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9495A - 정수기용 기능성 5중 필터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기능성 5중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9495A
KR20060099495A KR1020060080292A KR20060080292A KR20060099495A KR 20060099495 A KR20060099495 A KR 20060099495A KR 1020060080292 A KR1020060080292 A KR 1020060080292A KR 20060080292 A KR20060080292 A KR 20060080292A KR 20060099495 A KR20060099495 A KR 20060099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ceramic
oxide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오
손호익
Original Assignee
김명오
손호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오, 손호익 filed Critical 김명오
Priority to KR1020060080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9495A/ko
Publication of KR20060099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단계정수방식을 활용한 정수기 필터에 관한 것이다.
세라믹 볼은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살균력과 유해물질의 분해 능력을 탁월한 물질이다. 기능성 세라믹 볼은 pH를 상승시키고 미네랄을 용출하는 세라믹과 기능성 유리구슬,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pH를 상승시키고 미네랄을 용출하는 세라믹 필터는 점토(Al2O3·2SiO2·H2O)에 산화칼슘(CaO), 산화칼륨(K2O), 산화나트륨(NaO), 산화마그네슘(MgO), 탄소분말(C),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세라믹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라믹 정수기의 필터로 대체가능하며 수족관, 양어장 및 양식장의 수질개선용으로 사용 할 수 있으며 식품가공업, 식음료 업체 등 각종 세라믹 제품에 사용이 가능하다.
"pH를 상승시키고 미네랄을 용출하는 세라믹 볼"은 물을 알칼리화시키고 물 분자의 산화 / 환원 능력을 증가시고 미네랄을 물속으로 용출시킴으로서 동식물의 주요성분인 물 분자의 침투력을 향상시킴으로서 소화촉진 및 각종 성인병으로부터 자연치유능력을 갖도록 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둘째, 기능성 유리구슬은, 규석(SiO2), 산화알루미나(Al2O3), 산화칼슘(CaO), 산화칼륨(K2O), 산화나트륨(NaO),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제1철(Fe2O3), 티타늄(TiO2), 바륨(Ba), 아연(ZnO), 은(Ag)을 주원료로 하고 이에 악티늄족 계열(악티늄족 원소 : 원자기호 89 - 103까지의 원소)을 첨가하여 만들어진 유리구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 볼은 정수기의 기능화 즉 하우징 내부의 단계별로 쌓은 하나의 필터로 대체 가능하며, 수족관, 양어장 및 양식장의 수질개선용으로 사용되며, 식품가공업, 식료업체 및 각종기능성 제품에 사용이 가능하다.
기능성 유리구슬은 세라믹 볼의 일종으로 물속에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면서 불필요한 분진은 용출하지 않는 장점을 갖고 있다.
기능성 세라믹 Ball은 원적외선 방사율과 무기미네랄이 풍부하며, 물을 알칼리화 시키고 물 분자의 산화/환원 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분자간의 연결고리를 짧게 끊어 이온수로 변화시켜 동식물의 주요성분인 물 분자의 침투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소화촉진 및 각종 성인병으로부터 자연치유능력을 갖도록 함은 물론 탈취작용, 물의 이온화, 무기미네랄 용출, 용존산소(DO)의 증가, 물의 알칼리화 등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런 기능성 세라믹 볼을 주성분으로 하고 활성탄, 사문석, 게르마늄석(운모석), 산호사 등등을 성분으로 5단계 정수시스템을 통하여 세라믹필터의 기능의 극대화와 수명연장 및 각종 세균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동시에 건강에 이로운 이온수를 생성하는 정수기용 필터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필터방식보다 탁월하면서 비교적 저가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도 아울러 지니고 있다.
기능성 세라믹 볼, 5단계 정수시스템, 정수기, 필터

Description

정수기용 기능성 5중 필터{The Filter-system of water purifier}
[도 1] 은 정수기의 필터의 물 흐름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정수기 필터는 필터하우징과, 필터하우징의 일측에 정화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구와 대응되는 필터하우징의 타측에 정화된 물이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구를 가지는 캡으로 크게 구성된다.
