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701A - 연료전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701A
KR20060096701A KR1020050017405A KR20050017405A KR20060096701A KR 20060096701 A KR20060096701 A KR 20060096701A KR 1020050017405 A KR1020050017405 A KR 1020050017405A KR 20050017405 A KR20050017405 A KR 20050017405A KR 20060096701 A KR20060096701 A KR 20060096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hydrogen
reformer
stack
nozz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인혁
서동명
김주용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7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6701A/ko
Priority to JP2005282792A priority patent/JP2006244986A/ja
Priority to US11/366,696 priority patent/US20060172174A1/en
Publication of KR20060096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25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separate hollow frames, e.g. foam-filled
    • E06B3/726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separate hollow frames, e.g. foam-filled of metal
    • E06B3/728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separate hollow frames, e.g. foam-filled of metal of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2/00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for reacting gaseous media with gaseous media;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J12/007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for reacting gaseous media with gaseous media;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 the presence of catalytically active bodies, e.g. porous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00Feed or outlet devices; Feed or outlet control devices
    • B01J4/001Feed or outlet devices as such, e.g. feed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00Feed or outlet devices; Feed or outlet control devices
    • B01J4/008Feed or outlet control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C01B3/38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using catalys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25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in a modular combined reactor/fuel cell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051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19/00074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ing or cooling employing heat exchange fluids
    • B01J2219/00087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ing or cooling employing heat exchange fluids with heat exchange elements outside the reactor
    • B01J2219/0009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051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19/00132Controlling the temperature using electric heating or cooling elements
    • B01J2219/00135Electric resistance hea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6Integration with other chemical processes
    • C01B2203/066Integration with other chemical processes with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05Arrangement or shape of catalyst
    • C01B2203/1035Catalyst coated on equipment surfaces, e.g. reactor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41Composition of the catalys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41Composition of the catalyst
    • C01B2203/1047Group VIII metal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41Composition of the catalyst
    • C01B2203/1047Group VIII metal catalysts
    • C01B2203/1052Nickel or cobalt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41Composition of the catalyst
    • C01B2203/1047Group VIII metal catalysts
    • C01B2203/1064Platinum group metal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41Composition of the catalyst
    • C01B2203/1047Group VIII metal catalysts
    • C01B2203/1064Platinum group metal catalysts
    • C01B2203/107Platinum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6Controlling the process
