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855A - A steam cleaner - Google Patents

A stea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855A
KR20060095855A KR1020060076468A KR20060076468A KR20060095855A KR 20060095855 A KR20060095855 A KR 20060095855A KR 1020060076468 A KR1020060076468 A KR 1020060076468A KR 20060076468 A KR20060076468 A KR 20060076468A KR 20060095855 A KR20060095855 A KR 20060095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op
steam
main body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4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어수곤
Original Assignee
어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수곤 filed Critical 어수곤
Priority to KR1020060076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5855A/en
Publication of KR2006009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8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34Machines for treating carpets in position by liquid, foam, or vapour, e.g.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2Mops with liquid-feeding devices
    • A47L13/225Steam 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봉(11)이 설치되는 본체(10); 본체(1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분사홀(21)이 형성된 편편한 바닥(20a)을 가지는 압압부(20); 본체(10)의 내부 후방측에 설치되어 회전가능하며, 표면에 다수개의 제1걸림부(31)가 형성된 롤러(30); 제1걸림부(31)에 걸어지는 제2걸림부(41)가 형성된 것으로서 압압부(20)와 롤러(30)를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감싸며, 권회되는 걸레(70)를 궤동운동시키기 위한 궤도벨트(40); 본체(10)에 설치되어 압압부 바닥(20a)의 분사홀(21)로 분사되는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cleaner,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support rod 11; It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pressing portion 20 having a flat bottom (20a)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21; A roller 30 installed at an inn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rotatabl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catching portions 31 formed on a surface thereof; The second locking portion 41 is formed to be hooked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31 is formed so as to wrap the pressing unit 20 and the roller 30 to form an endless track, the track belt for swinging the mop 70 wound 40; And a steam generator 6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to generate steam injected into the injection hole 21 of the pressing part bottom 20a.

Description

스팀청소기{A steam cleaner}A stea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a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스팀청소기의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cleaner of Figure 1,

도 3은 도 2의 압압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pressing unit of FIG.

도 4는 도 2의 롤러고정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roller fixing part of FIG.

도 5는 도 2의 롤러의 회전을 구속시키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for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roller of FIG.

도 6은 도 1의 스팀청소기에 걸레가 권회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6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mop is wound in the steam cleaner of FIG.

도 7은 도 1의 스팀청소기의 측면도,7 is a side view of the steam cleaner of FIG.

도 8은 도 6의 걸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8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p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 ... 본체 11 ... 지지봉10 ... Body 11 ... Support Rod

12 ... 덮개 15 ... 롤러구멍12 ... Cover 15 ... Roller Hole

20 ... 압압부 20a ... 바닥20 ... pressing part 20a ... bottom

21 ... 분사홀 22 ... 굴곡부21 ... injection hole 22 ... bend

23 ... 바닥돌기 24 ... 가이드홈23 ... bottom protrusion 24 ... guide groove

30 ... 롤러 31 ... 제1걸림부30 ... roller 31 ... first locking part

32 ... 롤러회전축 32a ... 결합홈32 ... roller rotating shaft 32a ... engaging groove

33 ... 제1베어링 34 ... 제2베어링33 ... 1st Bearing 34 ... 2nd Bearing

35 ... 놉 35a ... 결합돌기35 ... knob 35a ... engaging projection

35b ... 스프라켓돌기 40 ... 궤도벨트35b ... Sprocket turning 40 ... Track belt

41 ... 제2걸림부 42 ... 마찰발생부41 ... second catching part 42 ... friction generating part

50 ... 바퀴 60 ... 스팀발생부50 ... wheel 60 ... steam generator

61 ... 물통 62 ... 스팀변환기61 ... bucket 62 ... steam converter

63 ... 뚜껑 64 ... 물공급유로63 ... lid 64 ... water supply

70 ... 걸레 70a, 70b ... 벨크로 70 ... mop 70a, 70b ... velcro

130 ... 롤러고정부 131 ... 원통형브라켓130 ... roller fixing 131 ... cylindrical bracket

132 ... 브라켓홈 133 ... 고정링132 ... Bracket groove 133 ... Retaining ring

133b ... 스프라켓홈 133c ... 경사홈133 b ... sprocket groove 133 c ... inclined groove

134 ... 고정링돌기 135 ... 스프링134 ... retaining ring projection 135 ... spring

136 ... 버튼 136c ... 경사홈돌부136 ... button 136 c ... inclined groove

137 ... 스토퍼기어 137a ... 스토퍼홈137 ... Stopper Gear 137a ... Stopper Groove

138 ... 스토퍼 138a ... 볼138 ... stopper 138a ... ball

138b ... 스토퍼하우징 138c ... 탄성부재138b ... stopper housing 138c ... elastic member

170 ... 걸레 170a, 170b ... 벨크로170 ... mop 170a, 170b ... velcro

170c ... 구획면 171, 171' ... 바닥접촉면170c ... compartments 171, 171 '... bottom contact

본 발명은 아파트나 일반 주택, 사무실의 바닥을 효과적으로 스팀청소할 수 있는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cleaner that can effectively steam the floor of an apartment, a general house, an office.

우리나라 주택문화는 외국과는 달리 신발을 벗고서 생활하며 바닥에서 취침하는 문화이기 때문에 바닥을 청결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바닥을 청소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주택에서는 진공청소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진공을 이용하여 바닥에 쌓인 먼지나 작은 이물질등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진공청소기는 바닥에서 쉽게 분리되는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는 있으나, 바닥에 달라붙은 먼지나 기름때, 음식물 찌꺼기등은 제거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진공청소기에 의하여 제거할 수 없었던 먼지나 기름때, 음식물 찌꺼기등은 물걸레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밖에 없었다. Unlike other countries, Korea's housing culture is to live off its shoes and sleep on the floor, so the floor must be kept clean. Typically, most homes use vacuum cleaners to clean the floor. Such a vacuum cleaner may use a vacuum to remove dust or small foreign matters accumulated on the floor. However, the vacuum cleaner can remove dust or foreign matter that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bottom, but dust or oil stuck to the floor, food waste, etc. cannot be removed. As such, dust or oil, food waste, etc., which could not be removed by a vacuum cleaner, had to be removed using a mop.

