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790A -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적용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적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790A
KR20060096790A KR20050017981A KR20050017981A KR20060096790A KR 20060096790 A KR20060096790 A KR 20060096790A KR 20050017981 A KR20050017981 A KR 20050017981A KR 20050017981 A KR20050017981 A KR 20050017981A KR 20060096790 A KR20060096790 A KR 20060096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ps
layer
interfac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17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1754B1 (ko
Inventor
방영철
Original Assignee
방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영철 filed Critical 방영철
Priority to KR20050017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75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6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75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GPS 서비스 적용시 다양한 이동통신단말기 종류에 구애받지 않도록 표준화되어 GPS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GPS 장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 GPS 서비스 적용과 동시에 발생하는 다양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이벤트들의 예외처리에 관한 GPS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여 테스팅과 디버깅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여 GPS 서비스를 위한 막대한 개발시간과 열악한 개발환경의 개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적용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및 그 적용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은 위치기반서비스(LBS) 시나리오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을 제공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User Application Layer), GPS 측위와 동시에 발생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외부이벤트들을 동시에 처리하고, 각 계층별 환경과 계층간 결합 후에 표준화된 테스트를 수행하는 GPS 인터페이스 계층(GPS Interface Layer), 및 하나 이상의 GPS 칩과 각 GPS 칩별 펌웨어(Firmware)를 포함하는 GPS 장치 계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LBS, GPS,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GPS 칩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및 그 적용방법{STANDARD GPS INTERFACE AND METHOD FOR USING GPS SERVICE OFF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계층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계층 구조 중 GPS 인터페이스 계층의 하부 상세 계층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의 적용 후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의 적용 예 중 특히 GPS수행 단계를 나타낸 상세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의 적용 예 중 특히 GPS수행 단계의 외부이벤트 처리단계를 나타내는 상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 화된 GPS 인터페이스의 적용 예 중 특히 GPS 수행 단계의 계층 테스트 처리단계를 나타내는 상세 순서도,
도 7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명령파라미터 전달의 실질적 처리를 나타낸 상태도,
도 8a와 8b는 GPS 수행 단계 중 이동통신단말기의 각 계층을 이루는 구성요소 및 결합 후 통합적인 테스트 결과를 외부단말기를 통해 보여주는 테스트 툴(Test Tool)의 일예를 나타내는 화면 예,
도 9는 도 8a와 도 8b의 테스트 결과를 저장한 저장결과보기 화면 예,
도 10a는 측위 설정 값 항목별 설명 예,
도 10b는 측위 결과 값 항목별 설명 예 이다.
***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 30 : 위피 플랫폼 계층
50 : GPS 인터페이스 계층 70 : GPS 장치 계층
51 :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53 : 모듈
511 : HAL 어플리케이션 513 : SMS 어플리케이션
531 : GPS 칩 모듈 533 : 테스트 모듈
100 : 이동통신단말기 110 : 인터넷망 및 서버
120 : 외부 테스트 뷰어 장치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GPS 서비스 적용에 사용되는 GPS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에 GPS 서비스 적용시 다양한 이동통신단말기 종류에 구애받지 않도록 표준화되어 GPS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GPS 장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 GPS 서비스 적용과 동시에 발생하는 다양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이벤트들의 예외처리에 관한 GPS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여 테스팅과 디버깅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여 GPS 서비스를 위한 막대한 개발시간과 열악한 개발환경의 개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적용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및 그 적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인터넷 시대의 차세대 킬러 애플리케이션으로 주목받고 있는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 LBS)의 국내 시장규모가 해마다 급증하고 있으며, 2003년에는 2668억원에 불과했던 것이 지난해는 5215억원으로 전년대비 95%나 급성장했고, 올해는 8460억원으로 62%, 오는 2007년에는 1조 6561억원으로 96%나 급신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이 같은 성장세는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 GPS) 기반 단말기의 보급 증가와 이동통신업체의 신규 서비스 도입에 따른 결과이다(2005년 2월 7일자 디지털타임스).
이동통신단말기의 세부 서비스별 매출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해는 셀방식에서 GPS 방식으로 측위방식이 본격 전환돼 서비스 및 콘텐츠 제공자( CP), 솔루션 업체들의 매출실적에 큰 변화가 있었다. 지난해 매출 비중이 가장 높았던 분야는 교통·항법 서비스 분야로 2061억원의 매출(매출비용 65%)을 기록했고, 다음은 '친구찾기'와 같은 추적 서비스가 542억원(17%), 물류추적 및 B2B 시장 455억원(15%)순이었다.
그리고, '향후 가장 유망할 것으로 기대되는 서비스'와 관련해서는 조사 대상업체의 31%가 교통·항법서비스라고 답했고, 주변정보서비스(21%), 안전·보안 관련 서비스(17%)가 그 뒤를 이었으며, 위치기간 전자상거래 서비스와 위치기반 엔터테인먼트 분야가 각각 9%, 11%를 차지, 미래 서비스가 주로 개인 및 일반소비자 대상의 다양한 서비스로 전환될 것임을 예시했다.
