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043A - Device for exercise ankle - Google Patents

Device for exercise ank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043A
KR20060100043A KR1020050021669A KR20050021669A KR20060100043A KR 20060100043 A KR20060100043 A KR 20060100043A KR 1020050021669 A KR1020050021669 A KR 1020050021669A KR 20050021669 A KR20050021669 A KR 20050021669A KR 20060100043 A KR20060100043 A KR 20060100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foot
support
footrest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6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54883B1 (en
Inventor
강응구
Original Assignee
강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응구 filed Critical 강응구
Priority to KR1020050021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883B1/en
Publication of KR20060100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0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8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2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for speech and other dat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목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발목을 실질적으로 단련시켜 평소 걷는 습관 또는 운동 부족 등에 의해 발목에서 종아리까지 이어지는 부분의 필요 없는 군살은 빼고 부족한 근육은 보충하며, 미용적인 효과도 획득할 수 있는 발목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은 양 발이 삽입될 수 있는 발 삽입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발 삽입 공간에 삽입된 양 발목을 지지하는 발목 지지부와; 양쪽의 발뒤꿈치를 축으로 발바닥을 수평면에서 상부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발목에서 종아리까지 이어지는 부분의 근육을 반복적으로 이완시켜 단련시키는 유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발 삽입 공간에 각기 설치되며 발이 탑재되는 발판과, 상기 발목 지지부에 근접한 상기 발판의 일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발판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고정축과, 상기 발판과 상기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을 상기 고정축을 축으로 소정의 각도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 유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kle exercise device, substantially relieves the ankle muscles without the need for the part leading from the ankle to the calf due to the practice of walking or lack of exercise, such as the usual exercise to supplement the lack of muscle, and also obtain a cosmetic effect Ankle exercise equipment is provid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in body is formed foot insertion space that can be inserted both feet; An ankle support for supporting both ankles inserted into the foot insertion space; It provides an ankle exercise device comprising; a flow portion for rotating the sole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horizontal plane to the upper side on both sides of the heel axis to repeatedly relax and train the muscles of the portion from the ankle to the calf. . Wherein the flow portion i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oot insertion space and the foot is mounted on the foot, a fixed shaft for guid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ootrest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one end of the footrest in close proximity to the ankle support portion, the footrest and the body Is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caffold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flower for repeatedly rotating the fixed axis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axis.

발목, 근육, 스트레칭, 이완, 단련 Ankle, Muscle, Stretching, Relaxation, Training

Description

발목 운동 기구{DEVICE FOR EXERCISE ANKLE}Ankle Exercise Equipment {DEVICE FOR EXERCISE ANKL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목 운동 기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n ankl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FIG.

도 3은 도 2의 Ⅱ-Ⅱ선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이 연결된 발목 운동 기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nkle exercise device connected to the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결 띠를 갖는 발목 운동 기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showing an ankle exercise device having a connecting stri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발목 운동 기구를 보여주는 평면도들이다.6A and 6B are plan views showing an ankle exercising mechanis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종래기술에 다른 발목 운동 기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ankl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 본체 12 : 발 삽입 공간10: body 12: foot insertion space

20 : 발목 지지부 30 : 유동부20: ankle support 30: flow portion

32 : 발판 34 : 고정축32: scaffold 34: fixed shaft

36 : 유동기 42 : 온/오프 스위치36: flowr 42: on / off switch

44 : 전원 플러그 46 : 강도 조절 스위치44: power plug 46: strength control switch

50 : 프레임 100 : 발목 운동 기구50: frame 100: ankle exercise equipment

270 : 연결 띠 380 : 간격 조절 수단270: connection band 380: gap adjusting means

본 발명은 발목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뒤꿈치를 축으로 발의 앞쪽을 반복적으로 상승시켜 발목의 근육을 이완시켜 단련시키는 발목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kle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kle exercise device that relieves muscles of the ankle by lifting the front of the foot repeatedly with the heel axis.

현대 산업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현대인들은 대개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보게 되고, 이로 인해 하체 운동량이 줄어들어 상체에 비해서 하체의 근육 발달이 떨어질 수 있다.Modern people living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usually sit in a chair for a long time and work, which reduces the amount of exercise in the lower body, which can reduce the muscle development of the lower body compared to the upper body.

더욱이 식생활의 발달로 섭취하는 영양에 비해서 소비되는 열량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상체의 상대적 비대화가 가속되고, 이를 지탱하는 하체에 스트레스가 과중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heat consumed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nutrition consumed by the development of the diet, the relative enlargement of the upper body is accelerated, and the stress on the lower body supporting the situation is being increased.

