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323A - 인터넷 단말기, 인터넷 단말기에 위치해 있는www―브라우저 및 인터넷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설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단말기, 인터넷 단말기에 위치해 있는www―브라우저 및 인터넷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설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323A
KR20060091323A KR1020067011457A KR20067011457A KR20060091323A KR 20060091323 A KR20060091323 A KR 20060091323A KR 1020067011457 A KR1020067011457 A KR 1020067011457A KR 20067011457 A KR20067011457 A KR 20067011457A KR 20060091323 A KR20060091323 A KR 20060091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mode
appearance
content area
graph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1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트리 코크코
미카엘 클린겔레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67011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1323A/ko
Publication of KR20060091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3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1608Error detection by comparing the output signals of redundant hardware
    • G06F11/1616Error detection by comparing the output signals of redundant hardware where the redundant component is an I/O device or an adapter therefor
    • G06F11/162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1608Error detection by comparing the output signals of redundant hardware
    • G06F11/1625Error detection by comparing the output signals of redundant hardware in communications, e.g. transmission,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7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via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으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지니는 인터넷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20), 정보 입력 수단 및 파일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로드하기 위한 메모리를 지닌다. 적어도 본 발명에 따른 운영 시스템 및 웹 브라우저는 상기 메모리 내에 로드되어 있다. 상기 브라우저 프로그램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2가지의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들로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 바(32,33) 및 웹 페이지들을 재생하기 위해 예약된 콘텐츠 영역(30)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이게 되며, 본질적으로 전체의 디스플레이를 점유하는 콘텐츠 영역만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이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언급된 수단은 상기 콘텐츠 영역 내에 영구히 배치되는 그래픽 요소(44)를 포함하며, 그래픽 모드 스위칭 동작은 상기 그래픽 요소 내에 통합된다. 상기 그래픽 요소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을 때 제1 외관을 지니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을 때 제2 외관을 지니고, 웹 페이지들의 로드가 진행중일 때 제3 외관을 지니는 방식으로 상기 그래픽 요소의 외관을 변경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그 외에도, 상기 그래픽 요소의 제3 외관은 웹 페이지들의 로드가 진행중에 있다는 구두 또는 그림 표시, 및 웹 페이지 로드 프로세스 단계의 표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터넷 단말기, 인터넷 단말기에 위치해 있는 www―브라우저 및 인터넷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Internet terminal, www―browser located in the terminal and a method for setting a display mode of th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으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데이터 입력 수단 및 적어도 운영 시스템 및 웹 브라우저가 로드되어 있는 메모리를 지니는 인터넷 단말기로서,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1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스위칭하여 상기 웹 페이지들을 재생하기 위해 예약된 콘텐츠 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보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실질적으로 큰 인터넷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터넷 단말기에 위치해 있는 웹 브라우저 및 상기 인터넷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지식 및 정보를 제공 및 배포하기 위한 중요한 채널이다. 인터넷의 요소가 웹 페이지들을 통해 제공되며, 또한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인터넷에 접속되는 단말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다. 현재에는 상기 페이지들의 콘텐츠가 종종 멀티미디어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다시 말하면 텍스트, 이미지들, 동영상들, 사운드, 라이브 비디오 이미지 및 다른 웹 페이지들에 대한 하이퍼텍스트 링크들과 같은 정보를 제공하는 다른 여러 방식이 상기 페이지 상에 조합되어 있다. 인터넷 페이지들 상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인 것이 일반적이다.