    • C01B2203/169Controlling the fe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E06B2003/7082Plastic frames
    • E06B2003/7084Plastic frames reinforced with metal or wood s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수소가스와 산소가스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전기를 생성시키는 단위전지가 복수개 내장되어 있는 스택과, 수소함유연료를 개질하여 발생되는 수소가스를 상기 스택에 공급하는 개질기와, 상기 개질기에 공급하고자 하는 수소함유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연료 저장부와, 상기 스택에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료 저장부로부터 수소함유연료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개질기의 일측에 제공된 유입부의 전방에는 분사수단이 내장되어 있는 분사노즐 조립체가 분리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연료펌프의 구동에 의한 노이즈 및 진동 발생을 방지하면서 소요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분사노즐 조립체, 압전소자, 히터, 가열판, 개질기

Description

연료전지 시스템{FUEL CELL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개질기와 스택의 부위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 조립체의 구성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 조립체의 구성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 조립체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택
12a, 12b : 엔드 플레이트
14 : 전극막 조립체
14a : 고분자막
14b, 14c : 전극
16 : 바이폴라 플레이트
20 : 연료 저장부
30 : 공기 공급부
40 : 분사노즐 조립체
42 : 압전소자
44 : 히터
46 : 가열판
50 : 개질기
본 발명은 수소가스와 공기의 전기화학반응을 통해서 전기를 생성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 전기화학반응에 의해서 전기를 생성하는 단위전지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스택에 수소가스를 공급하는 개질기에 분사방식으로 수소함유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경문제나 자원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메탄올, 에탄올 또는 천연가스 등의 탄화수소계열의 연료와 같은 수소함유연료를 개질하여 얻은 수소와 공기중의 산소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를 생성하는 연료전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사용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서 인산형 연료전지(PAFC; phosphoric acid fuel cell), 용융탄산염형 연료전지(MCFC; molten carbonate fuel cell),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SOFC; solid oxide fuel cell),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알칼리 형 연료전지(AFC; alkaline fuel cell) 등으로 분류된다. 연료전지는 그 종류에 따라서 사용되는 연료의 원료와 함께 작동온도, 출력범위 등에 따라서 이동전원용, 수송용, 분산발전용 등의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된 종류의 연료전지들 중에서,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는 출력특성이 상대적으로 탁월하고 작동온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빠른 시동 및 응답특성을 갖는 장점에 때문에 최근에 개발연구되고 있다.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는 수소가스와 산소의 화학반응에 의해서 전기를 생성시키는 단위전지가 복수개 내장되어 있는 스택과, 수소함유연료를 개질하여 생성되는 수소가스를 상기 스택에 공급하는 개질기와, 상기 개질기에 수소함유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와, 상기 스택에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공급부에는 수소함유연료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수소함유연료를 상기 개질기에 공급하는 펌프가 포함된다.
상기 펌프의 작동에 의하여 저장탱크로부터 수소함유연료가 개질기에 공급되고, 상기 개질기에서는 공급되는 수소함유연료를 개질하여 수소가스를 생성한다. 이러한 수소가스는 스택으로 공급된 후에, 스택 내부에서 공기중의 산소와 화학반응하며 그 결과 전기가 생성된다. 생성되는 전기는 집전체를 통해서 외부 회로에 공급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에 있어서, 수소함유연료를 개질기에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펌프가 작동되어야 하며, 그 결과 펌프 작동에 의한 노이즈 및 진동 발생 그리고 소요전력이 큰 문제점으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소함유연료를 저장탱크에서 개질기에 공급하는 방식을 연료펌프의 구동방식 대신에 분사수단이 내장되어 있는 분사노즐 조립체의 분사방식으로 채택함으로써 연료펌프의 구동에 의한 노이즈 및 진동 발생을 방지하면서 소요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전지 시스템은 전기를 생성시키는 하나 이상의 단위전지가 내장되어 있는 스택과, 수소함유연료를 개질하여 발생되는 수소가스를 상기 스택에 공급하는 개질기와, 상기 개질기에 공급하고자 하는 수소함유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연료 저장부와, 상기 스택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료 저장부로부터 수소함유연료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개질기의 일측에 제공된 유입부의 전방에는 분사수단이 내장되어 있는 분사노즐 조립체가 분리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사노즐 조립체는 상기 연료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소함유연료가 저장되는 연료저장실을 한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압전소자이다.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이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 조립체는 상기 연료 저장부와 상기 스택의 일측에 제공된 유입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판이다.