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846A - A athletic apparatus for taking intensively exercise of the waist and abdomen and method of making it - Google Patents

A athletic apparatus for taking intensively exercise of the waist and abdomen and method of mak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846A
KR20060101846A KR1020050077611A KR20050077611A KR20060101846A KR 20060101846 A KR20060101846 A KR 20060101846A KR 1020050077611 A KR1020050077611 A KR 1020050077611A KR 20050077611 A KR20050077611 A KR 20050077611A KR 20060101846 A KR20060101846 A KR 20060101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support frame
central shaft
rotating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6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29758B1 (en
Inventor
유철
Original Assignee
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 filed Critical 유철
Publication of KR2006010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8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7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by torsion of the body part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와 복부를 집중적으로 움직여주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가장 핵심구성은 회전 작동부(10)이다. 회전 작동부(10)는 회전 프레임(13)상에 양발의 회전축부(12)와 중심축부(11)가 마련되어있고, 중심축부(11)는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의 중심축공(21)에 삽입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성이다. 양발이 회전축부(12)의 회전에 의하여 자유롭게 다리의 꼬임이 일어나면서 동시에 회전된 하부허리와 고정된 상부허리사이에 꼬임이 일어난다. 이 꼬임이 바로 허리운동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for intensively moving the waist and abdomen, the cor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tary actuator (10). The rotary actuator 1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portion 12 and a central shaft portion 11 of both feet on the rotary frame 13, the central shaft portion 11 is the central shaft hole 21 of the longitudinal support frame 20 It is inserted into and rotated about it. Both feet are freely twis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12, and at the same time the twist occurs between the lower waist and the fixed upper waist rotated. This twist is waist movement.

양 발판의 회전축부와 중심축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허리하부의 꼬임현상이 힘들이지 않고 쉽게 일어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짧은 운동시간만으로도 허리와 복부의 근육이 충분하게 운동되었다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고, 운동시간이 짧아 지루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뿐 아니라 재미가 있어 수시로 운동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효과를 지니게 된다.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central shaft of the two feet, the lower part of the waist can be easily twisted, and the structure of the lower back and abdomen are enough to exercise the muscles. Not only does it feel boring, it's fun, and it's fun.

회전 작동부, 중심축부, 회전축부, 회전프레임, 허리운동 Rotating Actuator, Center Shaft, Rotating Shaft, Rotating Frame, Waist Movement

Description

허리와 복부를 집중적으로 움직여주는 운동기구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A athletic apparatus for taking intensively exercise of the waist and abdomen and method of making it}A athletic apparatus for taking intensively exercise of the waist and abdomen and method of making it}

도1 본 발명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 상태도Figure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exercise equipment

도2 본 발명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showing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exercise equipment

도3 본 발명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다리의 꼬임상태를 보인 상태도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twisted state of the leg using the present invention exercise equipment

도4 본 발명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다리의 꼬임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twisted state of the leg using the present invention exercise equipment

도5 본 발명 운동기구의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 본 발명 회전작동부의 중심축부 및 회전축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entral shaft portion and the rotary shaf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actuator

도7 본 발명 세로방향 지지프레임과 브레이크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도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longitudinal support frame and the brak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 본 발명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보인 상태도Figure 8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rak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 본 발명 수직방향 지지프레임이 절첩되는 부위를 보인 상태도Figure 9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support frame is folded

도10 본 발명 수직방향 지지프레임이 절첩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Figure 10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support frame is fol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허리와 복부를 집중적으로 움직여주는 운동기구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for intensively moving the waist and abdome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특히 짧은 운동시간만으로도 허리와 복부의 근육이 충분하게 운동되었다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고, 여기에다 운동시간이 짧아 지루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뿐 아니라 재미가 있어 텔레비전을 보다가도 혹은 설거지를 하다가도 수시로 운동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그러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you can feel the good feeling that the muscles of your lower back and abdomen have been exercised with a short exercise time, and the exercise time is short and boring, and it is fun. This relates to such exercise equipment.

우리주변에는 날씬한 허리와 복부를 원하지 않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여기에 관심이 많다. We are so interested here that no one around us wants a slim waist and abdomen.

이를 위해서 등산을 한다거나 헬스클럽에 간다거나 하는 사람이 아주 많아졌다. To this end, many people go hiking or going to the gym.

