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096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096A
KR20060098096A KR1020050019326A KR20050019326A KR20060098096A KR 20060098096 A KR20060098096 A KR 20060098096A KR 1020050019326 A KR1020050019326 A KR 1020050019326A KR 20050019326 A KR20050019326 A KR 20050019326A KR 20060098096 A KR20060098096 A KR 20060098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ar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knob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019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8096A/ko
Publication of KR20060098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memory), 사용자 인증 모듈(UIM : User Indentity Module) 등 별도의 스마트카드를 장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카드의 커넥터를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본체 내부에 형성시키고,스마트 카드를 탄성지지하여 단말기에 견고히 부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 카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 단말기 케이스의 배터리팩 수용부에 형성되어 스마트카드가 안착되는 스마트 카드 장착홈; 상기 스마트 카드 장착홈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마트카드를 타측 모서리 방향으로 밀어 지지하는 탄성노브; 및 상기 스마트카드장착홈에 구비되어 스마트카드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미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카드. 탄성노브, 탄성부재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Smart card locking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 카드 장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 카드 장착구조에서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는 스마트 카드 장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를 사용하여 스마트카드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본체 케이스 20 : 배터리 장착부
30 : 스마트카드 장착홈 31 : 탄성부재 수용홈
40 : 스마트카드 고정노브 41 : 고정노브 스프링
50 : 스마트카드 고정스프링 60 : 스마트카드
본 발명은 메모리(memory), 사용자 인증 모듈(UIM : User Indentity Module) 등 별도의 스마트카드를 장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부가 장착된 내부기판과 외부와의 접촉부를 최소화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저장기능, 연산기능 및 보안기능을 가지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 운영체계, 보안모듈, 메모리 등을 구비한 IC(Identity Card)칩이 삽입되어 있는 스마트카드는, 통신, 금융, 교육, 행정, 교통 등 사회 전체 분야에서 정보의 기록, 신원확인, 결제 등의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카드는 그 분류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지만, IC칩이 카드로부터 데이터가 읽히는 방식에 따라 크게 접촉식카드, 비접촉식카드 및 겸용카드로 구분된다.
또한, 스마트카드의 대표적인 용도의 하나는 이동통신 단말기(휴대폰)의 로밍(roaming)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입자 확인모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는 스마트카드이다.
즉,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 확인모듈용 스마트 카드로서는 예를 들어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스마트(User Identity Module) 카드, R스마트(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가입자 확인모듈로서의 스마트카드는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정보공유를 위해 기본적으로 접촉식 스마트카드를 사용한다.
한편, 무선 이동 통신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통신영역은 점차 넓어지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장소의 제한없이 광대역 통신을 할 수 있는 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있다.
보통 무선이동통신은 CDMA(Code Divison Multiple Access) 방식과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방식이 있으며 각국의 형편에 따라 두가지의 방식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중 GSM방식은 광대역 무선 통신을 위한 규격으로 전세계에서 많은 국가들이 채용하고 있는 무선 통신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CDMA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다가 해외에서 로밍을 하거나 또는 GSM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로 사용하고자할 때에는 무선 이동 통신 방식이 달라 서로 호환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호환성을 위해서 스마트(User Identity Module)을 내부로 탑재한 카드를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신원 및 기타 사용자 설정값 즉 개인정보를 다른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하여 사용권을 획득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UIM(User Identity Module)카드라는 개인정보 모듈을 통해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호환 및 로밍을 쉽게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네트워크 설정, 우선권, 사용자 설정, 전화번호부 및 그 외의 기능을 포함한 모든 개인 정보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호환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 및 보안을 위해서도 반듯이 필요한 기술이다.
스마트 카드는 그 자체가 개인의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권을 의미하며,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서로 장착이 쉬워야 하고 장착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 또한 최대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마트 카드의 장착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를 확장하지 않는 기술이 요구된다.
도1 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 카드 장착구조를 설명한다. 도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 카드 장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기술에 따른 스마트 카드 장착구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카드(300)를 수용하는 수납케이스(100)와, 상기 수납케이스(100)에 수납된 스마트 카드(3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마트 카드홀더(500)로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카드(300)와 인쇄회로기판(PCB)(200)를 스마트 카드 커텍터(400)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구조이다.
