (analog amplification method) has been conver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청진기는 장시간 진료업무를 행할 때, 진료의사들의 청각장애 및 통증은 심각한 수준에 이른다. 이로 인해 진료의사들의 귀에 대한 통증으로 인해 환자를 진료하는데 문제점이 상당 수 발생하여 오진료의 원인으로까지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When the stethoscope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or a long time, the hearing loss and pain of the doctors reach a serious level. As a result, a large number of problems occurred in treating patients due to pain in the ears of the doctors, leading to the cause of the misdiagnosis.

한편 기존의 아날로그 청진기와 최근의 전자식 청진기는 흉부음을 감지하는데 있어서, 의사 혼자만이 청취하고 또한 의사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인해 오진율이 비교적 높은 편이며, 청진기를 통해 들리는 소리도 환자자신과 보호자는 듣지 못해 일방적인 진료가 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analog stethoscope and the recent electronic stethoscope detect the chest sound only by the doctor alone, and the error rate is relatively high due to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individual doctor. There was a problem that one-sided medical treatment was performed without hearing.

또한, 기존의 아날로그 청진기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인해 진료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기가 불가능하였고, 따라서 원격 전송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nalog stethoscope was impossible to store the medical data in the database due to the analog method, and thus there was a problem that remote transmission is impossibl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음된 생체신호를 USB를 통하여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는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B digital stethoscope that can store and reproduce the collected biological signals through the USB.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료데이터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원격 전송이 가능한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B digital stethoscope capable of remote transmission by converting medical data into a digital signal and making a databa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료시 흉부음 데이터베이스와 진단소프트웨어에 의해 객관적이며 신뢰성있는 진단을 하기 위한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SB digital stethoscope for objective and reliable diagnosis by a chest sound database and diagnostic software during medical examin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청진기의 사용으로 인한 의사들의 청각장애 및 통증을 극복하고자 하는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B digital stethoscope to overcome the hearing impairment and pain of doctors due to the use of a conventional stethoscop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생체신호를 집음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집음기로 이루어진 입력부;In accordance with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B digital stethoscop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put unit including a collector for collecting and converting a biological signal generated from a human body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전기음향신호를 증폭시키는 제 1 증폭기; 상기 증폭된 전기음향신호 중 소정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초저역통과필터; 상기 초저역통과필터를 통해 출력된 생체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증폭기; 상기와 같이 증폭된 생체신호를 소정 의 필터를 통해 일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잡음을 제거하는 오디오유닛부; 로 이루어진 제어부;A first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lectroacoustic signal; An ultra low pass filter for pass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mong the amplified electroacoustic signals; A second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biosignal output through the ultra low pass filter; An audio unit for removing noise by passing only the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hrough the amplified biosignal as described above; Control unit consisting of;

상기 오디오유닛부를 통해 출력된 신호를 음향신호로 출력하는 이어폰 또는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출력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utput unit including an earphone or a speaker for outputting a signal output through the audio unit as a sound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구체적으로, 상기 초저역통과필터의 주파수는 1.0KHz로 설정하고, 샘플링회로의 주파수를 2.0KHz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frequency of the ultra low pass filter is set to 1.0KHz, and the frequency of the sampling circuit is set to 2.0KHz or more.

또한, 상기 오디오유닛부는 증폭기로부터 흉부음을 검출하는 신호검출회로; 상기 신호검출회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일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잡음을 제거하는 π필터&역 L형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dio unit may include a signal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a chest sound from an amplifier; And a π filter & an inverted L-type filter for removing noise by passing only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hrough th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detection circu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생체신호를 집음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집음기로 이루어진 입력부;In accordance with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B digital stethoscop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put unit including a collector for collecting and converting a biological signal generated from a human body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전기음향신호를 증폭시키는 제 1 증폭기; 상기 증폭된 전기음향신호 중 소정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초저역통과필터; 상기 초저역통과필터를 통해 출력된 생체신호를 자동이득조절기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신호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생체신호를 원(original)신호에 근접한 상태로 유지 또는 제어하는 자동이득조절기; 상기 자동이득조절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샘플링(sampling)하거나 호울딩(holding)하기 위한 샘플&호울드 회로; 상기 샘플링 또는 호울딩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인코딩/디코 딩, 볼륨조절, 음성 검출, 잡음조절 기능을하고, 신호 압축 및 복원 기능을 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의 출력을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컨버터; 상기 D/A컨버터 출력의 진폭(Amplitude)을 제어하는 신호조절볼륨기; 로 이루어진 제어부;A first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lectroacoustic signal; An ultra low pass filter for pass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mong the amplified electroacoustic signals; A signal input interface for transmitting the biosignal output through the ultra low pass filter to an automatic gain controller; An automatic gain adjuster for maintaining or controlling a bio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input interface in a state close to an original signal; A sample & holder circuit for sampling or holding a signal output from the auto gain controller; An A / D converter converting the sampled or hon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encoding / decoding, volume control, voice detection, noise control, and signal compression and recovery; A D / A converter converting an output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ting the analog signal; A signal adjusting volume group for controlling an amplitude of the output of the D / A converter; Control unit consisting of;

상기 신호조절볼륨기의 출력을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dio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n output of the signal adjusting volume unit as an audio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구체적으로, 또한, 상기 음성출력부는 이어폰 또는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voice outpu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arphone or speak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생체신호를 집음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집음기로 이루어진 입력부;In accordance with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B digital stethoscope includes: an input unit configured to collect a biosignal generated from a human body and convert the bio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전기음향신호를 증폭시키는 제 1 증폭기; 상기 증폭된 전기음향신호 중 소정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초저역통과필터; 상기 초저역통과필터를 통해 출력된 생체신호를 자동이득조절기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신호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생체신호를 원(original)신호에 근접한 상태로 유지 또는 제어하는 자동이득조절기; 상기 자동이득조절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샘플링(sampling)하거나 호울딩(holding)하기 위한 샘플&호울드 회로; 상기 샘플링 또는 호울딩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인코딩/디코딩, 볼륨조절, 음성 검출, 잡음조절 기능을하고, 신호 압축 및 복원 기능을 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 로 이루어진 제어부;A first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lectroacoustic signal; An ultra low pass filter for pass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mong the amplified electroacoustic signals; A signal input interface for transmitting the biosignal output through the ultra low pass filter to an automatic gain controller; An automatic gain adjuster for maintaining or controlling a bio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input interface in a state close to an original signal; A sample & holder circuit for sampling or holding a signal output from the auto gain controller; An A / D converter converting the sampled or hon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encoding / decoding, volume control, voice detection, noise control, and signal compression and recovery; Control unit consisting of;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퍼스널컴퓨터로 소정의 형태로 입력하기 위한 유에스비포트; 상기 유에스비포트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진단, 분석하는 퍼스널컴퓨터; 로 이루어진 출력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 USB port for inpu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to a personal computer in a predetermined form; A personal computer for diagnosing and analyz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USB port by a predetermined algorithm; Output portion consisting of;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구체적으로, 상기 오디오유닛부는 증폭기로부터 흉부음을 검출하는 신호검출회로; 상기 신호검출회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일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잡음을 제거하는 π필터&역 L형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audio unit unit signal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chest sounds from the amplifier; And a π filter & an inverted L-type filter for removing noise by passing only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hrough th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detection circuit.

