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563A - Mobile terminal capable of summary providing of moving image and summary providing method using it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capable of summary providing of moving image and summary providing method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563A
KR20060091563A KR1020050012514A KR20050012514A KR20060091563A KR 20060091563 A KR20060091563 A KR 20060091563A KR 1020050012514 A KR1020050012514 A KR 1020050012514A KR 20050012514 A KR20050012514 A KR 20050012514A KR 20060091563 A KR20060091563 A KR 20060091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lip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81017B1 (en
Inventor
한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2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017B1/en
Priority to CNB2005101126008A priority patent/CN100399804C/en
Publication of KR20060091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5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0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7Orientating, locating, transpor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의 요약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요약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통계적으로 분석한 선호도에 의해 알고리즘화된 동영상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동영상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동영상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특정 장면들만을 추출하고, 동영상 클립으로 요약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영상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summary of a video and a method of providing a summary using the same, to provide a video clip algorithmized by a statistically analyzed preferenc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ccordingl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video display function, a user needs by extracting only specific scenes preferred by a user from a video inpu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ing the summary as a video clip, and selectively providing them as necessary. The video information can be obtained more quickly.

이동통신 단말기, 동영상, 특징추출, 동영상 클립, 동영상 분할 Mobile terminal, video, feature extraction, video clip, video segmentation

Description

동영상의 요약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요약 제공 방법{MOBILE TERMINAL CAPABLE OF SUMMARY PROVIDING OF MOVING IMAGE AND SUMMARY PROVIDING METHOD USING IT}MOBILE TERMINAL CAPABLE OF SUMMARY PROVIDING OF MOVING IMAGE AND SUMMARY PROVIDING METHOD USING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의 요약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summary of a vide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요약 제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summary providing proces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동영상에서 컨텐츠 의미를 가지는 이벤트나 특정 장면에 대한 비디오 클립들로 세그먼트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gmenting into video clips of an event or a specific scene having content meaning in a vide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이동통신 단말기 11 : 동영상 수신부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video receiving unit

12 : 동영상 저장부 13 : 특징 추출부12: video storage unit 13: feature extraction unit

14 : 동영상 분할부 15 : 동영상 클립 저장부14: video divider 15: video clip storage

16 : 표시부16 display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동영상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특정 부분만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동영상의 요약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요약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summary of a video provided by extracting only a specific portion preferred by a user from a video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ummary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하며 통화를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개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급증하고, 사회 전반에 걸쳐 정보화가 이루어지면서 사용자마다 요구하는 정보의 양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와 더불어 정보통신 분야의 기술도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차세대 이동통신 방법인 IMT-2000이라는 새로운 이동통신기술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차세대 이동통신에서는 가입자의 정보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이러한 상황 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입자간 화상통신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fers to a device in which a user moves and performs a call.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developed for this purpose are rapidly increasing in users and informatization is being carried out throughout society, the amount of information required by each user is increasing. Along with these trends, technology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ield is rapidly developing, and new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called IMT-2000 is being actively developed. In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much effort is being made to satisfy subscribers' information needs, and under such circumstance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to accommodate video communication between subscribers.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순한 정보의 전송 뿐만 아니라 더 많은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해주기를 원하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조하는 회사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더 많은 부가 기능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동영상 서비스들을 사용자의 관심사항이나 기호에 관계없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장면들까지 시청해야 함으로 시간낭비의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users using a mobile terminal want to provide not only simple information transmission but also additional function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result, companies that manufacture man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trying to enable the use of more additional function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t this point, the video services provided to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vided regardless of the user's interests or preferences, so that the user does not want to watch the scenes.

