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995A -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995A
KR20060097995A KR1020050019047A KR20050019047A KR20060097995A KR 20060097995 A KR20060097995 A KR 20060097995A KR 1020050019047 A KR1020050019047 A KR 1020050019047A KR 20050019047 A KR20050019047 A KR 20050019047A KR 20060097995 A KR20060097995 A KR 20060097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electric
protrusion
electric oven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창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9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7995A/ko
Publication of KR20060097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Landscapes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프레임 후면의 돌출부 상면이 인슐레이터어퍼의 전단부 하면과 접하도록 구성된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는, 전기오븐의 작동을 위한 전기 장치 및 부품들이 구비되는 전장실(200)의 저면을 형성하는 인슐레이터로어(320)와;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장실(200)의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인슐레이터어퍼(340)와;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의 전단부와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의 전단부와 접하도록 형성되며, 전장실(200)의 전면외형 일부를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120)와;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전장실(20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출구를 형성하는 전면배출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의 후면에는 상기 전면배출구(140)의 테두리를 따라서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42)가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42)의 상면과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의 하면이 접하고, 상기 돌출부(142)의 하면과 인슐레이터로어(320)의 상면과 각각 접하도록 장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슐레이터어퍼의 처짐을 방지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전기오븐, 인슐레이터어퍼, 전면플레이트, 전면배출구, 돌출부

Description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 { The mounting structure of insulator assembly for electric oven }
도 1 은 일반적인 전기오븐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전기오븐의 전장실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3 은 종래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로어와 인슐레이터어퍼가 전면플레이트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의 전장실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인슐레이터로어와 인슐레이터어퍼가 전면플레이트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오븐캐비티 120. 전면플레이트
140. 전면배출구 142. 돌출부
200. 전장실 220. 쿨링팬
230. 쿨링팬가이드 240. 팬모터
242. 방진부재 250. 고압트랜스
260. 회로기판 270. 레치
280. 레치모터 300. 인슐레이터어셈블리
320. 인슐레이터로어 340. 인슐레이터어퍼
본 발명은 전기오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프레임 후면의 돌출부 상면과 하면이 각각 인슐레이터어퍼의 전단부 하면과 인슐레이터로어의 전단부 상면과 접하도록 구성된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오븐은 조리재료를 밀폐한 후에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세라믹히터(Ceramic heater)와 시즈히터(Sheathe heater), 할로겐히터(Halogen heater) 등 다양한 히터와 고주파 발생장치 등을 이용하여 건열(乾熱)로 요리재료를 가열하는 조리기기로, 조리물의 겉과 속을 동시에 가열하게 되어 요리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 또한 높으며, 전기를 사용함으로써 안전성이 높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근래에 들어서 전기오븐을 포함한 주방용품들이 빌트인 타입으로 제작되는 추세이다. 빌트인(Built-in)이란 각종 전자제품을 가구 안에 내장하여 디자인에 일 체감을 주는 공법을 말하는 것으로 좁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효과도 뛰어나 많이 선호되고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전기오븐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전기오븐(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조리물을 수납한 채로 조리하는 공간인 오븐캐비티(20)가 형성된다.
상기 오븐캐비티(20)는 상기 전기오븐(10)의 내부 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전체적으로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캐비티(20)의 개구된 전면은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오븐도어(3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오븐도어(3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핸들(3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캐비티(20)의 전단부에는 상기 전단부를 따라서 수직하게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오븐도어(30)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전기오븐(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플레이트(40)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플레이트(40)의 상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장실(50)의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전면배출구(42)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븐캐비티(20)의 상방에는 전장실(50)이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50)은 상기 전기오븐(10)의 동작에 필요한 전장품들이 구비되는 공간으로, 상기 전기오븐(10)의 내부에서 독립된 공간으로 분리 형성된다.
도 2 는 종래 전기오븐의 전장실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전장실(50)은 상기 오븐캐비티(20)의 상방에서 상면이 개구 된 소정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50)의 저면은 상기 오븐캐비티(20)와 전장실(50)을 구획하는 인슐레이터로어(52)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인슐레이터로어(52)의 상면에는 다수의 전장부품들이 장착되어 전기오븐(10)의 작동을 보조하게 된다.