이와 같이, 앞으로 다양한 서비스로의 변형 발전이 가능한 LBS기술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적용에 있어서, GP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칩이 내장되고, 모바일 플랫폼이 탑제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GPS 장치와 GPS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사이를 인터페이스하고 GPS가 작동되는 동안 발생하는 이벤트를 원활히 처리하며 GPS 성능상태를 테스트할 수 있는 표준화된 기술이 없는 상태이다.
기존에는 단말기 제조사, 어플리케이션 개발사 및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모바일을 통한 GPS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복잡한 이동통신단말기 내부환경과 모바일 플랫폼의 제한적인 기능 및 열악한 어플리케이션 개발환경, GPS 개발의 표준화 작업과 GPS 기능을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그 결과 GPS 서비스 개발 기간이 상당히 느려짐에 따른 시간과 인력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문제를 살펴보면, 각 단말기 제조사들이 GPS기능을 수 행하는 칩만을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하였다고 해서 GPS 서비스를 당장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 과정을 크게 2 Step로 편의상 나누어 보자면, Step 1은 상기 GPS 기능을 수행하는 칩을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하고 GPS 드라이버를 만들어 주는 일은 해당 GPS 칩의 메이커의 포팅(porting : 프로그램의 플랫폼을 변경하거나 솔루션을 시스템에 삽입) 가이드에 따라 진행되기 때문에 특별히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Step 2가 문제인데 이 Step은 GPS 칩과 GPS 드라이버가 이동통신단말기에 포팅 되고나서 그것을 GPS 어플리케이션에 연결하여 실제적인 GPS 서비스 시나리오에 맞게 각각의 기능들을 적용하고 매순간 일어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서비스들의 발생(예외처리)을 원활히 하는 것이 관건이다.
상기와 같은 Step 전체를 100%라 하였을 때 GPS 기능을 수행하는 칩을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하고 GPS 드라이버를 만들어주는 Step 1은 20%에 불과하며, GPS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음성통화, 문자수신/전송, 무선인터넷, 게임과 카메라 촬영 등 다양한 서비스들의 발생(예외처리)기능을 동시에 원활히 수행하도록 하는 Step 2인 인터페이스 구성 작업이 80%를 차지한다.
이와 더불어, GPS 관련 개발사들의 개발 중복이 또한 큰 문제이다. 서비스 사업자의 GPS 시나리오는 동일한데 존재하는 모든 단말기 제조사들이 수십 수백개의 단말기 모델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인터페이스 작업을 각각 해주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GPS 서비스를 개발 중이거나 상용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을 때 문제가 발생되면 GPS 기능을 검증할 수 있는 툴 또는 방법이 없다보니 문제를 찾아 내고 해결하는데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들어간다는 것이다.
그리고, 현재 어플리케이션 개발환경이 상당히 열악한데, 어플리케이션 개발사들은 일반 데스크 탑에서 모바일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한적인 리소스를 바탕으로 개발을 하고 있다. 이는, 모바일 플랫폼 자체가 제한적인 모바일 장치들의 리소스를 매우 한정적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열악한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고 하여도 이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하고 실제적인 모바일 환경에 맞게 적용하려면 상기에서 언급했다시피 인터페이스 구성 작업이 추가되어야하고, 인터페이스 구성 작업 과정 중 힘들게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을 수차례 수정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나, 요즘과 같은 1인 1이동통신단말기 시대에는 보다 편리하고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누가 먼저 제대로 만들어 출시하는가에 사업의 승패가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며,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어떠한 사업 분야보다도 라이프 싸이클(Life Cycle)이 짧은 이유로 상기와 같은 다양한 GPS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대로 제공하기위해 너무나 비효율적이며 열악하기만 하였던 인터페이스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 작업시간을 최대한 단축하고, 단말기 종류에 상관없이 어느 단말기에라도 적용이 가능한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GPS 서비 스 적용시 다양한 이동통신단말기 종류에 구애받지 않도록 표준화되어 GPS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GPS 장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 GPS 서비스 적용과 동시에 발생하는 다양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이벤트들의 예외처리에 관한 GPS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여 테스팅과 디버깅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여 GPS 서비스를 위한 막대한 개발시간과 열악한 개발환경의 개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적용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및 그 적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성항법장치(GPS) 서비스 적용에 이용되는 GPS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위치기반서비스(LBS) 시나리오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을 제공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User Application Layer),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명령을 직접 받아 이를 GPS 장치와 외부의 인터넷망을 통한 GPS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GPS 위성 서버를 이용하여 GPS 서비스처리 후 결과물을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전달하고, 상기 GPS 서비스 처리와 동시에 발생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외부이벤트들을 동시에 처리하고, 각 계층과 계층의 결합 후에 표준화된 테스트를 수행하는 GPS 인터페이스 계층(GPS Interface Layer, 및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에서의 GPS 서비스 처리의 