이에,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동영상 서비스들을 사용자 취 향에 맞게 특정 영상만을 추출하여 시청하기를 원하고 있다. Accordingly, users want to extract and view only specific images according to user's preference for video services provid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특정 장면만을 추출하여 분할 제공함으로써 필요로하는 영상만을 짧은 시간안에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의 요약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요약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tract only a specific scene according to a user preference and to provide video data provid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hort tim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summary of a video for viewing and a method of providing a summary using the same are provided.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동영상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동영상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특정 장면들만을 추출하고, 동영상 클립으로 요약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video display function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favorite specific scenes are extracted from the video inpu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d as a video clip and selectively stored as necessar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상기 입력된 동영상을 클립으로 요약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동영상의 비디오 특징들을 추출하여 동영상을 의미 특징으로 세그먼트하는 특징 추출부와, 상기 특징 추출부에서 추출된 의미 특징이 설정된 알고리즘 임계값을 만족하면, 추출된 의미 특징에 인접한 프레임을 분할하거나 병합하여 동영상 클립을 형성하는 동영상 분할부 및 상기 동영상 분할부에서 형성된 동영상 클립을 저장하는 동영상 클립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mmarizing the input video into a clip may extract a video feature of the video and segment the video into a semantic feature, and if the semantic feature extracted from the feature extractor satisfies a set algorithm threshold. And a video segmentation unit for partitioning or merging frames adjacent to the extracted semantic feature to form a video clip, and a video clip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video clip formed by the video segmentation unit.

상기 특징 추출부는 상기 동영상에서 모션 강도, HSV 칼라 정보 또는 균질 질감으로부터 비디오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비디오 특징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이 벤트나 장면으로 세크먼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eature extractor extracts a video feature from the motion intensity, HSV color information, or homogeneous texture in the video, and segments the video into an event or a scene by using the video featur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동영상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요약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동영상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특정 장면들만을 추출하고, 동영상 클립으로 요약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video summary provid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video display function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ing only the specific scenes that the user prefers from the video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storing the summary selectively provided as neede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동영상을 클립으로 요약 제공하는 방법은, (a) 입력된 동영상의 비디오 특징들을 추출하여 동영상을 의미 특징으로 세그먼트하는 단계와, (b) 상기 추출된 의미 특징이 설정된 알고리즘 임계값을 만족하면, 추출된 의미 특징에 인접한 프레임을 분할하거나 또는 병합하여 동영상 클립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형성된 동영상 클립을 저장하여 추출된 특정 부분만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The method for summarizing a video inpu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a clip may include: (a) extracting video features of the input video and segmenting the video into a semantic feature; and (b) an algorithm in which the extracted semantic feature is set. If the threshold value is satisfied, the method includes dividing or merging a frame adjacent to the extracted semantic feature to form a video clip, and (c) storing the formed video clip and displaying only the extracted specific part.

상기 (a)단계는 입력된 동영상의 모션 강도, HSV 칼라 정보 또는 균질 질감으로부터 비디오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비디오 특징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이벤트나 장면으로 세크먼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ep (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deo feature is extracted from the motion intensity, HSV color information or homogeneous texture of the input video, and the video is segmented into an event or scene using the video feature.

이에, 사용자는 빠른 시간안에 동영상 주요장면을 시청하여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Thus, the user can easily obtain the necessary information by watching the video major scene in a short tim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요약 저장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ummarizing and storing a video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orage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의 요약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summary of a vide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의 요약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동영상 수신부(11), 동영상 저장부(12), 특징 추출부(13), 동영상 분할부(14), 동영상 클립 저장부(15), 표시부(16)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apable of providing a summary of a video includes a video receiver 11, a video storage 12, a feature extractor 13, a video divider 14, and a video clip. It consists of the storage part 15 and the display part 16. As shown in FIG.

동영상 수신부(11)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 등의 동영상을 수신하여 동영상 저장부(12)에 저장하거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수신된 동영상을 제공한다.The video receiving unit 11 receives a video such as broadcast content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stores the video in the video storage unit 12 or provides the received video in real time to the us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특징 추출부(13)는 오디오 및 비주얼 하위 레벨의 특징값들을 이용하여 동영상 컨텐츠의 의미 특징, 즉 이벤트나 장면을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하고 추출한다. 또한, 추출된 이벤트나 장면에 대한 서술 내용 및 키워드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스포츠 장르의 컨텐츠의 경우, 축구 경기의 슛 장면, 골인 장면, 패널티 킥 장면, 하이라이트 장면 등에 대해서 세그먼테이션하고 각 장면의 타이틀, 참여되는 선수 이름 등의 서술은 포함할 수 있다.The feature extractor 13 segments and extracts a semantic feature of the video content, that is, an event or a scene, by using feature values of audio and visual lower levels. In addition, the description content and keyword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event or scene are includ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ontent of the sports genre, a shot scene, a goal shot scene, a penalty kick scene, a highlight scene, and the like of a soccer game may be segmented, and description of the title of each scene, the name of a participating player,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여기서, 의미 특징이란 동영상 컨텐츠의 상위 레벨 의미들, 즉 사람의 인식에 의해 구분지어지는 동영상 컨텐츠가 지니고 있는 특정 이벤트 및 장면 비디오 클립을 의미한다.Here, the semantic feature means a specific event and scene video clip that has high level meanings of the moving image content, that is, moving image contents classified by human recognition.