그런데, 물걸레를 이용한 바닥청소를 할 때 물걸레에 강한 힘을 주지 않으면 바닥에 늘어붙은 묵은때를 제거할 수 없었다. 또한, 엎드린 상태에서 물걸레를 손으로 잡고 바닥을 닦아야 하였기 때문에, 물걸레 청소를 하다보면 허리 및 팔에 통증이 오곤 하였다. 즉, 물걸레 청소는 고된 노동을 필요로 하였고, 따라서 노약자나 임산부, 허리가 아픈 사람은 물걸레 청소를 할 수 없었다. 특히, 대형 아파트가 보급되고 있는 요즈음, 물걸레 청소에 대한 어려움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By the way, when cleaning the floor using a mop did not give a strong force to the mop could not remove the old time stuck on the floor. In addition, in the prone state to hold the mop by hand to clean the floor, so cleaning the mop used to pain in the lower back and arms. In other words, mop cleaning required hard labor, and therefore, the elderly, pregnant women, and those with back pain could not clean the mop. In particular, these days, the spread of large apartments, the difficulty of cleaning the mop has been highlighted.

이러한 문제점에 의거하여, 여러 업체에서는 기다란 손잡이봉과, 그 손잡이 봉의 하단에 걸레를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로 구성된 물걸레청소기를 출시하여 판매하고 있다. Based on these problems, many companies have released and sold a mop cleaner composed of an elongated handle bar and a detachable part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mop at the bottom of the handle bar.

그러나, 이러한 물걸레청소기의 경우, 물걸레가 더러워질 경우나 물걸레에 흡습된 물기가 없어질 경우 새로운 물걸레로 자주 교환해주어야 하였기 때문에 불편함이 야기되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mop cleaner, when the mop is dirty, or when the moisture absorbed in the mop disappeared, it was inconvenient because it had to be frequently replaced with a new mop.

이러한 문제점에 의거하여, 여러업체에서는 기다란 손잡이봉과, 손잡이봉의 하단에 설치되어 스팀이 분사되는 본체로 구성되고, 본체에 걸레부를 부착하여 스팀청소를 진행하는 스팀청소기를 출시하고 있다. 이러한 스팀청소기의 경우, 본체로부터 분사되는 고온의 스팀에 의하여 스팀 청소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때 걸레를 본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는, 주머니 모양의 걸레를 이용하여 본체의 바닥을 감싸거나, 벨크로 방식을 이용하여 본체의 바닥에 걸레를 부착하는 방식등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Based on these problems, many companies have been equipped with a long handle bar, the body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handle bar is sprayed steam, and is attached to the body mop to release the steam cleaner to proceed with steam cleaning. In the case of such a steam cleaner, steam cleaning is performed by high temperature steam injected from the main body. At this time, as a method of attaching the mop to the main body, a method of wrapping the bottom of the main body using a bag-shaped mop, or a method of attaching the mop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using the Velcro method is known.