기반이 되는 하나 이상의 GPS 칩과 이를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에서 핸들링 가능하도록 하는 각 GPS 칩별 펌웨어 (Firmware)를 포함하는 GPS 장치 계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은 GPS 프로세스의 실행과 실행결과를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직접 전달하는 표준화된 어플리케이션인 HAL 어플리케이션, 및 SMS(Shot Message Service)를 통해 수신된 TCP/IP값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위치를 추적하여 해당 데이터를 외부의 인터넷망을 통해 GPS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SMS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계층, 및 실질적인 GPS 서비스제공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외부이벤트를 동시에 처리하는 하나이상의 GPS 칩을 핸들링하여 GPS 서비스와 외부이벤트를 처리하고 결과를 리포팅 하는 GPS 칩 모듈, 및 각 계층별 환경과 계층 결합 후에 테스트/디버그를 수행하여 외부의 테스트뷰어로 수행결과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표준화된 테스트 모듈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계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기반서비스(LBS) 시나리오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을 제공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User Application Layer),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GPS 인터페이스 계층에 이를 전달하고 서비스 처리결과를 사용자에게 다시 전달하는 중개기능의 위피 플랫폼 계층(WIPI Platform Layer), 상기 위피 플랫폼 계층으로부터 명령을 받아 이를 GPS 장치와 외부의 인터넷망을 통한 GPS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GPS 위성 서버를 이용하여 GPS 서비스처리 후 결과물을 상기 위피 플랫폼 계층에 전달하고, 상기 GPS 서비스 처리와 동시에 발생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외부이벤트들을 동시 에 처리하고, 각 계층과 계층의 결합 후에 표준화된 테스트를 수행하는 GPS 인터페이스 계층(GPS Interface Layer, 및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에서의 GPS 서비스 처리의 기반이 되는 하나 이상의 GPS 칩과 이를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에서 핸들링 가능하도록 하는 각 GPS 칩별 펌웨어(Firmware)를 포함하는 GPS 장치 계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은 GPS 프로세스의 실행과 실행결과를 상기 위피 플랫폼 계층으로 전달하는 표준화된 어플리케이션인 HAL 어플리케이션, 및 SMS(Shot Message Service)를 통해 수신된 TCP/IP값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현 위치를 추적하고, 해당 데이터를 외부의 인터넷망을 통해 GPS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SMS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계층, 및 실질적인 GPS 서비스제공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외부이벤트를 동시에 처리하는 하나이상의 GPS 칩을 핸들링하여 GPS 서비스와 외부이벤트를 처리하고 결과를 리포팅 하는 칩 모듈, 및 각 계층별 환경과 계층 결합 후에 테스트/디버그를 수행하여 외부의 테스트뷰어로 수행결과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표준화된 테스트 모듈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계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 기재된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의 적용방법으로서, 사용자의 GPS 서비스를 이용을 위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통한 GPS 측위 요청 단계,상기 GPS 측위 요청 단계에서의 수신한 명령을 상기 위피 플랫폼 계층에서 GPS 인터페이스 계층으로 전달하는 측위명령 중개 단계, 상기 측위명령 중개 단계를 거쳐 전달된 GPS 측위 명령을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계층에서 수신하여 GPS 장치계층과 외부의 인터넷망을 통해 GPS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GPS 위성 서버로 전송하여 측위를 수행하고, 상기 GPS 측위 처리와 동시에 발생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외부이벤트들을 동시에 처리하고, 각 계층별 환경과 계층 간 결합 후에 표준화된 테스트를 수행하는 GPS 측위 수행 단계, 상기 GPS 측위 후 측위 결과를 상기 위피 플랫폼 계층으로부터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측위결과 중개 단계, 및 상기 위피 플랫폼 계층의 중개로 GPS 측위 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GPS 측위결과 전달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적용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GPS 측위 수행 단계는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에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된 GPS 측위 명령을 수신하여 해당 모듈별로 명령 셋팅 정보를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고 측위를 시행하는 GPS 측위 시행 단계, 상기 GPS 측위 명령 수행 단계에서 발생한 명령 셋팅 정보를 상기 GPS 장치 계층의 해당 모듈과 연동하여 인터넷망 기반의 GPS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GPS 위성 서버에서 실질적인 측위를 하는 GPS 측위 단계, 및 상기 GPS 측위 단계에서 얻어진 측위 결과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기위해 리포팅(Reporting)하는 GPS 측위 결과 리포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GPS 측위 수행 단계는 상기 측위를 시행하는 GPS 측위 시행 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수시로 발생하는 외부이벤트에 대한 명령을 수신하는 외부이벤트 수신단계, 상기 GPS 측위와 동시에 외부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해당 모듈로 명령 셋팅 정보를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여 처리하는 예외처리 단계, 및 상기에서 처리한 외부이벤트의 예외처리 결과를 전달하는 예외처리 리포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GPS 측위 수행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GPS인터페이스 계층에 외부 테스트 뷰어장치를 RS-232 또는 USB방식으로 연결하는 외부 테스트 뷰어 연결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각 계층과 계층의 결합 후의 계층 별 또는 계층 결합 후의 실행 정보를 GPS 인터페이스 계층의 테스트모듈에서 입수하여 통합 테스트하는 계층 테스트 단계, 및 상기 계층 테스트 단계에서 테스트한 결과를 상기 테스트 뷰어장치에 리포팅하여 문제해결을 도모하는 테스트결과 리포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아울러, 상기에서 외부이벤트는 음성통화 이벤트, 문자메세지 이벤트, 무선인터넷 이벤트, 카메라 장치 이벤트, 캠코더 장치 이벤트, LCD 장치 이벤트, 키패드 장치 이벤트, 사운드 장치 이벤트, 지문인식장치 이벤트 및 6축센서 이벤트 중 어느 하나를 말한다.