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리성을 위하여 정의된 것이므로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은 에탄올, 메탄올 또는 천연가스와 같은 탄화수소계열의 연료를 개질하여 생성되는 수소가스를 스택에 공급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에 적용된다. 이러한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소가스와 산소의 화학반응에 의해서 전기를 생성하는 단위전지를 구비한 스택(10)과, 수소함유연료를 개질하여 생성되는 수소가스를 스택(10)에 공급하는 개질기(50)와, 개질기(50)에 공급하고자 하는 수소함유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연료 저장부(20)와, 스택(10)에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부(30)를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택(10)에는 고분자막(14a) 및 고분자막(14a)의 양측에 제공된 전극(14b, 14c)으로 이루어진 전극막 조립체(14)(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와, 전극막 조립체(14)의 양측에 각각 대면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수소가 스와 산소를 공급하는 분리판으로 구성된 단위전지가 복수개 제공된다. 상기 분리판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인접하는 전극막 조립체(14) 사이에 개재되어 일면에는 수소가스를 공급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는 산소를 공급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극막 조립체(14)에 있어서, 전극은 카본종이와 같은 다공성 지지체 위에 촉매물질을 도포시킴으로써 제조되며, 개질기(50)로부터 공급되는 수소가스를 산화시켜 수소이온(H+)과 전자(e-)를 발생시키는 애노드 전극(14b)과, 산소환원반응을 통해서 물을 생성시키는 캐소드 전극(14c)으로 구분된다. 즉, 애노드 전극(14b)은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일면에 대면한 상태로 제공되어 상기 일면을 통해 공급되는 수소가스를 산화반응에 의해 수소이온과 전자로 변환시키는 촉매층과, 전자와 수소이온을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기체 확산층(GDL; gas diffustion layer)으로 구성된다. 유사하게, 캐소드 전극(14c)은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타면에 대면한 상태로 제공되어 상기 타면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 중의 산소를 산소이온과 전자로 변환시키는 촉매층과, 생성된 산소이온과 전자를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기체 확산층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분자막(14a)은 애노드 전극(14b)의 촉매층에서 발생된 수소이온을 캐소드 전극(14c)의 촉매층에 전달하는 이온교환의 기능을 갖는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막으로서 약 50~200㎛ 정도의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고분자막(14a)으로서는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셀포네이트 수지(Nafion)로 제조된 과불화불소산 수지막, 다 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박막 지지체에 과불화설폰산(perfluorinated sulfonic acid) 등의 수지용액이 코팅되어 있는 막, 다공성의 비전도성 고분자 지지체에 양이온 교환수지 및 무기 실리케이트가 피복되어 있는 막 등이 사용된다.
애노드 전극(14b)과 캐소드 전극(14c) 각각의 일측면에는 수소가스와 산소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바이폴라 플레이트(16)가 대면한 상태로 제공된다. 애노드 전극(14b)에 대면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일면에는 수소가스가 유입되고 유동하는 수소가스 유입부와 수소가스 유로채널이 형성되는 반면에 캐소드 전극(14c)에 대면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타면에는 공기중의 산소가 유입되고 유동하는 산소유입부와 산소유로채널이 형성된다.
한편, 스택(10)의 최외측에는 엔드 플레이트(12a, 12b)가 제공된다. 애노드 전극(14b)과 캐소드 전극(14c) 각각에 대면하는 엔드 플레이트(12a, 12b) 각각의 접촉면에는 수소가스와 산소가 각각 유동할 수 있는 수소가스 유로채널과 산소유로채널이 각각 형성된다. 애노드 전극(14b)에 대면하는 제1엔드 플레이트(12a)의 외측면에는 수소가스가 유입되는 제1유입부(10a)와, 스택(10) 내부의 단위전지에서의 화학반응결과 생성되는 D.C 전기를 외부로 급전하기 위한 출력단자(10c)가 제공된다. 캐소드 전극(14c)에 대면하는 제2엔드 플레이트(12b)의 외측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부(10b)와, 상기 단위전지에서의 화학반응결과 생성되는 이산화탄소(CO2) 및 물(H2O)을 각각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0d)가 제공된다.
이때, 스택(10) 내부에 있어서, 하나의 단위전지를 구성하는 바이폴라 플레 이트의 일면에 형성된 수소가스 유입부는 다른 단위전지를 구성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된 수소가스 유입부와 수소가스의 소통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유사하게, 하나의 단위전지를 구성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타면에 형성된 산소유입부는 다른 단위전지를 구성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타면에 형성된 산소유입부와 산소의 소통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엔드 플레이트(12a, 12b)에 각각 형성된 제1유입부(10a)와 제2유입부(10b)는 인접하는 단위전지를 구성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된 수소가스 유입부와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타면에 형성된 산소유입부와 수소가스 및 산소의 소통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된다.
미설명 도면번호 20은 에탄올, 메탄올, 천연가스와 같은 탄화수소계열의 수소함유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연료 저장부이고, 도면번호 30은 공기를 스택(10)에 강제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공기 공급부이다.
