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190A -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시스템과 응용 - Google Patents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시스템과 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190A
KR20060098190A KR1020050019939A KR20050019939A KR20060098190A KR 20060098190 A KR20060098190 A KR 20060098190A KR 1020050019939 A KR1020050019939 A KR 1020050019939A KR 20050019939 A KR20050019939 A KR 20050019939A KR 20060098190 A KR20060098190 A KR 20060098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broadcast
information
data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의
Original Assignee
김창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의 filed Critical 김창의
Priority to KR1020050019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8190A/ko
Publication of KR20060098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

Description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시스템과 응용{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 경보방송 제어코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보방송용 tv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tv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보방송용 tv 시스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보방송용 tv 시스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경보방송용 tv시스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경보방송용 tv 시스템 구성도.
[기술적 분야]
본 발명은 방송신호 수신기인 텔레비전 시스템과 응용 관한 것으로, 경보방송을 전파하기 위한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서의 경보방송 전파와 그응용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현재 보편화되어 있는 재해통보 방법으로서는 전화나 핸드폰을 이용하여 구청에서 일반 가정으로 재해 상황을 통보해 주는 음성통보 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이러 한 시스템은 전파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비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통보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 바로 TV를 통한 자동경보방송 시스템이다.
재해나 재난 예견시 각 가정에 경보방송을 전파할 수 있는 텔레비전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서의 경보방송 전파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텔레비전 시스템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경보방송의 시청을 유도할 수 있는 텔레비전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서의 경보방송 전파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VCR과 같은 영상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에게도 재해방송을 신속하게 전파할 수 있는 정보방송용 텔레비전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서의 경보방송 전파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실시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보방송 전파방법은,
방송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 하는 단계와;
수신되는 방송신호 또는 데이터에 중첩 또는 삽입되어 있는,경보방송신호 또는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경보방송신호 또는 데이터중 등록된 정보가 검출되면,상기 시스템의 주 전원을 온 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텔레비전 시스템의 전원을 오프한 경우에도 경보방송의 수신여부에 따라 텔레비전 시스템이 "온"됨으로서, 재해지역의 주민들은 자동적으로 구동된 텔레비전을 통해 경보방송을 자막으로 전파받거나 또는 뉴스 속보 등으로 전파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시스템은,
수신된 방송신호 또는 데이터에 중첩 또는 삽입되어 있는,경보방송신호 또는 데이터 를 분리하고,이를 경보방송 제어정보들로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경보방송신호 또는 데이터 분리 및 처리부와;
경보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중 등록된 정보(경보방송 시작신호 또는 데이터) 가 검출되면 텔레비젼 시스템의 주 전원을 온 시키거나 시스템 동작모드를 TV 시청모드로 전환하여 미리 약정된 경보방송패널의 방송신호 또는 데이터 가 AV출력되도록 시스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전원 대기모드와 비디오 재생모드에서 미리 약정된 경보방송채널의 방송신호가 수신되도록 방송신호 수신부의 채널을 선국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VCR과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재생되는 영상을 시청하던 중에도 미리 약정된 채널을 통해 경보방송의 송출이 있다면, 시스팀에서는 방송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보방송이 표시되도록 시스템을 제어함으로서, 비디오 시청자는 자막 또는 뉴스 속보 형태 등으로 경보방송의 전파를 접할 수 있게 되는 것 이다.
텔레비전을 통한 경보방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방송국에서 사전에 약정된 경보방송신호 또는 데이터 의 송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방송국에서 송출되어야하는 경보방송신호 또는 데이터는 경보방송을 위한 텔레비전 시스템 제어코드들로서, 인코더에 의해 인코딩되어 방송신호의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 구간에 중첩 또는 삽입되어 전파된다. 경보방송을 위한 텔레비전 시스템 제어코드들을 예시하면 도 1과 같다.