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계층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계층 구조 중 GPS 인터페이스 계층의 하부 상세 계층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 른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의 적용후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의 적용예 중 특히 GPS수행 단계를 나타낸 상세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의 적용예 중 특히 GPS수행 단계의 외부이벤트 처리단계를 나타내는 상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의 적용예 중 특히 GPS 수행 단계의 계층 테스트 처리단계를 나타내는 상세 순서도, 도 7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명령파라미터부분의 실질적 처리 부분을 나타낸 상태도, 도 8a와 8b는 GPS 수행 단계 중 이동통신단말기의 각 계층을 이루는 구성요소 및 결합 후 통합적인 테스트 결과를 외부단말기를 통해 보여주는 테스트 툴(Test Tool)의 일예를 나타내는 화면예, 도 9는 도 8a와 도 8b의 테스트 결과를 저장한 저장결과보기 화면예, 도 10a는 측위 설정 값 항목별 설명예, 도 10b는 측위 결과 값 항목별 설명예이다.
앞으로 다양한 서비스로의 변형 발전이 가능한 LBS기술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적용에 있어서, GP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칩이 내장되고, 모바일 플랫폼이 탑제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GPS 장치와 GPS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사이를 인터페이스하고 GPS가 작동되는 동안 발생하는 외부이벤트들의 예외처리를 원활히 처리하며 GPS 성능상태를 테스트할 수 있는 표준화된 기술이 없는 상태이다.
기존에는 단말기 제조사, 어플리케이션 개발사 및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모바일을 통한 GPS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복잡한 이동통신단말기 내부환경과 모바일 플 랫폼의 제한적인 기능 및 열악한 어플리케이션 개발환경, GPS 개발의 표준화 작업과 GPS 기능을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그 결과 GPS 서비스 개발 기간이 상당히 느려짐에 따른 시간과 인력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및 그 적용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우선 그 계층구조를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계층 구조도,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계층 구조 중 GPS 인터페이스 계층의 하부 상세 계층 구조도, 도 7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명령파라미터부분의 실질적 처리 부분을 나타낸 상태도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치기반서비스(LBS) 시나리오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을 제공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User Application Layer)(10),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10)으로부터 명령을 직접 받아 이를 GPS 장치와 외부의 인터넷망을 통한 GPS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GPS 위성 서버(110)를 이용하여 GPS 서비스처리 후 결과물을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10)에 전달하고, 상기 GPS 측위 처리와 동시에 발생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다양한 외부이벤트들을 동시에 처리하고, 각 계층과 계층의 결합 후에 표준화된 테스트를 수행하는 GPS 인터페이스 계층(GPS Interface Layer(50), 및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50)에서 GPS 서비스 처리의 기반이 되는 하나 이상의 GPS 칩과 이를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에서 핸들링 가능하도록 하는 각 GPS 칩별 펌웨어(Firmware)를 포함하는 GPS 장치 계층(70)으로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50)은 GPS 프로세스의 실행과 실행결과를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직접 전달하는 표준화된 어플리케이션인 HAL 어플리케이션(511), 및 SMS(Shot Message Service)를 통해 수신된 TCP/IP값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현 위치를 추적하여 외부의 인터넷망을 통해 GPS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로 전송하는 SMS 어플리케이션(513)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계층(51), 및 실질적인 GPS 서비스제공 및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다양한 외부이벤트를 동시에 처리하는 하나이상의 GPS 칩을 핸들링하여 GPS 서비스와 외부이벤트를 처리하고 결과를 리포팅 하는 칩 모듈(531), 및 각 계층과 계층의 결합 후에 테스트/디버그를 수행하여 외부의 테스트뷰어(120)로 수행결과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표준화된 테스트 모듈(533)을 포함하는 모듈 계층(53)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는 위피(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 WIPI)플랫폼은 한국무선인터넷 표준화 포럼(KWISF : Korea Wireless Internet Standardization Forum)의 모바일 플랫폼 특별 분과에서 만든 모바일 플랫폼 표준 규격으로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된 응용프로그램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시켜 실행 시키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표준규격으로 2001년 7월에 이동통신사의 다양한 플랫폼으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단말기와 컨텐츠 개발에 있어 독립적이고 개방된 국내 모바일 플랫폼 표준개발계획이 시작되었고, 약 1년여간 이동통신 3사를 비롯하여 전파 연구소, 전자통신연구원, 한국통신기술협회 및 개발자 등 수 십 여명의 전문가 집단의 노력 끝에 탄생한 것이다.
