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120A - Structure for navigation ke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navigation ke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120A
KR20060095120A KR1020050016530A KR20050016530A KR20060095120A KR 20060095120 A KR20060095120 A KR 20060095120A KR 1020050016530 A KR1020050016530 A KR 1020050016530A KR 20050016530 A KR20050016530 A KR 20050016530A KR 20060095120 A KR20060095120 A KR 20060095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navigation key
key structure
cylindrical member
specific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5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본관
오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016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5120A/en
Publication of KR20060095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1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freely-rota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서남북 이외의 대각선 방향 등 보다 세분화된 방향으로의 조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네비게이션 키 구조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key structure and an operation method which can be easily performed in a more detailed direction such as a diagonal direction other than east, west, north and north,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 구조는 외부의 물리적 힘의 인가에 의해 제반 방향으로의 조작이 가능한 폴과, 상기 폴의 측부에 구비되며, 동서남북 방향을 포함한 적어도 5개 이상의 방향을 가리키는 방향 돌기와, 상기 폴의 측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원통형 부재와, 상기 원통형 부재 내측면의 상기 폴의 방향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방향 돌기에 상응하는 수만큼 구비되는 적어도 5개 이상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avigation ke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e that can be manipulated in various directions by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physical force, a direction protrusion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ole, and pointing at least five directions including east, west, north and south directions, and the pole At least five cylindrical member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ole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side of the at least one, and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protrusion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protrusions of the poles on the inner side of the cylindrical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detection sensor.

네비게이션, 방향, 조이스틱 Navigation, direction, joystick

Description

네비게이션 키 구조 및 동작 방법{Structure for navigation ke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Structure for navigation ke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 구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avigation ke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 구조의 정면도 및 평면도.2A and 2B are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respectively, of a navigation ke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navigation ke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1 : 폴 102 : 원통형 부재101: Paul 102: cylindrical member

103 : 방향 돌기 104 : 감지 센서103: direction projection 104: detection sensor

105 : 도전체 110 : 하우징105: conductor 110: housing

120 : PCB120: PCB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키 구조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서남북 이외의 대각선 방향 등 보다 세분화된 방향으로의 조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네비게이션 키 구조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key structure and a method of ope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navigation key structure and a method of operation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in a more detailed direction, such as a diagonal direction other than the north, south, west, and north.

통신 산업의 발달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신장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다양한 기능 향상 요구에 부응하여 이동 무선 전화통신 기능 이외에 음악 파일의 재생, 무선 인터넷 등의 여러 기능들이 이동통신단말기에 부가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시간 및 공간의 제약 없이 제공하는 정보처리기기로서의 역할이 증대되면서 그에 따른 여러 기능들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정보처리 기능의 대표적인 예로 전화번호 및 해당 이름을 저장, 검색하여 발신할 수 있도록 하는 폰북 기능, 필요한 메시지를 문장으로 작성하여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단문 메시지 기능 등이 있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and the rapid expansion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many people are carry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various functions such as music file playback and wireless internet, etc. It is add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reases its role as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provides users with necessary information without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various functions are required.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 is storing a phone number and its name. There is a phone book function for searching and sending, and a short message function for sending or receiving a required message in a sentence.

한편, 이동통신단말기에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로 구성되는 키 입력부가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키 입력부의 이용이 필수적이다. 특히, 폰북 기능, 단문 메시지 기능 등은 키 입력부의 활용이 기능 수행에 절대적인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GPS를 이용한 지도 검색, 게임 기능 등이 부가되어 있어 상기의 키 입력부 이용이 더욱 증대되었다. 이러한 GPS를 이용한 지도 검색, 게임 기능 등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것은 방향키이다.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key inpu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In order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the key input unit is essential. In particular, the phone book function, the short message function and the like play an absolute role in the use of the key input unit. Recently, a map search using GPS, a game function, and the like have been add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increasing the use of the key input unit. The direction key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such a map search and game function using GPS.