한편,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 카드를 고정하는 노브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브(knob)(700)를 이용하여 배터리가 구비되는 단말기의 백케이스에 스마트 카드(30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 카드 장착구조에서는 스마트 카드의 삽입위치가 백케이스와 배터리 컨택트 부분에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배터리를 열고 스마트 카드를 삽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 외에는 스마트 카드를 지지하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스마트 카드를 고정하는 고정력이 약하며, 배터리를 교환하기 위하여, 배터리를 제거한 경우, 스마트 카드가 튀어 나와 떨어져서 충격을 받거나, 분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스마트 카드의 커넥터를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본체 내부에 형성시키고,스마트 카드를 탄성지지하여 단말기에 견고히 부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 카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 단말기 케이스의 배터리팩 수용부에 형성되어 스마트카드가 안착되는 스마트 카드 장착홈; 상기 스마트 카드 장착홈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마트카드를 타측 모서리 방향으로 밀어 지지하는 탄성노브; 및 상기 스마트카드장착홈에 구비되어 스마트카드가 배출되 는 방향으로 미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스마트카드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판스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스마트카드 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노브는, 노브본체; 스마트카드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여 스마트카드를 가압하여 견고히 장착시키고, 스마트 카드 해제시는 탈락을 용이하도록 상기 노브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노브스프링; 및 상기 노브본체의 스마트카드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스마트카드를 견고히 지지하도록 스마트카드 상부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브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을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를 사용하여 스마트카드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스마트 카드(60); 단말기 케이스(10)의 배터리팩 수용부(20)에 형성되어 스마트카드(60)가 안착되는 스마트 카 드 장착홈(30); 상기 스마트 카드 장착홈(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마트카드(60)를 타측 모서리 방향으로 밀어 지지하는 탄성노브(40); 및 상기 스마트카드장착홈(30)에 구비되어 스마트카드(60)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미는 탄성부재(50)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본 실시예에서, 탄성노브(40)에 의한 스마트카드(60)지지를 용이하게 하도록 스마트카드(60)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판스링으로 이루어졌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카드(60)를 밀어 상기 탄성노브(40)에 견고히 접촉지지되도록 하고 탄성노브가 스마트카드(60) 해제를 위해 젖혀지면 스마트 카드(60)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스마트카드(60)를 미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배출방향으로 탄성작용하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노브(4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본체(40); 스마트카드(60)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여 스마트카드(60)를 가압하여 견고히 장착시키고, 스마트 카드 해제시는 탈락을 용이하도록 상기 노브본체(4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노브스프링(41); 및 상기 노브본체(40)의 스마트카드(60)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스마트카드(60)를 견고히 지지하도록 스마트카드 상부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고정돌기(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노브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노브스프링(41)이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스프링으로 형성되거나, 노브 전체가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는 등, 스마트카드를 장착하거나 해제하기 위하여 탄성력을 이용하는 구조이면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 착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수용부(20)의 스마트카드 장착홈(30)의 노브본체(40) 반대측면에 스마트카드(60) 일단을 고정시키고 스마트카드(60)를 회전시키면, 스마트 카드(60)가 장착홈에 정확히 위치되는데, 이때, 상기 노브본체(40)의 고정돌기(42)가 노브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마트카드(60)를 소정길이만큼 덮도록 이동된다. 상기 고정돌기(42)에 의해 상기 스마트카드(60)는 견고히 장착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드 장착홈(30)에는 스마트 카드 배출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0)가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고정돌기에 접촉한 채로 고정될 수 있어서, 외부 충격시에도 스마트카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진동에 의한 마모, 파손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사용자가 상기 노브본체(40)를 스마트카드(6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젖히면 스마트 카드가 상기 스마트카드장착홈(50)으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며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보나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노브 뿐만 아니라 탄성돌기에 의해 스 마트 카드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견고히 스마트 카드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카드의 해제시에 탄성부재에 의해 스마트카드가 배출될 수 있으므로, 장착 및 해제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스마트 카드;
    단말기 케이스의 배터리팩 수용부에 형성되어 스마트카드가 안착되는 스마트 카드 장착홈;
    상기 스마트 카드 장착홈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마트카드를 타측 모서리 방향으로 밀어 지지하는 탄성노브; 및
    상기 스마트카드장착홈에 구비되어 스마트카드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미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마트카드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판스링으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마트카드 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노브는,
    노브본체;
    스마트카드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여 스마트카드를 가압하여 견고히 장착시키고, 스마트 카드 해제시는 탈락을 용이하도록 상기 노브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노브스프링; 및
    상기 노브본체의 스마트카드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스마트카드를 견고히 지지하도록 스마트카드 상부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고정돌기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
KR1020050019326A 2005-03-08 2005-03-08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 KR20060098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326A KR20060098096A (ko) 2005-03-08 2005-03-08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326A KR20060098096A (ko) 2005-03-08 2005-03-08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096A true KR20060098096A (ko) 2006-09-18

Family

ID=3762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326A KR20060098096A (ko) 2005-03-08 2005-03-08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80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1172B2 (en) Contactless transaction card and adapter therefor
JP3682757B2 (ja) データカードハウジング
US6602096B1 (en) Card-receiving device for a communication apparatus
US6766952B2 (en) SIM card carrier
EP0967771A2 (en) Sim card terminal
US6450408B2 (en) Drawable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holder
JPH1028155A (ja) 異種フォーマットのカードを読む電子カード読取り機及びそのカード読取り機を含む携帯電話機
US6009315A (en) Card reader for a portable telephone and a portable telephone incorporating the card reader
US20030069040A1 (en) Apparatus for inserting a SIM card into a portable data processing / communication device
GB2328772A (en) SIM card locking in a portable telephone
JP4530318B2 (ja) プラグイン型icカード用アダプタ
KR100771425B1 (ko) 심카드 장착구조
KR2006009809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
KR100683835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소켓
KR100573284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드장착소켓
KR200438503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마트 카드 어댑터
KR1005873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
KR2005003993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 카드 장착구조
KR200391839Y1 (ko) 휴대전화기 카드장착소켓의 커버구조
KR200350772Y1 (ko) 이동통신단말용 카드장착소켓
CN101364675A (zh) 移动通信手机的双sim卡连接装置
KR1005355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장치
KR20070021374A (ko) 외장형 카드기기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334351Y1 (ko)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
KR200416857Y1 (ko)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