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946A - Electro-permanent magnetic lift - Google Patents

Electro-permanent magnetic li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946A
KR20060091946A KR1020050012739A KR20050012739A KR20060091946A KR 20060091946 A KR20060091946 A KR 20060091946A KR 1020050012739 A KR1020050012739 A KR 1020050012739A KR 20050012739 A KR20050012739 A KR 20050012739A KR 20060091946 A KR20060091946 A KR 20060091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anent magnet
iron core
lift
magnetic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7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22057B1 (en
Inventor
최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최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최규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Priority to KR1020050012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057B1/en
Publication of KR20060091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9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0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자성체의 하우징, 철심 및 매개체 주위에 영구자석을 위치시키고 영구자석의 주위에 리드케이블이 연결되는 전기코일을 포함하는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gneto-electromagnetic lift comprising an electric coil in which a permanent magnet is positioned around a housing, an iron core, and a medium of a ferromagnetic material, and a lead cable is connected around the permanent magnet.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크기의 영구자석으로 보다 큰 흡착력을 발생이 가능하고, 원형형태의 마그네틱 리프트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보다 용이하고 리프트의 높이가 보다 낮은 마그네틱 리프트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larger suction force with the permanent magnet of the same size, and to easily implement a circular magnetic lift, as well as easier to assemble and to implement a lower magnetic lift height.

마그네틱 리프트, 영구자석, 전기코일 Magnetic lift, permanent magnet, electric coil

Description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Electro-Permanent Magnetic Lift}Electromagnetic Magnetic Lift {Electro-Permanent Magnetic Lift}

도 1은 종래 마그네틱 리프트의 흡착 원리를 기술하기 위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adsorption of a conventional magnetic lift;

도 2는 종래 마그네틱 리프트의 탈착 원리를 기술하기 위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detachment principle of a conventional magnetic lift;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magnetic lif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the shape of a permanent magn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전마 마그네틱 리프트를 도시한 저면도;5A to 5C are bottom views each showing a zero-electrical magnetic lif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의 흡착 원리를 기술하기 위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adsorption of the magnetic-electromagnetic magnetic lift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의 탈착 원리를 기술하기 위한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detachment of the magnetic-electromagnetic magnetic lift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 하우징 110 : 철심100 housing 110 iron core

120 : 제 1 영구자석 130 : 제 2 영구자석120: first permanent magnet 130: second permanent magnet

140 : 매개체 150 : 전기코일140: medium 150: electric coil

160 : 리드케이블 170 : 피흡착물체160: lead cable 170: the object to be adsorbed

본 발명은 영구자석의 자기장을 이용하여 피흡착물체를 흡착하여 고정하거나 이송하고 탈착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자력이 큰 제1영구자석과 보자력이 작은 제2영구자석을 이용하여 각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의 흐름을 이용하여 금속물체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흡착하여 고정·이송하거나 탈착시키기 위한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dsorbing, fixing, transporting and detaching an adsorbed object using a magnetic field of a permanent magnet, and more particularly, using a first permanent magnet having a large coercivity and a second permanent magnet having a small coercive for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ic and electronic magnetic lift for fastening, transporting or detaching a metal object simply and safely by using a flow of magnetic flux generated in each permanent magnet.