또한, 상기 유에스비포트를 통하여 신호를 DOWN STREEM, UP STREEM, 16BIT MONO STREEM, 24BIT STREO STREEM 중의 어느 한 형태로 입출력하는 신호전송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transmission form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the signal through any one of DOWN STREEM, UP STREEM, 16 BIT MONO STREEM, 24 BIT STREO STREEM through the USB port.

또한, 상기 유에스비포트와 접속되는 퍼스널컴퓨터는 상기 집음기를 통해 생체신호인 혈압, 체온, 호읍음 또는 산소포화도(SpO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받아 흉부음신호의 수집 및 일괄관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ersonal computer connected to the U-S Vi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lection of the chest sound signal and collective management by receiving any one or more of the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hoeup or oxygen saturation (SpO 2 ) that is a biological signal through the sound collector It is done.

또한, 상기 퍼스널컴퓨터에 흉부음신호를 이용하여 필요데이터를 생성하는 해닝윈도우(Hanning Window)부; 생체신호에 대한 진단 또는 분석하기 위한 급속푸리에변환부와 대수에너지교차율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hanning window unit for generating necessary data by using a chest sound signal to the personal computer; And a fast Fourier transform unit and an algebraic energy crossing rate calculator for diagnosing or analyzing the biosignal.

또한, 상기 급속푸리에변환부와 대수에너지교차율 산출부에 생체신호진단알고리즘(LCR알고리즘)이 포함되어, 각 흉부음에 대한 대수에너지교차율을 분석하여 퍼스널컴퓨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ast Fourier transform unit and the logarithmic energy cross-section calculation unit includes a biosignal diagnostic algorithm (LCR algorithm), characterized in that for analyzing the logarithmic energy cross-rate for each chest sound to display on the monitor of the personal computer.

또한, 상기 퍼스널컴퓨터의 모니터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nitor of the personal comput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scree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생체신호를 집음하여 제어부로 전송가능한 기능을 갖는 집음부;In accordance with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B digital stethoscope includes: a sound collecting unit having a function capable of collecting a biological signal generated in a human body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biological signal to a controller;

상기 집음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를 증폭, 소정의 주파수에 대하여 필터링, 변환 및 컨트롤하여 출력부로 전송 가능한 기능을 갖는 제어부;A controller having a function of amplifying, filtering, converting, and controll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sound collect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filtered signal to a output unit;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진단, 분석 가능한 기능을 갖는 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output unit displaying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or having a function capable of diagnosis and analysis by a predetermined algorithm.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featur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로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의 시스템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집음기(110), 증폭기(210, amplifier), 초저역통과필터(220, LPF), 증폭기(230), 오디오유닛부(240), 이어폰 또는 스피커(310)로 구성된다.1 is a system block diagram of a USB digital stethoscop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sound collector 110, an amplifier 210, an ultra low pass filter 220, LPF, amplifier 230, the audio unit 240, earphones or speakers 310 are composed of.

입력부(100)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생체신호(thoracic signal)를 집음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하는 집음기(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바람직 하게는 인체의 흉부에서 발생되는 소리 또는, 생체신호(thoracic signal)를 집음하여 상기 증폭기(21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The input unit 100 is preferably a sound collector 110 that collects a biological signal generated by the human body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Furthermore, preferably, the sound or thoracic signal generated from the chest of the human body is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amplifier 210.

제어부는(200)는 상기 집음기(110)로부터 전송된 전기음향신호를 증폭시키는 제 1 증폭기(210)와 상기 증폭된 전기음향신호 중 소정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초저역통과필터(220)와 상기 초저역통과필터(220)로부터 출력된 생체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증폭기, 상기와 같이 증폭되어 출력되는 생체신호를 소정의 필터를 통해 일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잡음을 제거하는 오디오유닛부(24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상기 초저역통과필터(220)는 1.0KHz로 설정되어 1.0KHz 이하의 주파수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유닛부(240)는 신호검출회로(242)와 π필터&역 L형필터(241)로 구성되며, 상기 π필터&역L형필터(241)는 생체신호가 초저역통과필터(220)를 통과하여 출력된 신호에서 일부 새어나오는 고주파신호를 제거하며, 상기 고주파신호가 생체신호의 원(original)신호를 변형되는 것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The control unit 200 is an ultra-low pass filter 220 for pass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mplifier 210 and the amplified electroacoust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nd collector 110 and the A second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biosignal output from the ultra-low pass filter 220, the audio unit 240 to remove the noise by passing the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hrough a predetermined filter through the biosignal amplified and output as described above Preferably, the ultra-low pass filter 220 is set to 1.0KHz to block frequencies below 1.0KHz. The audio unit 240 includes a signal detection circuit 242 and a π filter & inverse L-type filter 241. The π filter & inverse L-type filter 241 has an ultra-low pass filter of a bio signal. It removes a part of the high frequency signal leaking out of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220, and protects the high frequency signal from being transformed into the original signal of the biological signal.

출력부(300)는 상기와 같이 오디오유닛부(24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음향신호로 출력가능한 이어폰 또는 스피커(31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put unit 300 is preferably an earphone or a speaker 310 capable of outpu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unit 240 as a sound signal as described above.