그런데, 스팀청소기의 경우에도, 청소도중에 새로운 걸레로 자주 교체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주머니 형상의 걸레를 사용할 경우에, 본체에 새 걸레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고온의 스팀에 의하여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었고, 벨크로 방식의 걸레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걸레가 본체로부터 분리되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e steam cleaner,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be frequently replaced with a new mop during cleaning. In addition, when using a bag-type mop, there was a possibility of being burned by hot steam in the process of replacing a new mop with the main body, and in the case of the Velcro type mop, the mop wa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ver time. There was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형평형의 바닥을 걸레를 교체하지 않고 한번에 스팀청소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걸레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걸레 교체도중에 화상을 입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고, 또한 걸레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steam clean at the same time without replacing the floor of a large flat bottom, further eliminate the need to replace the mop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burns during mop replacement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am cleaner which can prevent the mop from being separa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청소기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ea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지지봉(11)이 설치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분사홀(21)이 형성된 편편한 바닥(20a)을 가지는 압압부(20); 상기 본체(10)의 내부 후방측에 설치되어 회전가능하며, 표면에 다수개의 제1걸림부(31)가 형성된 롤러(30); 상기 제1걸림부(31)에 걸어지는 제2걸림부(41)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압압부(20)와 롤러(30)를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감싸며, 권회되는 걸레(70)를 궤도운동시키기 위한 궤도벨트(4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압압부 바닥(20a)의 분사홀(21)로 분사되는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스팀발생부(60)는, 상기 본체(10) 또는 압압부(20)에 설치되는 물통(61)과, 압압부(2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물통(6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고온고압의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스팀변환기(62)와, 상기 물통(61)과 스팀변환기(62)를 연결하는 물공급유로(64)를 포함한다.A main body 10 on which the supporting rods 11 are installed; A pressing part 20 installed at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having a flat bottom 20a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21 formed therein; A roller 30 installed at an inn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rotatabl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catching portions 31 formed on a surface thereof; As the second locking portion 41 is formed to be hooked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31, the pressing unit 20 and the roller 30 are wrapped to form an endless track, and the orbital movement of the mop 70 is wound. Track belt 40 for; And a steam generator (6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to generate steam injected into the injection hole (21) of the pressing portion (20a). At this time, the steam generating unit 60, the water tank 61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or the pressing unit 20 and the pressing unit 20,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61 to the high temperature It includes a steam converter 62 for converting the high pressure steam, and a water supply passage 64 for connecting the water tank 61 and the steam converter 6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20)의 전방에는, 상기 궤도벨트(40)가 용이하게 굴곡되면서 궤도 운동할 수 있도록 라운드된 굴곡부(22)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22)는 상기 압압부(20)의 전방에 별도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front of the pressing unit 20, the bent portion 22 is rounded so that the track belt 40 can be easily bent while orbit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t portion 22 is a roller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in front of the pressing portion 2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20)의 바닥(20a)에는, 상기 걸레(70)의 접촉 면과 마찰을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바닥돌기(23)가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ottom protrusions 23 are formed on the bottom 20a of the pressing part 20 to cause friction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p 7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20)의 표면에는 상기 궤도벨트(4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24)이 길게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20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24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track belt 40 is lo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롤러(30)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롤러구멍(15)과 롤러회전축(32)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bearing is provided between the roller hole 15 and the roller rotating shaft 32 so that the roller 30 can be easily rota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롤러(30)는 1 회전시킬 때, 상기 걸레(70)의 깨끗한 부분이 상기 압압부(20)의 바닥(20a)에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롤러(30)의 직경이 정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oller 30 is rotated once, the diameter of the roller 30 is determined so that the clean portion of the mop 70 can be replaced at the bottom 20a of the pressing unit 20. Al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롤러(30) 사이에는, 상기 롤러(30)가 1 회전한 후 회전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롤러고정부(13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롤러고정부(130)는, 상기 롤러구멍(15)의 가장자리 본체에서 측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베어링(34)이 끼어지는 원통형브라켓(131)과, 상기 원통형브라켓(131)의 상단에 형성된 브라켓홈(132)과, 상기 원통형브라켓(131)에서 돌출된 제2베어링(34)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브라켓홈(132)에 끼어지는 고정링돌기(134)가 형성된 고정링(133)과, 상기 고정링(133)과 놉(3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링(133)을 원통형브라켓(131)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링돌기(134)가 상기 브라켓홈(132)에 끼어지도록 하는 스프링(135)과, 상기 놉(35)의 측부로 돌출되며 손가락으로 누를 경우 상기 고정링돌기(134)를 브라켓홈(132)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버튼(136)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roller fixing part 130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roller 30 so that the rotational position is fixed after one rotation of the roller 30. At this time, the roller fixing part 13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dge body of the roller hole 15 to the side and the cylindrical bracket 131, the second bearing 34 is fitted, and the cylindrical bracket 131 Fixing ring formed with a bracket groove 132 formed at the top of the fixing ring projection 134 is fitted to the bracket groove 132 as being fitted to the second bearing 34 protruding from the cylindrical bracket 131 ( 133 and the fixing ring 133 is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ring 133 and the knob 35 to elastically bias the fixing ring 133 in the cylindrical bracket 131 direction. It includes a spring 135 to be pinched in, and a button 136 protruding toward the side of the knob 35 and to release the fixing ring protrusion 134 from the bracket groove 132 when pressed with a fing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롤러(30)에는 그 회전을 구속하기 위하여, 상기 롤 러(30)의 축에, 그 외주에 다수의 스토퍼홈(137a)들이 형성된 스토퍼기어(137)가 설치되고, 본체(10)에 그 스토퍼홈(137a)에 삽입 또는 이탈되면서 스토퍼기어(137)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138)가 설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30 is provided with a stopper gear 137 having a plurality of stopper grooves 137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30 to restrain its rotation. A stopper 138 is installed in the stopper groove 137a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stopper gear 137 while being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stopper groove 137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궤도벨트(40)의 표면에는 상기 압압부(20)와 롤러(30)를 감싸는 걸레(70)를 궤도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걸레(70)의 접촉면과 마찰을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마찰발생부(42)로서, 뾰족하게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orbit the mop 70 surrounding the pressing unit 20 and the roller 30 on the surface of the track belt 40, to generate friction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p 70 As the friction generating portion 42,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sharpl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레(170)는, 양단에 상호 탈부착되는 벨크로(170a)(170b)가 형성된 베이스면(170)과, 상기 베이스면(170)에 상기 압압부 바닥(20a)과 동일 면적의 바닥접촉면(17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바닥접촉면(171)와 다른 바닥접촉면(171') 사이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는 구획면(170c)이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p 170 has the same area as the base surface 170 having the Velcro 170a and 170b detachably attached to both ends, and the bottom surface 20a of the pressing section 20a on the base surface 170. The bottom contact surface 171 has a structure formed, and the partition surface 170c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bottom contact surface 171 and the other bottom contact surface 171 'is form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청소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tea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팀청소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압압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롤러고정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롤러의 회전을 구속시키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스팀청소기에 걸레가 권회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스팀청소기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걸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a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cleaner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tracting part of the pressing unit of FIG. 2, and FIG. 4 is a roller of FIG. 2.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government, 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for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roller of Figure 2,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mop is wound in the steam cleaner of Figure 1 7 is a side view of the steam cleaner of FIG. 1,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p of FIG. 6.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팀청소기는, 지지봉(11)이 설치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분사홀(21)이 형성된 편편한 바닥(20a)을 가지는 압압부(20)와; 본체(10)의 내부 후방측에 설치되어 회전가능하며, 표면에 다수개의 제1걸림부(31)가 형성된 롤러(30)와; 제1걸림부(31)에 걸어지는 제2걸림부(41)가 형성된 것으로서, 압압부(20)와 롤러(30)를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감싸며, 권회되는 걸레(70)를 궤도운동시키기 위한 궤도벨트(40)와; 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되어 그 본체(10)의 전후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바퀴(50)와; 본체(10)에 설치되어 압압부 바닥(20a)의 분사홀(21)로 분사되는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부(60);를 포함한다. 이때 본체(10)에는, 궤도벨트(40)와, 압압부(20) 및 롤러(30)를 감싸도록 걸레(70)가 설치된다.As shown, the stea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on which the support rod 11 is installed; It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pressing portion 20 having a flat bottom (20a)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21; A roller 30 installed at an inn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rotatabl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catching portions 31 formed on a surface thereof; As the second locking portion 41 is formed to be hooked on the first locking portion 31, the pressing portion 20 and the roller 30 are wrapped to form an endless track, and the track for orbiting the mop 70 wound A belt 40; A wheel 5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to facilitat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And a steam generator 6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to generate steam injected into the injection hole 21 of the pressing part bottom 20a. At this time,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mop 70 so as to surround the track belt 40, the pressing unit 20 and the roller 30.