상기 전장실(50)의 대략 후반부 중앙에는 상기 전장실(50)을 냉각하기 위한 쿨링팬(54)이 구비된다. 상기 쿨링팬(54)은 시로코팬(Siroccofan)과 같은 원심형 팬으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장실(50) 내부를 냉각하고, 상기 전장실(50) 내부의 뜨거운 공기들을 상기 전기오븐(10)의 외부로 강제로 송풍하여 상기 전장실(50)을 냉각하게 된다.
상기 쿨링팬(54)은 상기 쿨링팬가이드(56)에 장착되어 장착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쿨링팬가이드(56)는 상기 쿨링팬(54)의 장착위치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쿨링팬(54)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전기오븐(10)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인슐레이터로어(52)의 상면 후반부에 설치된다.
상기 쿨링팬가이드(56)의 일측방에는 팬모터(58)가 구비되며, 상기 팬모터(58)는 상기 쿨링팬(54)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쿨링팬(54)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쿨링팬(54)의 일측에는 상기 쿨링팬(54)에 고전압을 제공하는 고압트랜스(59)가 구비되는 등 상기 전장실의 내부에는 다수의 전장부품들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쿨링팬가이드(56)의 전방에는 인슐레이터어퍼(60)가 구비된다. 상기 인슐레이터어퍼(60)는 상기 쿨링팬(54)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전기오븐(10)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인슐레이터로어(52)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인슐레이터어퍼(60)는 상기 인슐레이터로어(52)에 설치되었을 때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양측단과 후단의 일부가 하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며, 절곡된 부분이 상기 인슐레이터로어(52)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인슐레이터어퍼(60)의 내측과 상기 인슐레이터로어(52)의 상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통해 상기 쿨링팬(54)으로 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전기오븐(10)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인슐레이터어퍼(60)의 후단부의 일측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개구된 일측은 상기 쿨링팬가이드(56)의 전단부와 접하게 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어퍼(60)와 상기 인슐레이터로어(52)의 전단부는 상기 전면플레이트(40) 후면과 접하게 된다.
도 3 은 종래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로어와 인슐레이터어퍼가 전면플레이트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전면플레이트(40)에는 상기 전면플레이트(40)를 관통하는 전면배출구(42)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배출구(42)는 상기 인슐레이터로어(52)와 인슐레이터어퍼(60)를 통해서 안내된 전장실(50)의 뜨거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로서, 상기 전면배출구(42)의 상하 폭은 상기 인슐레이터로어(52)와 인슐레이터어퍼(60)의 상하 폭 보다 다소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배출구(42)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천공형성되며, 가공상의 특징으로 전면플레이트(40)의 후면에는 상기 전면배출구(42)의 외측을 따라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4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50)의 저면을 구성하는 인슐레이터로어(52)와 인슐레이터어퍼(60)는 하나의 모듈로 상기 돌출부(44)와 접하도록 장착되어지며,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인슐레이터로어(52)의 전단부는 상기 인슐레이터어퍼(60)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인슐레이터로어(52)는 상기 돌출부(44)의 돌출길이 만큼 전방으로 더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인슐레이터로어(52)의 상면은 상기 돌출부(44) 중 하측의 하면과 접하면서 상기 전장실(50)을 상기 오븐캐비티(20)와 구획함과 동시에 상기 전장실(50)의 저면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로어(52)의 장착으로 상기 인슐레이터어퍼(60)의 전단부는 자연스럽게 상기 돌출부(44) 중 상측의 후단부와 접하게 된다. 즉, 상기 인슐레이터로어(52)의 밀착에 의해 상기 인슐레이터어퍼(60) 또한 돌출부(44)의 상측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쿨링팬(54)을 통해서 송풍되는 상기 전장실(50)의 뜨거운 공기는 상기 인슐레이터로어(52)와 인슐레이터어퍼(60)를 통해서 상기 전면배출구(42)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어퍼(60)는 별도의 지지부재 없이 상기 인슐레이터로어(52)의 상하 간격과 상기 전면배출구(42)의 상하 폭에 의해서 상기 돌출부(44)의 후단부와 접하게 되며, 별도의 지지하는 구조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고온에 노출되는 인슐레이터어퍼(60)의 사용특성상 상기 전기오븐(10)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인슐레이터어퍼(60) 자체의 하중에 의해 상기 인슐레이터어퍼(60)의 중앙부가 하방으로 처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슐레이터로어(52)와 인슐레이터어퍼(60)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이 용이하지 못할 뿐 아니라, 상기 돌출부(44)와 인슐레이터어퍼(60) 사이에 갭이 발생하게 되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고온의 공기가 다시 전장실(50)로 유입되는 등 전체적인 냉각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프레임 후면의 돌출부 상면과 하면이 각각 인슐레이터어퍼의 전단부 하면과 인슐레이터로어의 전단부 상면과 접하도록 구성된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는, 전기오븐의 작동을 위한 전기 장치 및 부품들이 구비되는 전장실의 저면을 형성하는 인슐레이터로어와; 상기 인슐레이터로어의 상면에 설 치되어 상기 전장실의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인슐레이터어퍼와; 상기 인슐레이터로어의 전단부와 상기 인슐레이터어퍼의 전단부와 접하도록 형성되며, 전장실의 전면외형 일부를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전장실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출구를 