도 1에서 텔레비전 경보방송 시작정보는 텔레비전 경보방송의 시작을 지시하여 준다. 경보방송 시작정보의 검출에 의해서 현재 경보방송이 전파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경보방송 송출시각정보는 경보방송의 송출시각을 지시하여 주는데, 이러한 송출시각정보는 현재 시각정보(RTC)와 비교되어 시스템 온/오프에 이용된다.경보방송 지속시간정보는 경보방송의 지속시간을 지시하여 준다.경보방송 수신 지역 수를 지시하는 정보는 경보방송의 전파지역 수를 나타낸다. n개의 수신지역 정보는 경보방송이 전파되어야 하는 지역정보로서, 이 정보중 어느 하나와 시스템에 저장된 자신의 지역정보가 일치하면,재해지역임을 감지하여 텔레비전 시스템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경보방송 수신집단 정보는 경찰, 군, 공문원 등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경보방송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수신집단 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전파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경보방송 자막시작정보는 경보방송의 자막시작을 지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보방송의 자막시작정보 후위에는 경보방송 자막내용 정보 와, 경보방송 자막종료를 지시하는 정보와, 경보방송 종료를 지시하는 정보가 순차적으로 존재한다.
경보방송 시작정보와 경보방송 송출시각 정보 사이에는 테스트 코드(test code)가 삽입 가능하다. 이러한 테스트코드는 경보방송 전파시 텔레비전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사전에 테스트하기 위한 제어코드이다. 테스트 코드는 TV 온(on) 코드, 테스트 코드 송출시각정보, 집단인식코드정보, 장르인식 코드정보, 지역인식 코드정보, TV 오프(off) 코드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 코드를 텔레비전 시스템이 수신하면, 시스템 제어부는 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새로운 코드가 수신되면 저장된 코드를 새로 수신된 코드로 갱신한다.
저장된 테스트 코드의 이용방법은 사용자 명령에 의해 TV 온 명령이 수신되면,제어부는 저장된 TV 온 코드를 이용하여 TV를 켠후 TV 음량을 테스트 조절한다. 그리고 미리 약정된 경보방송 채널로 전환한후 이전 채널로 복귀하고, 저장된 신호 또는 데이터 송출시각, 집단인식코드, 수신율 등을 OSD 형태로 표시하여 준다. 이러한 테스트 동작은 테스트 코드 수신 저장후 한 번만 수행하도록 프로그램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수행되도록 프로그램 할 수도 있다.
한편 뉴스속보, 뉴스, 연속극 등 전파되는 방송신호의 장르를 지시하기 위한 장르 인식코드가 제어코드들에 추가 삽입 가능하다.
도 2는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방송신호 수신부(10)는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선국된 방송신호 를 수신하여 복합영상신호(CVBS)와 오디오신호로 분리 출력한다.방송신호 수신 부(10)는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튜너와 IF처리부를 포함한다.
비디오 신호 처리부(20)는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10)에서 분리된 복합영상신호(CVBS)를 표시장치에 표시가능한 영상신호성분(RGB)으로 처리하여 자막처리신호와 믹싱하여 출력한다.비디오 신호 처리부(20)는 복합영상신호를 Y, C신호로 분리하기 위한 Y/C 분리부와, 분리된 Y/C 신호를 RGB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크로마신호 처리부 및 자막처리신호를 믹싱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 혼합부를 포함한다.
비디오 신호 출력부(30)는 상기 비디오 신호 처리부(20)에서 출력되는 RGB신호를 표시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비디오 신호 출력부(30)는 CRT드라이버와 CRT를 포함한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40)는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10)에서 분리된 오디오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 가능한 신호(R/L)로 처리하여 출력한다.오디오 신호 처리부(40)는 출력단에 앰프를 구비한다.앰프는 제어부(70)로부터 출력되는 볼륨조정신호(①)에 의해 증폭레벨 조정됨으로서 출격 가청음의 레벨을 증폭시킨다.오디오 신호 처리부(40)의 후단에는 스피커인 오디오 신호 출력부(50)가 위치함으로서, 오디오 신호 처리부(40)에서 채널 분리된 오디오 신호(R/L)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리모콘 수신부(80)는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된 원격조정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70)로 전달하여 준다.
