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2224A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2224A
KR20060102224A KR1020050024194A KR20050024194A KR20060102224A KR 20060102224 A KR20060102224 A KR 20060102224A KR 1020050024194 A KR1020050024194 A KR 1020050024194A KR 20050024194 A KR20050024194 A KR 20050024194A KR 20060102224 A KR20060102224 A KR 20060102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acklight assembly
mixing
generating unit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4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2224A/ko
Publication of KR20060102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7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being discontinuous and abutting against the other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bstract

광의 휘도 및 휘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킨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 발생유닛 및 광 믹싱부재를 포함한다. 광 발생유닛은 광을 발생한다. 광 믹싱부재는 광 발생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광 발생 유닛에서 발생된 광을 굴절 및 혼합시켜 출사하고, 광의 일부를 전반사시킨다. 이와 같이, 광 재생부가 광 발생유닛에서 발생된 광의 일부를 전반사시켜 리사이클링시킴으로써,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발생되는 광의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 발생유닛 110 : 발광 다이오드
120 : 전원공급기판 130 : 광학렌즈
200 : 수납용기 210 : 바닥부
220 : 측부 300 : 반사판
400, 500 : 광 믹싱부재 410, 510 : 광 믹싱판
420, 520 : 광 재생부 600 : 표시패널
700 : 광학 시트류 800 ; 고정부재
900 : 탑샤시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광의 휘도 및 휘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킨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우며 소비전력이 낮은 평판 표시장치(plat display device),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및 플라즈마 표시패널 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등이 정보처리장치의 표시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표시장치들 중,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 light assembly)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2 개의 기판에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전극들이 각각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극들의 사이에는 상기 액정이 배치된다. 상기 액정은 전극들에 의하여 형성된 전계에 의하여 배열이 변경되는 전기적 특성을 갖고, 배열에 따라서 광의 투과율이 변경되는 광학적 특성을 갖는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액 정의 전기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에 의하여 광을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광으로 변경시킨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영상을 표시하는데 필요한 광을 발생시키며, 상기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냉음극선관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평판형광램프(Flat Fluorescent Lamp, FFL),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이 대표적이다.
상기 광원들 중,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칩(chip)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고, 높은 휘도 및 낮은 소비전력 특성을 갖고, 이로 인해 최근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광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채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진행하는 광에 의해 휘도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의 전반사를 통해 광의 휘도 및 휘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킨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 발생유닛 및 광 믹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광 발생유닛은 광을 발생한다. 상기 광 믹싱부재는 상기 광 발생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을 굴절 및 혼합시켜 출사하고, 상기 광의 일부를 전반사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 믹싱부재는 상기 광을 굴절 및 혼합시키는 광 믹싱판과, 상기 광 발생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광 믹싱판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광의 일부를 전반사키는 광 재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하는 광 발생유닛과, 상기 광 발생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을 굴절 및 혼합시켜 출사하고, 상기 광의 일부를 전반사시키는 광 믹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 믹싱부재를 경유하여 출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에 의하면, 광 재생부가 광 발생유닛에서 발생된 광의 일부를 전반사시켜 재사용함으로써,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발생된 광의 휘도 및 휘도의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 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하는 광 발생유닛(100), 상기 광 발생유닛(100)을 수납하는 수납용기(200), 상기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300) 및 상기 광을 굴절시켜 혼합시키는 광 믹싱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용기(200)는 바닥부(210) 및 상기 바닥부(210)의 상부로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바닥부(210)로부터 연장된 측부(220)들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공간에는 상기 광 발생유닛(100), 반사판(300) 및 광 믹싱부재(40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측벽(220)에는 상기 광 믹싱부재(400)의 가장자리가 안착될 수 있는 단턱(222)이 형성된다.
