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2650A -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m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m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2650A
KR20060102650A KR1020050024485A KR20050024485A KR20060102650A KR 20060102650 A KR20060102650 A KR 20060102650A KR 1020050024485 A KR1020050024485 A KR 1020050024485A KR 20050024485 A KR20050024485 A KR 20050024485A KR 20060102650 A KR20060102650 A KR 20060102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input
user
keypad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4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미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4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2650A/en
Publication of KR20060102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6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대기모드(idle mode)에서 메모 입력 모드로의 전환을 인식하는 단계와; 대기모드 화면 소정부위에 메모 입력을 위한 메모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메모내용과 설정정보를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와; 설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내용을 대기모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Recognizing the switch from the idle mode to the memo input mode; Displaying a memo window for inputting a memo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a standby mode screen; Storing the memo contents and se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keypad in the storage device; And displayi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on a standby mode screen according to the set information.

메모, 대기화면, 디스플레이 Memo, standby, display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m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mo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일반적인 대기화면의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of a typical idle screen.

도 3은 본 발명의 구현에 따른 메모 입력 창의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of a memo input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구현에 따른 메모 입력 과정의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emo inpu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구현에 따라 메모가 활성화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at a memo is activ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 mem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화면의 일부에 반투명한 메모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mo data processing method capable of displaying a semi-transparent notepad on a portion of a standby screen.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사용자가 요일별로 자신의 스케줄을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케줄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a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for allowing a terminal user to input and check his schedule for each day of the week.

이러한 스케줄 관리 기능은 단말기 사용자가 해당되는 날짜를 선택하여 선택 된 날짜에 스케줄 내용을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스케줄 내용에 대해 설정된 시간이 되면 신호음 또는 램프와 함께 단말기의 표시부에 입력된 스케줄 내용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케줄 내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allows the terminal user to select a corresponding date to input the schedule content on the selected date, and when the time set for the input schedule content is reached, the schedule content input to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together with a beep or a lamp is displayed. This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e contents of the schedule.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스케줄 관리 기능은 사용자가 해당되는 날짜를 검색하여 스케줄 내용을 입력해야하기 때문에 입력하고 조회하는 과정이 복잡하였다. 즉, 단말기의 폴더를 열어 바로 확인할 수 없으며, 여러 단계의 메뉴를 이용하여 작성 및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스케줄 내용을 해당되는 날짜로 구분하여 입력해야 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가 날짜로 구분되는 내용이 아닌 단지 사용자가 잊어버리지 않도록 기억해야 하는 내용일 경우의 입력에도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The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provid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complicated process of inputting and inquiring because the user needs to input a schedule content by searching for a corresponding date. In other words, it is not convenient to open the folder of the terminal to immediately check, and it is inconvenient to write and confirm using the menu of various levels. In addition, the schedule contents must be entered by dividing the corresponding dates. Therefore,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terminal user must go through a complicated procedure even when the user inputs the contents to be remembered so as not to be forgotten by the user.

본 발명은 대기화면에서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writing a memo on an idle screen and a memo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절차만으로 단말기에 메모를 작성하여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reating and inputting a memo on a terminal by a simple proced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모 입력창의 양식과 표시 위치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user can set a form and a display position of a memo input window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and a memo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기화면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메모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 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a memo function with little influence on an idle screen, and a memo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은 대기모드(idle mode)에서 메모 입력 모드로의 전환을 인식하는 단계와; 대기모드 화면 소정부위에 메모 입력을 위한 메모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메모내용과 설정정보를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와; 설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내용을 대기모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MO data process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recognizing the transition from the idle mode (idle mode) to the memo input mode; Displaying a memo window for inputting a memo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a standby mode screen; Storing the memo contents and se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keypad in the storage device; And displayi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on the standby mode screen according to the set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상기 설정 정보가 메모 내용의 알람 기능을 포함하는 점이다.A detailed feature of the memo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an alarm function of memo contents.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알람 기능이 해제된 메모창은 대기모드 화면에서 제외되어 표시되지 않는 점이다.Another detailed feature of the memo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memo window in which the alarm function is released is not displayed except the standby mode screen.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메모 입력 모드로의 전환은 단말기에 형성된 핫키(hot-key)에 의해 이루어지는 점이다.Another detailed feature of the memo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witch to the memo input mode is performed by a hot-key formed in th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메모창의 양식과 표시 위치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점이다.Another detailed feature of the memo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ser can set the form and the display position of the memo window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메모창이 반투명한 디스플레이 형태를 갖는 점이다.Another detailed feature of the memo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memo window has a translucent display form.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y it will be described by at least one embodiment,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s not limi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키패드(1)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LCD)(5)와, 상기 키패드(1)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4)와, 상기 디스플레이부(5)를 통해 표시되는 대기화면 상에 상기 키패드(1)를 통해 입력되는 메모 데이터를 소정 양식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와, 상기 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음향을 제공하는 스피커(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 메모 입력을 위한 hot-key(2)를 단말기 소정 부위에 구성하는 예도 가능하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a keypad (1) for converting a signal input by the user into an electrical signal, a display unit (LCD) (5) for displaying a variety of information in a form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and the keypad (1) And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memo data input through the keypad 1 on a standby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5 in a predetermined form. And a speaker 6 for providing a sound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3, which is output. In some cases, an example in which a hot-key 2 for inputting a memo is configur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terminal is possible.

도 2는 일반적인 대기화면의 예시도이다. 즉,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촬영된 사진 이미지나 다양한 그래픽 데이터가 출력된다.2 is an exemplary view of a typical idle screen. That is, a photographic image or various graphic data photographed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is output.