경보방송신호 분리 및 처리부(60)는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10)에서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BS)에서 경보방송신호를 분리하고 이를 경보방송 제어정보들로 디 코딩하여 제어부(70)로 출릭한다.경보방송신호분리 및 처리부(60)는 디코딩된 경보방송 제어정보들중 자막정보에 따른 자막처리신호(자막 R,G,B)를 발생하여 비디오신호처리부(20)로 출력하여 준다.
제어부(70)는 저장부(85)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초하여 텔레비전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70)는 디코딩된 경보방송 제어정보들에서 저장부(85)에 미리 등록된 정보(예를 들면 경보방송 시작정보, 수신지역정보, 수신집단정보, 장르정보 등)가 검출되면 시스템 전원을 온(on)시키거나 시스템 동작모드를 TV 시청모드로 전환하여 미리 약정된 경보방송채널의 방송신호가 AV출력되도록 시스템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70)는 등록된 패턴의 경보방송 시작정보가 검출되면 스피커, 부저, 경광등, 기타의 경보수단을 활성화시켜 경보 전파할 수도 있다.
참고적으로 사용자는 리모콘을 통해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코드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역코드는 저장부(85)에 저장되어 경보방송 수신지역정보와 비교된다. 그리고 지역에 따라 방송국별 채널이 다르기 때문에 경보방송을 전파하는 방송국의 채널정보 또한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입력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대기상태에서 경보방송을 전파하는 방송국의 채널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미리 프로그램한다면, 경보방송 전파시 TV가 "온"되도록 함으로써 일반인들이 경보방송을 접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전원공급부(75)는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이를 시스템 각 부에 공급하기 위한 대기전원과 주전원으로 처리하여 출력하여 준다.대기전원이란 시스템 웨이크업을 위해 필요한 최소 전원을 의미한다.
도 3은 전원 대기모드에서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한개의 튜너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시스템에서의 경보방송 전파방법은 크게 전원대기모드(주전원 오프모드)에서의 동작과 주 전원 온 상태에서의 동작으로 구분할 수 있다.전원대기모드에서 경보방송을 전파하기 위해 전제되어야 할 부분은 경보방송을 전파하는 채널방송의 선국이 사전에 이루어지거나 전원 대기모드에서 각 채널을 감시하고 있어야 한다.
경보방송을 송출하는 채널을 선국하거나 각 채널을 감시하고,전원 대기모드로 대기하고 있는,텔레비전 시스템의 제어부(70)는 경보방송신호관리 및 처리부(60)를 통해 경보방송 시작코드가 검출되는가를 검사(Ⅰ단계)한다.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제어부(7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보방송신호를 수신할 것이다.수신된 경보방송신호는 경보방송신호분리 및 처리부(60)에서 분리 및 처리 되어 제어부(70)로 입력됨에 따라, 제어부(70)는 경보방송 시작코드를 검출하고 이어서 그에 후속하는 경보방송 제어(코드)정보들을 입력(Ⅱ단계)받게 된다.
경보방송 제어정보들을 입력받는 제어부(70)는 제3단계(Ⅲ)로서 경보방송 송출시각정보가 텔레비전 시스템의 현재 시각정보(Real Time Clock:RTC)와 허용오차 범위내의 값을 가지는가를 비교한다.경보방송 송출시각정보가 텔레비전 시스템의 현재 시각정보와 허용오차 범위내의 값을 가지면, 제어부(70)는 수신된 경보방송 수신지역 정보중에 저장부(85)에 등록된 지역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검사(Ⅳ단계)한다.