상기 π형필터는 흉부음신호가 초저역통과필터(220)를 통과하여 출력된 신호에서 일부 새어 나오는 고주파신호를 제거하게 되며, 상기 고주파신호가 흉부음의 원(original)신호를 변형시키므로 π형필터에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 후, 역 L형필터에서, 고주파성분을 이중으로 제거하여 원(original)신호를 재생하며, 상기 π형필터와 역 L형필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L(coil)과 C(capacitor)로 구성된 회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π-type filter removes a part of the high frequency signal leaked from the output signal through the ultra low pass filter 220, the high-frequency signal deforms the original signal of the chest sound (π-type filter) In this case, after removing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in the inverse L-type filter,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is removed twice to reproduce the original signal. ) And C (capacitor) is preferably a circui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로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의 시스템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집음기(110), 증폭기(410), 초저역통과필터(420), 신호입력 인터페이스(430), 자동이득조절기(440), 샘플&호울드회로(450), A/D컨버터(460), 디지털신호처리부(470), D/A컨버터(480), 신호조절볼륨(490), 음성출력수단(510)으로 구성된다.2 is a system block diagram of a USB digital stethoscop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sound collector 110, the amplifier 410, the ultra low pass filter 420, the signal input interface 430, the automatic gain regulator 440, the sample & holder circuit 450, A / D converter ( 460,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470, the D / A converter 480, the signal control volume 490, and the audio output means (510).

입력부(100)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생체신호를 집음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하는 집음기(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인체의 흉부에서 발생되는 소리 또는, 생체신호(thoracic signal)를 집음하여 상기 증폭기(41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The input unit 100 is preferably a collector 110 that collects a biolog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human body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More preferably, the sound is generated from the chest of the human body, or collects a biological signal (thoracic signal) and transmits to the amplifier 410.

제어부(400)는 상기 집음기(110)로부터 전송된 전기음향신호를 증폭시키는 제 1 증폭기(410)와 상기 증폭된 전기음향신호 중 소정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초저역통과필터(420)와 상기 초저역통과필터(420)를 통해 출력된 생체신호를 자동이득조절기(440)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입력 인터페이스(430)와 상기 신호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생체신호를 원(original)신호에 근접한 상태로 유지 또는 제어하는 자동이득조절기(440)와 상기 자동이득조절기(44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샘플링(sampling)하거나 호울딩(holding)하기 위한 샘플&호울드 회로(450)와 상기 샘플링 또는 호울딩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460)와 인코딩/디코딩, 볼륨조절, 음성 검출, 잡음조절 기능을 하고, 신호 압축 및 복원 기능을 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470)와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의 출력을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컨버터(480)와 상기 D/A컨버터(480) 출력의 진폭(Amplitude)을 제어하는 신호조절볼륨기(490)로 이루어진다.The control unit 400 is an ultra low pass filter 420 and the ultra low pass to pass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mplifier 410 and the amplified electroacoust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nd collector 110 The signal input interface 430 for transmitting the biosignal output through the pass filter 420 to the automatic gain controller 440 and the bio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input interface are kept close to the original signal. Or a sample & holder circuit 450 for sampling or holding a signal output from the auto gain controller 440 and the auto gain controller 440 for controlling and the sampled or holdered analog. An A / D converter 460 for converting a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digital signal processor 470 for encoding / decoding, volume control, voice detection, noise control, and signal compression and restoration The D / A converter 480 converts the output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signal, and a signal adjusting volume unit 490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the output of the D / A converter 480.

아울러, 상기 A/D컨버터(460)와 D/A컨버터(480)는 THD(Total Harmonic Distortion) 0.01(%), SNR(Signal Noise Ratio) 96(dB)이상의 성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THD(Total Harmonic Distortion)는 흉부음의 원신호에 대한 재생율이 0.01(%)이하의 정확한 재생율을 나타내고, SNR(Signal Noise Ratio)을 96(dB)이상으로 설정한 것은 흉부음 신호와 잡음의 분리도 비율을 약 100,000 대 1로 정밀히하여 최상의 분리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다.In addition, the A / D converter 460 and the D / A converter 480 preferably have a performance of THD (Total Harmonic Distortion) of 0.01 (%) and SNR (Signal Noise Ratio) of 96 (dB) or more. (Total Harmonic Distortion) shows the accurate reproduction rate of the original signal of the chest sound less than 0.01 (%), and the SNR (Signal Noise Ratio) is set to 96 (dB) or more, the separation of the chest signal and noise It is a figure that shows the best degree of separation by precisely adjusting the ratio to about 100,000 to 1.

상기 신호조절볼륨(490)은 상기 D/A컨버터(480;DAC)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스피커나 이어폰으로 왜곡(Distortion)되지 않은 흉부음을 듣기 위해 전단(pre-stage)에서 바이어스를 설정하는 모듈로써, 증폭된 흉부음(Analog Signal)을 가변저항에 의해 흉부음의 진폭(Amplitude)크기만 조정하고 주파수(Frequency)는 유지시키고 증폭된 신호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The signal adjusting volume 490 sets the bias at the pre-stage to hear the thorax that is not distorted by the speaker or earphone with the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D / A converter 480 (DAC). As a module, the amplified analog signal is controlled by a variable resistor to adjust only the amplitude of the chest sound, maintain the frequency and adjust the amplified signal.

상기 자동이득조절기(440)는 증폭도가 미약한 신호에 대해서는 크게 증폭하고, 신호가 강한 신호는 작게 증폭하여 항시 일정한 신호로 입력되도록 하는 회로이다. 그리고 샘플&호울드회로(4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흉부음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비트(bit)로 변화할때 불연속시간(non-continuous)에 데이터를 만들어 내기 위해 2.0KHz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샘플링 회로를 통해 샘플링(sampling)을 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를 잡아 그 값을 유지시키는 호울딩(holding)을 하게 된다.The automatic gain controller 440 is a circuit that amplifies a signal having a weak amplification greatly and amplifies a signal having a strong signal small so that it is always input as a constant signal. In addition, the sample & holder circuit 450 generates 2.0 data in a non-continuous time when changing the bit to convert the chest soun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s shown in FIG. 6. Sampling is performed through a sampling circuit having a frequency above KHz, and the digital signal is held to hold the digital signal.