이로 인하여 무릎이나 발목 등에 이상이 발생하여 병원을 찾게 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As a result, abnormalities occur in the knees or ankles, and the tendency of finding hospitals is increasing.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하체를 단련시키기 위한 다양한 운동 기구가 제안되었고,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을 몇 가지 예를 들면, 회전판 위에 올라서서 손잡이를 잡고 문을 좌우측으로 비틀어 허리운동을 하는 허리운동기구, 양 발 을 각각 발판에 딛고 올라서서 걷듯이 발판을 내리눌러 무릎, 종아리 및 허벅지를 운동하는 다리 운동 기구, 컨베이어 벨트 또는 무한궤도 위에 올라서서 달리기를 하는 런닝머신 등의 운동기구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various exercise apparatuses have been proposed for training the lower body, and some of them are typical, for example, a waist exercise apparatus for climbing on a rotating plate to grab a handle and twisting the door left and right, There are exercise equipment, such as a leg exercise device that pushes the foot like a walking foot on each foot, and moves the knee, calf, and thighs, a conveyor belt, or a treadmill running on a track.

특히 신체의 거의 모든 하중을 지탱하는 발목을 단련시키는 운동 기구는 발목에 직접 충격을 주거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46999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발을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렸다가 내리는 발목 펌프 운동을 수행한다.In particular, an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ankles that supports almost all the loads of the body directly impacts the ankles or performs an ankle pump motion of raising and lowering the feet to a predetermined height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469996.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469996호에 개시된 발목 운동 기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 베이스(110) 상에 설치된 구동장치(120), 구동장치(12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축(130), 구동장치(120)의 회전을 회전축(130)에 단속적으로 전달하는 단속 전동부(140), 다리를 상하로 이송하기 위한 다리 지지대(150) 및 낙하하는 다리의 발목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발목 지지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ankle exercise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469996,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base 110, the driving device 120 installed on the base 110, and the driving device 120. Supports the rotation shaft 130, the intermittent transmission unit 140 for intermittently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device 120 to the rotation shaft 130, the leg support 150 for transferring the legs up and down and the ankle portion of the falling le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nkle support 160 to.

그런데 종래의 발목 운동 기구는 사용자가 특정 자세 즉 누운 자세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서거나 앉은 자세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갖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nkle exercise device ha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 can use only in a specific posture, that is, lying posture, and cannot be used in a standing or sitting posture.