그런데 문제는 얼마나 지속적으로 꾸준히 할 수 있는데 있다. The problem is how consistently you can do it.

몸에 유익하다고 하면 처음에는 하기 싫어도 억지로라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운동이 아무리 몸에 유익하다 할지라도 유익하다는 것만으로는 그 한계가 있다는 것을 경험에 의하여 알 수 있다. If it's good for your body, it's common to do it at first, even if you don't want to. Experience shows that no matter how beneficial the exercise is, there are limitations to it.

운동자체가 재미있어야한다.The exercise itself should be fun.

운동자체가 재미있으면 운동을 해야 한다는 부담감에서 자유로워지기 때문이다. 재미가 없다면 꾸준히 운동하기가 쉽지 않다.If the exercise itself is fun, it frees you from the burden of exercising. Without fun it is not easy to exercise steadily.

몸에 유익하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재미가 없는 첫 번째 이유를 든다면 운동시간이 많아야 몸에 유익하다는 고정관념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많은 운동시간을 투입한다하더라도 과연 원하는 만큼 유익함이 있는지 에 대한 의 구심이라 할 수 있다. If you know that it is good for you, but you do not have fun, the first reason is that you should have a lot of exercise time. In addition, even if a lot of exercise time is put into doubt whether there is as much benefit as desired.

본 발명의 연구자는 이 점에 착안하여 짧은 운동시간으로도 몸과 마음이 상쾌해지고, 다시 운동하고 싶은 마음이 들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운동하는 횟수가 반복되면서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허리와 복부에 변화가 일어남을 느끼게 되는 운동기구를 창안하게 된 것이다. The resear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ing on this point, the body and mind refreshes even with a short exercise time, not only wants to exercise again, but because of this, the number of times of exercise is repeated, the change in the waist and abdomen occurs without knowing itself. The exercise equipment will make you feel.

따라서 본 발명은 운동시간이 극히 짧으면서도 허리와 복부운동이 충분함을 느낄 수 있을 뿐 아니라 실제 허리와 복부에 날씬한 변화가 일어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feel the exercise and the waist and abdominal exercise is enough, but the purpose is to make a slim change in the actual waist and abdomen.

운동시간이 극히 짧으면서도 허리와 복부가 변화되어가는 모습에 재미가 생겨 집안에 설치된 경우에는 틈만 있으면 수시로 운동기구 앞에 서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The exercise time is very short, but the waist and abdomen is changed to have fun, when installed in the house, if there is a gap, there is another purpose to make you want to stand in front of the exercise equipment from time to time.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종래기술의 운동기구와 유사하다. The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exercise device of the prior art.

이를 개량한 것이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it is improved.

종래 운동기구는 좌우회전에 의하여 허리를 운동시켜주는 운동기구로 알려져 있다. 종래 운동기구에 대한 문제점을 허리운동의 관점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Conventional exercise equipment is known as exercise equipment for exercising the waist by the left and right rotation. The problem with the conventional exercise equip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ist movement.

종래 운동기구는 양팔로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양발바닥이 놓여있는 회전판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구조이다. 회전축은 회전판의 한가운데 위치해있다. 회전판의 좌우회전은 회전력에 의하여 주어진다. 그런데 양발바닥의 힘으로는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회전판의 회전축이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회전판에 서서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힘은 어디서 얻어지는 것일까? Conventional exercise equipment is a structure that rotates the rotating plate on which the bottom of both feet is placed in the state holding the handle with both arms. The rotating shaft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rotating plate. Rotation of the turntable is given by the torque. However, it is impossible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by the power of the bottom of both feet. Because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ng plate is one. So where do we get the force to stand on the turntable and turn it?

우리는 회전판위에 서서 양팔로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회전판을 회전시키면서 운동을 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때 회전판이 좌우로 회전되는 작용상태를 관찰해보면, 회전력은 손잡이를 잡고 있는 양팔에 의하여 주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회전판의 회전축은 이 힘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동작되고 있을 뿐이다. 회전력이 이와 같다면 몸 전체가 회전판과 함께 회전될 수밖에 없다. 몸 전체가 회전판과 함께 회전된다는 것은 발바닥에서부터 어깨부분에 이르기까지 같은 방향을 유지하면서 회전된다는 것을 뜻한다. We usually stand on the turntable while holding the handles with both arms to rotate the turntable. At this time, if you observe the operating state that the rotating plate is rotated from side to side, it can be seen that the rotational force is given by both arms holding the handle.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plate is only passively operated by this force. If the rotational force is the same, the whole body can only be rotated with the rotating plate. Rotating the whole body with the turntable means that i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from the soles of the feet to the shoulders.