[도2] 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정수 순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1: 수도꼭지 S12: 정수기 필터 물흐름
S13: 정수기 필터 몸체 S14: 정수된 물
세라믹이란 일반적으로 고순도의 천연 무기물이나 인공물로 합성한 무기화합물을 원료로 하여 고도의 기능을 갖게 한 제품을 말한다. 일반 세라믹은 도자기·시멘트·유리와 같이 규산염에 한정되며 기능이 용기적이고, 뉴세라믹은 물질의 종류도 다양하고 용도도 공구나 전자재료 등으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소결조제(燒結助劑) 등으로 물질 자체가 나타내야 할 뛰어난 특성을 살리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 다. 지속적인 세라믹 기술의 개발로 파인세라믹스가 개발되어 그 기능이 훨씬 강화되었다. 이 기술은 천연원료 대신 인공의 고순도원료를 이용하는 것이다. 파인세라믹 가운데 특히 고순도화 된 것은 광통신용의 실리카 SIO2 이다. 철분·수분 등의 불순물은 ppb(1/10억)정도도 허락하지 않는다. 원료는 일반적으로 1㎛ 이하인 것(서브마이크론)이 사용된다. 용도도 정밀성이 요구되는 것이 많으므로 제품의 치수정밀도에서도 일반 세라믹, 뉴세라믹에 비해 훨씬 고도(高度)이다. 따라서 성형(成形)·소성(燒成)·가공 등에도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며 용도도 다양하고 사회적 영향도 크다. 즉 전자기 광학적 기능을 갖는 것은 정보통신기술에, 열적·기계적 기능을 갖는 것은 에너지절약 기술이나 정밀기계 기술에, 내식성과 생체친화성(生體親化性)을 살린 것은 의학용에 주로 사용된다. 정보·에너지·바이오테크놀러지 또는 생명과학이라는 첨단기술의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소재로 쓰인다.
세라믹 볼이란 세라믹을 재료로하여 볼 형태로 가공한 것으로 질화규소 볼(Si3N4), 지르코니아 볼(ZrO2), 탄화규소 볼(SiC) , 알루미나 볼(Al2O3), 초경볼(T/C) 등등 다양한 종류가 생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세라믹 볼은 고온 소결한 치밀한 소재로, 공유결합을 유지하여, 내열성과 고온강도, 경도가 우수한 편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열 충격에 강하고, 열팽창 계수가 낮고, 기계적 강도가 크고, 특히 고온에서 곡강도가 대단히 크다.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내마모성, 내식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인체에 해롭지 않고 환경친화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정수기용 세라믹 볼을 제작하여, 정수기 필터로서 사용함에 있어서 수명을 증진시키는 동시에, 그 기능을 배가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pH를 상승시키고 미네랄을 용출하는 세라믹 볼"과 "기능성 유리구슬"을 주성분으로 하고 활성탄, 사문석, 게르마늄석(운모석), 산호사 등등을 성분으로 5단계 정수시스템을 통하여 각종 세균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동시에 건강에 이로운 이온수를 생성하는 정수기용 필터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는 데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본 발명은 무기 미네랄을 세라믹 볼로 만들어서 정수기 필터에 장착하여 물속에 일정한 미네랄을 용출시켜서 pH 8.5를 유지하며 인체에 부족한 미네랄을 물로서 섭취하는 방법이다.
기능성 유리구슬은 세라믹 보다는 적지만, 원적외선방사, 음이온방사, 항균작용, 탈취효과도 가진다. 그러나 세라믹보다는 산성, 알칼리에서 화학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분진은 전혀 없다. 다시말해, 다공질 세라믹 볼보다는 기능은 조금 떨어지나, 안정성이 검증된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유리도 넓은 의미에서는 세라믹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공성 세라믹과 유리는 다르다.
둘째, 모든 무기제로는 그 수치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 한다. 다공성의 세라믹은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극대화 하는 과정에서 분진을 생성하는 단점이 있다. 유리는 산성과 알칼리에서 화학반응은 없지만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다공질 세라믹 보다 작게 방출한다는 단점이 있다.