그리고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다리 지지대에 의해 상체에 대해서 발을 포함한 다리 부분을 상하로 승강시켜 발목 펌프 운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발목 운동 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만 발목 인대를 포함한 발목 근육 강화와 발목의 필요 없는 군살을 빼는 데는 효과적이지 못하다.In addition, since the ankle pump exercise is performed by lifting the leg portion including the foot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by the leg support while the user is lying down, the ankle muscle strengthening and ankle including the ankle ligament can be expected. It is not effective in eliminating the needless flesh of the body.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 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발목을 실질적으로 단련시켜 평소 걷는 습관 또는 운동 부족 등에 의해 발목에서 종아리까지 이어지는 부분의 필요 없는 군살은 빼고 부족한 근육은 보충하며, 미용적인 효과도 획득할 수 있는 발목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bstantially train the ankle to eliminate the need for the part leading from the ankle to the calf by the usual walking habit or lack of exercise, etc. It is to provide ankle exercise equipment that can compensate for lack of muscles and gain cosmetic effects.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사용자의 자세에 구애 받지 않고서 있을 때, 앉아 있을 때, 누워 있을 때 모두 사용이 가능한 발목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kle exercise device that can be used both when sitting, lying and lying regardless of the user's posture.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발목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kle exercise device that can be adjusted and used according to a user's body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목 운동 기구는 발이 삽입될 수 있는 발 삽입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발 삽입 공간에 삽입된 발목을 지지하는 발목 지지부와, 삽입된 발의 뒤꿈치를 축으로 발바닥을 수평면에서 상부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발목에서 종아리까지 이어지는 부분의 근육을 반복적으로 이완시켜 단련시키는 유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nkle move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formed with a foot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foot can be inserted, an ankle support for supporting the ankle inserted into the foot insertion space, and the heel of the inserted foot It may include a flow portion for rotating the sole of the foo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horizontal plane to repeatedly relax and train the muscles of the portion from the ankle to the calf.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목 지지부는 발목이 발목 지지부에 부드럽게 맞닿으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실리콘, 고무, 스펀지, 연성의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kle support may be formed of any one material of silicon, rubber, sponge, soft plastic so that the ankle can be supported while gently touching the ankle suppor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목 지지부의 양단에는 사용자의 발목 두께에 따라 발목 지지부의 발목 부분을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연결 띠가 더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ankle suppor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strip for supporting so as to stably fix and support the ankle portion of the ankl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ankle of the us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띠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그 일측은 발목 지지부 일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발목 지지부의 타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발목 두께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strap is fixed to one end of the ankle support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nkle support, length adjustment means to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user's ankle thickness This may be includ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수직으로 세워 사용할 수 있는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후미쪽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영문자 "L"자 형상의 프레임 몸체와; 상기 프레임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몸체를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further comprises a frame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that can be used to stand vertically, the frame, the letter "L" shap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and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can be stably fixed A frame body; It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body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rame body to the bottom surfa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발 삽입 공간에 각기 설치되며 발이 탑재되는 발판과, 상기 발목 지지부에 근접한 상기 발판의 일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발판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고정축과, 상기 발판과 상기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을 상기 고정축을 축으로 소정의 각도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 유동기;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기는 공기압, 유압 또는 전동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ortion is installed in the foot insertion space, respectively, the foot is mounted, the fixed shaft which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footrest close to the ankle support portion to guide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ootrest, And a flower installed between the scaffol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to repeatedly rotate the scaffold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fixed shaft as an axis, wherein the flowr may be operated by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metho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판 상면에는 운동과 함께 발에 다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지압용 돌기,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체, 자성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설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r more of the acupressure projections, far-infrared radiation radiating far-infrared radiation, magnetic material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ing to impart different effects to the foo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의 유동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 및 상기 유동기가 상기 발판을 회전시키는 각도를 조절하는 강도 조절 스위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n / off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lower of the flow portion and the intensity control switch for adjusting the angle that the flower rotates the scaffold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 삽입 공간의 전후, 좌우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발 삽입 공간 사이에 설치된 간격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pace adjust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foot insertion space to adjust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width of the foot insertion spac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목 운동 기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Ⅱ-Ⅱ선 단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n ankl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2.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목 운동 기구(100)는 양 발이 삽입될 수 있는 발 삽입 공간(12)이 형성된 본체(10)와, 발 삽입 공간(12)에 삽입된 양 발의 발목을 지지하는 발목 지지부(20)와, 양 발의 뒤꿈치를 축으로 발바닥을 수평면에서 상부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발목에서 종아리까지 이어지는 부분의 근육을 반복적으로 이완시켜 단련시키는 유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the ankle movement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foot insertion space 12 into which both feet can be inserted, and a foot insertion space 12. Ankle support 20 for supporting the ankle of both feet inserted into the) and the soles of both feet ar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horizontal plane to the upper side by the axis to repeatedly relax and train the muscles from the ankle to the calf.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low portion (30).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목 운동 기구(100)는 발바닥을 무릎쪽으로 밀어 올려 발목에서 종아리까지 이어지는 부분의 근육을 반복적으로 이완시켜 근육을 풀어줌으로써, 다리에 필요 없는 군살은 빼고 부족한 근육은 보충하며, 각선미와 같은 미용적인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Therefore, the ankle exercis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y lifting the soles toward the knee to relax the muscles of the part leading from the ankle to the calf repeatedly to release the muscles, eliminating unnecessary muscles in the legs to compensate for the insufficient muscles , Beauty effects such as legs can be obtained.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목 운동 기구(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10)는 양 발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발 삽입 공간(12)을 가지며, 발 삽입 공간(12)은 사용자가 편안 자세에서 발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양쪽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ankle movement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detail, the main body 10 has a foot insertion space 12 of which the top is open so that both feet can be inserted, the foot insertion space 12 I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both sides so that the user can exercise the ankle in a comfortable position.

한편 제 1 실시예에서는 발 삽입 공간(12)이 본체(20)와 일체로 형성되어 발 삽입 공간(12)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 예를 개시하였지만, 사용자에 따라서 발 삽입 공간의 좌우 또는 전후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발 삽입 공간 사이에 간격 조절 수단을 개재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first embodiment, although the foot insertion space 1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20, the interval between the foot insertion spaces 12 is constant. It can also be connected via a gap adjusting means between the foot insertion space for adjustment.

발목 지지부(20)는 양 발의 뒤꿈치가 삽입되는 본체(10)부분에서 안쪽으로 연장되어 양 발의 발목에 밀착되어 발목을 지지한다.Ankle support 20 is extended inward from the main body 10, the heel of both feet is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ankle of both feet to support the ankle.