허리를 기준으로 이를 다시 말하면 허리상부와 허리하부에 꼬임이 전혀 없는 회전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허리상부와 하부라는 말은 허리를 기준으로 한 것이지만 사실 허리의 정확한 위치를 말한다기보다 허리운동이라는 관점에서 설명의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허리의 정확한 위치는 허리운동을 설명하는데 별로 중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In other words, based on the waist,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no kink in the upper and lower back. Here, the upper and lower waists are based on the waist, but are actually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erms of waist movement rather than the exact position of the waist. This is because the exact position of the lower back is not important for explaining lower back movement.

허리의 운동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Let's take a look at the exercise of the waist.

허리의 운동은 허리하부나 허리상부 중 어느 하나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야하고 그 나머지가 좌우로 회전되어야 허리운동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허리하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허리상부를 좌우로 회전하는 것이 소위 우리가 말하는 몸통운동이다.The exercise of the lower back or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waist must be kept fixed and the rest of the left and right can be said that the back movement. For example, whe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is fixed, the upper and lower part of the waist is called a body movement.

몸통운동과는 반대로 허리상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허리하부를 좌우로 회전하게 되더라도 마찬가지 결과를 가져온다.Contrary to the body movement, the lower part of the lower back in the fixed state to the left and right to rotate the same result.

종래기술의 운동기구를 이와 같은 관점에 비춰보면, 허리상부도 하부도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허리의 꼬임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허리운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것은 경험에 의하여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exercise equipment in the prior art, the lower part of the lower back also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ng plate, so the kink of the waist does not occur, so that the lower back movement does not occur. This is a fact we know well by experience.

허리운동이 일어나지 않는 근본적인 문제점은 어디에 있는 것인가?Where is the fundamental problem of no back movement?

그것은 바로 운동기구의 구조에 있다.It is in the structure of the sports equipment.

즉 양발은 회전판위에 얹혀진 상태이고 회전은 회전판의 중앙에 있는 하나의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허리하부를 회전시키게 되면 허리하부를 따라 허리상부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허리 상ㆍ하부가 동시에 같이 회전하므로 허리의 꼬임이 이루어지질 않는다. That is, both feet are placed on the rotating plate and the rotating unit is rotated by one rotating shaft in the center of the rotating plate. In this structure, when the lower part of the waist rotates,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art also rotates along the lower part of the waist. Because the upper and lower waist rotates at the same time, the waist is not twisted.

허리하부의 회전은 양발의 자유로운 회전운동에 의하여 주어지는 것인데 양발이 얹혀진 회전판의 회전만 있는 구조에서는 양발의 회전이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Rotation of the lower back is given by the free rotation of both feet because the rotation of both feet is not free in the structure of the rotating plate on which both feet are placed.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운동기구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such conventional exercise equipment.

허리운동은 허리상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허리하부가 회전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본 발명을 착안하게 된 것이다. The lumbar movement is conceived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premise that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should be rotated while the upper part is fixed.

이와 같은 전제를 만족하기위한 회전판의 구조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요건이 충족되어야한다. The structure of the rotating plate to satisfy such a premise must meet at least the following requirements:

첫째, 상부허리와 하부허리가 꼬여지는 구조이어야 한다.First, the upper and lower waists must be twisted.

상부허리와 하부허리가 꼬여지기 위해서는 양발의 회전이 자유로워야한다. In order for the upper and lower waists to be twisted, both feet must be free to rotate.

둘째, 허리의 꼬임이 집중적으로 일어나도록 하는 구조이어야 한다.Second, the structure of the waist twisting should be concentrated.

첫째 요건을 만족하기위해서는 상부허리는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아야하고, 하부허리가 움직이는 형태이어야 한다. 여기서 허리라 함은 우리의 신체부위의 일부로서 어디라고 정확히 말할 수는 없지만 그 위치가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 정확한 위치를 기준으로 편의상 하부허리는 양다리와 연결되어있는 부분을 말하며, 상부허리는 가슴ㆍ어깨와 연결되어있는 부분을 말한다.To meet the first requirement, the upper waist should be relatively indistinguishable and the lower waist should move. The waist here is part of our body, but we can't say exactly where it is, but it's clear that it's there. For convenience, the lower waist refers to the part connected to both legs, and the upper waist refers to the part connected to the chest and shoulders.