종래 기술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뿐만 아니라 휴대용 게임기, 전자제품 리모콘 등에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즉, 키 입력부에는 통상, 동서남북의 4가지 방향을 가리키는 네비게이션 키(navigation key)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복잡한 메뉴 기능 수행, 다양한 게임 기능을 지원하기 하기 위해서는 4가지 방향만을 가리키는 네비게이션 키로는 기기 조작에 있어 한계가 있다. In the prior art, a navigation key is provided in a user interface, that is, a key input unit provided in not on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also a portable game machine, an electronic product remote controller, and the like. However, in order to perform complicated menu functions and support various game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navigation keys pointing only in four directions have limitations in device oper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동서남북 이외의 대각선 방향 등 보다 세분화된 방향으로의 조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네비게이션 키 구조 및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avigation key structure and an operation method which can be easily performed in a more detailed direction such as a diagonal direction other than east, west, north and south.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 구조는 외부의 물리적 힘의 인가에 의해 제반 방향으로의 조작이 가능한 폴과, 상기 폴의 측부에 구비되며, 동서남북 방향을 포함한 적어도 5개 이상의 방향을 가리키는 방향 돌기와, 상기 폴의 측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원통형 부재와, 상기 원통형 부재 내측면의 상기 폴의 방향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방향 돌기에 상응하는 수만큼 구비되는 적어도 5개 이상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avigation ke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pole that can be manipulated in various directions by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physical force, and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ole, at least five or more directions including east, west, north and south directions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protrusion, and a cylindrical member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ole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de of the pole,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protrusion of the po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five or more detection sensors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 센서는 압전 센서, 힘-감지 센서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sensing sensor comprises a piezoelectric sensor, a force-sensing sensor.

바람직하게는, 외부의 물리적 힘의 인가에 의해 상기 폴의 특정 방향 돌기와 상기 원통형 부재의 특정 감지 센서가 접촉하여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특정 방향으로의 입력신호로 인식,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Preferably,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ognize and process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contact between a specific direction protrusion of the pole and a specific sensor of the cylindrical member as an input signal in a specific direction by application of an external physical force.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의 하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폴에 외부의 물리적 힘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폴과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도전체를 더 구비한다.Preferably, a conductor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o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he conductor may be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pole when an external physical force is applied to the pole. Equipped.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 구조의 동작 방법은 외부의 물리적 힘의 인가에 의해 상기 폴이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폴의 측부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방향 돌기 중 해당 특정 방향의 방향 돌기가 상기 원통형 부재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해당 특정 방향에 상응하는 감지 센서와 접촉하면, 상기 특정 방향의 방향 돌기와 감지 센서의 접촉에 의해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며 해당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특정 방향으로의 입력신호로 인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avigation ke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e is moved in a specific direction by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physical force, and the direction protrusion in the specific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direction protrusion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ole is cylindrical. When contacting the sensing senso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direction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ember,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act of the direction projection in the specific direction and the sensing sensor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in a specific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processing.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반 방향으로의 조작이 가능한 폴과 상기 폴의 둘레를 따라 원통형의 부재를 구비시키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내측면에 동서남북을 포함한 세분화된 방향에 각각 감지 센서를 장착시켜 상기 폴의 감지 센서와의 접촉을 통해 해당 특정 방향을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한 전자기기의 키 입력부가 나타내는 동서남북 4가지 방향 이외에 보다 세분화된 방향으로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e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memb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ole capable of operation in various directions, and the sensor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in subdivided directions including east, west, north and south, respectively. By detecting the specific direction through the contact with the sensor of the sensor, it is possible to operate in a more granular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four directions of the north, south, west, and north indicated by the key input unit of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 구조 및 동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 구조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Hereinafter, a navigation key structure and an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avigation ke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respectively, of the navigation ke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navigation ke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ircuit diagram for.

먼저,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를 정의하는 하우징(110)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0) 내에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수행에 요구되는 다양한 부품 및 회로들이 실장되어 있는 PCB(Printed Circuit Board)(120)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10) 상부면의 소정 부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 구조가 구비되는 공간을 정의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First, as shown in FIGS. 1, 2A, and 2B, in a state where a housing 110 defining a main bod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various components required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housing 11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PCB) 120 on which circuits are mounted. An opening defining a space in which the navigation ke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상기 개구부에 상응하는 부위의 PCB(120) 상에는 돔(dome) 형상의 도전체(105)가 구비된다. 상기 돔 형상의 도전체(105)는 상기 PCB(120) 상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단말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후술하는 폴(pole)과의 물리적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단말 제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A dome-shaped conductor 105 is provided on the PCB 120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The dome-shaped conductor 10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rminal controller (not show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CB 120, and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physical contact with a pole to be described later. It serves to deliver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상기 돔 형상의 도전체(105)로부터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외부의 물리적 힘의 인가에 의해 동서남북 방향을 포함한 세분화된 제반 방향으로의 조작이 가능한 폴(pole)(101)이 구비된다. 상기 폴(101)의 측부에는 소정 방향 예를 들어, 동, 서, 남, 북, 동북, 동남, 서남, 서북 방향을 가리키는 적어도 5개 이상 의 방향 돌기(10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폴(101)과 방향 돌기(103)는 동일한 재질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from the dome-shaped conductor 105, a pole 101 capable of operating in subdivided general directions including east, west, north and south directions is provided by an external physical force. The side of the pole 101 is provided with at least five direction protrusions 103 poin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east, west, south, north, northeast, southeast, southwest, and northwest. Here, the pawl 101 and the direction protrusion 103 may be integrally formed of the same material.