형성하는 전면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후면에는 상기 전면배출구의 테두리를 따라서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면과 상기 인슐레이터어퍼의 하면이 접하고, 상기 돌출부의 하면과 인슐레이터로어의 상면과 각각 접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인슐레이터로어와 인슐레이터어퍼의 전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돌출부는 상면에서 하면까지의 직경과 상기 인슐레이터로어와 상기 인슐레이터어퍼 사이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인슐레이터로어와 인슐레이터어퍼의 일측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인슐레이터어퍼의 처짐을 방지하여 전장실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전기오븐의 외형은 일반적인 전기오븐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의 바람직 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의 전장실을 보인 부분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장실(200)은 전기오븐의 상부에서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200)은 전기오븐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전장부품들이 구비되는 공간으로 인슐레이터로어(320)에 의해서 상기 전장실(200)의 저면이 형성된다.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는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상기 오븐캐비티(100)가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전장실(200)의 공간을 구분하는 것으로 상기 전기오븐의 내측 공간을 가로방향으로 구획한다.
상기 전장실(200)의 내부를 살펴보면, 상기 전장실(200)의 후반부 대략 중앙에는 쿨링팬(220)이 구비된다. 상기 쿨링팬(220)은 상기 전장실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장실(200)의 내부를 냉각하는 것으로 시로코팬(Soroccofan)과 같은 원심형 팬이 사용된다.
상기 쿨링팬(220)은 상기 전장실(200)의 내부에서 장착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쿨링팬가이드(230)에 장착된다. 상기 쿨링팬가이드(230)는 상기 쿨링팬(220)의 장착위치를 고정함을 물론 상기 쿨링팬(220)에서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쿨링팬(220)의 일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쿨링팬(220)의 장착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쿨링팬(220)이 상기 쿨링팬가이드(230)에 장착된 모습을 살펴보면, 상기 쿨링팬(220)은 상기 쿨링팬가이드(23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쿨링팬(220)의 전면과 상측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쿨링팬(220)의 전방에는 인슐레이터어퍼(340)가 구비된다.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는 상기 쿨링팬(220)에서 강제 송풍되는 전장실(200) 내부의 공기가 전기오븐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는 양측단부와 후측단부의 일부가 하방으로 절곡되고, 상기 절곡된 부분이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의 상면과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의 내측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통해서 상기 전장실(20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된다.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는 상기 쿨링팬가이드(230)의 전단부에서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전면플레이트(120)의 후면까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는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의 후단부와 상기 쿨링팬가이드(230)의 전단부는 배출되는 상기 전장실(200)의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서로 밀착되고,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의 전단부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에 밀착된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의 일측에는 팬모터(240)와 고압트랜스(250) 등 다수의 전기장치와 부품들이 장착된다. 상기 팬모터(240)는 상기 쿨링팬(22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쿨링팬가이드(230)의 장착부 측방에 구비되며, 상기 쿨링팬(220)의 중심축과 상기 팬모터(240)의 회전축이 연결되어 상기 쿨링팬(220)이 상기 팬모터(24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240)의 하방에는 상기 팬모터(24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고무 또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방진부재(242)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팬모터(240)의 후측에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을 고압의 전원으로 전환시켜 상기 팬모터(240)에 공급하기 위한 고압트랜스(250)가 구비되며, 상기 고압트랜스(250)의 측방에는 상기 전장실(200)의 전기장치와 부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26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의 전반부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오븐캐비티(10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오븐도어(도시되지 않음)의 구속을 위한 레치(570)와 상기 레치(570)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레치모터(580)가 각각 구비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조리를 위한 음식물이 수납되고, 조리되는 공간인 오븐캐비티(100)의 전단부 외곽을 따라서 전면플레이트(120)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20)는 상기 오븐캐비티(100)의 전면 즉, 상기 오븐캐비티(10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오븐도어(도시되지 않음)를 개방하였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오븐캐비티(100)의 전단부 외곽을 따라서 수직하게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전면배출구(140)가 형 성된다. 