상부허리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부허리만 움직이는 형태가 되려면 양다리가 X자 형태로 꼬아져야 한다. 양다리가 X자 형태로 꼬아지게 되면 고정되어있는 상부허리와 꼬아지는 하부허리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허리근육이 스트렛칭되어 허리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The upper legs must be twisted in an X shape to remain fixed and move only the lower waist. When both legs are twisted in an X shape, the lower back muscles are stretched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xed upper waist and the lower lower waist, whereby the lower back movement is performed.

둘째 요건을 만족하기위해서는 양다리의 X자 형태의 꼬아짐이 깊어야한다. To satisfy the second requirement, the X-shape of both legs must be deep.

양 발과의 거리가 길수록 그 꼬아짐이 깊어진다. 허리의 꼬임이 집중적으로 일어나게 됨으로써 짧은 시간의 운동일지라도 허리운동을 많이 한 느낌이 드는 것은 물론이고, 실제 그 운동량도 많아 운동으로부터 오는 상쾌한 기분도 느끼게 된다.The longer the distance between the feet, the deeper the twist. As the kink of the waist occurs intensively, even a short time of exercise, the feeling of doing a lot of back movement, as well as the actual amount of exercise is also a lot of refreshing feeling coming from the exercise.

두 가지 요건을 한마디로 말한다면 양발의 회전이 자유로워야 한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short, both requirements mean that the feet must be free to rotate.

양발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려면 종래의 하나의 회전축과는 달리 양발의 각각에 회전축이 있어야한다. 양발의 회전축에 의하여 다리의 꼬임을 자유롭게 하여 하부허리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다. 회전된 하부허리와 고정된 상부허리사이에 꼬임이 일어난다. 이 꼬임이 바로 여기서 말하는 허리운동의 메카니즘이라 할 수 있다. In order for the rotation of both feet to be free, there must be a rotation axis on each of the feet, unlike one conventional rotation axis. It is to rotate the lower waist by freeing the twist of the legs by the rotation axis of both feet. Twist occurs between the rotated lower waist and the fixed upper waist. This twist is the mechanism of waist movement right her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허리운동의 메카니즘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such a mechanism of waist movement.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 운동기구(1)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xercise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respect is as follows.

하부허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 회전 작동부(10)이다. The configuration that enables the rotation of the lower waist is the rotary operation unit 10.

회전 작동부(10)는 본 발명의 가장 핵심구성이다. 회전 작동부(10)는 회전 프레임(13)상에 양발의 회전축부(12)와 중심축부(11)가 마련되어있다. 중심축부(11)는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의 중심축공(21)에 삽입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성이다. The rotary actuator 10 is the most essenti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actuator 10 is provided with the rotary shaft 12 and the central shaft 11 of both feet on the rotary frame (13). The central shaft portion 11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shaft hole 21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 is configured to rotate around it.

이와 같은 회전 작동부(10)가 회동되는 구성이라면 운동기구(1)가 가정용으로 만들어졌건 공공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중용으로 만들어졌건 간에 이들 모두에 다 적용된다. If such a rotary operation unit 10 is rotated configuration, the exercise device (1) is applied to all of them, whether made for home use or made for public use in public places.

회전 작동부(10)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rotation operation unit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회전 작동부(10)는 양발의 회전이 자유롭게 하기위하여 회전 프레임(13)의 양측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오른발 회전축부(12)와 왼발 회전축부(12)를 구성하였다.The rotary operation unit 10 constitutes the right foot rotating shaft part 12 and the left foot rotating shaft part 1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frame 13 so as to freely rotate both feet.

회전 프레임(13)의 중앙에는 중심축부(11)를 구성하였다. 중심축부(11)는 세 로방향지지프레임(20)의 중심축 공(21)에 삽입되고, 이를 중심으로 중심축부(11)가 회전되게 된다. The center axis part 11 was comprised in the center of the rotating frame 13. The central shaft portion 11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shaft hole 21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 and the central shaft portion 11 is rotated about this.

다시 말하면 중심축 공(21)에 삽입된 중심축부(11)에 의하여 회전 프레임(13)이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 상에서 회전하고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rotary frame 13 is being rotated on the longitudinal support frame 20 by the central shaft portion 11 inserted into the central axis ball 21.