지지봉(11)의 상부에는 손잡이(11a)가 설치되고, 지지봉(11)은 연장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봉(11)의 구조는 공지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11a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rod 11, and the support rod 11 is extendable. Since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rod 11 is well know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체(10)의 상부에는 덮개(12)가 설치된다. 덮개(12)는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덮개(12)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덮개(12)는 본체(10)의 후방에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ver 12 is installed above the main body 10. The cover 12 blocks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 from the outsid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 12 is described as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but the cover 12 is preferably hing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스팀발생부(60)는, 본체(10) 또는 압압부(20)에 설치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되는 물통(61)과, 압압부(20) 내부에 설치되어 물통(6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고온고압의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스팀변환기(62)와, 물 통(61)에서 결합 또는 분리되는 뚜껑(63)을 포함하고, 스팀변환기(62)에서 발생된 스팀은 압압부 바닥(20a)의 다수개의 분사홀(21)을 통하여 바닥으로 분사된다. 이때, 물통(61)이 본체(10)의 후방에 위치될 경우, 물통(61)과 스팀변환기(62)는 물공급유로(64)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물공급유로로 호스를 사용하며, 이러한 물공급유로(64)는 본체(10)의 내벽에 형성된 유로홈(14)에 끼어져 위치고정된다. 여기서 스팀변환기(62)는 그 자체에 히터를 설치하는 타입일 수도 있고, 공급되는 물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증기로 변환한 후 그 증기를 가열시키는 타입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팀변환기(62)의 구성은 공지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team generating unit 60 is installed in the body 10 or the pressing unit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tank 61 is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and the pressing unit 20 is provided inside Steam converter 62 for convert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bucket 61 to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steam, and the lid 63 is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bucket 61,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converter 62 Is sprayed to the floor through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21 of the pressing portion bottom (20a). At this time, when the water tank 61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the water tank 61 and the steam converter 62 is connected by a water supply flow path 64, in this embodiment, the hose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flow path. In this case, the water supply passage 64 is fixed to the channel groove 14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0 and fixed. Here, the steam converter 62 may be of a type that installs a heater on its own,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by converting the supplied water into steam using ultrasonic waves and then heating the steam. Since the configuration of 62) is well know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압압부(20)의 전방에는, 궤도벨트(40) 및 걸레(70)가 용이하게 굴곡되면서 궤도 운동할 수 있도록 라운드된 굴곡부(22)가 마련되어 있다. 굴곡부(22)는 압압부(20)의 전방을 라운드되게 형성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압압부(20)의 전방에 별도의 회전 가능한 롤러를 설치함으로써 구현하였다. 이러한 굴곡부(22)를 형성함으로써 궤도벨트(40) 및 걸레(70)는 더욱 용이하게 궤도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굴곡부는 압압부(20)의 상부측에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front of the pressing unit 20, the bent portion 22 is rounded so that the track belt 40 and the mop 70 can be easily bent while orbiting. The curved part 22 may be implemented by rounding the front of the pressing part 20,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installing a separate rotatable roller in front of the pressing part 20. By forming the bent portion 22, the track belt 40 and the mop 70 can be more easily orbited. And the curved portion can also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20, of course.

압압부 바닥(20a)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레(70)의 접촉면과 마찰을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바닥돌기(23)가 형성된다. 바닥돌기(23)는 청소할 때 걸레(70)의 표면을 파고 들어감으로써 청소도중에 걸레(7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In the pressing part bottom 20a,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bottom protrusions 23 are formed to cause friction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p 70. As shown in FIG. The bottom protrusion 23 prevents the mop 70 from being pushed during cleaning by digging into the surface of the mop 70 when cleaning.

또한 압압부(20)의 표면, 예를 들면 바닥(20a)과 상부면에는 궤도벨트(4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24)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궤도벨트(40)는 가이드홈(24)을 따라 움직임으로써 일정한 궤도를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24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track belt 4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essing unit 20, for example, the bottom 20a and the upper surface. The track belt 40 may maintain a constant track by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24.

롤러(30)는, 본체(10) 내부 후방의 롤러구멍(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압압부(20)에 권회된 궤도벨트(40)가 걸치어진다. 이러한 롤러(30)의 표면에 형성된 제1걸림부(31)는 제1요철(凹凸) 또는 돌기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 경우 궤도벨트(40)에 형성된 제2걸림부(41)는 제1요철(凹凸)에 치합되는 제2요철(凹凸) 또는 돌기가 끼어지는 돌기구멍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걸림부(31)는 돌기로 되어 있고, 제2걸림부(41)는 돌기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1,2걸림부(31)(41)에 의하여 롤러(30)가 회전될 때 궤도벨트(40)는 무한궤도 운동하게 된다. The roller 30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roller hole 15 inside the main body 10 inside, and the track belt 40 wound by the press part 20 is caught. The first locking portion 31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oller 30 has a first unevenness or protrusion shape, and in this case, the second locking portion 41 formed on the track belt 40 has a first unevenness. It becomes a projection hole into which the 2nd unevenness | corrugation or protrusion which fits in (iii) fit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atching portion 31 is a protrusion, and the second catching portion 41 is a protrusion hole. When the roller 30 is rotated by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31 and 41, the track belt 40 moves in an endless track.

롤러(30)의 양단에 형성된 롤러회전축(32)은 롤러구멍(15)을 관통하고, 롤러구멍(15)을 관통한 롤러회전축(32)에는 놉(35)이 고정된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는 다양한데, 예를 들면 롤러회전축(32)의 외주면과 놉(35)의 내측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롤러회전축(32)의 외주면과 놉(35)의 내측중 다른 하나에는 결합홈에 끼어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회전축(32)에 결합홈(32a)이 형성되고, 놉(35)의 내측에는 결합홈(32a)에 끼어지는 결합돌기(35a)가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홈(32a) 및 결합돌기(35a)가 형성됨으로써, 놉(35)을 회전시킬 때 롤러(30)가 헛돌지 않고 함께 회전되는 것이다. The roller rotation shaft 32 formed at both ends of the roller 30 passes through the roller hole 15, and the knob 35 is fixed to the roller rotation shaft 32 passing through the roller hole 15. There are a variety of structures that enable this, for example, any on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rotation shaft 32 and the inner side of the knob 35 is forme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rotation shaft 32 and the inner side of the knob 35 The other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fitted to the coupling gro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groove 32a is formed in the roller rotation shaft 32,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5a fitted to the coupling groove 32a is formed inside the knob 35. Since the coupling groove 32a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5a are formed, the roller 30 is rotated together without turning when the knob 35 is rotated.