출력부(500)는 상기와 같이 신호조절볼륨(49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음향신호로 출력가능한 음성출력수단(510)인 이어폰 또는 스피커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put unit 500 is preferably an earphone or a speaker which is a voice output means 510 capable of outpu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adjusting volume 490 as an acoustic signa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로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의 시스템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집음기(110), 증폭기(610), 초저역통과필터(620), 신호입력 인터페이스(630), 자동이득조절기(640), 샘플&호울드(650), A/D컨버터(660), 디지털신호처리부(670), 유에스비포트(710), PC(720)로 구성된다.3 is a system block diagram of a USB digital stethoscop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sound collector 110, amplifier 610, ultra low pass filter 620, signal input interface 630, automatic gain controller 640, sample & holder 650, A / D converter 660 ),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670, a USB port 710, PC (720).

입력부(100)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생체신호를 집음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하는 집음기(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인체의 흉부에서 발생되는 소리 또는, 생체신호(thoracic signal)를 집음하여 상기 증폭기(61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The input unit 100 is preferably a collector 110 that collects a biolog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human body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More preferably, it collects sound generated from the chest of the human body or a thoracic signal and transmits the sound to the amplifier 610.

제어부(600)는 상기 집음기(110)로부터 전송된 전기음향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610)와 상기 증폭된 전기음향신호 중 소정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초저역통과필터(620)와 상기 초저역통과필터(620)를 통해 출력된 생체신호를 자동이득조절기(640)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입력 인터페이스(630)와 상기 신호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생체신호를 원(original)신호에 근접한 상태로 유지 또는 제어하는 자동이득조절기(640)와 상기 자동이득조절기(64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샘플링(sampling)하거나 호울딩(holding)하기 위한 샘플&호울드 회로(650)와 상기 샘플링 또는 호울딩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660)와 인 코딩/디코딩, 신호 압축 및 복원 기능을 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670)로 이루어진다.The control unit 600 includes an amplifier 610 for amplifying the electroacoust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nd collector 110 and an ultra low pass filter 620 for pass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mong the amplified electroacoustic signals, and the ultra low pass filter. Maintain or control the signal input interface 630 for transmitting the bio signal output through the 620 to the automatic gain controller 640 and the b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input interface in a state close to the original signal. A sample & holder circuit 650 for sampling or hold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auto gain controller 640 and the auto gain controller 640 and the sampled or honed analog signal. A / D converter 660 for converting into a digital signal and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670 for encoding / decoding, signal compression and recovery function.

출력부(700)는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670)로 출력되는 신호를 PC(720)로 소정의 형태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유에스비포트(710)와 상기 유에스비포트(71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진단, 분석하는 PC(720)로 구성된다.The output unit 700 transmits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670 to the PC 720 in a predetermined form and inputs a signal input through the USB port 710 and the USB port 710. It consists of the PC 720 which diagnoses and analyzes by a predetermined algorithm.

아울러,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670)에 전송된 신호는 유에스비포트(710)에 의해 PC(720)에 내장된 별도의 보조기억장치인 ROM과 RAM에 버퍼링(BUFFERING)시키거나, 상기 신호를 상기 PC(720)에 저장된 생체신호진단, 분석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액정화면에 표시한다. In addition,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670 is buffered (BUFFERING) to the ROM and RAM, which is a separate auxiliary storage device built into the PC 720 by the US B port 710, or the signal The biosignal diagnosis and analysis program stored in 720 is inpu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또한, 상기 유에스비포트(710)를 통한 흉부음 디지털신호는 상기 PC(720)에 DOWN & UP STREEM, 16BIT MONO STREEM, 24BIT STREEM 형태로 수신 또는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본화률(6.4 ~ 48KHz)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유에스비포트(710)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충전이 가능한 별도의 충전지를 이용하며, 상기 충전지는 상기 유에스비포트(710)를 사용하는 동안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receive or transmit the chest sound digital signal through the USB port 710 in the form of DOWN & UP STREEM, 16BIT MONO STREEM, 24BIT STREEM to the PC 720, and change the sampling rate (6.4 ~ 48KHz). It is possible to use, if the use of the USB port 710, it is possible to use a separate rechargeable battery, the rechargeable battery is preferably made while using the USB port 710.

본 발명의 장치전원은 유에스비포트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므로 별도의 전원이 필요치 않으며, 평시에는 내장된 충전전지(3.6V Ni-cd)를 충전하지만,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와 기존의 아날로그청진기와 같이 사용하고자 할 때는 별도로 내장된 충전전지(3.6V Ni-cd)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청진기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Since the device p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USB port, it does not need a separate power supply, and normally charges the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3.6V Ni-cd), but it is used with the USB digital stethoscope and the existing analog cleaner. If you want to use a separate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3.6V Ni-cd) can be used in the form of an analog stethoscop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진단, 분석프로그램의 진행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우선 생체신호분석의 진행은 집음기(110)로부터 수신한 흉부청진음, 혈압, 체온, 호흡음, 산소포화도 등의 생체신호는 유에스비포트(710)를 통하여 PC(720)에 전달된다.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progress of the biosignal diagnosis and analysis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of all, the biosignal analysis proceeds to the PC 720 through the US Bepot 710 through the U.S. behaviour 710, such as chest hearing sound,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respiratory sound, and oxygen saturation received from the sound collector 110.

상기 PC(720)에는 생체진단알고리즘이 설치되어 있어, 집음기(110,도 1,2,3도시)로부터 수집된 흉부음데이터의 처리과정 및 표시가 가능하며, 유에스비포트(710)를 통해 전송받은 생체신호를 급속푸리에변환부(FFT)와 대수에너지교차율(LCR)산출부(713)에 포함된 소정의 생체신호분석알고리즘에 의해 각 생체신호에 대한 대수에너지교차율을 분석하여 모니터(714)에 표시한다.The PC 720 is equipped with a bio-diagnostic algorithm, which enables processing and display of chest sound data collected from the sound collector 110 (shown in FIGS. 1, 2, and 3), and is received through the USB PORT 710. The biosignal is analyzed on a logarithmic energy crossover rate for each biosignal by a predetermined biosignal analysis algorithm included in the fast Fourier transform unit (FFT) and the logarithmic energy crossover rate (LCR) calculation unit 713 and displayed on the monitor 714. do.

