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2012A - 이동통신망의 다중 경로 신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의 다중 경로 신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012A
KR20060092012A KR1020050013297A KR20050013297A KR20060092012A KR 20060092012 A KR20060092012 A KR 20060092012A KR 1020050013297 A KR1020050013297 A KR 1020050013297A KR 20050013297 A KR20050013297 A KR 20050013297A KR 20060092012 A KR20060092012 A KR 20060092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delay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tim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3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2012A/ko
Publication of KR20060092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04B1/7117Selection, re-selection, allocation or re-allocation of paths to fingers, e.g. timing offset control of allocated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85Synchronisation aspects using a code tracking loop, e.g. a delay-locked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3Determination of path pro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이동 통신상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페이딩(Fading)이나 반사로 인한 시간지연에 따른 초기동기 획득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발명은 다중 경로로 수신되는 수신 신호 중 최적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 차이로 2개의 시간지연정보를 선택하는 탐색부; 및 상기 탐색부에서 선택된 2개의 시간지연정보로부터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추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다중 경로로 수신되는 수신 신호 중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차이로 선택된 2개의 시간지연정보에 대한 에너지 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에너지 비를 이용하여 그 크기에 따라 시간지연 정도를 구분하여 스테이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정해진 스테이트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페이딩, 서쳐, 핑거, 칩, 샘플링, 트랙커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의 다중 경로 신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The multipath signal control system and the method in mobile system}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의 수신부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탐색부 및 제어부에서의 수신신호 할당에 관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3a는 샘플링 값 a-a'의 트랙킹(Tracking)정도를 표현한 도면,
도 3b는 샘플링 값 b-b'의 트랙킹(Tracking)정도를 표현한 도면,
도 3c는 샘플링 값 c-c'의 트랙킹(Tracking)정도를 표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수신부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탐색부 및 제어부에서의 수신신호 할당에 관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안테나 110 : RF 모듈(Radio Frequency)
120 : IF 모듈(Intermediate Frequency) 130 : RC필터
140 : 탐색부 150 : 제어부
151 : 위치 판단부 152 : 경로 할당부
160 : 핑거(Fing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중 경로 신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부 안에 있는 탐색부를 통해 찾은 다중경로 수신신호를 제어하는 이동통신망의 다중 경로 신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부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부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부는 안테나(10), RF모듈(Radio Frequency Module)(20), IF모듈(Intermediate Frequency Module)(30), RC필터(Raised Consine Filter)(40), 탐색부(50), 제어부(60), 핑거(Finger)(70)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10)는 무선통신상에서 송신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RF모듈(20)은 상기 안테나(10)에서 수신된 RF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해준다.
상기 IF모듈(30)은 RF모듈(20)에서 IF신호로 주파수다운(Down)변환된 신호를 베이스밴드(Baseband)신호로 변환해주며 디지털 신호로 바꿔주기 위한 샘플링을 한다.
상기 RC필터(40)는 샘플링 된 값 중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중심으로 시간지연 차이가 적은 시간지연정보들을 많이 통과시키고 시간지연 차이가 큰 시간지연정보일 수록 적게 통과시킨다.
따라서,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와 시간지연의 차이가 작은 시간지연정보일수록 상기 RC필터(40)를 통과한 에너지가 크게 된다.
상기 탐색부(50)는 상기 RC필터(40)를 통과한 시간지연정보로부터 1/2칩 단위로 1칩당 2개의 시간지연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탐색부(50)로부터 받은 시간지연정보 중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에 가까운 시간지연정보를 찾아서 핑거(70)에 할당한다.
상기 핑거(70)는 상기 제어부(50)로부터 받은 시간지연정보로부터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와의 차이를 트랙킹(Tracking)함으로써 동기를 맞춰 나간다.
이러한 시간 지연정보를 할당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60)는 찾은 경로 중 가장 큰 에너지를 찾는 에너지 탐색부(61), 핑거(70)에 경로를 할당하기 위한 경로 할당부(62)를 둘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은 단말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신신호의 할당 방법에 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의 탐색부와 제어부에서의 수신신호 할당에 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상에서 송신된 신호는 페이딩(Fading)이나 반사로 인해서 최적의 단일경로로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여러 경로를 통해서 수신부에 전달된다.