이때 롤러(30)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구멍(15)과 롤러회전축(32)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된다. 베어링은 롤러 회전축(32)에 고정되는 제1베어링(33)과, 제1베어링(33)을 수납하며 롤러구멍(15)에 설치되는 제2베어링(34)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2베어링(33)(34)은 폴라아세탈로 되거나 테프론으로 된 환형의 플라스틱베어링을 사용하고 있으나,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this case, a bea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roller hole 15 and the roller rotation shaft 32 as shown in FIGS. 2 and 4 so that the roller 30 can be easily rotated. The bearing includes a first bearing 33 fixed to the roller rotation shaft 32, and a second bearing 34 accommodating the first bearing 33 and installed in the roller hole 15.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bearings 33 and 34 use an annular plastic bearing made of polyacetal or teflon, various kinds of bearings are possible.

롤러(30)를 1 회전시킬 때, 걸레(70)의 깨끗한 부분이 압압부(20)의 바닥면(20a)에서 교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롤러(30)의 직경이 정해지는데, 예를 들면 압압부(20)의 바닥면(20a)의 길이가 20cm 일 경우, 롤러(30)의 직경은 20cm 를 π(3.14) 로 나눈값이며, 대략 6.5cm 정도가 된다. When rotating the roller 30 once, the clean part of the mop 70 must be replaced at the bottom surface 20a of the pressing portion 20. To this end, the diameter of the roller 30 is determined. 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the bottom surface 20a of the pressing unit 20 is 20 cm, the diameter of the roller 30 is 20 cm divided by π (3.14). It is about 6.5cm.

본체(10)와 롤러, 엄밀하게는 롤러회전축(32) 사이에는, 롤러(30)가 1 회전한 후 회전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롤러고정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고정부(13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 roller fixing part 1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roller, specifically, the roller rotating shaft 32, so that the rotational position is fixed after the roller 30 is rotated once. The roller fixing part 13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예를 들면, 롤러고정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구멍(15)의 가장자리 본체에서 측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2베어링(34)이 끼어지는 원통형브라켓(131)과, 원통형브라켓(131)의 상단에 형성된 브라켓홈(132)과, 원통형브라켓(131)에서 돌출된 제2베어링(34)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브라켓홈(132)에 끼어지는 고정링돌기(134)가 형성된 고정링(133)과, 고정링(133)과 놉(35)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링(133)을 원통형브라켓(131)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킴으로써 고정링돌기(134)가 브라켓홈(132)에 끼어지도록 하는 스프링(135)과, 놉(35)의 측부로 돌출되며 손가락으로 누를 경우 고정링돌기(134)를 브라켓홈(132)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버튼(136)을 포함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4, the roller fixing part 130 is formed to protrude laterally from the edge body of the roller hole 15 and the cylindrical bracket 131, the second bearing 34 is fitted, The bracket groove 132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bracket 131, and the fixing ring projection 134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groove 132 as being fitted to the second bearing 34 protruding from the cylindrical bracket 131 is formed The fixing ring 133 is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ring 133 and the fixing ring 133 and the knob 35 to elastically bias the fixing ring 133 in the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racket 131. It includes a spring 135 to be pinched, and a button 136 that protrudes toward the side of the knob 35 and releases the fixing ring protrusion 134 from the bracket groove 132 when pressed by a finger.

여기서 고정링(133)은 놉(35)과 함께 회전되어야 하고, 더 나아가 놉(35)의 내측으로 이동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고정링(133)은 놉(35)의 내측에 스프라켓 결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놉(35)의 내주면과 고정링(133)의 외주면중 어느 하나에는 스프라켓홈이 형성되고, 놉(35)의 내주면과 고정링(133)의 외주면중 다른 하나에는 스프라켓홈에 끼어지는 스프라켓돌기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링(133)의 외주면에 스프라켓홈(133b)이 형성되고, 놉(35)의 내주면에는 스프라켓돌기(35b)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프라켓홈(133b) 및 스프라켓돌기(35b)에 의하여 고정링(133)은 놉(35)의 내주면에 스프라켓 결합되고, 이에 따라 고정링(133)은 놉(35)과 함께 회전될 뿐만 아니라, 놉(35)의 내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고정링(133)의 가장자리측 소정부에는 내측으로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홈(133c)이 형성되어 있고, 버튼(136)에는 경사홈(133c) 내에 위치되어 그 경사면과 대향되는 역경사면이 형성된 경사홈돌부(136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버튼(136)을 누를 때 경사홈돌부(136c)가 경사홈(133c)을 누르면서 고정링(133)을 놉(35)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고정링돌기(134)를 브라켓홈(132)으로부터 이탈된다. 그러나 버튼(136)을 누르지 않게 되면 스프링(135)은 고정링(133)을 원통형브라켓(131) 측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링돌기(134)는 브라켓홈(132)에 끼어지게 되면서 놉(35)은 회전될 수 없게 된다. Here, the fixing ring 133 should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knob 35, and further, be moved to the inside of the knob 35, and for this purpose, the fixing ring 133 must be sprocket-coupled to the inside of the knob 35. To this end, a sprocket groove is formed on any on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ob 35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ring 133, and a sprocket that is fitted to the sprocket groove on the oth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ob 35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ring 133. Protuberances are 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sprocket groove 133b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ring 133, and the sprocket protrusion 35b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ob 35. By the sprocket groove 133b and the sprocket protrusion 35b, the fixing ring 133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ob 35, whereby the fixing ring 133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knob 35, It may move to the inner side of the knob 35. In addition, an inclined groove 133c having an inclined surface inward is formed at an edge-sid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ixing ring 133, and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reverse inclined surface disposed in the inclined groove 133c and opposed to the inclined surface in the button 136. The groove protrusion 136c is formed. By this configuration, when the button 136 is pressed, the inclined groove protrusion 136c moves the fixing ring 133 to the inside of the knob 35 while pressing the inclined groove 133c, and thus, the fixed ring protrusion 134 is moved. The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132. However, when the button 136 is not pressed, the spring 135 pushes the fixing ring 133 toward the cylindrical bracket 131, whereby the fixing ring protrusion 134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groove 132 while the knob 35 is pressed. ) Cannot be rotated.