동영상 분할부(14)는 특징 추출부(13)에서 추출된 의미 특징이 설정된 알고리즘 임계값을 만족하면, 추출된 의미 특징에 인접한 프레임을 분할하거나 병합하여 동영상 클립을 형성한다.If the semantic feature extracted by the feature extractor 13 satisfies the set algorithm threshold, the video dividing unit 14 divides or merges a frame adjacent to the extracted semantic feature to form a video clip.

동영상 클립 저장부(15)는 동영상 분할부(14)에 의해 요약 편집된 동영상을 저장한다.The video clip storage unit 15 stores the video summarized and edited by the video segmentation unit 14.

표시부(16)는 동영상 클립 저장부(15)에 요약되어 저장된 동영상 클립을 디스플레이 한다.The display unit 16 displays the video clip summarized and stored in the video clip storage unit 15.

이에,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영상만을 짧은 시간안에 시청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사용자(시청자)들이 선호하는 일반적인 이벤트나 장면들을 선택하여 제공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동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watch only the necessary video in a short time, thereby saving time, and by selecting and providing general events or scenes preferred by the user (viewer), the user can easily acquire the video information.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요약 제공 방법은, (a) 입력된 동영상의 비디오 특징들을 추출하여 동영상을 의미 특징으로 세그먼트하는 단계와, (b) 상기 추출된 의미 특징이 설정된 알고리즘 임계값을 만족하면, 추출된 의미 특징에 인접한 프레임을 분할하거나 또는 병합하여 동영상 클립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형성된 동영상 클립을 저장하여 추출된 특정 부분만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The video summary provid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cludes the steps of: (a) extracting video features of the input video and segmenting the video into a semantic feature; and (b) an algorithm threshold for setting the extracted semantic feature. If satisfied, the method comprises splitting or merging a frame adjacent to the extracted semantic feature to form a video clip, and (c) storing the formed video clip to display only the extracted specific par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in this way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S100)되는 동영상을 동영상 저장부(12)에 저장하거나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동영상을 특징 추출부(13)를 통해 의미 특징 세그먼트 한다(S110). As shown 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video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S100) in the video storage unit 12 or segments the video received in real time through the feature extractor 13. (S110).

여기서, 특징 추출부(13)는 입력된 동영상의 모션 강도, HSV 칼라 정보 또는 균질 질감으로부터 비디오 특징을 추출하고, 비디오 특징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이벤트나 장면으로 세그먼트한다.Here, the feature extractor 13 extracts a video feature from the input motion intensity, HSV color information, or homogeneous texture of the input video, and segments the video into an event or a scene using the video feature.

이 후, 동영상 분할부(14)에서는 특징 추출부(13)에서 추출된 의미 특징이 설정된 알고리즘 임계값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한다(S120). 설정된 알고리즘 값은 일 반적인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통해서 판단하는 항목들 동영상의 컨텐츠 장르, 타이틀, 시간, 주인공, 주요장면이다.Thereafter, the video segmentation unit 14 determines whether the semantic feature extracted by the feature extractor 13 satisfies the set algorithm threshold value (S120). The set algorithm value is the content genre, title, time, main character, and main scene of items that are judged through general user preference information.