따라서, 송신된 신호는 시간 지연을 가지고 수신부에 도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시간 지연을 가지고 도착하는 신호는 초기 동기를 맞춰주기 위해서, RC필터는 IF모듈에서 N번의 오버샘플링(Oversampling) 된 신호 중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로부터 시간지연이 작은 신호일수록 많이 통과시키고 시간지연 큰 신호일수록 적게 통과시킨다.
탐색부는 상기 RC필터로부터 많이 통과한 시간지연정보들 중에서 한 칩 당 1/2칩 단위로 2개를 선택한다(S10).
상기에서 에너지가 크다는 것은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와 시간지연차이가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샘플링 된 두 개의 값들은 단말기 자체 내부에 할당되어 있는 특정코드(Code)와 상관관계(Correlation)를 취한다(S20).
상기에서 상관관계를 취한다는 것은 수신된 신호에서 샘플링 된 값과 사용자 단말기 자체 내부에 정해져 있는 특정코드와 곱하여 일정구간동안을 합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상관관계를 취하여 1/2칩 차이로 샘플링 된 값들 중에서는 에너지가 큰 값만 핑거(Finger)에 할당되고 그렇지 않은 값들은 할당되지 않는다(S30,S40,S60).
핑거에 할당된 값들은 핑거 내부의 트랙커(Tracker)에 의해서 1/N 칩(Chip)단위로 원하는 신호의 위치를 찾아 들어간다(S50,S70).
도 3a는 샘플링 값 a-a'의 트랙킹(Tracking)정도를 표현한 도면이고, 도 3b는 샘플링 값 b-b'의 트랙킹(Tracking)정도를 표현한 도면이고, 도 3c는 샘플링 값 c-c'의 트랙킹(Tracking)정도를 표현한 도면이다.
도 3a,b,c는 1/2칩 차이가 나는 경우를 보인 것으로 a-a', b-b', c-c'는 샘플링 된 각 쌍의 값들을 보여주고 있다.
도 3a는 a-a'가 샘플링 된 경우로서 a'만 제어부에 참조되어 핑거로 할당 될 것이다.
그러나, a'는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와 정확히 일치한 경우로서, 즉 dt=0인 경우로서, 핑거 내부의 트랙커(Tracker)에 의해서 더 이상 트랙킹(Tracking) 될 필요가 없다.
도 3b는 b-b'가 샘플링 된 경우로서 에너지가 더 큰 b'가 핑거로 할당될 것이다.
그러나, b'는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가정보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dt2만큼 핑거내부의 트랙커에 의해서 트랙킹 된다.
도 3c는 c-c'가 핑거로 할당 될 경우 에너지 크기가 서로 같기 때문에 c또는 c'가 핑거로 할당 될 것이다.
그러나, c또는 c'중에 어느 것이 할당되더라도 핑거 내부의 트랙커에 의해서 dt3 또는 dt3'만큼 똑같은 크기로 트랙킹 된다.
상기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초기에 탐색부에 의해 설정된 경로는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로부터 트랙킹을 가장 많이 해 줘야 할 경우, 시간지연정보들이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로부터 최대 1/4칩 벗어나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는 도3c와 같은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c와 c'중 어느 것을 핑거에 할당하더라도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로 트랙킹(Tracking)되기 위해서는 1/4칩이 이동되어야 한다.
물론, 핑거에 할당된 후 샘플링 된 값들은 트랙커에 의해서 벗어난 경로로부터 원래 위치로 트랙킹(Tracking)된다.