중심축부(11)는 중심축(110)과 베아링 집(115)으로 구성되어있다. 중심축(110)은 상부에 플랜지(111)와 일체로 형성되어있고 하부는 나선(112a)이 형성되어있다. 중심축(110)의 플랜지(111)는 회전 프레임(13)하단부와 고정되고 중심축(110)은 트러스트 베아링(113)과 볼 베아링(114)이 삽입된 베아링 집(115)을 관통하여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의 중심축 공(21)에 삽입되면서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의 하단에서 브레이크(24)와 고정되는 구성이다.The central shaft portion 11 is composed of a central shaft 110 and the bearing zip (115). The central shaft 1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lange 111 at the top and the spiral 112a is formed at the bottom. The flange 111 of the central shaft 110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frame 13, and the central shaft 110 passes through the bearing groove 115 into which the thrust bearing 113 and the ball bearing 114 are inserted, and are longitudinally oriented. Inserted into the central axis ball 21 of the support frame 20 is fixed to the brake 24 at the bottom of the longitudinal support frame 20.

양 발판(14)(14)의 회전축부(12)는 회전 프레임(13)에 형성된 회전축공(130)과, 이에 삽입되는 회전축(120)과, 회전축(12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121)와 그 하부에 나선(122)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20)의 플랜지(121)는 양발판(14)(14)과 체결고정 되고 회전축(120)은 트러스트 베아링(123)과 볼 베아링(124)이 삽입된 베아링 집(125)을 관통하여 회전 프레임(13)에 고정되어있다. The rotating shaft portion 12 of both footrests 14 and 14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hole 130 formed in the rotating frame 13, a rotating shaft 120 inserted therein, and a flange integrally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120. 121 and a spiral 122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The flange 121 of the rotating shaft 120 is fastened and fixed to both legs 14 and 14, and the rotating shaft 120 rotates through the bearing groove 125 into which the thrust bearing 123 and the ball bearing 124 are inserted. It is fixed to the frame 13.

중심축부(11)나 양 발판(14)(14)의 회전축부(12)의 기능이나 역할뿐 아니라 그 세부구성도 거의 동일하다. 베아링 집(115)(125)에 트러스트 베아링(113)(123)과 볼 베아링(114)(124) 등을 삽입한 구성은 회전의 유연성과 원활을 위해서다. Not only the function or role of the central shaft portion 11 or the rotary shaft portion 12 of the two footrests 14 and 14, but the detailed configuration thereof are almost the sam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hrust bearings 113 and 123 and the ball bearings 114 and 124 are inserted into the bearing houses 115 and 125 is for flexibility and smoothness of rotation.

중심축(110)이 브레이크(24)의 중앙에 삽입되어있는데 이는 중심축(110)의 회전을 억제하기위한 것이다. 운동기구에 올라가거나 내려올 때 몸의 균형을 잃게 되면 크게 다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기위하여 브레이크(24)를 중심축부(11)와 함께 형성한 것이다. The central axis 11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brake 24, which is to suppress the rotation of the central axis 110. If you lose the balance of your body when you go up or down the exercise equipment, there is a risk of serious injury, so to prevent the risk of the brake 24 is formed with the central shaft portion (11).

또한 가로방향지지프레임(30)을 양측에 두고 그 중앙 위치에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을 고정하였다. 가로방향지지프레임(30)과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이 만나는 지점인 절첩부에서 수직으로 선 수직방향지지프레임(40)을 설치하였고, 그 상단에는 균형 유지대(50)를 수평상으로 설치하면서 그 양단에는 손잡이(51)(51)를 설치하였다. 손잡이 일측에 브레이크 손잡이(52)를 설치하고 브레이크 연결강선(243)이 브레이크(24)까지 연결되어있다. 절첩부는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에 홈을 파서 경첩(43)회동이 가능하게 하여 보관 및 운반에 편리하도록 하였다. 사용시에는 수직방향지지프레임(40)을 수직으로 회동시켜 세워놓고 고정 금구(41)을 맞대고 고정볼트(411)로 견고하게 고정시키면 된다. 이를 보관 및 운반할 때는 그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고정금구(41)를 해체하여 경첩(43)의 회전에 의하여 수직방향지지프레임(40)을 세로 방향지지프레임(20)위에 눕혀놓을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30 was placed on both sides and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 was fixed at the center position there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40 was installed vertically at the fold which is the point where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30 and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 meet, and the balance holder 50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thereof. While installing the handles 51 and 51 at both ends thereof. The brake handle 5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andle, and the brake connection steel wire 243 is connected to the brake 24. The folding part was made by digging a groove in the longitudinal support frame 20 to enable the hinge 43 to be rotated so as to be convenient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In use, the vertical support frame 40 is rotated vertically to stand, and the fixing brackets 41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fixed with a fixing bolt 411. When storing and transporting it, it is possible to lay the vertical support frame 40 on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 by the rotation of the hinge 43 by dismantling the fixing bracket 41 to reduce its volume.