그런 다음, 이렇게 추출된 의미 특징에 인접한 프레임을 분할하거나 또는 병합하여 동영상 클립을 형성하고(S130), 동영상 클립 저장부(15)에 저장한다(S140). 이 후, 요약 저장된 동영상 클립을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 한다.Then, a frame adjacent to the extracted semantic feature is thus divided or merged to form a video clip (S130), and stored in the video clip storage unit 15 (S140). Thereafter, the summary stored video cli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

이러한, 특징 추출부(13) 및 동영상 분할부(14)를 통해 동영상의 특징을 추출하는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method of extracting the feature of the video through the feature extractor 13 and the video divider 1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동영상에서 컨텐츠 의미를 가지는 이벤트나 특정 장면에 대한 비디오 클립들로 세그먼트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gmenting into video clips of an event or a specific scene having content meaning in a vide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특징 추출부(13)는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비디오 요약을 생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컨텐츠들에 대한 의미 특징들을 추출한다. 먼저, 동영상 컨텐츠가 입력되면(S200) 전체 컨텐츠에 대해서 V프레임을 검출한다(이에 따른 식은 일반적인 것으로 생략한다.)(S210). 그런 다음, 프레임을 검출하여 인접한 두개의 프레임간의 특징값들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이면 샷 변이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한다.As shown in FIG. 3, the feature extractor 1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generally extracts semantic features for each content to generate a video summary that meets the needs of users. First, when the video content is input (S200), the V frame is detected for the entire content (expression according to this is omitted as general) (S210). Then, if the frame is detect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eature values between two adjacent fram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shot transition has occurred.

그런 다음, 프렘임 단위로 장면이나 이벤트를 분류하기 위해서 각 프렘임들의 하위레벨의 오디오 및 비주얼 특징을 추출한다(S220). 추출하는 오디오 특징은 기본 주파수(fundamental frequency), 오디오 파워(audio power), 오디오 스펙트럼 편차(audio spectrum deviation), 하모닉 스펙트럼 중심값(harmonic spectrum centroid), 하모닉 스펙트럼 편차값(harmonic spectrum deviation) 이다. 추출하는 비주얼 특징은 모션 강도(motion activity), HSV 칼라정보(HSV color), 균질(homogeneous texture), 그리고 카메라 모션(camera motion)값이 된다.Then, in order to classify scenes or events in frames, audio and visual features of lower levels of frames are extracted (S220). The extracted audio features are fundamental frequency, audio power, audio spectrum deviation, harmonic spectrum centroid, and harmonic spectrum deviation. The visual features to be extracted are motion activity, HSV color information, homogeneous texture, and camera motion values.

오디오 특징값을 기반으로 연속되는 프레임들 중 유사한 오디오 특징값들을 갖는 프렘임들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통합한다.Based on the audio feature values, frames having similar audio feature values among successive frames are integrated into one frame.

인접한 프레임들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통합하는 식은 일반적인 것으로 생략한다.The formula for concatenating adjacent frames into one frame is generally omitted.

이렇게 인접 프레임들 간에 오디오 특징값의 차이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하나의 프레임으로 보고 병합한다. 즉, 인접한 두 프레임간에 오디오 특징값의 차이가 일정값 이하이면 두 프레임간의 유사한 오디오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두 프레임을 하나의 이벤트나 장면으로 규정하여 하나의 프레임으로 병합한다(S230).When the difference in audio feature values between adjacent fram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hey are viewed and merged into one frame. That is, when the difference in audio feature values between two adjacent frames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audio information has similar audio information between the two frames, and the two frames are defined as one event or scene and merged into one frame (S230).