하지만, 트랙커(Tracker)로 따라 갈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보장된 메시지라고 할지라도 따라가는 동안의 짧은 순간에는 성능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트랙커로 따라가기 힘든 짧은 메시지의 경우는 메시지정보를 찾지 못해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탐색부에서 레포트(Report)되는 시간지연정보들을 핑거에 그대로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 신호위치에 최대한 일치하는 위치를 찾아서 그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할당하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신신호의 경로 할당방법에 있어서 탐색부에 레포트 되는 시간지연정보들을 수신 필터의 계수를 이용하여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와 에너지 크기가 비슷한 2개의 신호를 일정간격으로 선택하고, 제어부가 선택된 2개의 신호의 에너지 비를 계산하여 최적의 신호의 시간정보를 구하여 핑거에 할당함으로써 원하는 신호의 위치에 트랙커가 따라가는데 최대한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랙커(Tracker)로 원하는 신호의 위치 값을 찾기 힘든 극히 짧은 신호에 대해서도 추적 시간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성능을 개선시키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다중 경로 신호 제어 시스템은 다중 경로로 수신되는 수신 신호 중 최적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 차이로 2개의 시간지연정보를 선택하는 탐색부; 및 상기 탐색부에서 선택된 2개의 시간지연정보로부터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추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다중 경로 신호 제어 방법은 다중 경로로 수신되는 수신 신호 중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차이로 선택된 2개의 시간지연정보에 대한 에너지 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에너지 비를 이용하여 그 크기에 따라 시간지연 정도를 구분하여 스테이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정해진 스테이트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부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함으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의 제어부(150)는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계산하는 위치 판단부(151)와 계산된 시간정보를 핑거에 할당하는 경로 할당부(152)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탐색부(140)로부터 전달되는 1/2칩 단위로 선택된 두 개의 시간지연정보로부터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 정보를 산출하여 핑거(160)에 할당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부의 동작은 아래 설명과 같다.
일반적으로, 시간 지연을 가지고 도착하는 신호는 초기 동기를 맞춰주기 위해서, RC필터는 IF모듈에서 N번의 오버샘플링(Oversampling) 된 신호 중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와 시간지연 정도가 작은 시간지연정보일수록 많이 통과시키고 시간지연 정도가 큰 시간지연정보일수록 적게 통과시킨다.
탐색부는 상기 RC필터로부터 많이 통과한 시간지연정보들 중에서 한 칩 당 1/2칩 단위로 2개를 선택한다.
제어부는 선택 된 2개의 시간지연정보 중에서 큰 에너지를 갖는 시간지연정보와 작은 에너지를 갖는 시간지연정보의 에너지 비를 구한다.
각각의 에너지는 RC필터를 통과함으로써 샘플링 된 시간지연정보들을 제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일반적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시스템에서 사용하는 RC필터(Raised Consine Filter)의 계산식은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5008485914-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변수 N은 오버샘플링 횟수를 의미하며, α는 임의의 상수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들 변수의 값에 따라 RC 필터의 계수를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5008485914-PAT00002
상기 수학식2의
Figure 112005008485914-PAT00003
는 큰 에너지를 갖는 시간지연정보와 작은 에너지를 갖는 시간지연정보의 에너지 비를 구하는 식으로서, 상기 수학식 2에서
Figure 112005008485914-PAT00004
항과
Figure 112005008485914-PAT00005
항은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상기 수학식 1의 RC필 터(Raised Consine Filter)에 의해 계산된 값을 제곱한 값으로 샘플링 지점(Sampling Point)이
Figure 112005008485914-PAT00006
일 때의 샘플링 값들의 에너지 크기를 표현한 것이다.
즉, 상기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이용해서 에너지 비를 구할 수 있다.
수학식 2에서 k = 0 ~ N/4 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N은 샘플링 한 횟수를 나타낸다.
수학식 2의
Figure 112005008485914-PAT00007
의 기준으로 각 최적의 신호와의 시간지연정도를 나타내는 스테이트(
Figure 112005008485914-PAT00008
)의 범위를 수학식 3을 이용해서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5008485914-PAT00009
상기 수학식 2와 수학식 3을 이용해서 선택된 두 시간지연정보들의 에너지의 비를 구하여 그 값을 상기 수학식 3에 대입하면 어느 스테이트(
Figure 112005008485914-PAT00010
)에 속하는지를 알 수 있다.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통해서 계산하면
Figure 112005008485914-PAT00011
은 1이 되고,
Figure 112005008485914-PAT00012
은 무한대(∞) 값이 된다.