정수기 물에서 용출되어야 할 것과 용출되지 않아야 할 것을 분리하여 만들어 시스템에 장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 두 가지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렇게 제조한 기능성 "pH를 상승시키고 미네랄을 용출하는 세라믹 볼"과 "기능성 유리구슬"을 주성분으로 하고 활성탄, 사문석, 게르마늄석(운모석), 산호사 등등을 성분으로 5단계 정수시스템을 통하여 각종 세균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동시에 탄화규소가 모두 광촉매의 일종이므로 견고함은 물론 광촉매 반응을 통하여 세라믹 볼은 정화능력을 향상시키고 살균 및 항균 효과, 그리고 유해 화학물질의 분해효과도 아울러 기대할 수가 있다. 건강에 이로운 이온수를 생성하는 정수기용 필터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지금부터 정수기의 5단계 필터시스템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1. 세드민트 필터(Sediment Filter) : 전처리 정수단계 원수와 최초 접속하여 0.5미크론 이상의 찌꺼기와 오염물질을 걸러줌으로써 모든 부품 및 멤브레인의 정상적인 활동을 보장해 줍니나. 세드민트 필터의 주 원료는 부직포이다. 부직포란 짜거나 뜨지 않은, 즉 직조하지 않고 만든 천을 말한다. 짧은 심유에서 실을 뽑고 이 실을 다시 짜거나 떠서 천을 만드는 작업은 큰 노력을 필요로 하므로 이러한 번 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섬유에서 직접 천을 만드는 몇몇 방법이 발명되었다. 즉 ① 펠트에서 만드는 방법 ② 필름에서 만드는 방법 ③ 섬유를 결합시켜 펠트 상태로 하여 만드는 방법 ④ 고무나 플라스틱 지지물 위에 펠트 상태 시트를 만드는 방법 ⑤ 가열연화시킨 섬유를 용착(溶着)시켜 만드는 방법 ⑥ 섬유를 적당한 용매로 결합시켜 만드는 방법 등이 있다. 부직포 제조는 섬유의 웨브(web;격자모양으로 얽힌 것)를 만드는 것과 결합이라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1kg의 섬유에서는 보통의 의복지를 10∼12m 만들 수 있는데, 이것은 약 2억 가닥의 섬유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섬유로 웨브를 만드는 것이 섬유를 결합시키는 것보다 어렵다. 웨브에는 섬유를 배향(配向)시키는 것과 무작위로 배열시키는 것(랜덤웨브)의 2가지 방법이 있다. 섬유를 배향시키는 것은 보통의 직물을 만드는 방법과 같으며, 잘 정돈하여 섬유를 평행으로 늘어놓는다. 평행으로 늘어놓은 웨브는 가로방향에서 약하기 때문에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 교차배열 웨브가 만들어진다. 교차배열 웨브는 하나의 웨브를 가능한 한 직각에 가깝게 다른 웨브 위에 놓은 것인데 평행배열웨브에 비해 제조 속도가 매우 느리다. 랜덤웨브는 랜도피더와 랜도웨버(미국컬레이터사의상품명)라는 공급장치와 웨브를 만드는 장치를 조합시킨 특수한 기계로 만들어진다. 섬유를 날려 스크린 위에 포착시키고 이렇게 하여 모아진 랜덤웨브를 눌러 정리한다. 웨브형태로 된 섬유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된다. 결합제로서는 접착제인 폴리아세트산비닐, 고무라텍스, 요소-포름알데히드, 폴리염화비닐분산액, 수용성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이 있다. 앞에서 서술한 방법 이외에, 열가소성섬유를 다른 섬유와 혼합하여 용매나 열로 용해하여 섬유를 접착시키는 방법도 있다. 부직포는 탄력이 풍부 하고 복원성이 크다. 원료로는 레이온·무명 또는 폴리에스테르·나일론 등의 합성섬유가 쓰인다. 용도로는 의복용 심지가 가장 많고, 그 밖에 일회용 침대시트·타월·모포·다리미 깔개·카펫·냅킨·구두안창·실내장식품 등으로 쓰인다.
2. 프리카본 필터(Pre CArbon Filter) : 고열로 처리된 카본으로 원수 속에 융해되어 있는유해화학 물질인 염소 트리할로메탄, 유기화학물질 등을 흡착, 제거하는 고품질의 고체형 카본필터입니다. 활성탄은 흡착성이 강하고, 대부분의 구성 물질이 탄소질로 된 물질이다.
제조방법은 목재 ·갈탄 ·이탄(泥炭) 등을 활성화제인 염화아연이나 인산과 같은 약품으로 처리하여, 건조시키거나 목탄을 수증기로 활성화시켜 만든다. 일반적으로 활성탄은 가루상태나 입자 상태로 제조되는데, 가루인 것은 입자 상태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용도는 주로 흡착제로서 기체나 습기를 흡수시키는 데 사용되며, 그 밖에 용제(溶劑)의 회수제와 가스의 정제용 또는 탈색제로 쓰이는 등 용도가 다양하다. 원래 활성화란 복사(輻射)의 흡수나 고속입자선의 충격 등으로 인하여 원자나 분자 또는 이온 등이 고에너지 상태로 되어 화학반응이나 결정격자(結晶格子)를 일으키기 쉬운 상태로 변하는 것을 말한다. 또 촉매작용으로 그 표면상태의 변화나 다른 물질의 첨가로 그 기능이 훨씬 높아지는 것을 뜻하는 것이므로, 활성탄도 이와 같은 활성화제를 첨가하여 탄소질의 기능이 향상된 것을 뜻한다.