상기 전면배출구(140)는 상기 전장실(200) 내부의 뜨거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로서 상기 전면플레이트(1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가로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배출구(140)는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와 인슐레이터어퍼(340)의 사이로 안내되는 전장실(200)의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와 인슐레이터어퍼(340)의 상하 폭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상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의 후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면배출구(140)의 외측에 해당하는 전면플레이트(120)의 후면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42)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42)는 상기 전면배출구(140)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펀칭되는 가공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되거나 금형의 형상에 의해 의도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42)는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와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의 상,하면과 각각 접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142)의 상면에서 하면까지의 직경은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와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 사이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와 인슐레이터로어(320)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Module)형태인 인슐레이터어셈블리(300)가 되고, 상기 인슐레이터어셈블리(300)에는 상기 쿨링팬(220)과 팬모터(240), 고압트랜스(250), 레치(270), 레치모터(280) 등 다수의 전기장치와 부품들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인슐레이터어셈블리(300)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의 후면과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와 인슐레이터어퍼(340)의 전단부가 서로 동일한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슐레이터어셈블리(300)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 상기 오븐캐비티(100)의 상방에서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와 인슐레이터어퍼(340)의 전단부가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의 후면과 접하도록 장착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가 채용된 전기오븐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요리를 위해 오븐도어(도시되지 않음)를 개방하여, 상기 오븐캐비티(100)의 내부에 조리물을 넣은 다음 오븐도어를 닫아 상기 오븐캐비티(100)가 밀폐된다. 상기 오븐캐비티(100)을 완전하게 밀폐하여 조리를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전기오븐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오븐을 작동시키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기오븐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오븐캐비티(100) 내부에 구비된 시즈히터와 세라믹히터 그리고 할로겐히터 등 다수개의 히터가 동작하여 발열하게 된다. 상기 히터의 발열로 상기 오븐캐비티(100)의 내부는 고온이 되며, 상기 오븐캐비티(100) 내부의 조리물이 조리된다.
한편, 외부전원이 상기 전장실(200) 내부의 전기장치와 부품들 중 상기 고압트랜스(250)에 인가되면 고압의 전원으로 변환되며, 변환된 고압전원은 상기 팬모터(240)로 공급되어 상기 팬모터(24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240)의 회전으로 상기 팬모터(240)와 연결된 상기 쿨링 팬(22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쿨링팬(22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쿨링팬가이드(230)의 외부로 노출된 쿨링팬(220)의 전면 일부와 상부를 통해서 상기 전장실(200)의 뜨거워진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전장실(200)의 공기는 상기 쿨링팬가이드(230)를 거쳐서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의 내측으로 송풍된다.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의 내측으로 송풍된 전장실(200)의 공기는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와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가 형성하는 공간을 따라서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전면배출구(140)를 통해서 전기오븐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팬모터(24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흡인력에 의해 상기 전기오븐의 곳곳에 형성된 흡입구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고, 상대적으로 차가운 외부공기가 전장실(200) 내부로 유입되고, 뜨거운 전장실(200) 내부의 공기는 밖으로 배출됨으로 인해서 상기 전장실(200)의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어셈블리의 장착을 도 6 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와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는 하나의 모듈로 조립되며,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와 인슐레이터어퍼(340) 전단부의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와 인슐레이터어퍼(340)의 전단부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의 후면과 접하게 되며, 상기 인슐레이터로어(320)의 상면은 상기 돌출부(142)의 하면과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의 하면은 상기 돌출부(142)의 상면과 각각 면접촉하게 된다.