상기 모니터(714)에서 나타내는 모든 수치 값과 프로그램의 동작상태는 모니터(730)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모니터(714)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되어 있고 쉽게 동작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진료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ll numerical values represented by the monitor 714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ogram are displayed on the monitor 730. Since the monitor 714 is a touch screen and can be easily operated, the time for medical examination is shortened.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흉부음 신호의 특징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신호의 분석을 통하여 음향학적 매개변수들이 필요되며, 흉부음 신호는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흉부음 정보이다. 상기 아날로그 흉부음 정보를 디지털화 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하드웨어적인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흉부음 정보가 손실되지 않는 범위에서 압축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흉부음 정보의 압축이란 신호가 지니는 리던 던시(redundancy)정보를 제거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흉부음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아무런 제어없이 흉부음 신호를 인식기에 입력하는 경우, 많은 리던던시로 이루어져 있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인식기 자원의 낭비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인식기 자원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서 입력되는 음성에 대해서 정해진 폭의 분석 구간을 정의(구간정의 때 해닝윈도우가 최적)하고 이 구간에서의 음성의 특징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거나 활용하게 된다.In order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oracic signal, acoustic parameters are required through signal analysis. The thoracic signal is analog thoracic information continuously input over time. It is necessary to digitize the analog chest information, an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hardware resources, a compression process is required in a range where the chest information is not lost. Compression of chest information is to remove and store the redundancy information of the signal. When the chest signal is input to the recognizer without any control to recognize the chest information, it processes data consisting of a lot of redundancy. Waste of identifier resources is generated.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waste of recognizer resources, an analysis section of a defined width is defined for the input voice (Hanning window is optimal at the time of section defin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in this section are analyzed or used or utilized. Done.

대수에너지교차율은 상기 PC(700)에 내장된 대수에너지교차율 산출부(720)에서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하게 된다. The algebraic energy crossover rate i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1 in the algebraic energy crossover rate calculator 720 built in the PC 700.

Figure 112005015638068-PAT00001
Figure 112005015638068-PAT00001

Figure 112005015638068-PAT00002
Figure 112005015638068-PAT00003
Figure 112005015638068-PAT00002
Figure 112005015638068-PAT00003

Figure 112005015638068-PAT00004
Figure 112005015638068-PAT00004

상기 TH는 임계치(Threshold Value)이며 입력값의 특성과 다양한 실험결과에 의해 결정되기도 하며, 문턱치를 결정하는 것과 계산량이 커다란 난제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TH값이 항상 일정하지 않다라는 가정을 하고, 입력신호의 특성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관측하여 입력신호의 특성을 평균적으로 사용하여 결정한다. 즉 입력되는 변수에 의해 임계치가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신호 검출을 위해 경험적으로 사용되는 임계치는 고정적이므로 상황에 따라 변화되는 임계치를 결정하며, 음성 데이터를 FFT하여 20Hz~4KHz까지의 에너지의 합과 LCR 그리고 에너지의 연속적인 증가 여부들을 사용하여 생체신호구간을 검출하게 된다.The TH is a threshold value and may be determ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value and various experimental results. Since the threshold value and the computational difficulty are larg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TH value is not always constant. It observes the chan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nal and decides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signal on average. That is, the threshold value is determined by the input variable. Therefore, the threshold that is used empirically for signal detection is fixed, and the threshold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is determined.FFT voice data is used to determine the biometric value by using the sum of energy from 20Hz to 4KHz, LCR and continuous increase of energy. Signal section is detected.

한편, 생체신호진단의 진행은 집음기(110)로부터 수신한 흉부청진음, 혈압, 체온, 호흡음, 산소포화도 등의 생체신호는 유에스비포트(710)를 통하여 PC(720)에 전달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ogress of the biosignal diagnosis is a biosignal such as chest hearing sound,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breathing sound, oxygen saturation received from the sound collector 110 is transmitted to the PC 720 through the USB PORT.

상기 PC(720)에는 생체진단알고리즘이 설치되어 있어, 집음기(110)로부터 수집된 흉부음데이터의 처리과정 및 표시가 가능하며, 유에스비포트(710)를 통해 전송받은 생체신호를 해닝윈도우(711;Hanning Window)를 통과시켜 진단, 분석에 필요한 소정의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The PC 720 is equipped with a bio-diagnostic algorithm, the processing and display of the chest sound data collected from the sound collector 110, and can display the biologica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USB port 710 Hanning window 711; Through the Hanning Window, it generates the data necessary for diagnosis and analysis.

상기 PC(720)에 전송된 생체신호는 급속푸리에변환부(FFT)와 대수에너지교차율(LCR)산출부(713)에 포함된 소정의 생체신호분석알고리즘에 의해 각 생체신호에 대한 대수에너지교차율을 분석하여 모니터(714)에 표시한다.The biosignal transmitted to the PC 720 is a logarithmic energy crossover ratio for each biosignal by a predetermined biosignal analysis algorithm included in the fast Fourier transform unit (FFT) and the logarithmic energy crossover ratio (LCR) calculation unit 713. It analyzes and displays on the monitor 714.

상기 모니터(714)에서 나타내는 모든 수치 값과 프로그램의 동작상태는 모니터(714)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모니터(714)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되어 있고 쉽게 동작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진료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ll numerical values and operating states of the program displayed on the monitor 714 are displayed on the monitor 714. Since the monitor 714 is a touch screen and can be easily operated, the time for medical examination is shortened.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또한, 상기 PC(720)는 유에스비포트(710)를 통해 전송된 흉부청진음, 혈압, 체온, 호흡음, 산소포화도 등과 같은 생체신호를 제공받아 소정의 혈압, 체온, 호흡음 등의 수치표시알고리즘(715)을 통해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각각의 수치를 터치 스크린이 가능한 모니터(714)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C 720 receives a biological signal such as chest hearing sound,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respiratory sound, and oxygen satur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US Beport 710, and displays numerical values such as predetermined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respiratory sound, and the like. The biosignal may be analyzed through 715 to display respective numerical values on the monitor 714 capable of a touch screen.