3. UF 멤브레인 필터(UFMembranes Filter) : 머리카락 굵기의 만분의 1인 0.01미크론 이하의 미세한 기공을 통해 바이러스, 박테리아, 유기화학물질 등 모든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 필터이다.
4.보조필터 : 기능성 유리구슬을 주 원료로 하며, 사문석, 게르마늄석(운모석), 산호사 등으로 만들어진 필터를 의미한다.
기능성 유리구슬은, 규석(SiO2), 산화알루미나(Al2O3), 산화칼슘(CaO), 산화칼륨(K2O), 산화나트륨(NaO),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제1철(Fe2O3), 티타늄(TiO2), 바륨(Ba), 아연(ZnO), 은(Ag)을 주원료로 하고 이에 악티늄족 계열(악티늄족 원소 : 원자기호 89 - 103까지의 원소)을 첨가하여 만들어진 유리구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 볼은 정수기의 기능화 즉 하우징 내부의 단계별로 쌓은 하나의 필터로 대체 가능하며, 수족관, 양어장 및 양식장의 수질개선용으로 사용되며, 식품가공업, 식료업체 및 각종 기능성 제품에 사용이 가능하다.
기능성 유리구슬은 세라믹 볼의 일종으로 물속에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면서 불필요한 분진은 용출하지 않는 장점을 갖고 있다.
사문석 [蛇紋石 serpentine]은 화학조성식이 MgSiO(OH)이다. 사문암을 구성하는 함수(含水) 마그네슘층상 규산염광물의 총칭이다. 부성분은 철·니켈이며, 결정계는 단사정계·사방정계이다. 굳기는 3이고 비중은 2.6이며, 쪼개짐은 한 방향으로 완전하다. 다형(多形, polymorph)과 다형(多型, polytype)이 많이 있으나, 주된 것은 안티고라이트(葉蛇紋石)·리저다이트·크리소타일(纖維蛇紋石)의 3종이다. 사문석광물 중 안티고라이트가 가장 일반적인 종이다. 공업적으로 가치가 높은 것은 크리소타일인데, 이른바 석면(사문암석면)으로 이용되는 것은 거의 이 광물이다. 섬유모양의 결정이 평행하게 집합해서 사문암을 자르는 광맥을 구성한다. 사문석은 초염기성암이 열수변성작용을 받아 생성되는 것이 대부분인데, 다른 암석 가 운데서도 마그네슘규산염광물의 분해로 인해서 쉽게 생긴다. 부드럽고, 절단·연마가 쉬우므로 색이 아름다운 것은 장식품으로 이용된다. 영어명은 어떤 종의 사문암 표면이 뱀의 가죽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 뱀을 뜻하는 라틴어(serpent)로부터 유래되었다.
운모석은 알칼리 및 알칼리토금속·철·마그네슘·망간·바나듐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알루미노규산염수화물광물의 한 그룹이다. 속칭 돌비늘이라고도 한다. 단사정계이며, 굳기는 2∼3이고, 비중은 2.4∼3.2이다. 운모의 일반적 특징은 한 방향으로 완전한 쪼개짐이 있으며 얇게 벗겨지기 쉽다. 유리광택이 있고, 무색·흑색·녹색·갈색·홍색·황색이 있다. 쪼개진 조각은 휠 수 있고, 탄성이 있어서 견고하다. 또 전기나 열의 전도성이 낮고 고전압에 견디는 힘도 있다. 운모의 구조는 규소 또는 알루미늄을 중심에 갖는 산소의 사면체가 연결하여 이루고 있는 층이 2장 있으며, 철이나 마그네슘을 중심에 갖는 팔면 체층을 낀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복합층 사이에 알칼리금속이나 알칼리토금속이 들어가 있다. 이와 같이 구조가 층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완전한 쪼개짐이 잘 발달되어 있는 것이다. 현재 운모의 종류는 약 27종이 알려져 있는데 백운모·흑운모 및 금운모가 가장 많이 산출되고 조암광물로서 중요하다.