그러나, 이 위피플랫폼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순히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명령을 중개하는 역할에 그치고 있고, 표준화 되었다고는 하나 각 단말사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사 마다 약간씩 상이하고, 사운드, 미디어 등의 추가기능에 따른 역할과 같은 특별한 기능의 확장이 없이 단순히 표준화 된 규격에 문제가 없을 정도로만 제작하여 이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중개역할만을 하는 위피 플랫폼 까지도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계층에서 수용/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하나의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위피플랫폼을 적용하고자 한다면, 본 발명에도 충분히 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변형된 또 다른 구성은 위치기반서비스(LBS) 시나리오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을 제공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User Application Layer)(10),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10)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GPS 인터페이스 계층에 이를 전달하고 서비스 처리결과를 사용자에게 다시 전달하는 중개기능의 위피 플랫폼 계층(WIPI Platform Layer)(30), 상기 위피 플랫폼 계층(30)으로부터 명령을 받아 이를 GPS 장치와 외부의 인터넷망을 통한 GPS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GPS 위성 서버(110)를 이용하여 GPS 측위 처리 후 결과물을 상기 위피 플랫폼 계층(30)에 전달하고, 상기 GPS 측위 처리와 동시에 발생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다양한 외부이벤트들을 동시에 처 리하고, 각 계층별 환경과 계층간 결합 후에 표준화된 테스트를 수행하는 GPS 인터페이스 계층(GPS Interface Layer)(50), 및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50)에서 GPS 서비스 처리의 기반이 되는 하나 이상의 GPS 칩과 이를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50)에서 핸들링 가능하도록 하는 각 GPS 칩별 펌웨어(Firmware)를 포함하는 GPS 장치 계층(533)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50)은 GPS 프로세스의 실행과 실행결과를 상기 위피 플랫폼 계층(30)으로 전달하는 표준화된 어플리케이션인 HAL 어플리케이션(511), 및 SMS(Shot Message Service)를 통해 수신된 TCP/IP값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현위치를 추적하여 외부의 인터넷망을 통해 GPS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로 전송하는 SMS 어플리케이션(531)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계층(51), 및 실질적인 GPS 측위 서비스제공 및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다양한 외부이벤트를 동시에 처리하는 하나이상의 GPS 칩을 핸들링하여 GPS 서비스와 외부이벤트를 처리하고 결과를 리포팅 하는 GPS 칩 모듈(531), 및 각 계층별 환경과 계층 결합 후에 테스트/디버그를 수행하여 외부의 테스트뷰어로 수행결과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표준화된 테스트 모듈(533)을 포함하는 모듈 계층(53)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적용 방법을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의 적용후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의 적용예 중 특히 GPS수행 단계를 나타낸 상세순서도, 도 5 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의 적용예 중 특히 GPS수행 단계의 외부이벤트 처리단계를 나타내는 상세 순서도,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의 적용예 중 특히 GPS 수행 단계의 계층 테스트 처리단계를 나타내는 상세 순서도, 도 7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명령파라미터부분의 실질적 처리 부분을 나타낸 상태도, 도 8a와 8b의 GPS 수행 단계 중 이동통신단말기의 각 계층을 이루는 구성요소 및 결합 후 통합적인 테스트 결과를 외부단말기를 통해 보여주는 테스트 툴(Test Tool)의 일예를 나타내는 화면예, 도 9의 도 8a와 도 8b의 테스트 결과를 저장한 저장결과보기 화면예, 도 10a의 측위 설정 값 항목별 설명예, 도 10b의 측위 결과 값 항목별 설명예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우선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10), 위피 플랫폼 계층(30),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51)과 모듈(53)로 구성된 GPS 인터페이스 계층(50) 및 GPS 장치 계층(70)으로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있어서, 사용자가 GPS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10)을 통한 GPS 측위 요청 단계(S1), 상기 GPS 측위 요청 단계(S1)에서의 수신한 명령을 상기 위피 플랫폼 계층(30)이 GPS 인터페이스 계층에게 전달하는 측위명령 중개 단계(S3), 상기 측위명령 중개 단계(S3)를 거쳐 전달된 GPS 측위 명령을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계층(50)에서 수신하여 GPS 장치계층(70)과 인터넷망을 통해 GPS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GPS 위성 서버(110)를 이용하여 측위를 수행하고, 상기 GPS 측위 처리와 동시에 발생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다양한 외부이벤트들을 동시에 처리하고, 각 계층별 환경과 계층 간 결합 후에 표준화된 테스트를 수행하는 GPS 측위 수행 단계(S5), 상기 GPS 측위 후 측위 결과를 상기 위피 플랫폼 계층(30)이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측위결과 중개 단계(S7), 및 상기 위피 플랫폼 계층(30)의 중개로 GPS 측위 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GPS 측위결과 전달 단계(S9)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GPS 측위 수행 단계(S5)는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50)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51)에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된 GPS 측위 명령을 수신하여 해당 모듈별로 명령 셋팅 정보를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고 측위를 시행하는 GPS 측위 시행 단계(S51), 상기 GPS 측위 시행 단계(S51)에서 발생한 명령 셋팅 정보를 상기 GPS 장치 계층(70)의 해당 칩과 연동하여 인터넷망 기반의 GPS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GPS 위성 서버(110)에서 실질적인 측위를 하는 GPS 측위 단계(S53), 및 상기 GPS 측위 단계(S53)에서 얻어진 측위 결과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기위해 리포팅(Reporting)하는 GPS 측위 결과 리포팅 단계(S55),로 구성된다.