자동화 생산라인 등 산업현장에서 피흡착물체를 이송하거나 고정하기 위한 리프트(또는 권상기(lift))는 필수적인 장비이다. 이러한 리프트에는 자석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영구자석만을 사용하게 되면 탈착에 어려움이 있고, 전자석만을 이용하게 되면 소정의 흡착력을 얻기 위해 전력을 많이 소모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전력공급장치 또는 전력계통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작업 도중 흡착된 물체가 자유낙하 하거나 이탈하여 엄청난 안전사고를 초래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리프트의 성능 향상 및 안전유지 차원에서 양자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고, 전력 의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가 1980년대부터 사용되어 왔다. 상기 장점을 가진 마그네틱 리프트는 두 가지 종류의 영구자석, 즉 고정 영구자석(제1영구자석)과 가변 영구자석(제2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전력공급에 의해 제2영구자석의 극성을 적절히 변화시켜 물체를 흡착·탈착하는데 사용되어 왔다.In industrial sites such as automated production lines, lifts (or lifts) for transporting or fixing objects to be absorbed are essential equipment. Many of these lifts use magnets, but using only permanent magnets is difficult to desorb, and using only electromagnets requires not only a large amount of power to obtain a certain attraction force, but also a power supply or power system. In the event of a problem, the adsorbed objects can fall freely or drop off during operation, which can lead to enormous safety accidents, which can complement the shortcomings of both sides and reduce power consumption. Magnetic lifts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without failure have been used since the 1980s. Magnetic lift having the above advantages includes two types of permanent magnets, namely fixed permanent magnets (first permanent magnets) and variable permanent magnets (second permanent magnets), and the polarity of the second permanent magnets is changed appropriately by power supply. It has been used to adsorb and desorb an object.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 기술에 의한 마그네틱 리프트의 흡착원리도 및 탈착원리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종래 마그네틱 리프트는 리프트의 이송을 위한 장치(미도시)가 설치되는 상판(10)과, 강자성체의 철심(20)이 상판의 양 끝단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철심(20) 사이에 보자력이 큰 제1영구자석(30)과 보자력이 작은 제2영구자석(40)이 삽입되며, 상기 영구자석에서 발생한 자속(사선으로 표시)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격리판(50)이 상기 상판(10)과 철심(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영구자석(40)에는 전기코일(60)이 감싸져 있고, 상기 전기코일(6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미도시)와 리드케이블(70)로 구성된다.1 and 2 are respectively adsorption and desorption principle diagram of the magnetic lif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ntional magnetic lift has a top plate 10 on which a device (not shown) for transferring a lift is installed, and iron cores 20 of ferromagnetic materials are installed below both ends of the top plate, and between the iron cores 20. The first permanent magnet 30 having a large coercive force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40 having a small coercive force are inserted into the separator, and a separator 50 for preventing leakage of magnetic flux (indicated by diagonal lines) generated in the permanent magnet is provided. Located between the top plate 10 and the iron core 20, the second permanent magnet 40 is wrapped in the electric coil 60, the power supply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electric coil 60 (not shown) C) and lead cable 70.

도 1에 도시된 종래 마그네틱 리프트의 흡착원리를 살펴보면, 제 1 영구자석(30)과 제 2 영구자석(40)의 극성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배치하면 , 상기 제 1 영구자석(30)과 제 2 영구자석(40)의 N극에서 나온 자속(사선으로 표시)은 강자성체 철심(20) 및 흡착하고자 하는 피흡착물체(80)를 통과하여 상기 제 1 영구자석(30) 및 제 2 영구자석(40)의 S극에 인접해있는 철심(20)을 통하여 상기 제 1 영 구자석(30) 및 제 2 영구자석(40)의 S극에 도달하게 되는 자속 흐름(사선으로 표시)을 형성하여 상기 강자성체 철심(20)과 피흡착물체(80) 사이에 흡착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흡착력에 의해 피흡착물체(80)를 흡착할 수 있게 된다.Looking at the adsorption principle of the conventional magnetic lift shown in Figure 1, when arranged so that the polarity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30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40 is the same, the first permanent magnet 30 and The magnetic flux (indicated by diagonal lines) from the N pole of the second permanent magnet 40 passes through the ferromagnetic iron core 20 and the adsorbed object 80 to be adsorbed, and thus the first permanent magnet 30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A magnetic flux flow (indicated by diagonal lines) reaching the S poles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30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40 is formed through the iron core 20 adjacent to the S pole of 40. Adsorption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ferromagnetic iron core 20 and the object to be adsorbed, and the adsorbed object 80 can be adsorbed by the adsorbing force.