가로방향지지프레임(30)의 양측에 수평조정나사(31)를 설치하였다. 이는 운동기구의 수평적인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Horizontal adjusting screws 3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30. This is to maintain the horizontal balance of the exercise equipment.

미 설명부호 22는 브레이크 디스크, 23은 체결너트, 41a는 가로방향지지프레임 지지판, 41b는 세로방향지지프레임 지지판, 112b는 스 X링 홀, 116은 볼베어링, 117은 스 X링, 118은 고정볼트, 119는 고정볼트, 126은 볼베어링, 127은 스 X링, 128은 고정볼트, 141은 고정볼트, 241은 라이닝, 242는 고정볼트, 421은 고정볼트이다. Reference numeral 22 is a brake disc, 23 is a fastening nut, 41a is a horizontal support frame support plate, 41b is a vertical support frame support plate, 112b is a spring hole, 116 is a ball bearing, 117 is a spring ring, 118 is a fixing bolt , 119 is a fixed bolt, 126 is a ball bearing, 127 is a spring ring, 128 is a fixed bolt, 141 is a fixed bolt, 241 is a lining, 242 is a fixed bolt, 421 is a fixed bol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운동기구(1)의 작용에 따른 허리운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back motion according to the action of the exercise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브레이크 손잡이(52)로 회전 작동부(10)의 중심축부(11)의 회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양 발판(14)(14)으로 올라간다. 균형 유지대의 손잡이(51)를 잡은 상태에서 도3에서와 같이 양 발판(14)(14)에 올라선 상태에서 두 다리를 X자 형상이 되게 하면 양 발판(14)(14)의 회전축부(12)가 이에 대응하여 회전되고 동시에 중심축부(12)도 세로방향지지프레임(12) 위에서 회전된다. 허리상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두 다리에 의하여 X자 형상으로 허리하부의 꼬임임을 일으킨 것이다. 바로 이 현상이 본 발명이 추구하는 허리운동인 것이다. The brake handle 52 is lifted up to both footrests 14 and 14 in a state where the rotation of the central shaft portion 11 of the rotation operating portion 10 is stopped. In the state of holding the handle 51 of the balance holder, as shown in Fig. 3 , when the two legs are X-shaped in the state where they are raised on the both foots (14) and (14), the rotating shaft portions ( 12 is correspondingly rot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central axis 12 is also rotated above the longitudinal support frame 12. In the state of fixing the upper part of the waist by the two legs in the X-shape caused the twist of the lower part. This phenomenon is the waist movement pursued by the present invention.

양 발판(14)(14)의 회전축부(12)의 회전은 두 다리에 의한 X자 형상의 꼬임을 유도하는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회전이라면 중심축부(11)의 회전은 X자 형상의 꼬임에 의한 허리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회전이라 할 수 있다. If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portion 12 of both footrests (14) and (14) is a rota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radius that induces an X-shaped twist by two legs, the rotation of the central shaft portion (11) is a twist of the X-shape. It can be referred to as a rota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waist.

만약 양 발판(14)(14)의 회전축부(12)의 회전만 있고 중심축부(11)의 회전이 없다면 두 다리에 의한 X자 형상의 강한 꼬임으로 인하여 허리를 심하게 다칠 위험이 있다. 허리를 보호해주기위해서나 허리운동의 원활을 위해서 중심축부(11)의 회전은 필요하다.If only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portion 12 of the two footrests (14) 14 and there is no rotation of the central shaft portion 11 there is a risk of severely hurt the waist due to the strong twist of the X-shape by the two legs. Rotation of the central shaft portion 11 is necessary to protect the waist or for smooth back movement.