스택(10)의 전방에 설치된 개질기(50)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천연가스와 같은 탄화수소 계열의 수소함유연료를 개질반응에 의해 수소가스를 발생시키고 또한 부산물로서 생성되는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통상적인 구조를 가진다. 즉, 개질기(50)는 수소함유연료를 개질하는 개질부와, 상기 개질부에서 발생되는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일산화탄소 제거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개질기(50)의 개질부는 수증기 개질, 부분산화, 자열 반응 등의 촉매반응을 통해 수소함유연료를 수소가스로 전환시키는 부분으로서, 수소함유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수소함유연료의 개질결과 생성되는 수소가스를 스택(10)으로 유출시키는 유출구를 갖고,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는 수소함유연료가 유동하면서 기화하 고 개질되는 유로(50a)가 형성된다. 상기 일산화탄소 제거부는 유로(50a)에서 생성되는 수소가스로부터 수성가스 전환방식과 선택적 산화방식과 같은 촉매반응 또는 분리막을 이용한 수소의 정제 등과 같은 방식에 의하여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부분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는 개질기(50) 유입구의 전방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연료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수소함유연료를 분사방식으로 공급하기 위한 분사노즐 조립체(40)를 더 포함하고, 분사노즐 조립체(40)의 내부에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분사수단(42, 44 또는 46)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분사노즐 조립체(40)는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저장부(20)에 연료소통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료유입관(40b)이 일측에 제공되어 있고, 연료유입관(40b)을 통해서 연료저장부(20)로부터 공급되는 수소함유연료가 저장되는 연료저장실(A)을 한정하는 하우징(40a)을 갖는다. 하우징(40a)의 일면에는 압전소자(42; piezo actuator)가 분사수단으로서 제공되어 있고, 이의 대향면에는 개질기(50)의 유입구를 향해서 수소함유연료를 분사하는 분사구(40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압전소자(42)에 전기신호를 보내면, 압전소자(42)가 진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의 압력으로 연료저장실(A)에 저장되어 있는 수소함유연료는 분사구(40c)를 통해서 분사된 후 개질기(50)의 유입구를 경유해서 개질기(50)의 내부에 공급된다. 수소함유원료가 개질기(50)의 유로(50a)를 따라서 흐르는 동안 개질됨으로써 생성되는 수소가스는 상기 유출구를 통해서 스택(10)으로 유출된다. 그리고, 수소함유연료가 분사된 후에는 분사량에 해당하는 연료량이 모세현상과 관성법칙 등에 의해서 연료저장실(A)에 보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압전소자를 이용한 분사방식은 전류제어로 액체연료의 분사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사구(40c)를 통한 액체연료의 방울이 부풀어 오를때 압전소자(42)의 전류를 제어하는 시간을 조절하면 밀려나가는 액체연료의 방울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노즐 조립체(4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저장부(20)에 연료소통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료유입관(40b)이 일측에 제공되어 있고, 연료유입관(40b)을 통해서 연료저장부(20)로부터 공급되는 수소함유연료가 저장되는 연료저장실(A)을 한정하는 하우징(40a)을 갖는다. 