상기 수학식 3에 의해 스테이트가 판단되면, 해당 스테이트 마다 설정된 계산식을 이용하여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지연정보를 알 수 있다.
상기 스테이트는 (N/4)+1만큼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테이트의 구분은 표 1과 같다.
이때 표 1에 제시된 스테이트는 오버샘플링 횟수(N)가 8인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오버샘플링 횟수(N)가 8번이므로 스테이트는 3가지로 구분되며, 각 스테이트에서 취하는 min값과 max 값은 표 1과 같은 형태로 제공된다.
State A State B State C
Min Max Min Max Min Max
1 1.562 1.562 2.524 2.524
상기 표 1의 스테이트 A는 1/2칩 단위로 샘플링 된 두 시간지연정보들의 에너지 비가 1과 1.562 사이에 있는 경우이다(최악의 상태).
상기 표 1의 스테이트 B는 1/2칩 단위로 샘플링 된 두 시간지연정보들의 에너지 비가 1.562와 2.524 사이에 있는 경우이다(일반적인 상태).
상기 표 1의 스테이트 C는 1/2칩 단위로 샘플링 된 두 시간지연정보의 에너지 비가 2.524 이상인 경우이다(최적의 상태).
표1의 스테이트 B같이 일반적인 상태에서, 아래 수학식 4와 수학식 5를 이용하면 핑거로 전달할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5008485914-PAT00013
Figure 112005008485914-PAT00014
수학식 4와 수학식 5에서
Figure 112005008485914-PAT00015
는 시간지연정보 중 에너지 값이 작은 시간지연정보를 나타내고
Figure 112005008485914-PAT00016
는 에너지 큰 시간지연정보이다.
그리고
Figure 112005008485914-PAT00017
는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이다.
이하, 오버샘플링을 8번했을 경우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탐색부에서 레포트 된 시간지연정보 중 에너지가 큰 시간지연정보를 기준으로 이 경로와 1/2칩 차이가 나는 경로가 존재하는지를 찾는다(S100).
1/2칩 차이가 나는 경로가 존재하는 경우, 에너지가 큰 시간지연정보 2개만을 선택한다(S110).
선택된 2개의 시간지연정보 중에서 에너지가 큰 시간지연정보와 에너지가 작은 시간지연정보의 에너지의 비를 상기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통해서 구한다(S120).
상시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을 이용하면 표 2와 같은 스테이트(State)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State 0 State 1 State 2
Min Max Min Max Min Max
1 1.562 1.562 2.524 2.524
두 시간지연정보들의 에너지의 비에서 에너지가 작은 시간정보와 1.562의 곱한 값이 에너지가 큰 시간지연정보의 값보다 클 경우 즉, 상기 표 2에서 스테이트 0(State 0)의 구간에서 두 시간지연정보의 산술적으로 평균한 값이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 즉,
Figure 112005008485914-PAT00018
가 되고 그 값을 핑거에 할당한다(S130,S140,S170).
만약 두 시간지연정보들의 에너지의 비에서 에너지가 작은 시간정보와 1.562의 곱한 값이 에너지가 큰 시간지연정보의 에너지 값보다 작고 2.524를 곱한 값이 에너지가 큰 시간지연정보 보다 클 경우는 즉, 상기 표 1에서 스테이트 1(State 1)의 구간에서 상기 수학식 4에 의해서 두 시간지연정보를 위치차이를 구한다(S150,S151).
구한 값을 이용해서 상기 수학식 5에 의해서
Figure 112005008485914-PAT00019
값을 구하여 그 값을 핑거에 할당한다(S152,S170).
만약 두 시간지연정보들의 에너지의 비에서 에너지가 작은 시간정보와 2.524를 곱한 값이 에너지가 큰 시간지연정보보다 작을 경우 상기 표 2에서 스테이트 2(State 2)구간에서,
Figure 112005008485914-PAT00020
의 값은 곧
Figure 112005008485914-PAT00021
의 값이 되고 그 값은 핑거에 할당한다(S150,S160,S170).