상기 광 발생유닛(100)은 상기 수납용기(200) 내에 수납되어 점 형태의 광을 발생시킨다. 상기 광 발생유닛(100)은 점 형태의 광원을 발생하는 발광 다이오드(110), 상기 광 발생유닛(10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판(120) 및 상기 광을 확산시키는 광학렌즈(130)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10)는 상기 각 전원공급기판(120)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10)들이 X-축 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치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10)들은 상기 각 전원공급기판(12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 형태의 광을 발생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10)들은 일례로 적색광을 발생시키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광을 발생시키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광을 발생시키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상기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각 전원공급기판(120) 상에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다르게, 상기 발광 다이오드(110)들은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기판(120)은 한쪽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복수의 전원공급기판(120)들이 상기 수납용기(200)의 바닥부(210) 상에 Y-축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된다. 상기 각 전원공급기판(120)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110)들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배선은 상기 전원공급기판(1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되며,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110)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공급기판(120)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110)들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열 전도율이 좋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선은 상기 금속물질로부터 절연되기 절연물질로 보호된다.
상기 광학렌즈(130)는 상기 전원공급기판(120)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광학렌즈(130)들이 상기 각 발광 다이오드(110)를 에워싼다. 상기 광학렌즈(130)들은 상기 각 발광 다이오드(110)에서 발생된 광을 굴절시켜 확산시킨다. 이때, 상기 바닥부(210)의 법선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광의 분포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광학렌즈(130)의 상면은 아래로 오목한 형상을 갖고, 상기 광학렌즈(130)의 측면은 옆으로 한번 골곡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판(300)은 상기 전원공급기판(1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 발 생유닛(100)에서 발생된 광 중 하부로 진행하는 광을 상부로 반사시킨다. 상기 반사판(300)에는 상기 광학렌즈(130)들이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홀(310)들이 형성된다.
상기 광 믹싱부재(400)는 상기 광 발생유닛(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 발생유닛(100)에서 발생된 광을 혼합시키는 광 믹싱판(410) 및 상기 광의 일부를 전반사시키는 광 재생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광 믹싱판(410)은 상기 광 믹싱판(410)의 가장자리가 상기 측벽(220)의 단턱(222)에 안착되어, 상기 광 발생유닛(4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광 믹싱판(410)은 상기 광 발생유닛(410)에서 발생된 광을 굴절시켜 확산시킨다. 상기 광 믹싱판(41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일례로, 광학적 투명도와 균질성이 우수한 PMMA(Poly Methyl Meta Acrylate)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 재생부(420)는 상기 광 믹싱판(410)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특히 상기 광 발생유닛(10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광 재생부(420)는 상기 광 믹싱판(410)을 통과한 광 중 일부를 전반사시켜 리사이클링(recycling)시킨다.
상기 광 재생부(420)는 복수의 프리즘 패턴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리즘 패턴들은 일례로 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Y-축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된다. 이와 다르게, 상기 프리즘 패턴들은 상기 전원공급기판(120)과 동일한 길이로 더욱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광 재생부(420)를 Y-축 방향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은 복수의 삼각형들 로 이루어지며, 상기 삼각형들의 양변은 상기 바닥부(210)에 대하여 거의 수직하게 진행하는 광을 두 번 전반사시켜 상기 반사판(300)을 향하도록 만든다. 반면, 상기 바닥부(210)의 법선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진행하는 광은 상기 삼각형들의 양변에서 굴절되어 상부로 출사된다.
상기 삼각형들간의 간격(P) 및 상기 삼각형들의 높이(T)는 상기 광 믹싱판(410)을 경유하여 상기 광 재생부(420)를 향하는 광을 회절시키기 위해 나노단위(nm)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10 nm 내지 1000 nm의 범위를 갖는다.