여기서 발목 지지부(20)는 제 1 실시예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일체로 형성하였지만, 본체에서 착탈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발목의 두께에 따라 폭을 조정할 수 있는 폭 조정 수단을 개재할 수도 있다.Here, the ankle support 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10 as disclosed in the first embodiment, but may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In addition, the width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width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ser's ankle may be interposed.

특히 양 발의 발목 부분이 발목 지지부(2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목 운동 기구(100)는 서 있을 때, 앉아 있을 때, 누워 있을 때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since the ankle portion of both feet is supported by the ankle support 20, the ankle movement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be used both when standing, sitting, lying down.

상기 발목 지지부(20)는 사용자의 발목이 직접 닿는 부분이므로 발목을 부드럽게 지지해 줄 수 있도록 발목이 닿는 부분은 실리콘, 고무, 스펀지 등의 유연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ankle support portion 20 is a portion directly touching the ankle of the user, the ankle contact portion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or sponge so as to gently support the ankle.

유동부(30)는 발판(32), 고정축(34) 및 유동기(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 다.The flow part 30 may include a footrest 32, a fixed shaft 34, and a flowr 36.

발판(32)은 발 삽입 공간(12)에 설치되며 발이 탑재되는 부분이다. 발목 운동시 부가적으로 발 지압 효과를 획득하기 위해서, 발이 탑재되는 발판(32)의 상부면에 지압용 돌기(38)를 설치할 수 있다.The footrest 32 is installed in the foot insertion space 12 and is a part where the foot is mounted. In order to additionally obtain foot acupressure effect during ankle movement, acupressure protrusions 38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rest 32 on which the foot is mounted.

도 1에서는 지압용 돌기(38)를 발바닥의 상부 쪽에만 설치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한의학적으로 신체의 경락부에 해당되는 부분에 선택적으로 지압용 돌기(38)를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1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acupressure protrusions 38 are installed only on the upper side of the sole, but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acupressure protrusions 38 may be selectively formed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meridians of the body. .

그 외 기능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발판(32)의 상부면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체를 설치하거나, 자성체를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exert a functional effect, a far-infrared radiator for emitting far-infrared ray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 32 or a magnetic body may be provided.

발판(32)의 표면은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되게 소정의 굴곡을 갖도록 인체공학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발목 운동 기구(100)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footrest 32 is ergonomically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ole, thereby improving the fit of the ankle exercise device 100.

고정축(34)은 발목 지지부(20)에 근접한 발판(32)의 일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발판(32)의 상하 회전 이동을 안내한다. 여기서 발판(32)의 뒤쪽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고정축(34)의 양단은 본체(10)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다.The fixed shaft 34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footrest 32 adjacent to the ankle support 20 to guide the vertical rotational movement of the footrest 32. Here, both ends of the fixed shaft 34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footrest 32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유동기(36)는 발판(32)과 본체(10)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발판(32)을 고정축(34)을 축으로 소정의 각도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킨다. 유동기(36)는 적어도 발판(32)을 딛고 선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최소한의 압력을 유지한다.The flower 36 is installed between the footrest 3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repeatedly rotate the footrest 32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fixed shaft 34. The flower 36 maintains a minimum pressure that can withstand the load of the line user at least on the footrest 32.

제 1 실시예에서는 유동기(36)로 공기압 방식으로 발판(32)을 회전 이동시키는 공기 주머니가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유압식 또는 전동식 실린더를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air bag for rotating the scaffold 32 in a pneumatic manner with the fluid 36 is provided. However, a hydraulic or electric cylinder may be used.

특히 양쪽의 발판(32)에 각기 설치된 유동기(36)는 발판(32)을 함께 작동시키거나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fluidizers 36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footrests 32 are configured to operate the footrests 32 together or independently.

그 외 유동기(36)의 작동을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42; on/off switch)가 설치된다. 온/오프 스위치(42)는 양쪽의 발 삽입 공간(12)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44는 유동기(36)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플러그를 나타낸다.In addition, an on / off switch 4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luidizer 36 is provided. The on / off switch 42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the foot insertion spaces 12 on both sides. Reference numeral 44 denotes a power plug for supplying an external power source for operating the fluidizer 36.

그리고 유동기(36)가 발판(32)을 회전시키는 각도를 조절하는 강도 조절 스위치(46)가 온/오프 스위치(42) 아래에 설치된다. 즉, 강도 조절 스위치(46)에 의해 내장된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발판(32)의 상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발목 운동의 스트레칭 강도를 조절한다.And an intensity control switch 46 for adjusting the angle at which the flower 36 rotates the footrest 32 is installed below the on / off switch 42. That is, by adjusting the vertical angle of the footrest 32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not shown) built by the intensity control switch 46, the stretching strength of the ankle movement is adjusted.