흡착력이 발생된 이후, 외부에 설치된 상기 전력공급장치(미도시)의 전력을 차단하다라도 제 2 영구자석(40)의 극성은 그대로 유지되어, 제 1 영구자석(30) 및 제 2 영구자석(40)에 의한 상기 강자성체의 철심(20)과 피흡착물체(80) 사이의 흡착력은 유지된다.After the adsorption force is generated, the polarity of the second permanent magnet 40 is maintained as it is, even if the electric power of the power supply device (not shown) installed outside is maintained, and thus the first permanent magnet 30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 Adsorption force between the iron core 20 and the object to be absorbed 80 of the ferromagnetic material by 40 is maintained.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흡착물체(80)를 철심(20)으로부터 탈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2 영구자석(40)의 극성과 제 1 영구자석(30)의 극성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외부에 설치한 전력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해 전기를 공급하면 제 1 영구자석(30)의 N극에서 나온 자속(사선으로 표시)은 피흡착물체(80)를 통하지 아니하고 제 2 영구자석(40)의 S극으로 들어가는 자속 흐름(사선으로 표시)을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강자성체 철심(20)과 피흡착물체(80) 사이의 흡착력이 제거되어 리프트로부터 피흡착물체(80)는 탈착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when the object to be absorbed 80 is desorbed from the iron core 20, the polarity of the second permanent magnet 40 and the polarity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30 are opposite to each other.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by a power supply device (not shown) installed externally so that the magnetic flux (denoted by diagonal lines) from the N pol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30 is not passed through the object to be absorbed, the second permanent Since the magnetic flux flow (indicated by diagonal lines) entering the S pole of the magnet 40 is formed, the adsorption force between the ferromagnetic iron core 20 and the object to be absorbed 80 is removed so that the object to be absorbed 80 is detached from the lift. do.

그러나 이상에서 살펴본 종래 마그네틱 리프트에 있어서, 2개의 영구자석이 협소한 영역에서 적층되어야 하므로, 대형 리프트를 생산하는 경우에 작은 영구자석을 적층하여 조립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부피가 너무 커질 뿐 아니라, 원형 형태의 마그네틱 리프트를 구현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agnetic lift described above, since two permanent magnets should be stacked in a narrow area, it is not only difficult to assemble and stack small permanent magnets when producing a large lift, but also the volume becomes too larg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 circular magnetic lift.

또한, 격리판(50)과 상판(10)을 통하여 누설자속이 발생되어 흡착력이 손실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leakage magnetic flux is generated through the separator 50 and the upper plate 10 has a disadvantage that the adsorption force is lost.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마그네틱 리프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원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마그네틱 리프트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compensate for the abov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magnetic lift, and is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magnetic lift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can easily implement various types of magnetic lifts including a circular shape.

또한 누설되는 자속을 감소 또는 억제시켜 동일한 크기의 자석에 의해서도 보다 큰 흡착력을 생성할 수 있는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o reduce or suppress the leakage magnetic flux to provide a magneto-electromagnetic lift that can generate a larger suction force even by a magnet of the same siz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강자성체의 철심과; 상기 철심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 1 영구자석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철심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영구자석과; 상기 제 1 영구자석에 인접한 채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매개체와; 상기 제 2 영구자석의 주위에 감겨져 있는 전기코일과; 상기 전기코일에 연결되는 리드케이블을 포함하는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An iron cor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first permanent magnet dispos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iron core; A second permanent magnet loca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ron core; A medium installed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while being adjacent to the first permanent magnet; An electric coil wound arou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It provides an electro-magnetic magnetic lift comprising a lead cable connected to the electric coil.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철심은 원기둥, 사각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영구자석은 다수 분산 배치되어 있다. The iron 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square or polygonal pillar shape, the first permanent magnet is dispersed in a pluralit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철심(110)과, 상기 철심(110)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영구자석(120)과,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철심(11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제 2 영구자석(130)과, 상기 철심(110)의 주변에 위치하는 매개체(140)와, 상기 제 2 영구자석(120)을 감싸고 있는 전기코일(150) 및 외부 전력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코일(150)에 전력을 공급하는 리드케이블(160)을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리프트의 이동을 위한 이동장치가 설치된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gnetic-electromagnetic lif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electromagnetic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n iron core 11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disposed around the iron core 110,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30 formed between the housing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ron core 110, and the iron core 110 Leads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 coil 150 is connected to the medium 140 and the electric coil 150 and the external power supply (not shown) surrounding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20 located in the vicinity Cable 160. Although not shown, a moving device for moving the lift is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상기 하우징(10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에서 발생한 자속이 외부로 누설되어 흡착력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강자성체의 물질로 제조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110)은 원형 또는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인 다각형의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이 사각형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4개의 측벽마다 본 발명에 따른 영구자석이 하나 이상씩 결합될 수 있다. The housing 100 is to prevent the magnetic flux generated in the zero-electromagnetic magnetic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leak to the outside to reduce the adsorption force, preferably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To this end, the housing 110 may be assembled into a polygonal shape that is circular or preferably rectangular. For example, when the housing 110 has a rectangular shape, one or more permanent magn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every four sidewalls.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는 피흡착물체(170, 도 6 참조)가 흡착 또는 탈착 되는 철심(110)이 배치된다. 상기 철심(110)은 강자성체의 물질로서 원기둥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수직 기둥, 예를 들어 사각기둥의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철심(110)은 원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기둥 형상의 상부와, 상부에 비하여 직경이 동일하거나 다른 원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기둥 형상의 하부로 구성될 수 있다. An iron core 11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to absorb or desorb the object to be adsorbed (see FIG. 6). The iron core 110 is a ferromagnetic material having a shape of a vertical column, for example, a square column, having a cylindrical or polygonal cross section. Preferably, the iron core 110 may include an upper portion of a columnar shape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such as a circle or a square, and a lower portion of the columnar shape having a cross section of a circle or polygon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diameter than the upper portion.