검사결과 일치하는 지역정보가 존재하면 제어부(70)는 전원 대기상태인 시스템 각 부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시스템 주 전원을 "온"(Ⅵ단계)시킨다. 도 3에서 시스템 주 전원을 "온"시키기 이전에 전원 "온"상태를 체크하는 단계(Ⅴ단계)를 도시한 이유는 도 5에서와 같이 두 개의 튜너를 구비하는 경우를 가정한 경우이다. 두 개의 튜너중 어느 하나는 경보방송만을 전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전용튜너이다.전용 튜너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시스템에서는 주 전원 "온"상태 여부에 따라 약정된 경보방송 채널을 바로 선국하던지, 아니면 전원을 "온"시킨 이후에 약정 채널을 선국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주 전원 "온"상태 여부 체크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한개의 튜너를 구비하는 시스템을 가정하면, 시스템 주 전원을 "온"(Ⅵ단계)시킨 제어부(70)는 이미 약정된 경보방송 채널이 선국된 상태이므로 바로 볼륨레벨을 상향 조정(Ⅷ단계)되도록 볼륨조정신호(①)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TV 전원이 온 상태로 전환된후 볼륨이 상향 조정되고, 경보방송신호분리 및 처리부(60)에서 디코딩되어 출력되는 자막처리신호는 비디오신호 또는 데이터 처리부(20)에서 원 영상신호와 믹싱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여러 가지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TV 주 전원이 "온"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단순히 경보방송 시작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도 TV 주 전원을 "온"시킬 수 있다. 이는 실제 시스템 설계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개의 튜너, 즉 한개의 방송신호 수신부만을 구비하는 텔레비전 시스템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도 4는, 한 개의 튜너를 구비하고 VCR과 같은 영상재생장치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텔레비전 시스템을 가정한 경우이다.
VCR 시청중 경보방송이 송출된다면 이를 시청자에게 전파할 수 있는 방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도 4에서, 비디오 신호 스위칭부(90)와 오디오신호 스위칭부(100)의 구성을 제외한 모든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시스템 구성과 동일하다.
비디오 신호 스위칭부(90)는 제어부(70)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비디오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방송신호 수신부(10)로부터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BS)중 어느 하나를 선택 선택한다.
오디오 신호 스위칭부(100) 역시 오디오 입력단자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방송신호 수신부(10)에서 분리된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제어부(76)의 제어에 따라 선택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부(70)는 비디오 재생모드의 선택이 있으면, VCR과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재생된 신호의 AV출력이 이루어지도록,비디오 신호 스위칭부(90)와 오디오 신호 스위칭부(100)를 제어하고, TV 시청모드의 선택이 있으면 방송신호 수신부(10)에서 채널 선국된 TV방송신호가 오디오 신호 출력부(50)와 비디오 신호 출력부(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들(90,100)을 제어한다.
비디오 재생모드의 선택이 있으면 제어부(70)는 상기 스위칭부들(90,100)을 제어하여 VCR로부터 재생된 신호가 스피커와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제어부(70)는 경보방송을 수신하기 위해 경보방송을 송출하는 방송채널을 선국한다. 이러한 선국에 따라 경보방송신호 분리 및 처리부(60)는 방송신호 수신부(10)를 통해 경보방송신호가 중첩되어 있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70)는 경보방송신호 분리 및 처리부(60)를 통해 경보방송 시작정보가 검출되는가를 검사하여 상기 경보방송 시작정보가 검출되면,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보방송 송출시각정보와 시스템의 현재 시각정보가 허용오차 범위 이내의 값을 가지는가를 검사하고,사전에 메모리된 자신의 지역정보와 일치하는 지역정보가 수신된 제어정보들에 존재하는지를 순차적으로 검사한다.