이를 하나의 실예를 적용하여 설명하자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10)에서 GPS의 시작을 알리는 파라미터가 발생됨(S1)에 따라 이를 위피 플랫폼 계층(30)에서 중개(S3)하여 이와 관련한 GPS 인터페이프 계층(50)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51)중 HAL 어플리케이션(511)을 호출하여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10)에서 발생한 GPS의 시작을 알리는 파라미터를 인자값으로 넘겨준다(S51). 그리고 HAL 어플리케이션(511)은 이를 GPS 모듈(53)로 GPS 측위를 시작하라는 이벤트를 넘 겨주고 이를 전달받은 GPS 모듈(53)은 하부에 GPS 장치 계층(70)에 속한 하나이상의 칩 중 선택된 GPS 칩과 연동하여 GPS 오퍼레이션 타입(ex)ms-assisted, ms-based, automous, aiding autonomous, stand alone등)에 따라 TCP/IP 혹은 DMB 방식으로 인터넷망 기반의 GPS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GPS 위성 서버(110)에 억세스하여 규정된 프로토콜 스펙(ex) Almanac, Ephemeric, acquisition assistance, sensitivity assistance, pilot phase, 모바일 위치정보 등)을 주고 받으면서 측위를 수행한다(S53). 마침내 측위가 끝나고 측위성공 이벤트가 발생되었다면 이를 GPS 인터페이스 계층(50)이 위피 플랫폼 계층(30)을 통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10)으로 측위결과 데이터를 리포팅하여 측위가 종료된다(S55, S7, S9).
또한, 상기 GPS 측위 수행 단계는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측위를 시행하는 GPS 측위 시행 단계(S5)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수시로 발생하는 외부이벤트에 대한 명령을 수신하는 외부이벤트 수신단계(S511), 상기 GPS 측위와 동시에 외부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해당 모듈로 명령 셋팅 정보를 전달하여 처리하는 예외처리 단계(S531), 및 상기에서 처리한 외부이벤트의 예외처리 결과를 전달하는 예외처리 리포팅 단계(S551),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에서 외부이벤트는 음성통화 이벤트, 문자메세지 이벤트, 무선인터넷 이벤트, 카메라 장치 이벤트, 캠코더 장치 이벤트, LCD 장치 이벤트, 키패드 장치 이벤트, 사운드 장치 이벤트, 지문인식장치 이벤트 및 6축센서 이벤트 중 어느 하나를 말한다. 물론, 상기에서 나열한 외부이벤트 외에도 앞으로 더욱 다양하게 추가될 기능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들도 얼마든지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GPS 측위 수행 단계(S5)는 도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GPS인터페이스 계층(50)에 외부 테스트 뷰어장치(120)를 RS-232 또는 USB방식으로 연결하는 외부 테스트 뷰어 연결 단계(S512),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각 계층별 개발결과와 각각 개발된 계층을 결합한 후의 계층 별 또는 계층 결합 후의 실행 정보를 GPS 인터페이스 계층(50)의 테스트모듈(53)에서 입수하여 통합 테스트하는 계층 테스트 단계(S532), 및 상기 계층 테스트 단계(S532)에서 테스트한 결과를 상기 테스트 뷰어장치(120)에 리포팅하여 문제해결을 도모하는 테스트결과 리포팅 단계(S552),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의 계층 테스트 단계(S532)를 실행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8a와 8b가 상기의 외부 테스트 뷰어장치(120)에 보여지는 각 계층을 이루는 구성요소 및 결합 후 통합적인 테스트 결과를 외부단말기를 통해 보여주는 테스트 툴(Test Tool)의 일예를 나타낸 것인데, 종래에는 이렇게 각 계층별로 구현하는 업체에서 간단하게 문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일화 되고 수동적인 테스트는 가능하였지만 본 발명에서의 테스트처럼 각 계층별 문제점과 계층을 구현하여 통합적으로 테스트하는 부분은 전혀 없었던 부분이다.