이와 같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목 운동 기구(100)의 사용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양 발을 발 삽입 공간(12)에 삽입한다.Looking at the method of using the ankle exercis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rst, the user inserts both feet into the foot insertion space (12).

다음으로 온/오프 스위치(42)를 온(on)시킨 다음 강도 조절 스위치(46)를 돌려 발판(32)의 상승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유동기(36)에 의해 발판(32)이 고정축(34)을 축으로 상하로 반복적으로 이동하게 된다.Next, the footrest 32 is fixed by the fluidizer 36 by turning the on / off switch 42 on and then turning the strength adjustment switch 46 to adjust the lift angle of the footrest 32. ) Repeatedly moves up and down on the axis.

이때 발목 부분이 발목 지지부(2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발판(32)의 반복적인 회전 이동에 따라서 발바닥을 무릎쪽으로 밀어 올려 발목에서 종아리까지 이어지는 부분의 근육을 이완시켜 주게 된다.At this time, while the ankle portion is supported by the ankle support 20, the sole of the foot 32 is pushed toward the knee in accordance with the repetitiv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oot to relax the muscles leading from the ankle to the calf.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한편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목 운동 기구(100)를 누운 자세에서 사용할 경우, 본체(10)의 바닥면을 측벽에 지지한 상태에서 사용해야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에 본체(10)를 결합해서 사용함으로써 본체(10)의 바닥면을 측벽에 지지하지 않더라도 누운 자세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50)이 연결된 발목 운동 기구(20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nkle exercis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used in a lying down pos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hould be used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side wall, as shown in FIG. 4, in the frame 50. By using the main body 10 in combina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can be used in a lying down position even i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not support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nkle exercise device 200 connected to the frame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목 운동 기구(200)는 프레임(50)에 본체(10)가 고정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본체(1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목 운동 기구와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프레임(50)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4, the ankle movement mechanism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ain body 10 is fixed to the frame 50. At this time, since the main body 1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ankle move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frame 50.

프레임(50)은 금속이나 강성의 플라스틱과 같은 견고한 소재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0)의 바닥면과 후미쪽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영문자 "L"자 형상의 프레임 몸체(52)와, 프레임 몸체(52)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프레임 몸체(52)를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54)을 포함한다. 고정 수단(54)으로 프레임 몸체(52)의 바닥면의 양쪽에 설치된 진공 흡착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 프레임 몸체(52)의 수평적 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무방하다.Frame 50 is preferably made of a rigid material, such as metal or rigid plastic, and the frame body 52 of the letter "L" shaped to secure the bottom and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is stably And fixing means 54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body 52 to fix the frame body 52 to the bottom surface. As the fixing means 54, a vacuum suction plat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body 52 may be used, and any other means capable of suppress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frame body 52 may be used.

프레임 몸체(52)의 내측과 본체(10)의 외측면의 경계 부분에 본체(10)를 프레임 몸체(52)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체결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main body 10 to the frame body 52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frame body 52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사용자의 발목 두께에 따라 발목 지지부의 발목 부분을 좀더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에서 연장된 발목 지지부(220)의 양단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 띠(270)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결 띠(270)를 갖는 발목 운동 기구(300)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Connection strips that can connect both ends of the ankle support portion 220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210, as shown in Figure 5, so as to more stably fix and support the ankle portion of the ankle support according to the user's ankle thickness 270 may be further installed. 5 is a plan view showing an ankle exercise device 300 having a connecting strip 27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발목 운동 기구(300)는 발목 지지부(220)의 양단을 연결하여 본체의 발 삽입 공간(212)에 삽입된 발목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연결 띠(270)를 더 포함하며, 그 외 구성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목 운동 기구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5, the ankle movement mechanism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ankle support 220 to stably support the ankle portion inserted into the foot insertion space 212 of the main body. The belt 270 is further included,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ankle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연결 띠(27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측은 발목 지지부(220)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발목 지지부(220)의 타단에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결 띠(270)의 타단과 그에 대응되는 타측의 발목 지지부(220)에 설치되는 탈착 수단(271)으로는 벨크로 파스너, 단추 등이 사용될 수 있는 바, 발목 두께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Connection strip 270 has a predetermined length, one side is fixed to one end of the ankle support 220,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other end of the ankle support 220. Velcro fasteners, buttons, etc. may be used as the detachable means 271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strip 270 and the ankle support 220 on the other side thereof, and the length thereof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ankle.