상기 폴(101)의 측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폴(101)의 둘레를 따라 원통형 부재(102)가 구비된다. 상기 원통형 부재(102)의 내측면 정확히는, 상기 폴(101)의 방향 돌기(103)와 대응되는 위치의 원통형 부재(102) 내측면에는 상기 방향 돌기(103)에 상응하는 수만큼의 감지 센서(104)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 센서(104)는 압전 센서, 힘-감지형 센서(FSR, Force Sensing Resistor)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감지 센서(104)는 상기 PCB(120) 상의 단말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폴(101)의 하단부는 상기 원통형 부재(102)에 고정될 수 있다. The cylindrical member 102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ole 101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de of the pole 101.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102, exactly,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10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projection 103 of the pole 101, the number of detection sensors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projection (103) ( 104 is provided. The sensing sensor 104 may be composed of a piezoelectric sensor, a force sensing sensor (FSR, Force Sensing Resistor), and the like, and each of the sensing sensors 10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rminal controller on the PCB 120. .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pawl 101 may be fixed to the cylindrical member 102.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의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폴(101)이 특정 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폴(101)의 측부에 구비되어 있는 해당 방향의 방향 돌기(103)가 상기 원통형 부재(102)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해당 방향의 감지 센서(104)와 접촉하게 된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navigation ke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First, when the pole 101 is operated in a specific direction by an external physical force, the direction protrusion 103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ole 101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102.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nsing sensor 104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상기 폴(101)의 방향 돌기(103)가 상기 감지 센서(104)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감지 센서(104) 예를 들어, 힘-감지 센서(104)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각각의 힘-감지 센서(104)와 연결되어 있는 버퍼단에 의해 증폭되어 출력된다(도 3 참조). 상기 버퍼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아날로그 스위치의 컨트롤 입력단에 전달되어 컨트롤 신호가 하이(high)가 될 경우에 입력값 x와 입력값 y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특정 방향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각각의 힘-감지 센서(104)는 전술한 바와 같은 버퍼단뿐만 아니라 이후의 신호 처리에 요구되는 단위 방향처리 회로가 구비된다. When the direction protrusion 103 of the pole 10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etection sensor 104, the detection sensor 104, for example, the force-sensing sensor 104 generates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and generates the generated electrical signal. The signal is amplified and output by a buffer stage connected to each force-sensing sensor 104 (see FIG. 3). The signal output from the buffer stag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input terminal of the analog switch so that the input value x and the input value y are connected when the control signal becomes high. Through this process, the input signal in a specific direction is detected. On the other hand, each force-sensing sensor 104 is provided with a unit direction processing circuit required for subsequent signal processing as well as the buffer stage as described above.

이상과 같은 방향 돌기와 감지 센서의 접촉을 통해 제반 방향으로의 키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키 조작을 실제 적용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예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창에 특정의 메뉴창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술한 키 조작 과정을 이용하여 메뉴창 상의 특정 항목(하부 메뉴 등)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정 항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외부의 물리적 힘의 인가에 의해 상기 폴이 수직방향으로 눌려지게 되면 상기 폴과 상기 PCB 상의 도전체가 접촉하게 되어 해당 특정 항목이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키 입력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단말 제어부로 전달된다. Through the contact between the direction protrusion and the sensor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key in all directions. The key ope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an example of practical application. For example, when using the menu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move to a specific item (lower menu, etc.) on the menu window using the above-described key manipulation process while the specific menu window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when the pole is pressed vertically by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physical force in the state of moving to a specific item, the pole and the conductor on the PCB are in contact with the key input signal indicating that the specific item is selected is generated It is delivered to the terminal controller.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 구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동통신단말기 이외에 방향 조작이 요구되는 리모콘, 게임기기, PDA 등등의 제반 전자기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navigation ke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apply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mbodiment, but in addi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remote control, a game device, a PDA, etc. requiring a direction operation is the same. Of course, it can be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키 구조 및 동작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Navigation key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제반 방향으로의 조작이 가능한 폴과 상기 폴의 둘레를 따라 원통형의 부재 를 구비시키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내측면에 동서남북을 포함한 세분화된 방향에 각각 감지 센서를 장착시켜 상기 폴의 감지 센서와의 접촉을 통해 해당 특정 방향을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한 전자기기의 키 입력부가 나타내는 동서남북 4가지 방향 이외에 보다 세분화된 방향으로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A pole that can be manipulated in various directions and a cylindrical memb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ole are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cylindrical member, and a sensing sensor is mounted in a subdivided direction including east, west, north and south, respectively, to contact the pole with the sensor. By recognizing the specific direction through, it is possible to operate in a more granular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four directions of the east, west, north, and south indicated by the key input unit of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폴을 중심으로 한 모든 방향으로의 조작이 더욱 현실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게임 기기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operation in al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ole can be realized more realistically, and thus i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various game devices as well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laims (5)