한편, 상기 제 1 영구자석(120)은 상기 철심(1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데, 상술한 철심(110)이 상부와 하부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영구자석(120)은 철심(110)의 하부의 주변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구자석(120)은 상하로 N극과 S극의 극성이 양분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ron core 110, when the iron core 110 is composed of the upper and lower,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is iron core 110 It may be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bottom of the). In addition,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is preferably disposed so that the polarity of the N pole and the S pole is divided up and down.

한편, 상기 제 1 영구자석(120)과 독립적으로 제 2 영구자석(130)은 종래와 같이 제 1 영구자석(120)의 직상부에 중첩되게 위치하지 않고, 상기 철심(110)의 상부와 상기 하우징(10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따라서, 종래 제 1 영구자석과 제 2 영구자석이 중첩되게 위치함으로써 발생하는 설계 및 조립상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영구자석(120)은 상기 제 2 영구자석(130)에 비하여 보자력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dependently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30 is not positioned to overlap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as conventionally, the upper portion of the iron core 110 and the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housing (10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design and assembly difficulties caused by the overlapping position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At this time, preferably,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has a larger coercive force than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30.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철심(1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 1 영구자석(120)에 인접하여 상기 제 1 영구자석(120) 및 제 2 영구자석(130) 사이에서 형성되는 자속의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매개체(140)가 위치한다. 이 때, 상기 매개체 (140)는 강자성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영구자석(120)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flux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30 adjacent to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ron core 110. The medium 140 for performing this is located. At this time, the medium 140 is preferably a ferromagnetic material, it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이러한 구조는 대형 마그네틱 리프트의 경우, 작은 영구자석을 적층하지 아니하고 수평으로 분산 배치할 수 있어 조립이 보다 용이하고 리프트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원형형태의 마그네틱 리프트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동일한 영구자석으로 큰 흡착력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This structure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ier to assemble, reduce the volume of the lift, and can easily implement a circular magnetic lift in the case of a large magnetic lift, it can be arranged horizontally distributed without stacking small permanent magnets, The same permanent magnet can generate a large adsorption force.

즉,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보자력이 큰 제 1 영구자석(120)을 철심(110)의 주변부를 따라 배치하도록 구성하고, 제 2 영구자석(130)은 제 1 영구자석(120)과 적층되지 않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마그네틱 리프트의 이용 태양 등에 맞추어 철심(110)의 형상과 제 1 영구자석(120) 등의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having a relatively high coercive force is arrang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iron core 110,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30 is not laminated with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Since it is comprised, the shape of the iron core 110, the shape of the 1st permanent magnet 120, etc.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age aspect etc. of the magnetic lift of this invention.