산호사 [珊瑚沙;산호모래. ] 산호가 분해되어서 된 모래로서 SiO2 : 0.20%, CaO : 51.9%, SrO : 0.49%이상의 성분비를 갖고있는 무기광물질.
5. pH를 상승시키고 미네랄을 용출하는 세라믹 필터
pH를 상승시키고 미네랄을 용출하는 세라믹 필터는 점토(Al2O3·2SiO2·H2O) 에 산화칼슘(CaO), 산화칼륨(K2O), 산화나트륨(NaO), 산화마그네슘(MgO), 탄소분말(C),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세라믹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라믹 정수기의 필터로 대체 가능하며 수족관, 양어장 및 양식장의 수질개선용으로 사용 할 수 있으며 식품가공업, 식음료 업체 등 각종 세라믹 제품에 사용이 가능하다.
"pH를 상승시키고 미네랄을 용출하는 세라믹 볼"은 물을 알칼리화시키고 물 분자의 산화 / 환원 능력을 증가시고 미네랄을 물속으로 용출시킴으로서 동식물의 주요성분인 물 분자의 침투력을 향상시킴으로서 소화촉진 및 각종 성인병으로부터 자연치유능력을 갖도록 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도면 2]와 같다.
1단계: 세드민트
2단계: 프리카본
3단계: 맴브레인
4단계: 보조필터[기능성 유리구슬+ 사문석+ 게르마늄석(운모석)+ 산호사 등으로 만들어진 필터.]
5단계: pH를 상승시키고 미네랄을 용출하는 세라믹 필터
일반적으로, 마실 물을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는 그 형태에 따라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수도꼭지 부착형과, 유리단지에 물을 받아 자연낙하 과정에서 정수하는 탁상형(비배관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방식에 따라 수도직결식, 자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이 온수기식 등으로 나눌 수 있는 바, 대체로 자연여과식과 역삼투압 식, 수도직결식이 많이 쓰이고 있다.
상기 여과방식은 상수도에서 공급되는 물을 5단계에 걸친 다수의 필터를 통해 정화하는 것이며, 이러한 필터는 모두 정수기내에 내장될 수 있도록 필터하우징의 일측에 정화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정화된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를 마련하고 있다.
필터 구조는 필터하우징의 일측에 정화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타측에는 정화된 물이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구를 가지는 캡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필터하우징내의 양단에는 각각 초음파 융착을 통해 고정되도록 되어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하우징의 일측에 정화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구와 대응하는 필터하우징의 타측에 정화된 물이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구를 가지는 캡과, 필터하우징 내에 충진되어 있는 물질을 구비하는 정수기의 필터에 있어서, 필터하우징의 내측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배플판이 설치되어, 필터를 통과하는 물이 필터내부 충진물을 고루 퍼져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의 필터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를 활용할 경우, 원적외선 방사율과 무기미네랄이 풍부하며, 점토(Al2 O3 ·2SiO2 ·H2 O)에 산화칼슘(CaO), 산화칼륨(K2 O), 탄산나트륨(Na2 CO3 ), 산화마그네슘(MgO), 탄소분말(C),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세라믹조성물로 만들어진 "pH를 상승시키고, 미네랄을 용출하는 세라믹 볼"과, 규석(SiO2 ), 산화알루미나(Al2 O3 ), 산화칼슘(CaO), 산화칼륨(K2 O), 탄산나트륨(Na2 CO3 ),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제1철(Fe2 O3 ), 티타늄(TiO2 ), 바륨(Ba), 아연(ZnO), 은(Ag)을 주원료로 하고 이에 약티늄족 계열(악티늄족 원소 : 원자기호 89 - 103까지의 원소)을 첨가하여 만들진 기능성 "유리구슬"로, 원적외선과 음이온방사가 높다.
제작한 Ball형태의 정수기용 필터로써, 물을 알칼리화 시키고 물 분자의 산화/환원 능력을 증가시킴으로서 분자간의 연결고리를 짧게 끊어 이온수로 변화시켜 동식물의 주요성분인 물 분자의 침투력을 향상시킴으로서 소화촉진 및 각종 성인병으로부터 자연치유능력을 갖도록 함은 물론 탈취작용, 물의 이온화, 무기미네랄 용출, 용존산소(DO)의 증가, 물의 알칼리화 등의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의 방법대로 다중코팅을 하여 정수기용 다기능 세라믹 볼을 제조할 경우 뛰어난 견고성과 내구성은 물론, 항균 및 살균효과, 그리고 유해화학 물질의 분해 능력까지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
보조 재료로서 사문석, 게르마늄석(운모석), 산호사를 함께 사용하면 세라믹의 기능이 한층 더 강화되고 수명도 연장시킨다.