하우징(40a)의 일면에는 히터(44)가 분사수단으로서 제공되어 있고 이의 대향면에는 개질기(50)의 유입구를 향해서 수소함유연료를 분사하는 분사구(40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로부터 히터(44)에 전기신호를 가해지면, 히터(44)가 급속히 가열되어 연료저장실(A) 내의 수소함유연료에 기포(44a)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기포(44a)의 힘으로 수소함유연료는 분사구(40c)를 통해서 밀려 나와 분사된다. 이와 같이 분사되는 액체연료는 개질기(50)의 유입구를 경유해서 개질기 내부에 공급된다. 수소함유원료가 개질기(50)의 유로(50a)를 따라서 흐르는 동안 개질됨으로써 생성되는 수소가스는 상기 유출구를 통해서 스택(10)으로 유출된다. 그리고, 수소함유연료가 분사된 후에 기포(44a)가 수축되면 분사량에 해당하는 연료량이 연료저장부(20)로부터 연료유입관(40b)을 통해서 연료저장실(A)에 보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노즐 조립체(40)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저장실이 별도 제공되어 있지 않고 연료저장부(20)와 개질기(50)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연결관 내부에 설치되어 분사수단으로서 작용하는 가열판(46)을 갖는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로부터 가열판(46)에 전기신호를 가해져서 가열판(46)이 가열되면 수소함유연료가 팽창하면서 공기방울(46a, 46b)이 생긴다. 그리고, 생성되는 공기방울(46a, 46b)의 부피만큼 수소함유연료는 개질기(50)의 유입구 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수소함유원료가 개질기(50)의 유로(50a)를 따라서 흐르는 동안 개질됨으로써 생성되는 수소가스는 상기 유출구를 통해서 스택(10)으로 유출된다. 수소함유연료가 분사된 후에 전류공급을 차단하여 가열판(46)이 냉각되면 공기방울이 줄어드는 공간만큼 액체연료가 연결관 내부에 보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소가스와 산소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전지가 설치되어 있는 스택(10)에 수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개질기(50)의 유입구 전방에 본 발명에 따른 분사노즐 조립체(40)가 설치되어 있고, 분사노즐 조립체(40)는 수소함유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연료 저장부(20)에 연료소통이 가능하도록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분사노즐 조립체(40)의 내부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압전소자(42), 히터(44) 또는 가열판(46)과 같은 분사수단이 설치된다.
그리고, 스택(10)의 제2유입부(10b)에는 공기소통이 가능하게 공기 공급부(30)에 연결된다.
따라서, 분사수단(42, 44 또는 46)의 작동에 의해서 연료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수소함유연료는 분사노즐 조립체(40)의 분사구(40c)를 통해서 개질기(50)의 유입구로 유입된다. 수소함유연료는 개질기(50)의 유로(50a)를 유동하면서 기화 및 개질되어 수소가스로 전환된다. 이러한 수소가스는 개질기(50)의 유출구를 통해서 스택(10)의 제1유입구(10a)로 유입된다.
제1유입부(10a)로 유입된 수소가스는 제1엔드 플레이트(12a)에 형성된 수소가스 유로채널뿐만 아니라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일면에 제공된 수소가스 유입부(미도시)와 수소가스 유로채널(미도시)을 통해서 전극막 조립체(14)의 애노드 전극(14b)에 공급된다. 이 후에, 애노드 전극(14b)의 촉매층에서 수소가스는 하기 식 1의 산화반응을 통하여 수소이온(프로톤)과 전자로 변환된다.
H2(g) → 2H+ + 2e- ‥‥‥‥ (1)
한편, 펌프(30)의 작동에 의해서 스택(10)의 제2유입부(10b) 측으로 유입된 공기중의 산소는 제2엔드 플레이트(12b)에 형성된 산소유로채널뿐만 아니라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타면에 제공된 산소유입부(미도시)와 산소유로채널(미도시)을 통해서 전극막 조립체(14)의 캐소드 전극(14c)에 공급된다. 이 후에, 캐소드 전극 (14c)의 촉매층에서 산소는 산소이온과 전자로 변환된다.
애노드 전극(14b)에서 생성된 수소이온은 고분자막(14a)을 통해서 캐소드 전극(14c)으로 이동한 후에, 캐소드 전극(14c)에서 생성된 산소이온 및 전자와 하기 식 2의 산소환원반응을 통하여 물을 생성하게 된다.