검사결과 송출시각과 시스템의 현재 시각정보가 허용오차 범위 이내의 값을 갖고, 저장된 지역정보와 일치하는 경보방송 수신지역 정보가 있으면, 제어부(70)는 비디오 재생모드를 TV 시청모드로 전환시킨다. 즉, 비디오 신호 스위칭부(90)와 오디오 신호 스위칭부(100)를 제어하여 방송신호 수신부(1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의 튜너는 경보방송채널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경보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AV신호가 표시 출력되고, 경보방송을 알리는 자막이 비디오 신호 처리부(20)에서 믹싱되어 출력되어, 비디오 시청자는 현재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재해가 발생하였음을 자막을 통해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볼륨을 자동으로 일정 레벨까지 상향 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명령이 있으 면 다시 비디오 재생모드로 전환되도록 프로그램할 수 있다.
도 5는, 경보방송 전용 튜너를 구비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시스템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시스템과는 달리 방송신호 수신부(10,15)가 하나 더 추가되어 있으며,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부가 더 추가된 구성을 가진다. 그 외의 구성은 도 2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
도 5에서, 우선 방송신호 수신부2(15)는 경보방송을 전용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로서, 튜너와 IF처리부를 포함하며 제어부(70)에 의해 채널선국 제어된다. 방송신호 수신부2(15)는 경보방송만을 수신하도록 미리 약정 채널로 선국되어 있으며, 방송신호를 오디오 신호와 복합영상신호로 분리하여 각각 오디오 제1스위칭부(110)와 경보방송신호 분리 및 처리부(60), 비디오 제2스위칭부(140)로 출력한다.
한편 오디오 제1스위칭부(110)는 오디오 입력단자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방송신호 수신부2(15)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중 어느 하나를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선택 출력한다. 오디오 제2스위칭부(120)는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 제1스위칭부(110)의 출력신호와 방송신호 수신부 1(10)에서 분리된 오디오 신호중 어느 하나를 선택 출력한다.
도 5에 도시한 시스템에서는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두 개의 방송신호 수신부(10,15)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외부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오디오 신호 처리부(40)에서 신호처리되어 최종적으로는 오디오 신호 출력부(50)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되는 것이다.
오디오 신호의 흐름과 같이 비디오 신호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두 개의 방송신호 수신부(10,15)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외부소스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비디오 신호 처리부(20)에서 신호처리되어 CRT를 통해 최종 출력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의 경보방송 전파과정을 설명하면,전원 오프시의 전파 과정과 전원 온 시의 전파과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원 오프시의 전파과정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송신호 수신부 2(15)를 통해 해당지역에 경보방송이 수신되고 있는가를 검사함으로서 알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방송신호 수신부 2(15)를 통해 텔레비전 경보방송 시작정보의 검출이 있고, 송출시각정보가 시스템 시각정보와 일치하고,해당지역에 대한 경보방송일 경우 제어부(70)는 시스템 전원을 온 시키고, 방송신호 수신부 2(15)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AV출력되도록 각 스위칭부(110,120, 140)를 제어한다. 그러면 방송신호 수신부 2(15)를 통해 수신된 경보방송의 자막신호는 경보방송신호 분리 및 처리부(60)에서 R,G,B 자막처리신호로 처리된후 비디오 신호 처리부(20)에서 방송신호와 믹싱되어져 출력된다.
방송 신호 수신부 1(10)을 통해 경보방송 이외의 채널을 수신하고 있어도, 경보방송이 전파중이면 제어부(70)는 방송신호 수신부 2(15)와 경보방송신호 분리 및 처리부(60)를 통해 경보방송의 송출 및 해당지역에 대한 실시간 경보방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스위칭부들(110,120,130,140)을 제어하여 방송신호 수신부 2(15)를 통해 전파되고 있는 경보방송을 시청자에게 전파할 수도 있는 것이 다.
