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832A -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832A
KR20060091832A KR1020050012536A KR20050012536A KR20060091832A KR 20060091832 A KR20060091832 A KR 20060091832A KR 1020050012536 A KR1020050012536 A KR 1020050012536A KR 20050012536 A KR20050012536 A KR 20050012536A KR 20060091832 A KR20060091832 A KR 20060091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mart tag
carrier
charging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7234B1 (ko
Inventor
김진영
임창준
백문홍
백승호
박재한
이상원
이호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12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2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1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8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rubber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태그의 배터리가 소모되었을 경우 별도의 접촉 장치를 부착하지 않고 근거리 내에서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RF 캐리어를 이용하여 스마트태그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태그의 배터리를 RF 캐리어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비접촉식 무선 충전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태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와, 외부에서 발생한 RF 캐리어의 송수신을 위한 RF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RF 캐리어를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로 구성되되, 상기 변환부는 수신된 RF 캐리어의 신호에 의해 그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계 발생 코일과, 상기 자계 발생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 변화에 따라 유도전류가 발생하는 유도 코일과, 상기 유도 코일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를 직류로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를 포함하여, 외부에서 발생시킨 RF 캐리어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충전식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스마트태그의 수명을 늘리고 비접촉식으로 보다 간편하게 스마트태그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태그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스마트태그, 배터리, 충전, RF 캐리어, 무선 전원 공급 장치

Description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Wireless power supply for batter charge of smart-tag}
도 1 은 본 발명인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인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의 내부 회로도,
도 3 은 본 발명인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4 는 본 발명인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의 제어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RF 캐리어 발생장치 (20): 스마트태그
(30): 변환부 (31): 자계 발생 코일
(32): 유도 코일 (40): 정류부
(41): 정류 다이오드 (42): 제너 다이오드
(43): 커패시터 (50): 충전식 배터리
(60): 안테나 (70): 스마트태그 삽입 물체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태그의 배터리가 소모되었을 경우 별도의 접촉 장치를 부착하지 않고 근거리 내에서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RF 캐리어를 이용하여 스마트태그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스마트태그 시스템의 핵심인 RF 태그는 내부에 전지 포함 유무에 따라, 전지 없이 판독기의 신호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수동식 태그와 전지가 포함된 능동식 태그로 나눌 수 있다.
수동식 태그는 위치 및 고유 번호(ID) 정보가 바코드, 단순한 숫자, RF IC 칩 방식으로 표현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에 부착된 바코드 스캐너 기능을 사용하여 태그를 직접 스캔 하거나 숫자를 직접 단말기에 입력하거나 아니면 RF IC 칩을 인식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능동식 태그는 수동식 태그와는 달리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의사 GPS 신호, 불루투스 신호, 적외선 신호, 단말기 통신 신호 등과 같은 신호를 사용하여 태그의 위치 및 고유 번호(ID) 정보를 단말기에 송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능동식 태그는 전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는데, 태그 내부에 충전모듈이 없어 배터리의 전원을 다 소진할 경우 다른 태그로 교체하는 방법 외에는 특별한 대체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스마트태그 내부에 충전식 배터리 및 충전모듈을 삽입하고, 외부에서 발생시킨 RF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기 RF 캐리어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스마트태그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태그의 비접촉 무선 충전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태그의 배터리를 RF 캐리어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비접촉식 무선 충전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태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와, 외부에서 발생한 RF 캐리어의 송수신을 위한 RF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RF 캐리어를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로 구성되되, 상기 변환부는 수신된 RF 캐리어의 신호에 의해 그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계 발생 코일과, 상기 자계 발생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 변화에 따라 유도전류가 발생하는 유도 코일과, 상기 유도 코일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를 직류로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를 포함하여, 외부에서 발생시킨 RF 캐리어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충전식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스마트태그의 수명을 늘리고 비접촉식으로 보다 간편하게 스마트태그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 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인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인 스마트태그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의 내부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태그(20)의 내부에는 충전식 배터리(50)가 장착되어 있으며, RF 캐리어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60)와 상기 안테나(60)로부터 수신된 RF 캐리어를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변환부(30)는 수신된 RF 캐리어의 신호에 의해 그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계 발생 코일(31)과, 상기 자계 발생 코일(3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 변화에 따라 유도전류가 발생하는 유도 코일(32)과, 상기 유도 코일(32)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를 직류로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RF 태그의 배터리 잔량은 서버와의 교신을 통하여 감지하고, 충전이 필요한 경우 무선 전원 공급 장치를 가동하여 RF 캐리어를 발생시켜 RF 태그로 송신하고, RF 태그의 안테나(60)가 이를 송신하여 변환부(30)로 보낸다.
상기 변환부(30)의 자계 발생 코일(31)은 수신된 RF 캐리어의 고주파 신호를 사용하여 그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유도 코일(32)은 상기 자계 발생 코일(3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유도 전류를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유도 전류는 정류부(40)에 의해 일정한 전압을 갖는 직류로 정류하여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정류부(40)는 상기 유도 코일(32)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 다이오드(41)와, 상기 정류부(4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하면서 상기 유도 코일(32)을 통하여 인입될 수 있는 과전압을 차단하는 제너 다이오드(42)와, 상기 정류 다이오드(41)에서 정류된 전류를 평활 시켜주는 커패시터(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는 스마트태그가 물체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로써, 물체에 내장되어 있어도 RF 캐리어를 사용하여 스마트태그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4 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RF 태그의 배터리의 잔량이 적음을 서버가 감지하여 충전의 필요가 있을 때 RF 캐리어 발생장치를 가동하여 RF 캐리어를 송신(S1)하고, 스마트태그의 안테나가 이를 수신(S2)하여 변환부로 이동한 후 변환부가 가동(S3)되어 상기 RF 캐리어를 이용하여 전류를 발생키고 정류시켜 배터리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RF 태그의 배터리가 충전(S4)되게 되고, 충전이 다 되었음을 RF 태그와의 교신을 통해 확인(S5)한 후 무선 전원 공급 장치의 가동을 중단(S6)하고 충전을 종료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 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충전 시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스마트 태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장치가 외부에 노출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전기 접점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실수로 접점이 서로 전기적으로 쇼트 되어 스마트 태그의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그 물체의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스마트태그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태그(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50)와, 외부에서 발생한 RF 캐리어의 수신을 위한 RF 수신 안테나(60)와, 상기 수신된 RF 캐리어를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부(30)로 구성되고, 외부에서 발생시킨 RF 캐리어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충전식 배터리(50)를 충전함으로써 스마트태그(20)의 수명을 늘리고 비접촉식으로 보다 간편하게 스마트태그(20)의 배터리(50)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변환부(30)는 수신된 RF 캐리어의 신호에 의해 그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계 발생 코일(31)과, 상기 자계 발생 코일(3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 변화에 따라 유도전류가 발생하는 유도 코일(32)과, 상기 유도 코일(32)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를 직류로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정류부(40)는 상기 유도 코일(32)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 다이오드(41)와, 상기 정류부(4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하면서 상기 유도 코일(32)을 통하여 인입될 수 있는 과전압을 차단하는 제너 다이오드(42)와, 상기 정류 다이오드(41)에서 정류된 전류를 평활 시켜주는 커패시터(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
KR1020050012536A 2005-02-16 2005-02-16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 KR100707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536A KR100707234B1 (ko) 2005-02-16 2005-02-16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536A KR100707234B1 (ko) 2005-02-16 2005-02-16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832A true KR20060091832A (ko) 2006-08-22
KR100707234B1 KR100707234B1 (ko) 2007-04-13