또한, 상기 삼각형들의 상단의 내각(θ)은 상기 광의 파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광의 파장이 커짐에 따라 상기 삼각형들의 내각(θ)이 증가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적색광의 파장은 700∼610㎚의 범위를 갖고, 녹색광의 파장은 570∼500㎚의 범위를 갖고, 청색광의 파장은 500∼450㎚의 범위를 갖기 때문에, 상기 삼각형들의 내각(θ)은 상기 적색광일 때 가장 크고, 상기 녹색광일 때 중간 크기를 갖으며, 상기 청색광일 때 가장 낮은 크기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부(210)에 대하여 거의 수직하게 진행하는 광을 전반사시켜 재활용함으로써,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발생되는 광의 휘도 및 휘도의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광 발생유닛(100)이 상기 수납용기(200)의 바닥부(210)에 배치되는 직하형(direct type)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광 발생유닛(100)이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된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어셈블리(미도시)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된 상기 광 발생유닛(100)은 대부분의 광을 상기 도광판의 측면으로 수평 또는 비스듬하게 입사시킨다. 그러나, 상기 광 발생유닛(100)에서 발생된 광 중 일부는 상기 도광판의 측면으로 거의 수직하게 진행되어 출사되고, 그 결과 휘도의 균일성을 감소시킨다. 이를 방지하게 위해,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는 상기 광 재생부(420)가 형성되고, 상기 광 재생부(420)는 상기 도광판의 측면으로 거의 수직하게 진행하는 광을 전반사시켜 휘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실시예-2>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하는 광 발생유닛(100), 상기 광 발생유닛을 수납하는 수납용기(200), 상기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300) 및 상기 광을 굴절시켜 혼합시키는 광 믹싱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광 믹싱부재(500)는 상기 광 발생유닛(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 발생유닛(100)에서 발생된 광을 혼합시키는 광 믹싱판(510) 및 상기 광의 일부를 전반사시키는 광 재생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광 믹싱판(510)은 상기 광 믹싱판(510)의 가장자리가 상기 측벽(220)의 단턱(222)에 안착되어, 상기 광 발생유닛(5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광 믹싱판(510)은 상기 광 발생유닛(510)에서 발생된 광을 굴절시켜 확산시킨다.
상기 광 재생부(520)는 상기 광 믹싱판(510)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특히 상기 광 발생유닛(10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광 재생부(520)는 상기 광 믹싱판(510)을 통과한 광 중 일부를 전반사시켜 리사이클링(recycling)시킨다.
상기 광 재생부(520)는 복수의 피라미드 패턴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라미드 패턴들은 일례로 모자이크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모자이크 형태로 배치된 상기 피라미드 패턴들은 상기 광 발생유닛(100)과 대응되는 위치에만 배치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상기 전원공급기판(120)과 동일한 길이로 더욱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광 재생부(520)의 종단면은 복수의 삼각형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삼각형들간의 간격(P) 및 상기 삼각형들의 높이(T)는 상기 광 믹싱판(510)을 경유하여 상기 광 재생부(520)를 향하는 광을 회절시키기 위해 나노단위(nm)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삼각형들의 상단의 내각(θ)은 상기 광의 파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광의 파장이 커짐에 따라 상기 삼각형들의 내각(θ)이 증가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 재생부가 피라미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상기 바닥부(210)에 대하여 거의 수직하게 진행하는 광을 전반사시킬 수 있 고, 그 결과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발생되는 광의 휘도 및 휘도의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광 재생부가 피라미드 형상, 즉 사각뿔 형상인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상기 광 재생부는 삼각뿔 형상, 오각뿔 형상 및 육각뿔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광 발생유닛(100)이 상기 수납용기(200)의 바닥부(210)에 배치되는 직하형(direct type)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광 발생유닛(100)이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된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표시장치의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표시패널(600), 광학 부재(700), 고정부재(800) 및 탑샤시(9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60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발생된 광을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광으로 변경시킨다. 상기 표시패널(600)은 제1 기판(610), 제2 기판(620), 액정층(630), 인쇄회로기판(640) 및 연성인쇄회로기판(6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610)은 복수개가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된 화소전극 (pixel electrode)들, 각 화소전극에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들 및 박막 트랜지스터(TFT)들을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선(signal line)들을 포함한다.
상기 각 화소전극은 투명하면서 도전성인 산화주석인듐 박막(Indium Tin Oxide film, ITO), 산화아연인듐 박막(Indium Zinc Oxide film, IZO) 및 아몰퍼스 산화주석인듐 박막(amorphous Indium Tin Oxide film, a-ITO) 등을 사진-식각 공정에 의하여 패터닝(patterning)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 기판(620)은 상기 제1 기판(610)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 기판(620)은 상기 제2 기판(620)의 전면에 배치되며 투명하면서 도전성인 공통 전극(common electrode) 및 상기 화소전극들과 마주보는 곳에 배치된 컬러필터(color filter)들을 포함한다.