도 4a 또는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영구자석(120)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4A or 4B respectively show the shap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 1 영구자석(120)을 반원형 또는 1/4원형 등의 형상을 제작하고 상기 제 1 영구자석(12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극성이 발생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반원형상의 제 1 영구자석(120)을 통하여 본원발명의 마그네틱 리프트 전체의 형상을 종래의 사각형 형상이 아니라 원형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제 1 영구자석(120)의 형상은 도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Ring 형상이 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A,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is formed in a semicircular or quarter-circle shape, and the polarity is gener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respectively. Thus, the shape of the entire magnetic lif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as a circular shape instead of a conventional rectangular shape through the semi-circular first permanent magnet 120. To this end, the shape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is illustrated in FIG. It is not limited to a semicircle as shown in 4a, but may have a ring shap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 1 영구자석(120)은 철심(110)의 주변을 따라 다수개가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반원형의 제 1 영구자석(120)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각 반원형의 제 1 영구자석(120) 2개를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first permanent magnets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tribut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iron core 110. For example, when the semi-circular first permanent magnet 120 shown in FIG. 4A is adopted, two semi-permanent first permanent magnets 12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 1 영구자석(120)은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면서 블록(block) 형태로 제작하고 그 상면과 하면에 극성이 발생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상자 형태의 마그네틱 리프트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형상의 제 1 영구자석(120)이 철심(110)의 주변을 따라 다수 분산 배치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in a block form while having a polygonal shape such as a quadrangle as shown in FIG. 4B,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polarity is generated on its upper and lower surfaces. have. This configuration makes it easy to build a magnetic lift in the form of a box as a whole. In this case, of course, the first permanent magnets 12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s 120 are distribut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iron core 110.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마그네틱 리프트의 바람직한 배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리프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Referring to the preferred arrangement of the magnetic lif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permanent magnet having a shap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5A to 5C are bottom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gnetic lif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5a는 제 1 영구자석(120)이 반원형 또는 Ring 형상을 갖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둘레에 제 1 영구자석(120)이 배치되는 철심(110)과 제 1 영구자석(120) 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매개체(140) 및 철심(110), 제 1 영구자석(120) 등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100)이 모두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영구자석(120)이 철심(110)의 둘레를 따라 다수 분산 배치될 수 있도록 각각의 영구자석은 철심의 일부분을 따라 배치되어질 수 있다. FIG. 5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has a semicircular or ring shape, and is adjacent to the iron core 110 and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in which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is disposed. The housing 100, which accommodates the medium 140, the iron core 110, and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installed therein, is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At this time, each of the permanent magnets may be disposed along a portion of the iron core so that the first permanent magnets 120 may be distributed in a plurality in the circumference of the iron core 110.

한편, 도 5b는 제 1 영구자석(120)이 주변에 형성되는 철심(110)은 전체적으로 원형을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철심(110) 등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120)은 상자형태인 마그네틱 리프트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제 1 영구자석(120)은 도 4a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반원 또는 Ring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 4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서로 독립되는 다수의 제 1 영구자석이 블록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5b is the iron core 110 is formed around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is a circular sha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o this, the housing 120 that accommodates the iron core 110 and the like inside the box The configuration of the magnetic lift in form is shown. In this case,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may have a semicircle or ring shape as shown in FIG. 4A, and a plurality of first permanent magnets independent of each other, as shown in FIG. 4B, may have a block shape. Can be configured.

또한, 도 5c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다수의 마그네틱 리프트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대략 상자 형태의 하우징(100)의 내부에 각각 원기둥 형상을 갖는 각각의 철심(110)둘레에 제 1 영구자석(미도시)과 매개체(140)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각각의 철심(110) 둘레에 배치되는 제 1 영구자석(미도시)은 반원 또는 Ring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사각형 형상의 제 1 영구자석이 분산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Figure 5c shows a plurality of magnetic lifts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That is, the first permanent magnet (not shown) and the mediator 140 are disposed around each of the iron cores 110 each having a cylindrical shape in the housing 100 having a box shape. In this case, the first permanent magnet (not shown) disposed around each iron core 110 may have a semicircle or ring shape, but preferably, as shown in FIG. 1 Permanent magnets can be distributedly arranged.

도면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에서 기술된 마그네틱 리프트 형상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 리프트는 하우징(100) 및 철심(110)의 형태에 따라 저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으며, 측벽의 형상이나 개수도 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자 형태의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철심(110)이 사각기둥의 형태를 가지며, 사각기둥의 각 수직면을 따라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 1 영구자석이 다수 분산 배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rough the drawings, the magnetic lift shape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magnetic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bottom surfac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ousing 100 and the iron core 110. Of course, the shape or number of the side walls may also vary accordingly. For example, the iron core 110 installed in the box-shaped housing 100 has a square pillar shape, and a plurality of first permanent magnets as shown in FIG. 4B are distributed along each vertical surface of the square pillar. It can have