시청자가 다른 채널을 시청하고 있더라도 경보방송 전용튜너를 통해 경보방송을 신속하게 전파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에서, 비디오 및 오디오 스위칭부들을 각각 복수개 도시하였으나, 비디오 및 오디오에 대하여 각각 하나의 스위칭부를 구비하여 최종적인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후처리부로 선택 출력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 컬러 TV만을 대상으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유사한 방법으로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디지털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에서와 같이 한개의 튜너를 구비하고, 전원 대기모드상태에서 경보방송을 전파하기 위한 구성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방송데이터 수신부(200)는 튜너와 IF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송데이터 수신부(200)에서 튜너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TV방송데이터를 입력하여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채널을 선국하고 선국에 따른 IF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러면 IF처리부는 튜너로부터 출력되는 IF데이터를 베이스밴드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채널 처리부(혹은 채널 디코더)(210)는 IF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베이스밴드데이터를 채널 복호화하여 데이터 비트열을 재생해 낸다.카메라나 VCR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비트열을 재생해 낸다.
TS 디코더(220)는 상기 채널 처리부(210)에 의해 재생된 데이터 비트열로부 터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분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분리된 데이터중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엠펙2 오디오 디코더(260)에 인가되어 엠펙규격에 따라 디코딩된후 앰프(270)에서 레벨 증폭되어 출력된다.
비디오 데이터는 엠펙2 비디오 디코더(230)에 인가되어 엠펙 규격에 따라 디코딩되고 OSG(On Screen Graphic) 믹서(240)에 인가되어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OSG 데이터와 합쳐져 비디오 데이터 처리된후 수상관인 영상출력부(250)를 통해 화면상에 출력된다.OSG 데이터는 제어부(280)가 화면상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이나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TS 디코더(220)에서 분리된 보조데이터는 제어부(280)로 인가된다. 이러한 보조데이터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경보방송 제어정보 코드들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정보들로 구성되어, 방송국에서 인포메이션 데이터(ancillary data) 또는 디지털 클로즈드 캡션으로 처리되어 전송된다.
제어부(280)는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데, 그 예로서 디코딩된 경보방송 제어정보들중 경보방송 시작정보와 약정된 지역 정보 및 경보방송 송출시각 검출시 시스템 전원을 온 시키거나 시스템 동작모드를 TV 시청모드로 전환하여 미리 약정된 경보방송채널의 방송데이터가 AV출력되도록 시스템을 제어한다. 메모리(290)에는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와 시스템 제어동작시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기전원이 있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제어부(280)는 TS 디코더(220)를 통해 경보방송 시작코드가 검출(제1단계)되면,그에 후속하는 경보방송 제어(코드)정보들을 입력(제2단계)받아 저장한다.
제3단계의 제어부(280)는 경보방송 송출시각정보가 텔레비전 시스템의 현재 시각정보(Real Time Clock:RTC)와 허용오차 범위내의 값을 가지는가를 검사한다. 경보방송 송출시각정보가 텔레비전 시스템의 현재 시각정도와 허용오차 범위 이내의 값을 가지면, 제어부(280)는 수신된 경보방송 수신지역 정보중에 메모리된 자신의 지역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검사(제4단계)한다. 검사결과 일치하는 지역정보가 존재하면 제어부(280)는 전원대기상태인 시스템 각 부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시스템 전원을 자동 "온"(제5단계)시킨다. 볼륨레벨을 상향 조정(제5단계)되도록 볼륨조정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볼륨조정신호는 앰프(270)로 출력되어 출력레벨을 상향 조정시킨다.
TS 디코더(220)에서 분리되어 제어부(280)로 입력된 경보방송 자막데이터 정보는 OSG 데이터 형태로서 출력되어 OSG 믹서(240)로 입력될 수도 있다.