상기 컬러필터들은 백색광 중 적색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적색 컬러필터, 백색광 중 녹색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녹색 컬러필터 및 백색광 중 청색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청색 컬러필터들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층(630)은 상기 제1 기판(610) 및 상기 제2 기판(620)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화소전극 및 상기 공통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하여 재배열된다. 재배열된 상기 액정층(63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발생한 광의 광 투과율을 조절하고, 광 투과율이 조절된 상기 액정층(630)은 상기 광이 상기 컬러필터들을 통과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640)은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구동회로 유닛을 포함하고, 구동회로 유닛은 외부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제어하는 구동신호로 변경시킨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65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640)과 상기 제1 기판(6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640)에서 발생된 구동신호를 상기 제1 기판(610)으로 제공한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650)은 굴곡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640)을 상기 표시패널(600)의 측부 또는 하부에 배치시킨다.
상기 광학 시트류(700)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표시패널(6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발생된 광의 광학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광학 시트류(700)는 예를 들어, 상기 광을 확산시켜 휘도의 균일성을 증가시키는 확산시트(710) 및 반사와 굴절을 통해 상기 광의 수직 휘도를 향상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시트(720)들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800)는 상기 표시패널(600)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학 시트류(700)를 지지한다. 상기 고정부재(800)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발생된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80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광학 시트류(700)의 가장자리를 안착시키기 위한 단턱(810)이 형성된다.
상기 탑 샤시(900)는 상기 표시패널(600)의 가장자리를 감싸고 상기 수납용기(200)의 측부(220)와 결합되어 상기 표시패널(600)을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상부에 고정시킨다. 상기 탑 샤시(900)는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 및 진동에 의해 취성(brittleness)이 약한 상기 표시패널(600)의 파손 또는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표시패널(600)이 상기 수납용기(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광 재생부가 광 믹싱판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프리즘 패턴들 또는 피라미드 패턴들로 이루어짐에 따라, 수납용기의 바닥부에 대하여 거의 수직하게 진행하는 광을 전반사시켜 재활용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발생되는 광의 휘도 및 휘도의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광을 발생하는 광 발생유닛;
    상기 광 발생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을 굴절 및 혼합시켜 출사하고, 상기 광의 일부를 전반사시키는 광 믹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믹싱부재는 상기 광을 굴절 및 혼합시키는 광 믹싱판과, 상기 광 발생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광 믹싱판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광의 일부를 전반사키는 광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재생부는 상기 광 중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진행하는 광을 전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재생부는 상기 광 믹싱판의 상부의 일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재생부는 복수의 프리즘 패턴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재생부는 복수의 피라미드 패턴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재생부의 종단면은 복수의 삼각형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들간의 간격 및 높이는 10 nm 내지 1000 n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들의 상단의 내각은 상기 광의 파장이 커짐에 따라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발생유닛은 점 형태의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광을 발생하는 광 발생유닛과, 상기 광 발생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을 굴절 및 혼합시켜 출사하고, 상기 광의 일부를 전반사시키는 광 믹싱부재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 믹싱부재를 경유하여 출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믹싱부재는 상기 광을 굴절 및 혼합시키는 광 믹싱판과, 상기 광 발생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광 믹싱판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광의 일부를 전반사키는 광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발생유닛은 점 형태의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50024194A 2005-03-23 2005-03-23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60102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194A KR20060102224A (ko) 2005-03-23 2005-03-23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194A KR20060102224A (ko) 2005-03-23 2005-03-23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224A true KR20060102224A (ko) 2006-09-27

Family

ID=3763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194A KR20060102224A (ko) 2005-03-23 2005-03-23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22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6411B2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WI409542B (zh) 背光總成及具有其之顯示裝置
KR101318302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843695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good heat radiating function
US20140036477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60291205A1 (en)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light emitting diod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60012959A (ko)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KR101441306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10064743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80069010A (ko) 백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952380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070081355A1 (en) Light generating unit,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TW201303449A (zh) 背光模組及使用該背光模組的顯示裝置
KR102002458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108753A (ko) 도광판,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장치
KR2006010222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7008811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80064508A (ko) 백라이트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7488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80075301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85042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63060A (ko) 액정표시장치
KR10151090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6008290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6002805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