동영상의 장르 종류와 추출된 프레임의 길이 정보와 하위레벨의 오디오 및 비주얼 특징을 입력으로 하여 컨텐츠 기반의 분류기(classifier)를 통해 각 프레임들이 해당되는 이벤트나 장면들을 검출하고, 컨텐츠 기반의 분류기는 각 장르마다 다른 이벤트나 장면을 검출한다. 각 분류기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나 장면들에 대해서 특징값을 지니고 있어, 입력된 특징 값들과 유클리안 거리 측정을 통해서 가장 가까운 이벤트나 장면으로 검출된다.By inputting genre type of video, length information of extracted frame, audio and visual features of lower level, input event and scenes corresponding to each frame through content-based classifier, and content-based classifier Detect different events or scenes by genre. Each classifier has feature values for preset events or scenes, and the classifiers are detected as the closest event or scene through the Euclidean distance measurement with the input feature values.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신된 동영상에 대한 특징들을 출력하여 동영상 클립을 형성한 후, 동영상 클립 저장부에 저장한다(S240).After outputting the features of the received video through this process to form a video clip, and stored in the video clip storage unit (S240).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을 요약하여 제공함으로써 신속하게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시간 절약의 효과가 있다.As such, by providing a summary of the video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quickly obtain the image information, thereby saving tim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을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위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동영상을 사용자가 선호하는 이벤트나 장면들만을 추출하여 제공함으로 보다 신속하게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image information more quickly by extracting and providing only the event or scenes that the user prefers the video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6)

동영상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video display functio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동영상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특정 장면들만을 추출하고, 동영상 클립으로 요약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동영상의 요약 제공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summary of a video, which extracts only specific scenes preferred by a user from a video inpu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s the summary as a video clip and selectively provides the video as necessary.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된 동영상을 클립으로 요약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mmarizing the input video into a clip 상기 동영상의 비디오 특징들을 추출하여 동영상을 의미 특징으로 세그먼트하는 특징 추출부;A feature extractor which extracts video features of the video and segments the video into semantic features; 상기 특징 추출부에서 추출된 의미 특징이 설정된 알고리즘 임계값을 만족하면, 추출된 의미 특징에 인접한 프레임을 분할하거나 병합하여 동영상 클립을 형성하는 동영상 분할부; 및A moving picture dividing unit for dividing or merging frames adjacent to the extracted semantic feature to form a moving clip when the semantic feature extracted by the feature extracting unit satisfies a set algorithm threshold value; And 상기 동영상 분할부에서 형성된 동영상 클립을 저장하는 동영상 클립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요약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summary of a video comprising a video clip storage unit for storing a video clip formed by the video splitter.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특징 추출부는 상기 동영상에서 모션 강도, HSV 칼라 정보 또는 균질 질감으로부터 비디오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비디오 특징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이벤트나 장면으로 세크먼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요약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feature extractor extracts a video feature from the motion intensity, HSV color information, or homogeneous texture in the video, and segments the video into an event or a scene using the video feature. terminal. 동영상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요약 제공 방법에 있어서,In the video summary provid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video display functio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동영상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특정 장면들만을 추출하고, 동영상 클립으로 요약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요약 제공 방법.A method of providing a video summar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extracting only specific scenes preferred by a user from a video inpu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ing the summary as a video clip and selectively providing the video clip.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동영상을 클립으로 요약 제공하는 방법은Method for providing a summary of the video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clip (a) 입력된 동영상의 비디오 특징들을 추출하여 동영상을 의미 특징으로 세그먼트하는 단계;(a) extracting video features of the input video and segmenting the video into semantic features; (b) 상기 추출된 의미 특징이 설정된 알고리즘 임계값을 만족하면, 추출된 의미 특징에 인접한 프레임을 분할하거나 또는 병합하여 동영상 클립을 형성하는 단계; 및(b) if the extracted semantic feature satisfies a set algorithm threshold, dividing or merging a frame adjacent to the extracted semantic feature to form a video clip; And (c) 상기 형성된 동영상 클립을 저장하여 추출된 특정 부분만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요약 제공 방법.and (c) storing the formed video clip and displaying only the extracted specific part of the video clip.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a)단계는 입력된 동영상의 모션 강도, HSV 칼라 정보 또는 균질 질감으로부터 비디오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비디오 특징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이벤트나 장면으로 세그먼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요약 제공 방법.In the step (a), the video summary is extracted from the motion intensity, the HSV color information, or the homogeneous texture of the input video, and the video summary is segmented into the event or the scene using the video feature. How to Provide.
KR1020050012514A 2005-02-15 2005-02-15 Mobile terminal capable of summary providing of moving image and summary providing method using it KR1006810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514A KR100681017B1 (en) 2005-02-15 2005-02-15 Mobile terminal capable of summary providing of moving image and summary providing method using it
CNB2005101126008A CN100399804C (en) 2005-02-15 2005-10-1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briefly offering activity video and its abstract offe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514A KR100681017B1 (en) 2005-02-15 2005-02-15 Mobile terminal capable of summary providing of moving image and summary providing method using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563A true KR20060091563A (en) 2006-08-21
KR100681017B1 KR100681017B1 (en) 2007-02-09