또한, 도 9에 나타난 것은 도 8a와 도 8b의 테스트 결과를 별도로 저장한 결과보기 화면예이며, 도 10a에는 측위 설정 값 항목별 설명, 도 10b에는 측위 결과 값 항목별 설명예를 보고 테스트의 결과를 참고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계층 결합에 있어 발생하는 수 많은 문제들을 일목요연하게 개발자에게 보여주어 개발 시간을 절약하고, 보다 완벽한 계층 결합을 이뤄낼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출시 시 점을 훨씬 앞당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문국 가입 휴대전화의 렌탈형 국제 이동통신 로밍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에 GPS 서비스 적용시 다양한 이동통신단말기 종류에 구애받지 않도록 표준화되어 GPS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GPS 장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 GPS 서비스 적용과 동시에 발생하는 다양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이벤트들의 예외처리에 관한 GPS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여 테스팅과 디버깅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여 GPS 서비스를 위한 막대한 개발시간과 열악한 개발환경의 개선이 가능하여 앞으로 다양한 서비스로의 변형 발전이 가능한 LBS기술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적용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효과가 상당한 기술임에 틀림없다.

Claims (10)

  1.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성항법장치(GPS) 서비스 적용에 이용되는 GPS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위치기반서비스(LBS) 시나리오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을 제공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User Application Layer);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명령을 직접 받아 이를 GPS 장치와 외부의 인터넷망을 통한 GPS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GPS 위성 서버를 이용하여 GPS 서비스처리 후 결과물을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전달하고, 상기 GPS 서비스 처리와 동시에 발생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외부이벤트들을 동시에 처리하고, 각 계층과 계층의 결합 후에 표준화된 테스트를 수행하는 GPS 인터페이스 계층(GPS Interface Layer) 및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에서의 GPS 서비스 처리의 기반이 되는 하나 이상의 GPS 칩과 이를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에서 핸들링 가능하도록 하는 각 GPS 칩별 펌웨어(Firmware)를 포함하는 GPS 장치 계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User Application Layer)과 GPS 인터페이스 계층(GPS Interface Layer) 사이에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사용자 명령 에 따라 GPS 인터페이스 계층에 이를 전달하고 서비스 처리결과를 사용자에게 다시 전달하는 중개기능의 위피 플랫폼 계층(WIPI Platform Layer)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은
    GPS 프로세스의 실행과 실행결과를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직접 전달하는 표준화된 어플리케이션인 HAL 어플리케이션, 및 SMS(Shot Message Service)를 통해 수신된 TCP/IP값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위치를 추적하여 해당 데이터를 외부의 인터넷망을 통해 GPS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SMS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계층 및
    실질적인 GPS 서비스제공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외부이벤트를 동시에 처리하는 하나이상의 GPS 칩을 핸들링하여 GPS 서비스와 외부이벤트를 처리하고 결과를 리포팅 하는 GPS 칩 모듈, 및 각 계층별 환경과 계층 결합 후에 테스트/디버그를 수행하여 외부의 테스트뷰어로 수행결과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표준화된 테스트 모듈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계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은
    GPS 프로세스의 실행과 실행결과를 상기 위피 플랫폼 계층으로 전달하는 표준화된 어플리케이션인 HAL 어플리케이션, 및 SMS(Shot Message Service)를 통해 수신된 TCP/IP값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현 위치를 추적하고, 해당 데이터를 외부의 인터넷망을 통해 GPS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SMS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계층 및
    실질적인 GPS 서비스제공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외부이벤트를 동시에 처리하는 하나이상의 GPS 칩을 핸들링하여 GPS 서비스와 외부이벤트를 처리하고 결과를 리포팅 하는 칩 모듈, 및 각 계층별 환경과 계층 결합 후에 테스트/디버그를 수행하여 외부의 테스트뷰어로 수행결과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표준화된 테스트 모듈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계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5.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이벤트는 음성통화 이벤트, 문자메세지 이벤트, 무선인터넷 이벤트, 카메라 장치 이벤트, 캠코더 장치 이벤트, LCD 장치 이벤트, 키패드 장치 이벤트, 사운드 장치 이벤트, 지문인식장치 이벤트 및 6축센서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6.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의 적용방법으로서,
    사용자의 GPS 서비스를 이용을 위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통한 GPS 측위 요청 단계;
    상기 GPS 측위 요청 단계에서의 수신한 명령을 상기 위피 플랫폼 계층에서 GPS 인터페이스 계층으로 전달하는 측위명령 중개 단계;
    상기 측위명령 중개 단계를 거쳐 전달된 GPS 측위 명령을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계층에서 수신하여 GPS 장치계층과 외부의 인터넷망을 통해 GPS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GPS 위성 서버로 전송하여 측위를 수행하고, 상기 GPS 측위 처리와 동시에 발생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외부이벤트들을 동시에 처리하고, 각 계층별 환경과 계층 간 결합 후에 표준화된 테스트를 수행하는 GPS 측위 수행 단계;
    상기 GPS 측위 후 측위 결과를 상기 위피 플랫폼 계층으로부터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측위결과 중개 단계 및
    상기 위피 플랫폼 계층의 중개로 GPS 측위 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GPS 측위결과 전달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적용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GPS 측위 수행 단계는
    상기 GPS 인터페이스 계층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에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된 GPS 측위 명령을 수신하여 해당 모듈별로 명령 셋팅 정보를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고 측위를 시행하는 GPS 측위 시행 단계;