양 발판(14)(14)의 회전축부(12)와 중심축부(11)의 구조적인 상승작용에 의하여 회전이 너무 유연하게 잘 일어나는 구조이므로 양 발판(14)(14)에 서있기만 해도 양 발판(14)(14)에 가해지는 하중의 작은 편심에 의해서도 두 다리의 X자 형 상의 꼬임이 일어날 정도이다. 그 결과 두 다리를 X자 형상으로 꼬이게 하려는 노력 없이도 쉽게 이러한 형상이 일어나게 되므로 짧은 시간에 많은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Due to the structural synergism of the rotary shaft 12 and the central shaft 11 of both the footrests 14 and 14, the rotation is performed very flexibly well. The small eccentricity of the load applied to 14) and (14) also causes the X-shaped twist of both legs to occur. As a result, these shapes can easily occur without the effort to twist the two legs into an X shape, which results in a lot of movement in a short time.

운동을 마치고 내려올 때에도 브레이크 손잡이(52)에 의하여 회전 작동부(10)의 중심축부(11)의 회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안전하게 내려오면 된다.Even when the movement is completed, the brake knob 52 may be safely descended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central shaft portion 11 of the rotary operation unit 10 is stopped.

그러나 몸의 균형을 잘 잡을 수 있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브레이크(24)의 구성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노약자나 어린이를 보호하기위한 것이다.However, the person who can balance the body is not necessarily the configuration of the brake (24). It is intended to protect the elderly and children.

회전 작동부의 간단한 구조, 즉 양 발판의 회전축부와 중심축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허리하부의 꼬임현상이 힘들이지 않고 쉽게 일어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짧은 운동시간만으로도 허리와 복부의 근육이 충분하게 운동되었다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고, 운동시간이 짧아 지루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뿐 아니라 재미가 있어 수시로 운동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효과를 지니게 된다.The simple structure of the rotary actuator,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lower back that can be easily twisted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otary shaft and the central shaft of both foot plates, makes the muscles of the waist and abdomen sufficiently exercised even with a short exercise time. Not only do you feel bored because of the short exercise time, but you also have fun and want to exercise from time to time.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허리와 복부를 운동시켜주게 되므로 허리와 복부의 감량이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It will exercise the waist and abdomen intensively in a short time is a useful invention with the effect of reducing the waist and abdomen in a short time.

Claims (6)