상기한 롤러고정부(130)의 구성에 의하여, 버튼(136)을 누를 때 고정링(133)이 놉(35)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링돌기(134)가 브라켓홈(132)으로부터 이탈되고 이 상태에서 놉(35)을 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놉(35)을 1회전시키 면, 고정링돌기(134)가 원통형브라켓(131)의 단부를 따라 회전되고 이후 브라켓홈(132)의 위치로 다시 오게 된다. 이때 스프링(135)은 고정링(133)을 원통형브라켓(131)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므로, 고정링돌기(134)가 브라켓홈(132)의 위치로 올때 고정링돌기(134)는 브라켓홈(132)으로 끼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놉(35)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즉, 상기한 롤러고정부(130)에 의하여 놉(35)을 정확히 1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롤러(30) 역시 정확히 1회전되면서 걸레의 깨끗한 면이 압압부 바닥(20a)에 오게 한다. By the configuration of the roller fixing part 130, when the button 136 is pressed, the fixing ring 133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knob 35 so that the fixing ring protrusion 134 is separated from the bracket groove 132. In this state, the knob 35 can be rotated. Then, when the knob 35 is rotated once, the fixing ring protrusion 134 is rotated along the end of the cylindrical bracket 131 and then comes back to the position of the bracket groove 132. At this time, the spring 135 elastically biases the fixing ring 133 in the cylindrical bracket 131 direction, so that the fixing ring protrusion 134 is the bracket groove 132 when the fixing ring protrusion 134 comes to the position of the bracket groove 132. ) So that the knob 35 is no longer rotated. That is, the knob 35 may be rotated exactly one by the roller fixing part 130, and thus the roller 30 is also rotated exactly one time so that the clean surface of the mop comes to the pressing part bottom 20a.

한편, 롤러(3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회전을 구속하기 위하여, 롤러(30)의 축에, 그 외주에 다수의 스토퍼홈(137a)들이 형성된 스토퍼기어(137)가 설치되고, 본체(10)에 그 스토퍼홈(137a)에 삽입 또는 이탈되면서 스토퍼기어(137)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138)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스토퍼하우징(138b)에 끼어지는 볼(138a)와, 스토퍼하우징(138b)에 내장되어 볼(138a)을 스토퍼기어(137) 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138c)로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roller 30 has a stopper gear 137 having a plurality of stopper grooves 137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to restrain the rotation thereof. The stopper 138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stopper gear 137 while being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stopper groove 137a. Such a stopper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ball 138a fitted to the stopper housing 138b, and the elasticity to elastically bias the ball 138a toward the stopper gear 137 by being embedded in the stopper housing 138b. It may be composed of the member 138c.

궤도벨트(40)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궤도벨트(40)에는 롤러의 제1걸림부(31)에 걸어지는 제2걸림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궤도벨트(40)의 표면에는 압압부(20)와 롤러(30)를 감싸는 걸레(70)를 궤도운동시킬 수 있도록, 걸레(70)의 접촉면과 마찰을 발생하는 마찰발생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마찰발생부(42)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표면에서 뾰족하게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걸레(70)의 접촉면과 마찰을 발생할 수 있 다면 벨크로등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track belt 40 is constituted by a pair, and each track belt 40 is provided with a second catch portion 41 that is hooked to the first catch portion 31 of the roller. On the surface of the track belt 40, the friction generating part 42 which generates friction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p 70 is able to orbitally move the mop 70 surrounding the pressing part 20 and the roller 30. Formed. The friction generating part 42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is embodiment, the friction generating part 42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sharply from the surface. However, if it can generate friction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p 70 can be of course in a variety of forms, such as velcro.

바퀴(50)는 본체(10)의 후방, 바람직하게는 물통이 내장된 본체(10)의 후방에 회전되게 설치된다. 바퀴(50)를 채용함으로써 본체(10)를 용이하게 전후진 시킬 수 있다.The wheel 50 is installed to be rotat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preferably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in which the water tank is embedded. By adopting the wheel 50, the main body 10 can be easily moved back and forth.

걸레(70)는 압압부(20) 바닥의 정수배 되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만약 압압부(20) 바닥의 길이가 20cm 라면 걸레의 길이는 60cm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걸레(70)의 양 단부에는 상호 부착되며 이를 위한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레(70) 양단에 상호 탈부착되는 벨크로(70a)(70b)를 설치함으로써 구현한다. 이러한 걸레(70)에는 방바닥에 밀착되어 청소를 진행하는 밀착면층과, 물기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층으로 되어 있다. The mop 70 has a length that is an integral multiple of the bottom of the pressing unit 20, and if the length of the bottom of the pressing unit 20 is 20 cm, the length of the mop is preferably about 60 cm. Both ends of the mop 70 are attached to each other and the configuration for thi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n this embodiment, it is implemented by installing the Velcro 70a (70b) that is detachable to both ends of the mop (70). The mop 70 is composed of an adhesion surface layer that adheres to the floor and undergoes cleaning, and an absorption layer that can absorb moisture.