따라서 제어부는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제공하므로, 핑거는 종래와 같이 트랙킹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상의 수신부에서 신호를 받아들일 때 원하는 신호와 최대한 가까운 시간정보를 추정하여 핑거(Finger)에 할당함으로써 핑거에서는 최대한 빠른 시간에 최적의 위치 수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핑거내의 트랙커(Tracker)에 의해서도 따라가기 힘든 짧은 메시지의 경우에도 성능저하를 막는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6)

  1. 이동 통신망의 다중 경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다중 경로로 수신되는 수신 신호 중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 차이로 2개의 시간지연정보를 선택하는 탐색부; 및
    상기 탐색부에서 선택된 2개의 시간지연정보로부터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추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중경로신호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 지연정보들의 에너지 비를 이용하여 최적의 위치에 해당하는 시간 정보를 판단하기 위해 위치 판단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신호 제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단부는
    시간지연정보들의 에너지를 획득하기 위해 아래의 식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신호 제어 시스템.
    Figure 112005008485914-PAT00022
    상기 수학식에서 변수 N은 오버샘플링 횟수를 의미하며, α는 임의의 상수값을 의미하며 필터의 설계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질 수 있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단부는
    상기 2개의 신호간 에너지 비를 획득하기 위해 아래의 식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신호 제어 시스템.
    Figure 112005008485914-PAT00023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단부는
    상기 2개의 신호간 에너지 비를 이용하여 시간지연 정도를 구분하는 스테이트를 구하기 위하여 아래식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신호 제어 시스템.
    Figure 112005008485914-PAT00024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단부는
    시간지연 정도가 가장 큰 스테이트의 경우,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추정하기 위해 아래식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경로신호제어 시스템.
    Figure 112005008485914-PAT00025
    상기 수학식에서
    Figure 112005008485914-PAT00026
    는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이며,
    Figure 112005008485914-PAT00027
    Figure 112005008485914-PAT00028
    은 상기 두 개의 신호 중 에너지가 큰 신호와 작은 신호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각각 의미한다.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단부는
    시간지연이 없는 스테이트의 경우,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추정하기 위해 아래식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경로신호제어 시스템.
    Figure 112005008485914-PAT00029
    상기 수학식에서
    Figure 112005008485914-PAT00030
    는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이며,
    Figure 112005008485914-PAT00031
    은 상기 두 개의 신호 중 에너지가 큰 신호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의미한다.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단부는
    시간지연 정도가 가장 클 경우와 시간지연이 없을 경우를 제외한 스테이트의 경우,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추정하기 위해서 아래의 식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경로신호제어 시스템.
    Figure 112005008485914-PAT00032
    상기 수학식에서
    Figure 112005008485914-PAT00033
    는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이며,
    Figure 112005008485914-PAT00034
    Figure 112005008485914-PAT00035
    은 상기 두 개의 신호 중 에너지가 큰 신호와 작은 신호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각각 의미한다.
  9. 이동 통신망의 다중경로 신호제어방법에 있어서,
    다중 경로로 수신되는 수신 신호 중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차이로 선택된 2개의 시간지연정보에 대한 에너지 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에너지 비를 이용하여 그 크기에 따라 시간지연 정도를 구분하여 스테이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정해진 스테이트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경로 신호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최적의 시간정보를 추정하는 단계 이후, 산출 된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해당 핑거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경로 신호 제어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시간지연정보들의 에너지를 획득하기 위해 아래의 식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필터계수를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신호 제어 방법.
    Figure 112005008485914-PAT00036
    상기 수학식에서 변수 N은 오버샘플링 횟수를 의미하며, α는 임의의 상수값을 의미하며 필터의 설계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질 수 있다.
  12. 제 11항에 있어서,
    2개의 시간지연정보간 에너지 비를 획득하기 위해 아래의 식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신호 방법.
    Figure 112005008485914-PAT00037
  13. 제 12항에 있어서,
    두 개의 시간지연정보간 에너지 비를 이용하여 시간지연 정도를 구분하는 스테이트를구하기 위해 아래의 식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신호 제어 방법.