또한, 연결 띠(270)를 발목 지지부(220)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연결 띠(270)의 전체 또는 일부를 고무 등의 탄성의 재질로 형성하여 발을 삽입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strip 270 may be detachably formed on the ankle support 220, but the whole or part of the connecting strip 27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to insert the foot into use. have.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발목 두께에 따라 발목 지지부의 발목 부분을 좀더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하여 발목지지부(220)에는 공지된 혈압측정기와 같은 방식인 공기압 방식으로 연결 띠(270)의 내경 이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order to more stably fix and support the ankle portion of the ankl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ankle of the us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kle support portion 220 is connected to the pneumatic method in the same manner as a known blood pressure meter ( 27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inner diameter.

이 경우 본 발명의 제어부는 연결 띠(270)의 공기 내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 된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grammed to control the air pressure inside the connecting strip 270.

제 4 실시예Fourth embodiment

한편 제 1 실시예에서는 발 삽입 공간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발 삽입 공간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 예를 개시하였지만,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따라서 발 삽입 공간(312)의 좌우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발 삽입 공간(312) 사이에 간격 조절 수단(380)을 개재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발목 운동 기구(400)를 보여주는 평면도들이다.Meanwhile, in the first embodiment, although the foot insertion spac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an example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foot insertion spaces is constant is disclosed.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foot insertion space 312 may be formed according to a user. It may be connected via the gap adjusting means 380 between the foot insertion space 312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width. 6A and 6B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n ankle exercise device 40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따른 발목 운동 기구(400)는 온/오프 스위치(342), 전원 플러그(344) 및 강도 조절 스위치(346)가 설치된 제어부(340)와, 제어부(340)를 중심으로 양쪽에 간격 조절 수단(380)으로 연결된 발 삽입부(310a, 3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6A and 6B, the ankle exercise devic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ler 340 provided with an on / off switch 342, a power plug 344, and an intensity control switch 346. And foot insertion portions 310a and 310b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ntrol unit 340 by the gap adjusting means 380.

간격 조절 수단(380)는, 도 6a에 되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40) 안쪽으로 절첩되어 삽입되거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40)로 밖으로 연장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발 삽입부(310a, 310b)의 간격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The gap adjusting means 38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inserted into the control unit 340 as shown in FIG. 6A, or extended out to the control unit 340 as shown in FIG. 6B.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oot insertion portion (310a, 310b) as needed.

또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서는 두 발을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 발목 운동 기구를 게시하였으나, 단일 몸체로 형성하여 한 발을 교번으로 삽입하여 발목 운동을 할 수 있는 발목 운동 기구도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an ankle exercise device composed of a pair is disclosed so that two feet can be used at a time, the ankle exercise can be performed by inserting one foot alternately by forming a single body. Ankle exercise equipment may also be included.

이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와 같이 양 발판 사이에 형성되던 온/오프 스위치, 강도 조절 스위치 등은 발목 운동 기구의 측면 등에 설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n / off switch, the strength control switch, etc., which are formed between the two foot plates as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ankle exercise device.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발목 운동 기구를 종래의 다리 관련 마사지 기구 또는 운동 기구와 결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esented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the ankl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conventional leg-related massage device or exercise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를 따르면 발목 지지부에 의해 발목이 지지된 상태에서 유동부에 의해 발뒤꿈치를 축으로 발 앞쪽이 상승하면서 발목에서 종아리에 연결되는 근육이 이완되기 때문에, 스트레칭 효과가 발생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ankle is supported by the ankle support portion, the front part of the foot is lifted from the ankle to the axial axis by the flow portion, so that the muscles connected to the calf at the ankle are relaxed, so that a stretching effect occurs.

이로 인해 발목을 포함한 종아리 부분의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얇은 발목으로 변화시켜 각선미를 좋게 하는 미용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This can not only strengthen the muscles of the calf, including the ankle, but can also expect a cosmetic effect that improves the leg by turning it into a thin ankle.