외부의 물리적 힘의 인가에 의해 제반 방향으로의 조작이 가능한 폴;A pole capable of being operated in various directions by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physical force; 상기 폴의 측부에 구비되며, 동서남북 방향을 포함한 적어도 5개 이상의 방향을 가리키는 방향 돌기;A direction protrusion provided on a side of the pole and pointing at least five directions including east, west, north and south directions; 상기 폴의 측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원통형 부재;A cylindrical member provid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pole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de of the pole; 상기 원통형 부재 내측면의 상기 폴의 방향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방향 돌기에 상응하는 수만큼 구비되는 적어도 5개 이상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 구조.And at least five or more sensing sensors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projection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projections of the poles on the inner side of the cylindrical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압전 센서, 힘-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 구조. The navigation key structure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sensing sensor includes a piezoelectric sensor and a force-sensing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의 물리적 힘의 인가에 의해 상기 폴의 특정 방향 돌기와 상기 원통형 부재의 특정 감지 센서가 접촉하여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특정 방향으로의 입력신호로 인식,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 구조.The control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ognize and process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contact between a specific direction protrusion of the pole and a specific sensor of the cylindrical member as an input signal in a specific direction by application of an external physical force. Navigation ke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의 하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폴에 외부의 물리적 힘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폴과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도전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 구조.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3, provided in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o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external physical force is applied to the pole to be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pole. The navigation key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conductor capable of. 제 1 항의 네비게이션 키 구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키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of operating a navigation key using the navigation key structure of claim 1, 외부의 물리적 힘의 인가에 의해 상기 폴이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폴의 측부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방향 돌기 중 해당 특정 방향의 방향 돌기가 상기 원통형 부재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해당 특정 방향에 상응하는 감지 센서와 접촉하면, 상기 특정 방향의 방향 돌기와 감지 센서의 접촉에 의해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며 해당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특정 방향으로의 입력신호로 인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키의 동작 방법.The pole is moved in a specific direction by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physical force, and among the plurality of direction protrusion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ole, the direction protrusion in the specific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When contacted with the sensing sensor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direction projection in the specific direction and the sensing sensor, and the control unit recognizes and processes the electrical signal as an input signal in a specific direction. How navigation keys work.
KR1020050016530A 2005-02-28 2005-02-28 Structure for navigation ke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200600951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530A KR20060095120A (en) 2005-02-28 2005-02-28 Structure for navigation ke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530A KR20060095120A (en) 2005-02-28 2005-02-28 Structure for navigation ke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120A true KR20060095120A (en) 2006-08-31

Family

ID=3762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530A KR20060095120A (en) 2005-02-28 2005-02-28 Structure for navigation ke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512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942B1 (en) * 2007-02-27 2013-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942B1 (en) * 2007-02-27 2013-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81922B1 (en) Electronic apparatus
CN101495947B (en) Pointing device with moveable magnetic disc and method
KR10133994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JP4318263B2 (en)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four-direction input device
EP1406158A2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JP2010160564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03185A (en) Mobile terminal having a moving keypad
US8195252B2 (en) Input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ing scroll key
CN101211224A (en) Hand held electronic appliance cursor movement and multifunctional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050060923A (en)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0825306B (en) Braille input method, device, terminal and readable storage medium
JP54892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KR20060095120A (en) Structure for navigation ke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JP2004086424A (en) Complex press-button switch and its computer program for input control
KR10134446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EP2439616A1 (en) Multi-direction input device
KR100664111B1 (en) 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moving cursor for mobile phone
KR20070041094A (en) Button structure for direction finding
JP2002099381A (en) Information input device
KR20080024341A (en) Terminal with inputting information using touch pad and its method
JP2005293488A (en) Op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07066169A (en) Cellular phon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ellular phone device
JP2005130180A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key entry display program
US20110001716A1 (en) Key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09431Y1 (en) Input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