본 발명은 세라믹 정수기의 필터로 대체 가능하며 수족관, 양어장 및 양식장 의 수질개선용으로 사용 할 수 있으며 식품가공업, 식음료 업체 등 각종 세라믹 제품에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2)

1단계: 세드민 필터, 2단계: 프리카본 필터, 3단계: 멘브레인 필터, 4단계: 게르마늄석(운모석),+산호사, +사문석 + 기능성유리구슬, 5단계: pH를 상승시키고, 미네랄을 용출하는 세라믹 볼로 구성된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정수기용 5단계 필터'
상기 [청구항 1] 로 제작된 정수시스템 중 1단계와 2단계, 4단계와 5단계가 바뀌어서 만들어진 '정수기용 5단계 필터'.
KR1020060080292A 2006-08-24 2006-08-24 정수기용 기능성 5중 필터 KR20060099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292A KR20060099495A (ko) 2006-08-24 2006-08-24 정수기용 기능성 5중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292A KR20060099495A (ko) 2006-08-24 2006-08-24 정수기용 기능성 5중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495A true KR20060099495A (ko) 2006-09-19

Family

ID=37630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292A KR20060099495A (ko) 2006-08-24 2006-08-24 정수기용 기능성 5중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94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04B1 (ko) * 2006-08-24 2008-03-03 손호익 다공성을 갖는 세라믹 볼
KR100907911B1 (ko) * 2008-12-05 2009-07-16 (주)블루앤 음이온 미네랄 환원 정수기
CN102173659A (zh) * 2011-03-16 2011-09-07 李荣国 一种钛陶瓷绝热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04B1 (ko) * 2006-08-24 2008-03-03 손호익 다공성을 갖는 세라믹 볼
KR100907911B1 (ko) * 2008-12-05 2009-07-16 (주)블루앤 음이온 미네랄 환원 정수기
CN102173659A (zh) * 2011-03-16 2011-09-07 李荣国 一种钛陶瓷绝热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199B1 (ko) 세라믹 필터를 이용한 옥외용 정수기
CN102794078A (zh) 一种复合矿物质空气净化剂
KR101572801B1 (ko) 현무암을 이용한 마그마 찜질 및 건조기용 판재의 제조방법
KR20060099495A (ko) 정수기용 기능성 5중 필터
KR20120025676A (ko) 현무암 분말을 이용한 칼라스톤의 제조방법
KR20170013603A (ko) 규산염계 무기질 바인더 및 천연 광물질 재료를 적용한 다기능 내부 장식용 친환경 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보드의 제조 방법
KR100696242B1 (ko)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생성 필터 및 그 필터 제조방법
KR101168010B1 (ko) 규산염계 무기질바인더 및 천연 광물질 재료를 적용한 다기능 무독성 내부 장치용 친환경 패널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패널과 그 제조방법
WO2012077122A2 (en) A purification medium
WO2003056075A1 (en) Multi-functional fiber containing natural magma-stone and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same
KR200359078Y1 (ko) 정수기용 기능성 5중 필터
KR101306652B1 (ko) 고분산 무기질 분말을 함유하는 기능성 섬유의 제조방법
KR100927004B1 (ko) 정수·정제용 다각형 필터의 제조방법
KR101207125B1 (ko) 물 분자를 작게 나누어주는 세라믹 볼.
KR101875033B1 (ko) 블록형 정수부재가 구비된 정수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정수장치
KR20040052813A (ko) 정수기용 기능성 세라믹볼을 활용한 다중필터
KR100756406B1 (ko) 옷 내피용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580680A (zh) 一种污油助滤剂组合物
KR100473715B1 (ko) 천연 물질을 이용한 알칼리 환원 정수기
KR20000072652A (ko) 원적외선 방사 플라스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31360B1 (ko) 기능성 정수필터장치
KR100884729B1 (ko) 건축내외장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건축내외장재의 제조방법.
CN118026476A (zh) 一种新型复合型滤芯
KR200233115Y1 (ko) 바이오 에너지 드림워터 활성수기
KR100428248B1 (ko) 세라믹 필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세라믹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