2H+ + (1/2)O2(g) + 2e- → H2O(g)
이와 같이 생성되는 물은 스택(10) 내부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 등과 함께 제2엔드 플레이트(12b)에 제공된 배출부(10d)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애노드 전극(14b)에서 생성된 전자는 집전체(미도시)를 통하여 집전된 후에 제1엔드 플레이트(12a)에 제공된 출력단자(10c)를 통해서 외부 회로로 출력된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분사수단이 내장되어 있는 분사노즐 조립체를 사용해서 연료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수소함유연료를 개질기에 공급함으로써, 연료펌프의 구동에 의한 노이즈 및 진동 발생을 방지하면서 소요전 력을 절감할 수 있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수소가스와 산소가스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전기를 생성시키는 단위전지가 복수개 내장되어 있는 스택과, 수소함유연료를 개질하여 발생되는 수소가스를 상기 스택에 공급하는 개질기와, 상기 개질기에 공급하고자 하는 수소함유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연료 저장부와, 상기 스택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료 저장부로부터 수소함유연료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개질기의 일측에 제공된 유입부의 전방에는 분사수단이 내장되어 있는 분사노즐 조립체가 분리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 조립체는 상기 연료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소함유연료가 저장되는 연료저장실을 한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압전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 조립체는 상기 연료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소함유연료가 저장되는 연료저장실을 한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 조립체는 상기 연료 저장부와 상기 스택의 일측에 제공된 유입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함유연료는 에탄올, 메탄올 및 천연가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20050017405A 2005-02-03 2005-03-02 연료전지 시스템 KR20060096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405A KR20060096701A (ko) 2005-03-02 2005-03-02 연료전지 시스템
JP2005282792A JP2006244986A (ja) 2005-03-02 2005-09-28 燃料電池システム
US11/366,696 US20060172174A1 (en) 2005-02-03 2006-03-01 Fuel cel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405A KR20060096701A (ko) 2005-03-02 2005-03-02 연료전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701A true KR20060096701A (ko) 2006-09-13

Family

ID=3675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405A KR20060096701A (ko) 2005-02-03 2005-03-02 연료전지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172174A1 (ko)
JP (1) JP2006244986A (ko)
KR (1) KR200600967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747B1 (ko) * 2005-03-04 2007-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분사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시스템
JP2008218402A (ja) * 2007-02-06 2008-09-18 Sanyo Electric Co Ltd 燃料電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9025A (en) * 1995-08-23 1999-08-17 The University Of Chicago Methanol partial oxidation reformer
US7993598B2 (en) * 2001-10-31 2011-08-09 Rivin Evgeny I Catalytic reactors
JP4423847B2 (ja) * 2002-10-25 2010-03-0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小型化学反応装置
KR100570754B1 (ko) * 2004-02-26 2006-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개질기 및 이를 채용한 연료 전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44986A (ja) 2006-09-14
US20060172174A1 (en)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2668B2 (en) Fuel cell device
KR101126206B1 (ko) 연료전지 시스템
KR100528340B1 (ko) 액체연료 혼합장치 및 이를 적용한 직접액체연료 전지
KR100748304B1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바이폴라플레이트와 단위전지
KR100646953B1 (ko) 평판형 연료전지 시스템
EP2216845B1 (en) Fuel cell system
KR100776504B1 (ko) 연료전지 시스템
JP2007242621A (ja) 燃料電池及びその燃料供給モジュール
KR100627373B1 (ko) 연료 전지용 스택
KR20060096701A (ko) 연료전지 시스템
KR20060102580A (ko) 연료전지 시스템
KR100673747B1 (ko) 분사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시스템
KR100861786B1 (ko)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연료전지 시스템
KR20070036501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스택
KR100560495B1 (ko)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개질기 및 이를 채용한 연료 전지시스템
KR100570753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707599B1 (ko) 연료혼합탱크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장치
KR100637506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KR100646951B1 (ko) 평판형 연료전지 시스템
KR20050095156A (ko) 연료 전지 시스템, 이에 사용되는 스택 및 바이폴라플레이트
KR20070036500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스택
KR20060020018A (ko) 연료 전지 시스템, 이에 사용되는 스택 및 세퍼레이터
KR100673755B1 (ko) 무펌프 구동 연료전지 시스템
KR100700183B1 (ko) 연료전지의 연료회수장치
KR20080040210A (ko) 연료 전지용 연료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