Family

ID=3759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536A KR100707234B1 (ko) 2005-02-16 2005-02-16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23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841B1 (ko) * 2007-11-15 2008-06-03 쓰리에이로직스(주) 전원 전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nfc 장치와 그 방법
KR100867405B1 (ko) * 2007-02-09 2008-11-06 (주)애니쿼터스 Rfid 리더기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배터리 충전 장치
WO2013172498A1 (ko) * 2012-05-18 2013-11-21 (주) 텔트론 초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물체 검출 센서
KR20180028649A (ko) * 2016-09-09 2018-03-19 (주)다인인더스 스마트태그를 이용한 방문자 관리시스템
WO2022035196A1 (ko) * 2020-08-12 2022-02-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50494B1 (ko) * 2022-11-08 2023-07-04 남경테크 주식회사 전기공급장치의 활선상태에서 열화를 진단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604B1 (ko) 2022-07-07 2023-02-14 주식회사 위너제이비텍 스마트택 이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877A (ko) * 1998-11-26 2000-06-15 전주범 이중 안테나 및 배터리가 내장된 스마트 카드
KR100474473B1 (ko) * 2002-11-08 2005-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능동형 비접촉 식별장치
JP2004192999A (ja) 2002-12-12 2004-07-08 Denso Wave Inc 二次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DE10304824A1 (de) 2003-01-31 2004-08-12 Varta Microbattery Gmbh Dünne elektronische Chipkart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405B1 (ko) * 2007-02-09 2008-11-06 (주)애니쿼터스 Rfid 리더기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배터리 충전 장치
KR100834841B1 (ko) * 2007-11-15 2008-06-03 쓰리에이로직스(주) 전원 전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nfc 장치와 그 방법
WO2013172498A1 (ko) * 2012-05-18 2013-11-21 (주) 텔트론 초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물체 검출 센서
KR20180028649A (ko) * 2016-09-09 2018-03-19 (주)다인인더스 스마트태그를 이용한 방문자 관리시스템
WO2022035196A1 (ko) * 2020-08-12 2022-02-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50494B1 (ko) * 2022-11-08 2023-07-04 남경테크 주식회사 전기공급장치의 활선상태에서 열화를 진단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7234B1 (ko) 200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323B1 (ko)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무선 전력 공급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8129942B2 (en) Contactless charging method for charging battery
KR100707234B1 (ko) 배터리 충전을 위한 무선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태그 장치
US9843196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in home appliances
KR100792308B1 (ko) 코일 어레이를 구비한 무접점 충전장치, 무접점 충전시스템 및 충전 방법
US20180301936A1 (en) Multi-coil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device and system therefor
US20180287413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lignment guiding method and device and system for same
KR101882800B1 (ko)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22764B1 (ko) 무선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CN102239619A (zh) 电力系统
KR20160019281A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318688B1 (ko) 무선 충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H11266545A (ja) 携帯型非接触給電装置
KR20170065236A (ko) 무선 충전 장치, 그의 무선 전력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30020437A (ko)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KR200415537Y1 (ko) 유선 충전부를 구비하는 무접점 충전장치
CN108574343A (zh) 非接触式电力传输装置及非接触式送电装置
JP2016059115A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CN111742323A (zh) 通过射频识别rfid和rfid系统来无线地供应能量的方法
KR20070088423A (ko) 무선 충전장치를 갖는 능동형 무선 데이터 저장장치
KR101744586B1 (ko) 복수의 무선 충전 방식들을 지원하는 무선 충전 전력 수신 장치
KR100989587B1 (ko) 비접촉 무선 전원 공급 및 rf 인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과 이의 무선 전원 공급 및 rf 인증 방법
KR20070074719A (ko) 충전 회로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무접점 충전장치
CN111667036A (zh) 电子标签远程空中无线充电的方法及充电系统和电子标签
KR20040098819A (ko) 무선 전원 공급장치 및 무선 전원 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