Family

ID=3692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514A KR100681017B1 (en) 2005-02-15 2005-02-15 Mobile terminal capable of summary providing of moving image and summary providing method using i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1017B1 (en)
CN (1) CN100399804C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6929A1 (en) * 2019-03-22 2020-10-01 주식회사 사이 System for generating highlight content on ba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WO2024039047A1 (en) * 2022-08-16 2024-02-22 주식회사 맨드언맨드 Method for generating semantic log for vide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39B1 (en) 2008-08-08 2010-11-22 주식회사 아이토비 Multi contents display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0252008A (en) * 2009-04-15 2010-11-04 Olympus Imaging Corp Imaging device, displaying device, reproduc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displaying method
CN102495907B (en) * 2011-12-23 2013-07-03 香港应用科技研究院有限公司 Video summary with depth information
CN103678299B (en) * 2012-08-30 2018-03-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and device of monitor video summary
CN109359219A (en) * 2018-11-01 2019-02-19 惠州学院 A kind of video frequency abstract resume module method
CN113259761B (en) * 2020-02-13 2022-08-26 华为技术有限公司 Video processing method,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513B1 (en) * 1999-12-06 2003-02-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ethod and apparatus of summerizing and browsing video sequences using fidelity values of key frame stored in its edge of key frame hierarchy
US20040207656A1 (en) * 2001-06-30 2004-10-21 Sang-Youn Lee Apparatus and method for abstracting summarization video using shape information of object, and video summarization and index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JP4426743B2 (en) * 2001-09-13 2010-03-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Video information summarizing apparatus, video information summarizing method, and video information summarizing processing program
US7349477B2 (en) * 2002-07-10 2008-03-25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Audio-assisted video segmentation and summarization
JP2006525537A (en) 2003-04-14 2006-11-0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Method and apparatus for summarizing music videos using content analysis
CN1240014C (en) * 2003-07-18 2006-02-01 北京大学计算机科学技术研究所 Method for making video search of scenes based on contents
KR100601383B1 (en) * 2004-04-23 2006-07-13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An intelligent agent system for providing viewer-customized video skims in digital TV broadcast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6929A1 (en) * 2019-03-22 2020-10-01 주식회사 사이 System for generating highlight content on ba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WO2024039047A1 (en) * 2022-08-16 2024-02-22 주식회사 맨드언맨드 Method for generating semantic log for vide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99804C (en) 2008-07-02
KR100681017B1 (en) 2007-02-09
CN1822645A (en) 200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017B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summary providing of moving image and summary providing method using it
US10979761B2 (en) Intelligent video interaction method
US9137562B2 (en) Method of viewing audiovisual documents on a receiver, and receiver for viewing such documents
KR101741352B1 (en) Attention estimation to control the delivery of data and audio/video content
US9271035B2 (en) Detecting key roles and their relationships from video
US8750681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101883018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upplementary content in 3d communication system
US20070291134A1 (en) Image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0011641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based on video scene
EP2210408A1 (en) A method of determining a starting point of a semantic unit in an audiovisual signal
CN112464031A (en) Interaction method, interaction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180025754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2822539B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KR100601383B1 (en) An intelligent agent system for providing viewer-customized video skims in digital TV broadcasting
CN115379290A (en) Video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08092016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1436908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4949307B2 (en) Moving image scene dividing apparatus and moving image scene dividing method
Dimitrova et al. Selective video content analysis and filtering
EP3471100B1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sing between an item of reference audiovisual content and an altered television broadcast version thereof
CN115834554A (en) Display method and device
KR20240077086A (en)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cting ending section of video content
JP3196761B2 (en) Video viewing device
JP2003046896A (en) Image processing unit,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Nitta et al. User and Device Adaptation in Summarizing Sports Vide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