도 7은, 경보방송 수신을 위한 전용 수신부(300)를 구비한 시스템을 가정한 경우이다. 전용 수신부(300)를 구비함으로서, 경보방송의 수신이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계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동작 역시 전원 오프시의 전파 과정과 전원 온 동작시의 전파 과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원 오프시의 전파과정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용 방송데이터 수신부2(310)를 통해 해당지역에 경보방송이 수신되고 있는가를 검사함으로서 알 수 있다. 즉, 방송데이터 수신부 2(310)를 통해 텔레비전 경보방송 시작정보의 검출이 있고, 송출시각정보가 시스템 시각정보와 일치하고,해당지역에 대한 경보방송일 경우 제어부(280)는 시스템 전원을 온 시키고, 방송신호 수신부 2(31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데이터가 AV출력되도록 엠펙 오디오 디코더와 비디오 디코더(260,230)를 제어한다.방송데이터 수신부 2(15)를 통해 수신된 경보방송의 자막데이터는 OSG 믹서(240)에서 방송데이터와 믹싱되어 출력된다.
방송 신호 수신부 1(200)을 통해 경보방송 이외의 채널을 수신하고 있더라도, 경보방송이 전파중이라면 제어부(280)는 방송신호 수신부 2(310)와 TS 디코더2(330)를 통해 경보방송의 송출 및 해당지역에 대한 실시간 정보방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엠펙 오디오 디코더와 비디오 디코더(260,230)를 제어하여 방송데이터 수신부 2(310)를 통해 전파되고 있는 경보방송을 시청자에게 전파할 수도 있다.
별도의 채널을 시청하고 있더라도 경보방송 전용튜너를 통해 경보방송을 신속하게 전파받을 수 있게 된다.
디지털방송은 데이터열(data stream)의 구성되고 데이터를 일정 단위(예:packet)로 코드를 붙여서 그 코드에 의하여 데이터열을 분할 하여 송출하고, 예;데이터를 채널r의 ①영상②음성③보조신호(경보방송신호) ①영상②음성③보조신호(경보방송신호) 채널s의 ①영상②음성③보조신호(경보방송신호) ①영상②음성③보조신호(경보방송신호)… 등으로 송출하고, 채널r을 시청중에, 다른 채널s에서 재해경보 방송을 하는 경우에도,방송국에서 채널코드를 r에서 s로 바꾸어 송출함으로 경보방송 시청이 가능하다. 즉,방송국에서 필요시 채널을 바꾸는 효과가 있다.
데이터방송이나 위성방송 같이 고객db(data base)(140)가 있는 경우에는, 고객db(140)의 고객마다 고객 고유번호 (118) 를 부여 하고 , 제어부와 저장부에 고객 고유번호등의 입력 수단을 갖고 또는 tv 에 내외장될 스마트 카드리더 설치 수단과 스마트 카드에 고객 고유번등의 입력 수단을 갖고, 고객 고유번호 를 매개로 고객데이터베이스의 부분집합과 대응하는 tv에서 ,고객 데이터베이스의 부분집합을 선택하면 그 부분집합의 고객 고유번호와 대응하는 tv가 선택 되고, 그 tv에 내외장된 디코더와 제어부로 수신 되는 경보방송 시작신호 또는 시작데이터등을 검출할 수있다.
고객데이터 베이스를 조건에 따라 지역 또는 집단 또는 장르 별로 구분된 부분 집합과 ,그 부분집합의 교집합 또는 합집합 으로된, 부분 집합의 각각의 고객 고유번호와 대응 하는 tv로, 지역 또는 집단 또는 장르 별의 수신 그룹을 구분 할 수도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텔레비전 시스템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전파중인 경보방송의 시청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경보통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VCR, DVDP 등과 같은 영상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에게도 경보방송을 신속하게 전파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
.
.

Claims (1)

  1. 텔레비젼 시스템에서의 경보방송 전파방법에 있어서,
    방송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이 방송신호 또는 데이터에서,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아나로그방송 또는 디지털방송)구간 또는 영상데이터열(data stream; 디지털방송)에 중첩 또는 삽입되어 있는,경보방송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는 단계와;
    디코딩된 경보방송 데이터 중 경보방송 시작정보를 검출(DETECT)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경보방송 데이터 중 등록된 수신지역정보 또는 수신집단정보 또는 장르별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조회하고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의 주 전원을 온 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방송 전파방법.