이로 인해 발목의 근력이 약해 발목에 문제가 있거나 걷기 힘든 사람들도 사 용할 수 있다.Because of this, the strength of the ankle is weak and can be used by people who have problems with the ankle or who are hard to walk.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목지지부는 실리콘, 고무, 스펀지, 연성의 플라스틱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발목이 발목 지지부에 반복적으로 닿는 경우에도 발목이 아프지 않고 편안하고 부드럽게 지지되도록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kle support portion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sponge, soft plastic, so that even if the ankle repeatedly touches the ankle support, the ankle does not hurt and is supported comfortably and soft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목지지부에 연결 띠를 형성하되, 연결 띠는 벨크로 테입, 단추, 고무줄, 공기압으로 직경이 조절되는 구조 등으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발목 두께에 따라 길이 또는 직경을 조절하면서 발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forming a connection strip on the ankle support, the connection strip is formed of a Velcro tape, a button, a rubber band, a structure in which the diameter is adjusted by air pressure, etc. to adjust the length or diameter according to the user's ankle thickness It is effective to stably support the.

발판 아래에 각기 설치된 유동기에 의해 발판이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현재 취한 자세에 관계없이 걷는 것과 동일한 운동 효과를 발휘하며, 특히 양쪽의 발판에 각기 설치된 유동기는 발판을 함께 작동시키거나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목적에 적합한 방법으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footrests operate independently by the flowers installed below the footrests, they have the same movement effect as walking regardless of the user's current posture, and in particular, the flowrs installed on both footholds operate the footrests together or independently. Since it is configured to operate, it is possible to exercise in a manner suitable for the user's purpose.

양 발의 발목 부분이 발목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발목 운동 기구는 발에 착용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서 있을 때, 앉아 있을 때, 누워 있을 때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Since the ankle portion of both feet is supported by the ankle support, the ankl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rn and used on the foot can be used when standing, sitting and lying down.

특히, 프레임을 본체를 결합해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체의 바닥면을 측벽에 지지하지 않더라도 어느 위치에서도 누운 자세에서 사용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since the frame can be configure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main body, it can be used in a lying position at any position even i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is not supported on the side wall.

발판의 상부면에 지압용 돌기를 설치하거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체를 설치하거나, 자성체를 설치함으로써, 발목 운동과 더불어 지압,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등 부가적으로 기능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By installing acupressure project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 installing a far-infrared radiator that emits far infrared rays, or by installing a magnetic body, additional functional effects such as acupressure, blood pressure, and blood circulation can be expected.

그리고 발판의 표면은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되게 소정의 굴곡을 갖도록 인체공학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발 운동 기구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And the surface of the footrest ergonomically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ole, thereby improving the fit of the foot exercise equipment.

또한, 절첩되어 삽입되거나, 연장될 수 있는 간격조절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좌우 또는 전후 폭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 따른 발 삽입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oot insertion space according to the user by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or front and rear width by using the gap adjusting means that can be folded or extended.

또한, 도면에서는 두 발을 모두 삽입하는 구조의 발 운동 기구에 대한 실시예만 도시하였으나, 발을 하나만 삽입하는 단일 구조의 발 운동 기구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바, 이 경우 기구의 체적이 작아지는 장점이 있어 휴대 등이 용이하며, 장소에 구애됨 없이 어디서나 더욱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only an embodiment of a foot exercise device having a structure for inserting both feet is shown in the drawings, the foot exercise device having a single structure for inserting only one foot is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carry, etc., can be used anywhere more easily without regard to place.

Claims (9)