이와 같이, 진단, 또는 분석된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상기 PC(720)또는 별도의 퍼스널컴퓨터로 전송하여 임상데이터로 저장하고 흉부신호를 눈으로 보고 의사의 소견이 함께 기록되어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uch,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diagnosed or analyzed digital data signal to the PC 720 or a separate personal computer to store the clinical data, and to view the chest signal visually and to record and use the doctor's findings.

이로 인해 기존의 아날로그 청진기의 큰 단점인 데이터의 손실과 의사 개인의 주관적인 소견만으로 환자의 병명이나 증상이 판단되어지는 점을 방지 할 수도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tient's disease or symptoms from being judged only by the loss of data and the subjective findings of the individual doctor, which are the major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analog stethoscop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분석과 진단프로그램을 캡춰한 화면으로 도 7을 참조하여 각 부분의 기능을 설명하면, ①은 흉부음을 녹음하는 버튼, ②는 흉부음을 재생하는 버튼, ③은 흉부음의 녹음이나 재생에 대한 멈춤버튼, ④는 흉부음의 데이터베이스를 불러오기 위한 열기버튼, ⑤는 흉부음의 내용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버튼, ⑥은 흉부음의 데이터베이스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 위한 버튼, ⑦은 환자의 체온을 표시하는 창, ⑧은 환자의 혈압의 최고치와 최저치를 표시하는 창, ⑨는 환자의 맥박수를 표시하는 창, ⑩은 진단알고리즘인 LCR값을 표시하는 창(LCR값에 의해 기관지염, 폐렴, 천식을 구별함), ⑪은 흉부음을 녹음할 때 녹음레벨을 표시하는 창, ⑫는 흉부음을 데이터에서 부르거나 진단할 때 표시되는 스펙트로그램(주파수는0~1.0KHz와 1.0~2.0KHz로 표시함)으로 표시하는 것이고, ⑬은 ⑭에서 표시된 흉부음을 원음의 지정된구간(⑮)을 확대하여 표시되는 원음파형이며, ⑭는 흉부음을 데이터베이스에서 부르거나 진단할 때 표시되는(녹음된) 전반적인 흉 부음의 길이이다.7 is a screen capturing a biosignal analysis and diagnostic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functions of each part will be described. ① is a button for recording chest sounds, ② is a button for reproducing chest sounds, and ③ Is the stop button for recording or playing the thorax, ④ is the open button for loading the thorax database, ⑤ is the save button for storing the contents of the thorax, and ⑥ is for saving the thorax database under a different name. ⑦ is a window for displaying the patient's body temperature, ⑧ is a window for displaying the maximum and minimum of the patient's blood pressure, ⑨ is a window for displaying the pulse rate of the patient, and a window for displaying the LCR value, which is a diagnostic algorithm. Values distinguish bronchitis, pneumonia, and asthma), a window showing recording levels when recording chest sounds, and spectrograms displayed when calling or diagnosing chest sounds from data (frequency is 0 to 1.0). KHz 1.0 ~ 2.0KHz), ⑬ is the original sound wave displayed by expanding the designated section of the original sound in ⑭, ⑭ is displayed when calling or diagnosing chest sound in database Length of overall thorax being recorded (recorded).

상기 ⑫, ⑭에 대한 예시도는 도 7a내지 도 7d에 상기 생체진단프로그램(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검출한 임상진단그래프로 생체신호에 따른 파형과 스펙트로그램을를 캡춰한 화면이다.7A to 7D are screens capturing waveforms and spectrograms according to a biosignal as clinical diagnostic graphs detected using the biodiagnostic program (algorithm) in FIGS. 7A to 7D.

도 7a는 정상인의 Normal 호흡음을 받은 파형으로 깨끗한 형태의 파형을 보이고 있고, 도 7b는 비정상인의 abnormal 호흡음으로 천식 환자의 파형을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7c는 mild asthma(초기 천식)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7d는 moderate asthma(보통 천식) 상태를 나타내고 있슴을 확인 할 수 있다.Figure 7a shows a waveform of a clean form with a normal breathing sound of a normal person, Figure 7b shows a waveform of an asthma patient with abnormal breathing sound of a normal person, Figure 7c shows a mild asthma (initial asthma) state Figure 7d shows that the moderate asthma (usually asthma) state can be confirmed.

⑮는 전체파형의 일부 구간으로, 의사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파형을 보고 이 부분이 문제가 있다고 할 때 그 구간에 대해 세부분석이 가능하다.Is a section of the overall waveform, and when the doctor sees the waveform in the database and says that it is a problem, the section can be analyzed in detai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 이외에도 의사와 환자 또는 피교육자가 환자의 흉부음을 동시에 듣기를 원하거나, 진료하면서 동시에 흉부음을 디스플레이하려면 유에스비포트(710, 도 3도시)에서 바로 D/A컨버터(480;DAC, 도 2도시)를 통하여 신호크기가 조절가능한 신호조절볼륨(490, 도 2도시)을 통과하여, 음성출력수단인(510) 스피커나 이어폰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various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f the doctor and the patient or the trainee wants to hear the chest sound of the patient at the same time, or at the same time to display the chest sound at the same time the D / A converter in the USB port (710, Figure 3) Through the signal control volume 490 (shown in FIG. 2) whose signal size is adjustable through the DAC (shown in FIG. 2), the audio output means 510 may be output to a speaker or earphon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는 생체신호(thoracic signal)를 수집하여, 특히 유에스비를 통한 생체신호진단프로그램에 의해 집음기에 의한 흉부음을 귀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액정디스플레이(LCD)와 소리(Earphone/Speaker)로 들을 수 있고, 또한 생체신호진단알고리즘에 의해 흉부음을 디지털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진료환자의 인적사항과 의사의 임상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Therefore, the USB digital stethosc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 biological signal (thoracic signal), in particular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sound that shows the sound of the sound collector by the sound collector by the biosignal diagnostic program through the USB It can be heard by (Earphone / Speaker), and also it can store chest sound as digital data by biosignal diagnosis algorithm, and it also includes the function to save the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doctor's clinical record.

그리고, 상기 디지털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와 생체신호분석알고리즘과 별도의 진단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최적의 진단명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의사들의 객관적인 진료와 데이터 통계처리에 의한 진단이 가능하여 고부가가치가 있는 유에스비를 이용한 디지털청진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data can provide an optimal diagnosis name in connection with a database, a biosignal analysis algorithm, and a separate diagnosis database, and can be diagnosed by objective medical treatment and data statistical processing of doctors using the database. Digital stethoscope system can be implemented by using USB.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를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the USB digital stethosc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the claims of the following claims deviate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아날로그 청진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유발되는 신체적인 고통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that can overcome the physical pain caused to the user when using a conventional analog stethoscope.