상기에서 기술된 것과 구성을 통하여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고 전체적으로 원형형태 및 상자 형태의 마그네틱 리프트를 구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 리프트의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easy to assembl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agnetic lift in the form of a circular shape and a box as a whole, looking at the principle of the magnetic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의 흡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철심(110)의 둘레에 배치된 제 1 영구자석(120)의 극성과 철심(110)과 하우징(100)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영구자석(130)의 극성을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외부에 설치된 전력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해 제 2 영구자석(130) 둘레에 감겨져 있는 전기코일(140)에 전기를 공급하면 제 1 영구자석(120)에 의해 발생된 자속(Φ1)과 제 2 영구자석(130)에 의해 발생된 자속(Φ2)은 사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은 자속 흐름을 형성하며 흡착하고자 하는 피흡착물체(170)를 통하여 흐르게 되어 피흡착물체(170)가 리프트에 흡착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adsorption of the magnetic and electronic magnetic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ty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disposed around the iron core 110, the iron core 110 and the housing On the electric coil 140 wound arou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30 by a power supply device (not shown) installed outside to maintain the same polarity of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30 positioned between the (100).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the magnetic flux Φ1 generated by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and the magnetic flux Φ2 generated by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30 form a magnetic flux flow as indicated by diagonal lines, The adsorption object 170 flows through the object to be adsorbed to the lift.

흡착력이 발생된 이후, 외부에 설치된 전력공급장치(미도시)의 전력을 차단하다라도 제 2 영구자석(130)의 극성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제 1 영구자석(120) 및 제 2 영구자석(130)에 의한 리프트와 피흡착물체(170) 사이의 흡착력은 유지된다.After the adsorption force is generated, since the polarity of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30 is maintained even if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device (not shown) installed outside is maintained,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 Adsorption force between the lift by 130 and the object to be adsorbed is maintain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의 탈착 원리를 설명하는 것으로, 철심(110)의 둘레에에 배치된 제 1 영구자석(120)의 극성과 철심(110)의 상면에 위치한 제 2 영구자석(130)의 극성이 반대가 되도록 외부에 설치된 전력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해 제 2 영구자석(130) 둘레에 감겨져 있는 전기코일(140)에 전기를 공급하면 제 1 영구자석(120)의 N극에서 나온 자속(Φ)은 피흡착물체(170)를 통하지 아니하고 제 2 영구자석(130)의 S극으로 들어가는 자속 흐름(사선으로 표시)을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강자성체 철심(110)과 피흡착물체(170) 사이의 흡착력이 제거되어 리프트로부터 피흡착물체(170)는 탈착되게 된다.FIG. 7 illustrates the principle of desorption of the magnetic / electromagnetic lif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polarity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disposed around the iron core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ron core 110 are shown. When the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electric coil 140 wound arou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30 by an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not shown) so that the polarity of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30 located is reversed. The magnetic flux Φ from the N pole of the magnet 120 forms a magnetic flux flow (indicated by a diagonal line) entering the S pole of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3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object to be absorbed (170). The adsorption force between 110 and the object to be adsorbed is removed to detach the object to be adsorbed from the lif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의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변형과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된다는 점은 첨부하는 청구의 범위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Rath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readily made. However, it will be more apparent through the appended claims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의 경우, 원형 및 상자형태로의 제작이 용이하고, 누설자속을 제거하여 보다 큰 흡착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하나의 영구자석을 보다 작게 분할하여 분산 배치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zero-electromagnetic magnetic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manufacture in the form of a circle and a box,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larger suction force by removing the leakage magnetic flux, and further divided one permanent magnet smaller Can be assembled more easily by dispersing.

또한 피흡착물체를 흡착 또는 탈착하는 순간에만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전기에너지 소비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전력공급장치 또는 전력계통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장치 없이 피흡착물체를 흡착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power is supplied only at the moment of adsorbing or desorbing the object to be absorbed,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reduce the electric energy consump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Claims (3)