또는 걸레(1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상호 탈부착되는 벨크로(170a)(170b)가 형성된 베이스면(170)과, 베이스면(170)에 압압부 바닥(20a)과 동일 면적의 바닥접촉면(171)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바닥접촉면(171)와 다른 바닥접촉면(171') 사이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는 구획면(170c)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구획면(170a)이 압압부 전방의 굴곡면(22)에 위치되도록 할 때, 바닥접촉면(171)은 압압부 바닥(20a)을 커버하도록 밀착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압압부 바닥(20a)에 깨끗한 걸레면이 위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8, the mop 170 has the same area as the base surface 170 having the velcro 170a and 170b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both ends, and the bottom surface 20a of the pressing part 20a on the base surface 170. The bottom contact surface 171 may have a structure formed. In this case, a partition surface 170c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contact surface 171 and the other bottom contact surface 171 ′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is structure, when the partition surface 170a is positioned on the curved surface 22 in front of the pressing portion, the bottom contact surface 17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ressing portion bottom 20a so that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lean mop surface is located on the bottom 20a.

다음, 상기와 같은 구조의 스팀청소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steam cleaner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먼저 걸레(70)를 압압부(20)와 롤러(30)를 감싸도록 한 후 양단부에 형성된 벨크로(70a)(70b)를 부착시킨다. 그러면 걸레(70)는 압압부(20)와 롤러(30)를 무한 궤도를 이루며 권회된다. 이 상태에서 스팀발생부(60)에 전원을 인가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고 스팀청소를 진행한다. First, the mop 70 is wrapped around the pressing unit 20 and the roller 30, and then attached to the velcro 70a, 70b formed at both ends. Then, the mop 70 is wound around the pressing unit 20 and the roller 30 in an infinite track. In this state, power is applied to the steam generating unit 60 to generate steam and proceed with steam cleaning.

방바닥(B)을 스팀청소하는 도중에, 압압부(20)에 밀착된 걸레(70)가 더러워지면, 사용자는 놉(35)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롤러(30) 및 압압부(20)에 감겨진 궤도벨트(40)가 궤도운동되면서 회전되고, 이에 따라 궤도벨트(40)에 의하여 걸레(70)도 함께 궤도이동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압압부(20)의 바닥에 밀착되어 있던 걸레(50)의 더러운 부분은 깨끗한 부분으로 교체된다.During the steam cleaning of the floor B, if the mop 70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ing unit 20 becomes dirty, the user rotates the knob 35. Then, the orbiting belt 40 wound around the roller 30 and the pressing unit 20 is rotated while orbiting, and thus the mop 70 is also orbitally moved by the orbiting belt 40. Through this process, the dirty part of the mop 5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pressing unit 20 is replaced with a clean part.

그리고, 스팀청소를 마감한 후 걸레(70)를 분리할 때에는, 롤러(30)를 회전시켜 걸레를 벨크로(70a)(70b)가 보이는 위치에 오도록 한 후, 벨크로(70a)(70b)를 분리하여 걸레(5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한다. 이렇게 분리된 걸레(70)는 세척한 후 재사용한다. When the mop 70 is removed after the steam cleaning is finished, the roller 30 is rotated to bring the mop to the position where the velcros 70a and 70b are visible, and then the velcros 70a and 70b are removed. To separate the mop 50 from the main body 10. The separated mop 70 is washed and reus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팀청소기에 따르면, 롤러를 회전시킴에 따라 걸레를 무한궤도 이동시킴으로써 압압부의 바닥에 깨끗한 걸레면을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스팀청소 도중에 새로운 걸레로 교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대형평형의 바닥도 한번에 스팀청소를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ea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p can be moved by the endless track as the roller is rotated, a clean mop surface can be placed on the bottom of the pressing unit, so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mop with a new mop during the steam cleaning. none. Therefore, even large floors can be steam cleaned at once.

또한 스팀청소 도중에 걸레를 새로운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와 같 이 걸레를 교체하는 도중에 화상을 입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시간이 지나더라도 걸레가 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스팀청소를 더욱 편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new mop during steam cleaning,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getting burned during the replacement of the mop as in the past, and furthermore, since the mop does not separate from the main body over time, You can be more comfortable.

더 나아가 매트나 카펫과 같이 마찰이 심한 바닥을 청소하더라도 걸레가 밀리면서 본체 바닥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even if the floor is cleaned of a rubbing floor such as a mat or a carpet, the mop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Claims (13)