또한, 진찰시 흉부음을 환자와 보호자간 함께 보고 들을 수 있기 때문에 객관적인 진료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chest sound can be seen and heard between the patient and the guardian at the time of examination, an objective treatment is provided.

또한, 진단시 흉부음 데이터베이스와 진단소스트웨어에 근거한 임상데이터와 처방전을 발행하기 때문에 신뢰성 있는 진단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linical data and prescriptions based on the thorax database and diagnostic software are issued at the time of diagnosis, thereby providing a reliable diagnosis.

그리고, 흉부음데이터베이스를 의사들간에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hest sound database can be shared among doctors, thus improving the quality of medical care.

또한, 환자의 사후관리 및 치료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정보로써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as a variety of information on the post-care and treatment of the patient.

Claims (12)

디지털청진기에 있어서,In the digital stethoscope, 인체에서 발생되는 생체신호를 집음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집음기로 이루어진 입력부;An input unit configured to collect a bio signal generated in a human body and convert the bio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전기음향신호를 증폭시키는 제 1 증폭기; 상기 증폭된 전기음향신호 중 소정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초저역통과필터; 상기 초저역통과필터를 통해 출력된 생체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증폭기; 상기와 같이 증폭된 생체신호를 소정의 필터를 통해 일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잡음을 제거하는 오디오유닛부; 로 이루어진 제어부;A first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lectroacoustic signal; An ultra low pass filter for pass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mong the amplified electroacoustic signals; A second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biosignal output through the ultra low pass filter; An audio unit unit for removing noise by passing only the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hrough the amplified biosignal as described above; Control unit consisting of; 상기 오디오유닛부를 통해 출력된 신호를 음향신호로 출력하는 이어폰 또는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And an output unit comprising an earphone or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audio unit as a sound signal. 디지털청진기에 있어서,In the digital stethoscope, 인체에서 발생되는 생체신호를 집음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집음기로 이루어진 입력부;An input unit configured to collect a bio signal generated in a human body and convert the bio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전기음향신호를 증폭시키는 제 1 증폭기; 상기 증폭된 전기음향신호 중 소정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초저역통과필터; 상기 초저역통과필터를 통 해 출력된 생체신호를 자동이득조절기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신호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생체신호를 원(original)신호에 근접한 상태로 유지 또는 제어하는 자동이득조절기; 상기 자동이득조절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샘플링(sampling)하거나 호울딩(holding)하기 위한 샘플&호울드 회로; 상기 샘플링 또는 호울딩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인코딩/디코딩, 신호 압축 및 복원 기능을 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의 출력을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컨버터; 상기 D/A컨버터 출력의 진폭(Amplitude)을 제어하는 신호조절볼륨기; 로 이루어진 제어부;A first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lectroacoustic signal; An ultra low pass filter for pass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mong the amplified electroacoustic signals; A signal input interface for transmitting the biosignal output through the ultra low pass filter to an automatic gain controller; An automatic gain adjuster for maintaining or controlling a bio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input interface in a state close to an original signal; A sample & holder circuit for sampling or holding a signal output from the auto gain controller; An A / D converter converting the sampled or hon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encoding / decoding, signal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functions; A D / A converter converting an output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ting the analog signal; A signal adjusting volume group for controlling an amplitude of the output of the D / A converter; Control unit consisting of; 상기 신호조절볼륨기의 출력을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An audio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n output of the signal adjusting volume unit as an audio signal; USBI digital stethoscop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디지털청진기에 있어서, In the digital stethoscope, 인체에서 발생되는 생체신호를 집음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집음기로 이루어진 입력부; An input unit configured to collect a bio signal generated in a human body and convert the bio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전기음향신호를 증폭시키는 제 1 증폭기; 상기 증폭된 전기음향신호 중 소정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초저역통과필터; 상기 초저역통과필터를 통해 출력된 생체신호를 자동이득조절기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신호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생체신호를 원(original)신호에 근접한 상태로 유지 또는 제어하는 자동이득조절기; 상기 자동이득조절기로부터 출력된 신호 를 샘플링(sampling)하거나 호울딩(holding)하기 위한 샘플&호울드 회로; 상기 샘플링 또는 호울딩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인코딩/디코딩, 신호 압축 및 복원 기능을 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 로 이루어진 제어부; A first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lectroacoustic signal; An ultra low pass filter for pass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mong the amplified electroacoustic signals; A signal input interface for transmitting the biosignal output through the ultra low pass filter to an automatic gain controller; An automatic gain adjuster for maintaining or controlling a bio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input interface in a state close to an original signal; A sample & holder circuit for sampling or hold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auto gain regulator; An A / D converter converting the sampled or hon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encoding / decoding, signal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functions; Control unit consisting of;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퍼스널컴퓨터로 소정의 형태로 입력하기 위한 유에스비포트; 상기 유에스비포트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진단, 분석하는 퍼스널컴퓨터; 로 이루어진 출력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A USB port for inpu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to a personal computer in a predetermined form; A personal computer for diagnosing and analyz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USB port by a predetermined algorithm; Output portion consisting of; USBI digital stethoscop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디지털청진기에 있어서,In the digital stethoscope, 인체에서 발생되는 생체신호를 집음하여 제어부로 전송가능한 기능을 갖는 집음부;A sound collecting unit having a function of collecting a biological signal generated from a human body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biological signal to a controller; 상기 집음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를 증폭, 소정의 주파수에 대하여 필터링, 변환 및 컨트롤하여 출력부로 전송 가능한 기능을 갖는 제어부;A controller having a function of amplifying, filtering, converting, and controll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sound collect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filtered signal to a output unit;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진단, 분석 가능한 기능을 갖는 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 And an output unit having a function capable of displaying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or diagnosing and analyzing the signal by a predetermined algorithm.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초저역통과필터의 주파수는 1.0KHz로 설정하고, 샘플링회로의 주파수를 2.0KHz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The ultra-low pass filter is set to 1.0KHz, and the frequency of the sampling circuit is set to 2.0KHz or more. 청구항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오디오유닛부는 증폭기로부터 흉부음을 검출하는 신호검출회로; 상기 신호검출회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일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잡음을 제거하는 π필터&역 L형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The audio unit unit detects a chest sound from an amplifier; And a π filter & inverse L-type filter for removing noise by passing only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detection circuit.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음성출력부는 이어폰 또는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를 이용한 디지털청진기.The voice output unit is a digital stethoscope using a USB, characterized in that the earphone or speaker. 청구항 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유에스비포트를 통하여 신호를 DOWN STREEM, UP STREEM, 16BIT MONO STREEM, 24BIT STREO STREEM 중의 어느 한 형태로 입출력하는 신호전송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And a signal transmission type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a signal through any one of DOWN STREEM, UP STREEM, 16BIT MONO STREEM, and 24BIT STREO STREEM. 청구항 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유에스비포트와 접속되는 퍼스널컴퓨터는 상기 집음기를 통해 생체신호인 혈압, 체온, 호읍음 또는 산소포화도(SpO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받아 흉부음신호의 수집 및 일괄관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The personal computer connected to the USB port is capable of collecting and collectively managing a chest sound signal by receiving any one or more of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estuary or oxygen saturation (SpO 2 ), which are biological signals, through the sound collector. USB Digital Stethoscope. 청구항 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퍼스널컴퓨터에 흉부음신호를 이용하여 필요데이터를 생성하는 해닝윈도우(Hanning Window)부; 생체신호에 대한 진단 또는 분석하기 위한 급속푸리에변환부와 대수에너지교차율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A hanning window unit for generating necessary data by using a chest sound signal on the personal computer; And a fast Fourier transform unit and an algebraic energy crossing rate calculation unit for diagnosing or analyzing a biosignal. 청구항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급속푸리에변환부와 대수에너지교차율 산출부에 생체신호진단알고리즘 (LCR알고리즘)이 포함되어, 각 흉부음에 대한 대수에너지교차율을 분석하여 퍼스널컴퓨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And a biosignal diagnosis algorithm (LCR algorithm) included in the rapid Fourier transform unit and the logarithmic energy crossover calculation unit. 청구항 3항 또는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11, 상기 퍼스널컴퓨터의 모니터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를 이용한 디지털청진기.The monitor of the personal computer is a digital stethoscope using a USB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screen.
KR1020050024678A 2005-03-24 2005-03-24 Usb digital stethoscope KR1006695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678A KR100669532B1 (en) 2005-03-24 2005-03-24 Usb digital stethoscope
PCT/KR2006/001101 WO2006101375A1 (en) 2005-03-24 2006-03-24 Visual stethoscope
CNA2006800095024A CN101146482A (en) 2005-03-24 2006-03-24 Visual stethosco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678A KR100669532B1 (en) 2005-03-24 2005-03-24 Usb digital stethosco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758A true KR20060102758A (en) 2006-09-28
KR100669532B1 KR100669532B1 (en) 2007-01-15