    상기 GPS 측위 명령 수행 단계에서 발생한 명령 셋팅 정보를 상기 GPS 장치 계층의 해당 모듈과 연동하여 인터넷망 기반의 GPS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GPS 위성 서버에서 실질적인 측위를 하는 GPS 측위 단계 및
    상기 GPS 측위 단계에서 얻어진 측위 결과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기위해 리포팅(Reporting)하는 GPS 측위 결과 리포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적용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GPS 측위 수행 단계는
    상기 측위를 시행하는 GPS 측위 시행 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수시로 발생하는 외부이벤트에 대한 명령을 수신하는 외부이벤트 수신단계;
    상기 GPS 측위와 동시에 외부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해당 모듈로 명령 셋팅 정보를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여 처리하는 예외처리 단계 및
    상기에서 처리한 외부이벤트의 예외처리 결과를 전달하는 예외처리 리포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적용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GPS 측위 수행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GPS인터페이스 계층에 외부 테스트 뷰어장치를 RS-232 또는 USB방식으로 연결하는 외부 테스트 뷰어 연결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각 계층별 개발결과와 각각 개발된 계층을 결합한 후의 계층 별 또는 계층 결합 후의 실행 정보를 GPS 인터페이스 계층의 테스트모듈에서 입수하여 통합 테스트하는 계층 테스트 단계 및
    상기 계층 테스트 단계에서 테스트한 결과를 상기 테스트 뷰어장치에 리포팅하여 문제해결을 도모하는 테스트결과 리포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적용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이벤트는 음성통화 이벤트, 문자메세지 이벤트, 무선인터넷 이벤트, 카메라 장치 이벤트, 캠코더 장치 이벤트, LCD 장치 이벤트, 키패드 장치 이벤트, 사운드 장치 이벤트, 지문인식장치 이벤트 및 6축센서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적용방법.
KR20050017981A 2005-03-04 2005-03-04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적용방법 KR100671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7981A KR100671754B1 (ko) 2005-03-04 2005-03-04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적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7981A KR100671754B1 (ko) 2005-03-04 2005-03-04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적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790A true KR20060096790A (ko) 2006-09-13
KR100671754B1 KR100671754B1 (ko) 2007-01-19

Family

ID=3762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17981A KR100671754B1 (ko) 2005-03-04 2005-03-04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적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7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6731A2 (ko) * 2008-03-17 2009-09-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스마트 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113B1 (ko) 2008-02-05 2010-05-07 팅크웨어(주) 위치 기반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060A (ko) * 2001-05-26 2002-11-30 (주)엠커머스 위치기반 정보서비스 플랫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48465A (ko) * 2002-12-03 2004-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객체의 위치모니터링과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KR100555104B1 (ko) * 2003-06-27 2006-02-24 팅크웨어(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64337B1 (ko) * 2003-07-11 2006-03-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6731A2 (ko) * 2008-03-17 2009-09-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스마트 카드
WO2009116731A3 (ko) * 2008-03-17 2009-11-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스마트 카드
KR100963544B1 (ko) * 2008-03-17 2010-06-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스마트 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754B1 (ko) 200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825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remote location acquisitio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CN102939514B (zh) 用于位置服务的方法和装置
US7953405B2 (en) Automated tagging of targeted media resources
EP2525291A1 (en)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US201202769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N101583075A (zh) 一种无线移动终端的定位、查询系统及方法
CN103327451A (zh) 一种手机定位系统和定位方法及手机
Varandas et al. mTracker: a mobile tracking application for pervasive environment
US201202103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Testing
FR2930862A1 (fr) Procede de diagnostic d'un terminal de telephone mobile incluant des applications sans contact
CN103905974A (zh) 一种手机报警方法和装置
KR10067175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적용방법
CN100463567C (zh) 数据处理方法及可记录程序运行数据的终端
CN103139406B (zh) 进行电话会议交谈的方法及通信装置
CN101466066B (zh) 位置服务管理系统及位置服务提供方法
EP1416751A1 (en) Method and devices for providing event information of a mobile application
CN101873526A (zh) 一种定位监控的方法及导航设备
CN105208537A (zh) 一种呼叫转移状态查询方法及系统
CN112653998B (zh) 终端设备丢失定位方法、终端设备和存储介质
CN104469674A (zh) 记录地理位置的方法和装置
Sundararajan Kids’ smartphone activities tracker: an android application for tracking and monitoring children smartphones
WO2008153416A1 (en) Mobile device dynamic update
CN105515961B (zh) 一种添加群组成员的装置和方法
US20100151884A1 (en) Method for Monitoring a Smart Phone an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KR10061711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