    Figure 112005008485914-PAT00038
  14. 제 13항에 있어서,
    시간지연 정도가 가장 큰 스테이트의 경우, 최적의 신호의 시간정보를 추정하기 위해 아래식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경로신호제어 방법.
    Figure 112005008485914-PAT00039
    상기 수학식에서
    Figure 112005008485914-PAT00040
    는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이며,
    Figure 112005008485914-PAT00041
    Figure 112005008485914-PAT00042
    은 상기 두 개의 신호 중 에너지가 큰 신호와 작은 신호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각각 의미한다.
  15. 제 13항에 있어서, 시간지연이 없는 스테이트의 경우, 최적의 신호의 시간정보를 추정하기 위해 아래식를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경로신호제어 방법.
    Figure 112005008485914-PAT00043
    상기 수학식에서
    Figure 112005008485914-PAT00044
    는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이며,
    Figure 112005008485914-PAT00045
    은 상기 두 개의 시간지연정보 중 에너지가 큰 신호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의미한다.
  16. 제 13항에 있어서,
    시간지연 정도가 가장 클 경우와 시간지연이 없을 경우를 제외할 경우, 최적의 위치의 시간정보를 추정하기 위해서 아래의 식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경로신호제어 방법.
    Figure 112005008485914-PAT00046
    상기 수학식에서
    Figure 112005008485914-PAT00047
    는 최적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이며,
    Figure 112005008485914-PAT00048
    Figure 112005008485914-PAT00049
    은 상기 두 개의 시간지연정보 중 에너지가 큰 시간지연정보와 작은 시간지연정보의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를 각각 의미한다.
KR1020050013297A 2005-02-17 2005-02-17 이동통신망의 다중 경로 신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92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297A KR20060092012A (ko) 2005-02-17 2005-02-17 이동통신망의 다중 경로 신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297A KR20060092012A (ko) 2005-02-17 2005-02-17 이동통신망의 다중 경로 신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012A true KR20060092012A (ko) 2006-08-22

Family

ID=3759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297A KR20060092012A (ko) 2005-02-17 2005-02-17 이동통신망의 다중 경로 신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20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6150A (ko) * 2009-09-07 2011-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시스템에서의 심볼 타이밍 조절 방법 및 기록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6150A (ko) * 2009-09-07 2011-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시스템에서의 심볼 타이밍 조절 방법 및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9075B1 (en) Finger assignment in a CDMA rake receiver
US20060203894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ulse response measurement
US88973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ingle antenna receiver system for WCDMA
EP2204915A1 (en) Rake receiver
KR100335689B1 (ko) 통신 단말 장치 및 무선 수신 방법
EP10218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 measured round-trip delay ti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834075B2 (en) Method for improving multipath searcher speed
US8064497B2 (en) Selecting delay values for a rake receiver
KR100547737B1 (ko) 직접시퀀스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레이크수신장치 및 방법
US7724808B2 (en) Efficient delay profile computation with receive diversity
KR10164395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0504360B1 (ko) 수신기 및 수신 방법
KR20060092012A (ko) 이동통신망의 다중 경로 신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0271034A (ja) Cdma移動体通信受信装置
US7903723B2 (en) Selecting delay values for a rake receiver
US7477678B2 (en) Method of finding delays of a multipath channel
KR20080039537A (ko) Rake 수신기의 지연값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7940835B2 (en) Method of eliminating false echoes of a signal and corresponding rake receiver
EP1715594B1 (en) Selecting delay values for a RAKE receiver
WO2008074571A1 (en) Efficient delay profile computation with receive diversity
JP3816340B2 (ja) Cdma通信における偏波ダイバーシチ受信時のrake受信用フィンガ割当て方法及び装置
EP1672808B1 (en) Selecting peak delay values for a RAKE receiver
KR100513024B1 (ko) 레이크 수신기의 임계값 결정장치 및 방법
WO2004028020A1 (en) Delay estimation and path selection for common and dedicated channels
JP2005354263A (ja) 受信装置及び受信装置におけるパス選択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