Family

ID=3762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678A KR100669532B1 (en) 2005-03-24 2005-03-24 Usb digital stethoscop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69532B1 (en)
CN (1) CN10114648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951A (en) 2019-05-10 2020-11-18 썬메디텍(주) Cardiac disease diagnosis system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t sound and spectrogram of heart sound and electrocardiogra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399B1 (en) * 2009-01-14 2010-11-24 주식회사 엑스엘 Non-contact electronic stethoscope
CN103417241B (en) * 2012-05-17 2017-03-22 辽宁中医药大学 Automatic analyzer of lung sounds
KR101303613B1 (en) * 2013-02-27 2013-09-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Digital stethoscopic system
CN106792369A (en) * 2017-01-23 2017-05-31 上海贝生医疗设备有限公司 One kind is used for stethoscopic split typ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7296638B2 (en) * 2017-09-28 2023-06-23 ヒロイック フェイス メディカル サイエン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Networked electronic stethoscope system
CN110570874B (en) * 2018-06-05 2021-10-22 中国科学院声学研究所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ound intensity and distribution of wild birds
CN108742699B (en) * 2018-06-28 2021-04-23 常州市第二人民医院 Dustproof electronic stethoscope that makes an uproar that falls
CN109754818B (en) * 2019-03-15 2021-11-26 林超 Sound production detection and exercise method
CN114184270A (en) * 2021-12-02 2022-03-15 观为监测技术无锡股份有限公司 Equipment vibration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951A (en) 2019-05-10 2020-11-18 썬메디텍(주) Cardiac disease diagnosis system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t sound and spectrogram of heart sound and electrocardi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46482A (en) 2008-03-19
KR100669532B1 (en) 2007-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532B1 (en) Usb digital stethoscope
US20220265240A1 (en) Acquiring and processing acoustic energy emitted by at least one organ in a biological system
US78068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sis and display of heart sounds
US68984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pathologic heart conditions
AU2006215644B2 (en) Sound monitor
US20120209139A1 (en) Rapid screening, threshold, and diagnostic tests for evaluation of hearing.
US6026170A (en) Electronic stethoscope with idealized bell and idealized diaphragm modes
KR20030065228A (en) System for outputs Ch'ongjin acoustic signal
WO2009127547A1 (en) Electronic stethoscope
JP2013518607A (en) Method and system for classifying physiological signal quality for portable monitoring
US20060098825A1 (en) Electronic adaption of acoustical stethoscope
RU2644546C1 (en) Electronic medical stethoscope
WO2006101375A1 (en) Visual stethoscope
KR100416402B1 (en) Potable diagnostic system for the heart and lung sounds
KR200269579Y1 (en) Potable diagnostic system for the heart and lung sounds
Yamada et al. Hybrid bowel sound measurement system combining microphones and a vibration sensor
TW558434B (en) Electronic auscultation device and method
KR20050108222A (en) Method and device measuring heart sound with sound card
KR200358410Y1 (en) Method and device measuring heart sound with sound card
Mantji et al. Electronic Stethoscope Design, Prototyping and Testing
CN113679410A (en) Pulmonary nodule patient uses sharing stethoscope diagnostic system
KR20050087008A (en) An electronic stethoscope
KR20050117299A (en) An electronic auscultation method for processing auscultation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