발이 삽입될 수 있는 발 삽입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A main body having a foot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foot can be inserted; 상기 발 삽입 공간에 삽입된 발목을 지지하는 발목 지지부와;An ankle support for supporting an ankle inserted into the foot insertion space; 삽입된 발의 뒤꿈치를 축으로 발바닥을 수평면에서 상부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발목에서 종아리까지 이어지는 부분의 근육을 반복적으로 이완시켜 단련시키는 유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운동 기구.An ankle exercising apparatus, comprising: a flow portion for rotating the sole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horizontal plane to the upper part of the heel of the inserted foot to repeatedly relax and train the muscles of the portion from the ankle to the cal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지지부는 발목이 발목 지지부에 부드럽게 맞닿으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실리콘, 고무, 스펀지, 연성의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운동 기구.The ankl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kle support is formed of any one material of silicone, rubber, sponge, soft plastic so that the ankle can be supported while gently touching the ankle suppo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지지부의 양단에는 사용자의 발목 두께에 따라 발목 지지부의 발목 부분을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연결 띠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운동 기구.According to claim 1, Both ends of the ankle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strap for supporting so as to stably fix and support the ankle portion of the ankle support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ankle thicknes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띠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그 일측은 발목 지지부 일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발목 지지부의 타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발목 두께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운동 기구.According to claim 3, The connecting strap is fixed to one end of the ankle support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nkle support, adjustable length to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user's ankle thickness Ankle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a means is inclu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수직으로 세워 사용할 수 있는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rame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that can be used to stand up vertically, 상기 프레임은,The frame,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후미쪽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영문자 "L"자 형상의 프레임 몸체와;A frame body having an English letter “L” shape so as to stably fix the bottom and rear sides of the main body; 상기 프레임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몸체를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운동 기구.Ankle movement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body to secure the frame body to the bottom surfac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flow portion, 상기 발 삽입 공간에 각기 설치되며 발이 탑재되는 발판과;A footrest installed on the foot insertion space and mounted on the foot; 상기 발목 지지부에 근접한 상기 발판의 일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발판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고정축과;A fixed shaf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ootrest close to the ankle support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guid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ootrest; 상기 발판과 상기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을 상기 고정축을 축으로 소정의 각도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 유동기;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기는 공기압, 유압 또는 전동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운동 기구.A flower installed between the scaffol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to repeatedly rotate the scaffold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fixed shaft, wherein the flowr is operated by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method. Ankle exercise equipme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는 운동과 함께 발에 다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지압용 돌기,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체, 자성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ootrest is an ankle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of the acupressure projections, far-infrared radiation radiating far-infrared radiation, magnetic material so as to give a different effect on the foot with exercise. 제 1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의 유동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 및 상기 유동기가 상기 발판을 회전시키는 각도를 조절하는 강도 조절 스위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운동 기구.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On / off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lower of the flow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trength adjustment switch for adjusting the angle at which the flowr rotates the scaffold. Ankle exercise equipment. 제 1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 삽입 공간의 전후, 좌우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발 삽입 공간 사이에 설치된 간격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운동 기구.The ankle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further comprising a spacing adjust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foot insertion spaces to adjust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oot insertion space.
KR1020050021669A 2005-03-16 2005-03-16 Device for exercise ankle KR1006548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669A KR100654883B1 (en) 2005-03-16 2005-03-16 Device for exercise ank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669A KR100654883B1 (en) 2005-03-16 2005-03-16 Device for exercise ank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043A true KR20060100043A (en) 2006-09-20
KR100654883B1 KR100654883B1 (en) 2006-12-06

Family

ID=3763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669A KR100654883B1 (en) 2005-03-16 2005-03-16 Device for exercise ank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88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276B1 (en) * 2020-11-02 2020-12-01 장준호 Ankle Rehabilita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7882B2 (en) 2011-01-07 2014-09-09 Chad Rogers Proprioception balance and coordination enhancement system
KR101298882B1 (en) 2012-06-08 2013-08-21 정재환 The stretching board for achilles' tendon
KR101285947B1 (en) 2013-01-04 2013-07-12 김동권 Correcting device for leg
KR20180070437A (en) 2016-12-16 2018-06-26 최해용 Device for Pelvic Limb Blood Flow
KR20240057184A (en) 2022-10-24 2024-05-02 (재)예수병원유지재단 Reinforcement rehabilitation method for hemiplegic patients using a stepper device
KR20240057183A (en) 2022-10-24 2024-05-02 (재)예수병원유지재단 Stepper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affected side of hemiplegic pati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276B1 (en) * 2020-11-02 2020-12-01 장준호 Ankle Rehabilit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883B1 (en)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883B1 (en) Device for exercise ankle
US7189193B2 (en) 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of persons
KR100902602B1 (en) Lumbar joint rehabilitation sporting goods
US20040158285A1 (en) Pressure sock
US20100248922A1 (en)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KR20190134425A (en) Functional massage chair
FI123644B (en) Device for treatment of back
JP6080332B1 (en) Exercise equipment
CA2418364C (en) Slimming device
CN109045586A (en) A kind of leg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US20200222273A1 (en) Topical massage device, and chair and mat provided with topical massage device
WO2014084450A1 (en) Chair-type medical device which enables abdominal respiration and sphincter exercise
KR100459629B1 (en) physical treatment device for handicapped people
KR200476637Y1 (en) Belt massage bed
KR20160054941A (en) Apparatus for adjusting exercise and prevention of disease
JP2019195564A (en) Health appliance
CN112022625A (en) Lower limb function exercise massage device
KR200276707Y1 (en) a massage footboard exercise machine
CN211131572U (en) Foot regulation formula fixed equipment is used in brothers' surgery nursing
KR102361857B1 (en) Apparatus for Movement range limitation
CN216319788U (en) Knee joint postoperative recovery degree trainer
KR102521319B1 (en) Abdominal pressure massage machine
KR200404857Y1 (en) full-duplex A massage machine for foot
KR200325555Y1 (en) Multi-functional belt massage equipment
KR200283778Y1 (en) physical therapy articu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