수직방향지지프레임(40)과 손잡이(51)가 구비된 허리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있어서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 상에서 회전이 가능한 회전 작동부(10)를 설치하되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에 중심축공(21)을 형성하고 이에 회전 작동부(10)의 중심축부(11)를 삽입고정하며, 중심축(110)과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121)을 회전 작동부(10)의 회전프레임(13)의 중앙상단에 체결고정하고 회전프레임플랜지(13)의 양단에는 양 발판(14)(14)이 회전 가능한 회전축부(12)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와 복부를 집중적으로 움직여주는 운동기구In the exercise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waist movement provided with a vertical support frame 40 and a handle 51, the rotary support 10 is rotatable on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 but the vertical support frame ( 20 to form a central shaft hole 21 and insert and fix the central shaft portion 11 of the rotary actuator 10, the flange 121 formed integrally with the central shaft 110 of the rotary actuator 10 Fastening and fastening to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rotating frame 13, both ends of the rotating frame flange 13, both feet 14, 14 to form a rotating shaft portion 12 is rotatable intensively waist and abdomen Moving fitness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이 가로방향지지프레임(30)과 연결되면서 수직방향지지프레임(30)이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과 절첩되는 절첩부에는 절첩이 가능하도록 경첩(43)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와 복부를 집중적으로 움직여주는 운동기구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30 while the vertical support frame 30 is folded to the folding portion that is folded with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 to allow the hinge ( 43) exercise equipment for intensively moving the waist and abdomen,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제1항에 있어서 회전 작동부(10)의 중심축부(11)와 회전축부(12)에 트러스트 베아링(113)과 볼 베아링(114) 등을 베아링 집(115)에 삽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와 복부를 집중적으로 움직여주는 운동기구The waist of claim 1, wherein a thrust bearing 113, a ball bearing 114, and the like are inserted into the bearing zip 115 in the central shaft portion 11 and the rotating shaft portion 12 of the rotary actuator 10. Exercise equipment for intensive movement of the body and abdome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에 형성된 중심축공(21) 에 관통된 회전 작동부(10)의 회전축부(12)가 브레이크 디스크(22)와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와 복부를 집중적으로 움직여주는 운동기구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ng shaft portion 12 of the rotary actuator 10 penetrated through the central shaft hole 21 formed in the longitudinal support frame 20 is fixed to the brake disc 22. Exercise equipment for intensive movement of the waist and abdomen 수직방향지지프레임(40)과 손잡이(14)가 구비된 허리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있어서 회전 작동부(10)의 회전프레임(13)이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위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단계와, 회전프레임(13)위에서 양 발판(14)(14)이 회전가능 하도록 하는 단계와, 회전프레임(13)과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과의 회전연결은 중심축부(11)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단계와, 중심축부(11)의 상단 회전프레임(13)과는 고정된 상태이고 하단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과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와 복부를 집중적으로 움직여주는 운동기구를 제작하는 방법In the exercise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waist movement provided with a vertical support frame 40 and a handle 14, the rotary frame 13 of the rotary actuator 10 is rotatable on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 And rotating both the footrests (14) and (14) on the rotating frame (13), and rota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rotating frame (13) and the longitudinal support frame (20) to the central shaft portion (11). And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frames 13 of the central shaft portion 11 are fixed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frame 20 is formed to be rotatable. How to make exercise equipment that moves intensively 제2항에 있어서 세로방향지지프레임(20)위에서 회전 작동부(10)의 회전프레임(13)의 회전을 억제하는 브레이크(24)를 중심축부(11)에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와 복부를 집중적으로 움직여주는 운동기구를 제작하는 방법The waist and abdome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brake (24)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rotary frame (13) of the rotary actuator (10) on the longitudinal support frame (20) is fixed to the central shaft portion (11). To build exercise equipment that concentrates
KR1020050077611A 2005-03-21 2005-08-24 A athletic apparatus for taking intensively exercise of the waist and abdomen KR10062975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3283 2005-03-21
KR1020050023283 2005-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846A true KR20060101846A (en) 2006-09-26
KR100629758B1 KR100629758B1 (en) 2006-09-28

Family

ID=3763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611A KR100629758B1 (en) 2005-03-21 2005-08-24 A athletic apparatus for taking intensively exercise of the waist and abdom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75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2546A (en) * 2008-10-10 2011-07-19 안톤 레크 Workout device for limbs comprising a display of the degree of symmetry
KR200473139Y1 (en) * 2012-08-16 2014-06-12 유치어 헬쓰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Twisting and slid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2546A (en) * 2008-10-10 2011-07-19 안톤 레크 Workout device for limbs comprising a display of the degree of symmetry
KR200473139Y1 (en) * 2012-08-16 2014-06-12 유치어 헬쓰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Twisting and slid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9758B1 (en)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06236A1 (en) Push-up exercise apparatus
KR20120005874A (en) Running machine the rim type of a sieve
EP2162196A1 (en) A exercising device for lower-body
EP0195079A1 (en) Multiple device exercise system
KR101345163B1 (en) Folding multipurpose air walking exercise equipment
KR100629758B1 (en) A athletic apparatus for taking intensively exercise of the waist and abdomen
JP2017094063A (en) Waist twister health appliance
KR20130134802A (en) Abdomen sporting goods that combine leg exercise
KR20100075809A (en) Rotary plate type twist stepper for waist exercise
KR101827253B1 (en) Multifunctional complex exercise equipment
US20060094571A1 (en) Mechanical weightlifting machine
KR200497609Y1 (en) Adjustable dumbbell handle
KR20190013055A (en) Complex health equipment comprising support apparatus for barbell exercise
KR200374873Y1 (en) Total health machine
US20180126215A1 (en) Portable foldable exercise device
KR200466305Y1 (en) Rotation Type Exercise Equipment
KR101472218B1 (en) The comprehensive sporting goods
CN206934597U (en) Multifunctional body-building machine combined with massager
CN211383672U (en) Household comprehensive training machine
KR200421999Y1 (en) Sport outfit
KR200453493Y1 (en) Leg Extentioncal Machine
CN217489666U (en) Side waist body-building training ware
CN209437969U (en) A kind of U.S. waist U.S. leg machine
KR200489544Y1 (en) Walking and Waist Exercise Equipment
KR101481598B1 (en) Field sports outfit having device for adjusting streng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