특히, 상기 인슐레이터어퍼(340)는 상기 돌출부(142)의 상면에 의해서 지지되며, 상기 돌출부(142)와 인슐레이터로어(320)와 인슐레이터어퍼(340)의 전단부 상,하면은 서로 면접촉하여 별도의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끼움결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에서는, 전면플레이트 후면의 돌출부가 상기 인슐레이터로어와 인슐레이터어퍼의 사이에 삽입되어 서로 면접촉 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인슐레이터어퍼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지지되어 장시간의 사용에도 하방으로 처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서 전장실 내부에서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가 전기오븐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공기유동통로가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전장실의 냉각성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인슐레이터로어와 인슐레이터어퍼가 모두 상기 돌출부와 면접촉하여 상기 전장실에서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가 상기 전면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기 전에 상기 전장실의 내부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전장실의 냉각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Claims (4)

  1. 전기오븐의 작동을 위한 전기 장치 및 부품들이 구비되는 전장실의 저면을 형성하는 인슐레이터로어와;
    상기 인슐레이터로어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장실의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인슐레이터어퍼와;
    상기 인슐레이터로어의 전단부와 상기 인슐레이터어퍼의 전단부와 접하도록 형성되며, 전장실의 전면외형 일부를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전장실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출구를 형성하는 전면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후면에는 상기 전면배출구의 테두리를 따라서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면과 상기 인슐레이터어퍼의 하면이 접하고, 상기 돌출부의 하면과 인슐레이터로어의 상면과 각각 접하도록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인슐레이터로어와 인슐레이터어퍼의 전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면에서 하면까지의 직경과 상기 인슐레이터로어와 상기 인슐레이터어퍼 사이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인슐레이터로어와 인슐레이터어퍼의 일측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
KR1020050019047A 2005-03-08 2005-03-08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 KR20060097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047A KR20060097995A (ko) 2005-03-08 2005-03-08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047A KR20060097995A (ko) 2005-03-08 2005-03-08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995A true KR20060097995A (ko) 2006-09-18

Family

ID=37629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047A KR20060097995A (ko) 2005-03-08 2005-03-08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79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543608B (zh) 风扇座、风道组件及烹饪器具
JP2009008297A (ja) 加熱調理器
KR20020050027A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485574B1 (ko) 전자렌지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KR20060097995A (ko) 전기오븐의 인슐레이터어셈블리 장착구조
JP5011001B2 (ja) 加熱調理器
KR200386431Y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KR100633172B1 (ko) 빌트인 타입 전기오븐의 냉각시스템
KR20090017299A (ko) 컨벡션 커버에 에어 가이드가 형성된 전기오븐
KR102513419B1 (ko) 전기 조리기
CN114601324B (zh) 烹饪设备
KR20060097994A (ko) 전기오븐의 스티러팬 조립구조
KR100633174B1 (ko) 전기오븐의 컨벡션커버
KR100674267B1 (ko) 전기오븐의 피시비 장착구조
KR100596247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냉각시스템
KR200147231Y1 (ko) 전자렌지의 쟁반모터 브래킷
KR100633171B1 (ko) 빌트인 타입 전기오븐의 냉각시스템
KR100373091B1 (ko) 전자렌지
KR100424588B1 (ko) 토스터 겸용 전자레인지의 토스터패널 단열구조
KR100286178B1 (ko) 전자레인지
KR100762336B1 (ko) 멀티 도어형 전자레인지
KR100595231B1 (ko) 컨벡션형 전자 레인지의 컨벡션부 구조
KR100674720B1 (ko) 전기오븐 도어의 내부유리 장착구조
KR100603526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부품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