하우징과;A 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강자성체의 철심과;An iron cor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disposed inside the housing; 상기 철심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 1 영구자석과;A first permanent magnet dispos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iron core; 상기 하우징과 상기 철심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영구자석과;A second permanent magnet loca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ron core; 상기 제 1 영구자석에 인접한 채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매개체와;A medium installed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while being adjacent to the first permanent magnet; 상기 제 2 영구자석의 주위에 감겨져 있는 전기코일과;An electric coil wound arou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상기 전기코일에 연결되는 리드케이블을 포함하는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 An electromagnet magnetic lift comprising a lead cable connected to the electric coil.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 1 영구자석(120) 및 제 2 영구자석(130)은 원형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The first permanent magnet (120)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30) is an electro-magnetic lift,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lar shape.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 1 영구자석은 상기 철심의 둘레를 따라 다수 분산 배치되는 것을 특 징으로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agnets are magnetically and electromagnetically lifted,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ispersing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re.
KR1020050012739A 2005-02-16 2005-02-16 Electro-Permanent Magnetic Lift KR1006220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739A KR100622057B1 (en) 2005-02-16 2005-02-16 Electro-Permanent Magnetic Li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739A KR100622057B1 (en) 2005-02-16 2005-02-16 Electro-Permanent Magnetic Lif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946A true KR20060091946A (en) 2006-08-22
KR100622057B1 KR100622057B1 (en) 2006-09-14

Family

ID=37593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739A KR100622057B1 (en) 2005-02-16 2005-02-16 Electro-Permanent Magnetic Lif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05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851B1 (en) * 2006-09-27 2007-08-28 한영기 Electromagnetic chuck of cargo crane
KR101352968B1 (en) * 2012-09-05 2014-01-21 최규철 Lifting magnet system
CN107514184A (en) * 2016-06-17 2017-12-26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Dumbbell shape electricity permanent magnetism locking device
WO2021020827A1 (en) * 2019-07-26 2021-02-04 한국전기연구원 Magnetic lift device having magnetic-field adjusting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063A1 (en) * 2017-10-26 2019-05-02 (주)유엔디 Dc-driven magnetic lift
KR102193818B1 (en) 2018-12-07 2020-12-22 주식회사 상영마그네트 Smart magnet lif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863B2 (en) 1990-07-23 2000-04-24 カネテック株式会社 Magnetic fixing device
JP2001502852A (en) * 1997-08-04 2001-02-27 ライルフィクス エンヴェー Electromagnetic permanent magnet system type hoist with safety device
KR100406432B1 (en) * 2001-12-22 2003-11-1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A coil lifter using a permanent magne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851B1 (en) * 2006-09-27 2007-08-28 한영기 Electromagnetic chuck of cargo crane
KR101352968B1 (en) * 2012-09-05 2014-01-21 최규철 Lifting magnet system
CN107514184A (en) * 2016-06-17 2017-12-26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Dumbbell shape electricity permanent magnetism locking device
WO2021020827A1 (en) * 2019-07-26 2021-02-04 한국전기연구원 Magnetic lift device having magnetic-field adjust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057B1 (en)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057B1 (en) Electro-Permanent Magnetic Lift
KR102313077B1 (en) Electromagnet Switchable Permanent Magnet Device
US20130135067A1 (en) Magnet substance holder including a combination of a permanent magnet and an electromagnet
US11641152B2 (en) Vibration motor with elastic connector shaft holding pole plate with magnets moving in at least two directions and coils on housing walls
KR101125280B1 (en) Magnetic substance holding device combining permanent magnet with electromagnet
CN101941478A (en) Electromagnetic-permanent magnetic double-exciting sucking mechanism for wall-climbing robots
JP2018032851A (en) Resonant high current density transformer
KR100568121B1 (en) Electro-permanent magnet
KR100691826B1 (en) Electro-Permanent Magnetic Filter
KR200383711Y1 (en) Electro-Permanent Complex Magnetic Lift
CN103021689A (en) Electromagnetic driver
KR100624740B1 (en) Lifting magnet
KR100379707B1 (en) Magnetic lift
KR100406432B1 (en) A coil lifter using a permanent magnet
KR20060091947A (en) Electro-permanent complex magnetic lift
JP5400014B2 (en) Self-holding solenoid
JP2007217119A (en) Lifting magnet
WO2007089240A1 (en) A voice coil actuator having a flux guide at both ends
JP2017213650A (en) Permanent electromagnetic type magnetic attraction device
KR101160087B1 (en) magnetic lifter using a hybrid magnet
KR20020035934A (en) Magnetic lift
JP4874703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
JP2530842B2 (en) Permanent magnet type electromagnetic chuck
WO2012100379A1 (en) Magnetic-variation type electrical permanent-magnetic chuck
KR101182849B1 (en) Magnetic substance holding device combining permanent magnet with electromag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