도 3은 본 발명의 구현에 따른 메모 입력 창의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입력 동작이 시작되면 대기화면의 소정 부위에 메모의 입력을 위한 별도 의 입력창이 활성화된다. 메모 입력창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그 위치나 형식이 설정될 수 있으며, 대기화면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반투명한 형식을 갖는다. 이때, 메모 입력 동작의 시작은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핫-키를 사용하거나 키패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3 is an exemplary view of a memo input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when the memo input operation is started, a separate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memo is activat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tandby screen. The memo input window can be set in its position or format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nd has a translucent format to reduce the influence on the standby screen. At this time, the start of the memo input opera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a hot-key or a keypad as mentioned above.

도 4는 본 발명의 구현에 따른 메모 입력 과정의 예시도이다. 메모 입력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메모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특정된 메모에 대하여 알람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특정된 시간에 대기화면을 통해 메모창이 나타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emo inpu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mo is entered while the memo input window is activated. In this case, an alarm function may be set for the specified memo. That is, the memo window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standby screen at a specified time.

도 5는 본 발명의 구현에 따라 메모가 활성화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대기화면에 다수의 메모창이 활성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메모의 기능을 상실한 메모창은 대기화면에서 제거된다. 즉, 알람 기능을 갖는 메모의 경우는 그 메모의 유효 기간이 정해진다는 것이다.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at a memo is activ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see that a number of memo windows are active on the idle screen. At this time, the memo window that lost the function of the memo is removed from the standby screen. That is, in the case of a memo having an alarm function, the valid period of the memo is determin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 memo 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메모 입력 모드로의 전환을 인식(S62)될 때까지 대기화면 표시를 유지한다(S61). 메모 입력모드의 전환여부는 핫-키(hot key)의 동작 또는 키패드를 이용한 메뉴를 통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The standby screen display is maintained until the switch to the memo input mode is recognized (S62) (S61). The memo input mode may be switched by a hot key operation or a menu using a keypad.

대기모드 화면 소정부위에 메모 입력을 위한 메모창을 활성화한다(S63). 메모 입력창은 대기화면에 영향을 주지않도록 반투명한 상태의 표시방법으로 구현된다.A memo window for inputting a memo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tandby mode screen is activated (S63). The memo input window is implemented as a translucent display method so as not to affect the standby screen.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메모내용과 설정정보를 기억장치에 저장한다(S64).The memo content and se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keypad ar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S64).

설정된 시각의 도달 여부를 판단하여(S65), 메모 입력시 설정된 시각에 도달하는 경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내용을 대기모드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66).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t time is reached (S65), when the set time is reached when the memo is input,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are displayed on the standby mode screen according to the set information (S66).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을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기화면에서 간단한 절차만으로 메모를 작성할 수 있으며, 메모 입력창의 양식과 표시 위치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create a memo using only a simple procedure on the standby screen, and the user can set the form and display position of the memo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Claims (7)

대기모드(idle mode)에서 메모 입력 모드로의 전환을 인식하는 단계와;Recognizing the switch from the idle mode to the memo input mode; 대기모드 화면 소정부위에 메모 입력을 위한 메모창을 표시하는 단계와;Displaying a memo window for inputting a memo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a standby mode screen;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메모내용과 설정정보를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와;Storing the memo contents and se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keypad in the storage device; 설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내용을 대기모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And displayi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on a standby mode screen according to the set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메모 내용의 알람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an alarm function of memo contents. 제 2 항에 있어서, 알람 기능이 해제된 메모창은 대기모드 화면에서 제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emo window in which the alarm function is released is excluded from the standby mode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입력 모드로의 전환은 단말기에 형성된 핫키(hotkey)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witching to the memo input mode is performed by a hotkey formed in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창의 양식과 표시 위치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데이터 처리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rm and the display position of the memo window can be set by a user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창은 반투명한 디스플레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데이터 처리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mo window has a translucent display form.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키패드와;A keypad for converting a signal input by a user into an electrical signal;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ariety of information in a form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장치와;A memory device for storing data input through the keypad;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대기화면 상에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메모 데이터를 소정 양식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representing memo data input through the keypad in a predetermined form on a standby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KR1020050024485A 2005-03-24 2005-03-24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m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0601026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485A KR20060102650A (en) 2005-03-24 2005-03-24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m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485A KR20060102650A (en) 2005-03-24 2005-03-24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m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650A true KR20060102650A (en) 2006-09-28

Family

ID=3762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485A KR20060102650A (en) 2005-03-24 2005-03-24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m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265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9707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2142912A (en) Method for inputting memo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device thereof
JP5220352B2 (en) Input termina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40212B1 (en) Method of displaying a phrase on a wall pap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ini planar func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JP2004289210A (en) Mobile terminal and multiple function instruc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20060102650A (en)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m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0332830B1 (en) Hangul input and searching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having Hangul memory function
JP289383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0754638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fast menus i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01968B1 (en) Displaying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200041589A (en) Method for making memo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6005695A (en) Portable terminal
KR100417491B1 (en) A portable device having variable menu exit time according to menu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30052615A (en) Method for searching telephone-list in a mobile telephone
KR20040061645A (en) Frame split apparatus in mobile terminal, scheduling method using it
KR100664144B1 (en) Method for inserting commonly used sentence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90720B1 (en) Method for converting screen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4728992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display method
KR10070194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hone number input enable for user to set and its setting method
JP2006237947A (en) Mobile phone device
KR100479588B1 (en) Method for searching information in terminal
KR940004936B1 (en) Message memory and its displaying method in a picture device
KR100827123B1 (en) Method for setting and displaying hot key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03437B1 (en) Method for standby screen displaying in wireless terminal
KR101135788B1 (en) Method for image management in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