    또는 데이터 방송의 데이터열(data stream)에 중첩 또는 삽입되어 있는,경보방송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는 단계와;
    디코딩된 경보방송 데이터 중 경보방송 시작정보를 검출(DETECT)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경보방송 데이터 중 등록된 수신지역정보 또는 수신집단정보 또는 장르별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조회하고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의 주 전원을 온 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방송 전파방법.
    또는 핸드폰의 개인별 문자(SMS) 또는 셀단위문자(CBS:CELL BROADCASTING SYSTEM)에 중첩 또는 삽입되어 있는,경보방송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는 단계와;
    디코딩된 경보방송 데이터 중 경보방송 시작정보를 검출(DETECT)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경보방송 데이터 중 수신지역정보 또는 등록된 수신집단정보 또는 등록된 장르별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조회하고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을 온(CALL ON) 시킬때(즉,핸드폰 커버를 열거나,아무 버튼을 누루거나,자동으로 등) 즉시 경보방송 정보를 시청각으로 접하게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방송 전파방법.
    또는 특정음(소리)으로 호출하여, 특정음(소리)을 디코딩(DECODING)하는 단계와;
    수신지역정보 또는 등록된 수신집단정보 또는 등록된 장르별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조회하고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을 온(CALL ON) 시킬때(즉,핸드폰 커버를 열거나,아무 버튼을 누루거나,자동으로 등) 즉시 경보방송 정보를 시청각으로 접하게 전환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방송 전파방법.
KR1020050019939A 2005-03-10 2005-03-10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시스템과 응용 KR20060098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939A KR20060098190A (ko) 2005-03-10 2005-03-10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시스템과 응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939A KR20060098190A (ko) 2005-03-10 2005-03-10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시스템과 응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190A true KR20060098190A (ko) 2006-09-18

Family

ID=3762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939A KR20060098190A (ko) 2005-03-10 2005-03-10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시스템과 응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81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32790A (ko)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서의 경보방송전파방법
KR20060098190A (ko)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시스템과 응용
KR20060105939A (ko)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시스템과 dmb용 수신기
KR20070091404A (ko)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KR20060097788A (ko)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시스템과 응용
KR20080038263A (ko)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KR20060099563A (ko) 조건에 따라,선택 수신하는 수단을 갖는 티브이 수신기
KR20090039860A (ko) 티브이 정보 자동 검출과 표시 시스템
KR20080101324A (ko) 경보 자동 검출과 표시 시스템
KR101092441B1 (ko) 영상기기의 eas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60109014A (ko) 경보방송용 tv와 dmb 수신기
KR20100040379A (ko) 채널 또는 지역등의 선택 수단을 갖는 텔레비전 수신기
KR20050027872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tv)(티브이)
KR20060083823A (ko) 조건부 선택 수단을 갖는 텔레비전 수신기
KR20070091405A (ko) 경보방송용 dmb 수신기
KR20050024127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tv)
KR20060105242A (ko) 경보방송용 tv와 dmb 수신기
KR0158316B1 (ko) 프로그램 예약에 의한 슬립모드전환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KR20050023021A (ko) 재해(재난)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tv)
KR20000040890A (ko) 텔레비전에서의 광고방송 시 채널 전환 방법
KR20050028270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티브이)
KR20050027873A (ko) 재해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셋탑 박스 /티브이)
KR20050023023A (ko) 재해(재난)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stb/stb)
KR100720575B1 (ko) 주변 노이즈에 따라 음성모드에서 텍스트모드로 전환하는텔레비전 세트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50023022A (ko) 재해(재난)경보 자동 검출 및 표시 시스템 (stb/t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