지지봉(11)이 설치되는 본체(10);A main body 10 on which the supporting rods 11 are installed; 상기 본체(1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분사홀(21)이 형성된 편편한 바닥(20a)을 가지는 압압부(20);A pressing part 20 installed at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having a flat bottom 20a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21 formed therein; 상기 본체(10)의 내부 후방측에 설치되어 회전가능하며, 표면에 다수개의 제1걸림부(31)가 형성된 롤러(30);A roller 30 installed at an inn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rotatabl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catching portions 31 formed on a surface thereof; 상기 제1걸림부(31)에 걸어지는 제2걸림부(41)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압압부(20)와 롤러(30)를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감싸며, 권회되는 걸레(70)를 궤도운동시키기 위한 궤도벨트(40); 및The second locking portion 41 is formed to be hooked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31, and the pressing portion 20 and the roller 30 are wrapped to form an endless track, and for orbiting the rolled mop 70. Track belt 40; And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압압부 바닥(20a)의 분사홀(21)로 분사되는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And a steam generator (6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to generate steam injected into the injection hole (21) of the pressing part (20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스팀발생부(60)는, 상기 본체(10) 또는 압압부(20)에 설치되는 물통(61)과, 압압부(2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물통(6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고온고압의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스팀변환기(62)와, 상기 물통(61)과 스팀변환기(62)를 연결하는 물공급유로(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The steam generating unit 60 is a water tank 61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or the pressing unit 20, and is provided in the pressing unit 20,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61 at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team converter 62 for converting the steam of the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supply passage (64) connecting the water tank (61) and the steam converter (62).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압압부(20)의 전방에는, 상기 궤도벨트(40) 및 걸레(70)가 용이하게 굴곡되면서 궤도 운동할 수 있도록 라운드된 굴곡부(22)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The front side of the pressing unit 20, the steam belt,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belt 22 and the rounded bent portion 22 is provided so that the orbital movement can be easily bent while the track belt (40) and the mop (70).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굴곡부(22)는 상기 압압부(20)의 전방에 별도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The bent part 22 is a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er is installed in a separate rotatable in front of the pressing unit (20).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압압부(20)의 바닥(20a)에는, 상기 걸레(70)의 접촉면과 마찰을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바닥돌기(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20a) of the pressing unit 20, a plurality of bottom projections (23) are formed to generate friction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p (70).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압압부(20)의 표면에는 상기 궤도벨트(4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24)이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The surface of the pressing unit 20, the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24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track belt 40 is formed long.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롤러(30)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롤러구멍(15)과 롤러회전축(32)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roller hole 15 and the roller rotation shaft 32 so that the roller 30 can be easily rotate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롤러(30)는 1 회전시킬 때, 상기 걸레(70)의 깨끗한 부분이 상기 압압부(20)의 바닥(20a)에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롤러(30)의 직경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When the roller 30 is rotated once, the diameter of the roller 30 is determined so that the clean part of the mop 70 can be replaced by the bottom 20a of the pressing unit 20. steam clean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10)와 롤러(30) 사이에는, 상기 롤러(30)가 1 회전한 후 회전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롤러고정부(13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roller (30), after the roller 30 is rotated by one, a roller fixing unit (130) for fixing the rotational position is provided.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롤러고정부(130)는, 상기 롤러구멍(15)의 가장자리 본체에서 측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베어링(34)이 끼어지는 원통형브라켓(131)과, 상기 원통형브라켓(131)의 상단에 형성된 브라켓홈(132)과, 상기 원통형브라켓(131)에서 돌출된 제2베어링(34)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브라켓홈(132)에 끼어지는 고정링돌기(134)가 형성된 고정링(133)과, 상기 고정링(133)과 놉(3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링(133)을 원통형브라켓(131)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링돌기(134)가 상기 브라켓홈(132)에 끼어지도록 하는 스프링(135)과, 상기 놉(35)의 측부로 돌출되며 손가락으로 누를 경우 상기 고정링돌기(134)를 브라켓홈(132)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버튼(1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The roller fixing part 13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side from the edge body of the roller hole 15, the cylindrical bracket 131, the second bearing 34 is fitted, and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bracket 131 Fixing ring 133 is formed in the bracket groove 132 formed in the fixing ring projection 134 is fitted to the bracket groove 132 as being fitted to the second bearing 34 protruding from the cylindrical bracket 131. And the fixing ring protrusion 134 is inserted between the fixing ring 133 and the knob 35 to elastically bias the fixing ring 133 toward the cylindrical bracket 131. A spring 135 to be made, and a button 136 protruding toward the side of the knob 35, and when the finger presses to release the fixing ring projection 134 from the bracket groove 132 vacuum clean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롤러(30)에는 그 회전을 구속하기 위하여, 상기 롤러(30)의 축에, 그 외주에 다수의 스토퍼홈(137a)들이 형성된 스토퍼기어(137)가 설치되고, 본체(10)에 그 스토퍼홈(137a)에 삽입 또는 이탈되면서 스토퍼기어(137)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13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In order to restrain the rotation, the roller 30 is provided with a stopper gear 137 having a plurality of stopper grooves 137a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 stopper on the main body 10.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138 is inserted into or away from the groove (137a)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stopper gear (137).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궤도벨트(40)의 표면에는 상기 압압부(20)와 롤러(30)를 감싸는 걸레(70)를 궤도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걸레(70)의 접촉면과 마찰을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마찰발생부(42)로서, 뾰족하게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On the surface of the track belt 40, in order to orbit the mop 70 surrounding the pressing unit 20 and the roller 30, a fric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friction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p 70 ( 42), wherein the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jecting sharply forme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걸레(170)는, 양단에 상호 탈부착되는 벨크로(170a)(170b)가 형성된 베이스면(170)과, 상기 베이스면(170)에 상기 압압부 바닥(20a)과 동일 면적의 바닥접촉면(17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바닥접촉면(171)와 다른 바닥접촉면(171') 사이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는 구획면(170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The mop 170 has a base surface 170 having velcro 170a and 170b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both ends thereof, and a bottom contact surface 171 having the same area as the pressing part bottom 20a on the base surface 170. And a partition surface (170c)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bottom contact surface (171) and the other bottom contact surface (171 ') is formed.
KR1020060076468A 2006-08-12 2006-08-12 A steam cleaner KR200600958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468A KR20060095855A (en) 2006-08-12 2006-08-12 A stea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468A KR20060095855A (en) 2006-08-12 2006-08-12 A stea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855A true KR20060095855A (en) 2006-09-04

Family

ID=3762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468A KR20060095855A (en) 2006-08-12 2006-08-12 A stea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585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9763A (en) * 2018-03-28 2018-06-29 中山市剑鸿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arpet clean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9763A (en) * 2018-03-28 2018-06-29 中山市剑鸿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arpet cleaning device
CN108209763B (en) * 2018-03-28 2021-07-02 山东立伟地毯有限公司 Carpet clean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4366B2 (en) Bare floor cleaner
KR20060095856A (en) A steam cleaner
US8157466B2 (en) Cleaning device
KR20060095855A (en) A steam cleaner
KR101120273B1 (en) A wet cleaner
KR20060131436A (en) Wet duster
KR20060095857A (en) A vacuum-steam cleaner
KR20060095852A (en) A steam cleaner
KR20060095853A (en) A steam cleaner
KR20120007481A (en) A wet cleaner
KR20060107464A (en) A steam cleaner
KR20060095854A (en) A vacuum-steam cleaner
KR200381928Y1 (en) wet duster
KR101348830B1 (en) A wet cleaner
KR101337037B1 (en) A vacuum-wet cleaner
CN101563011A (en) Floor drain inlet having brush members on upper surface
KR20040089011A (en) wet duster
KR101935208B1 (en) A Brush Plate For Cleaning Frier
KR100734489B1 (en) A steam cleaner
KR960014574B1 (en) Dry-wet type vacuum cleaner
KR200352779Y1 (en) wet duster
KR20040027629A (en) wet duster
KR200491792Y1 (en) Sink with roating acceptance
KR102581392B1 (en) Mop apparatus
KR20040052534A (en) wet du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