인터넷 페이지들을 판독하기 위해, 사용자의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되는 페이지들의 콘텐츠를 재생할 있는 브라우저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브라우저들에 의해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생성되는 뷰(view)는 다운로드된 인터넷 페이지들의 실제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에 위치해 있는 콘텐츠 영역 내에 제공되게끔 이루어진다. 이 외에도, 상기 브라우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부 부분 상에 헤더 바(header bar)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아래에 개별 메뉴 부분 및 아이콘 부분을 지니는 태스크 바를 생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태스크 바 아래에는, 주소 라인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에지 상에는 수직형 스크롤 바가 있다. 상기 태스크 바의 메뉴들 및 아이콘들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브라우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종래의 웹 브라우저들은 주로 유선 데이터 전송 접속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되는 개인용 컴퓨터들에 적합하도록 개발되어 왔다. 그러한 컴퓨터들은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를 지니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형성되는 콘텐츠 영역의 크기가 대개는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현재에 이동 전화들 및 팜 컴퓨터들과 같은 증가 추세로 시판되고 있는 이동 단말기들에는 인터넷 기능들이 갖춰져 있다. 이동 단말기들 및 무선 데이터 전송에 기인하여, 사용자들 은 자신들의 위치와는 무관하게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단말기들로서 이동 단말기들을 사용하는 것은 또한 몇몇 문제들을 수반한다. 이동 단말기들의 휴대가 가능한 한 편리하고 사용하기에 쉽게 하기 위해 가능한 한 이동 단말기를 작게 만들려는 경향이 있다. 상기 단말기의 작은 크기 때문에, 상기 단말기는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를 지니고, 상기 브라우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생성되는 헤더 바, 태스크 바, 주소 라인 및 스크롤 바가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려고 의도된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부가적으로 감소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해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보다 큰 표시들을 위해 설계된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는 것은 종종 부담이 된다. 특히 이동 단말기들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웹 브라우저들을 개발함으로써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증가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는데, 이러한 브라우저들에서는 상기 헤더 바, 태스크 바, 주소 라인 및 스크롤 바에 의해 점유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기능들을 재배치 및 조합시킴으로써 최소화되었다. 이에 대한 목적은 가능한 한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것이다.
브라우저들에는 또한 상기 헤더 바, 태스크 바 및 주소 라인이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완전히 제거된 디스플레이 모드로 프로그램을 스위칭할 있는 능력이 갖춰져 있다. 이때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도록 의도된 콘텐츠 영역은 본질적으로 상기 단말기의 전체 디스플레이를 점유한다. 그러나, '일반 디스플레이"로부터 "전체 디스플레이"로의 스위칭은 사용자가 상기 브라우저의 메뉴들로부터 여러 연속적인 동작들을 선택해야만 가능하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모드들의 변경은 복잡하고 사용자가 상기 브라우저의 기능들 및 속성들에 대한 완전한 지식을 습득해야만 가능 하다. 브라우저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새로운 웹 페이지로 이동할 때마다 디스플레이 모드가 일반 모드로 복귀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그러한 기능의 어려움은 더해진다. 따라서, 단말기에 내재하는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최대로 이용하려면 사용자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 사이로 반복해서 스위칭하여야 하는데, 이는 부담이 되며 시간이 걸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단말기, 인터넷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 및 인터넷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단말기들 및 브라우저들에 대한 단점들을 줄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첨부된 독립 청구항들에 제공되어 있는 특징들을 갖는 단말기, 웹 브라우저 및 방법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으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지니는 인터넷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작고 가볍게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기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정보 입력 수단 및 파일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로드하기 위한 메모리를 지닌다.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소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디스플레이는 또한 단말기들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 내에 로드되는 것은 적어도 본 발명에 따른 운영 시스템 및 웹 브라우저이며, 이들은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된 웹 페이지의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브라우저는 적어도 2가지의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들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스위칭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웹 페이지들을 재생하기 위해 예약된 콘텐츠 영역들이 서로 다른 크기를 지니는 것이 명백한데, 다시 말하면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콘텐츠 영역의 크기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보다 실질적으로 크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들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콘텐츠 영역 상에 영구히 배치되는 그래픽 요소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드 스위칭 기능은 상기 그래픽 요소를 선택함으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변하게 되는 방식으로 상기 그래픽 요소 내에 합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 바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보이게 되며 본질적으로 전체의 디스플레이를 점유하는 콘텐츠 영역만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을 때 제1 외관을 지니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을 때 제2 외관을 지니며, 웹 페이지들의 로드가 진행중에 있을 때 제3 외관을 지니는 방식으로 상기 그래픽 요소의 외관을 변경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이 경우에 상기 제1, 제2 및 제3 외관은 본질적으로 상이하다. 상기 그래픽 요소는 상기 콘텐츠 영역의 우측 상부 코너에 위치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의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그래픽 요소의 제3 외관이 웹 페이지들의 다운로드가 진행중에 있다는 구두 또는 그림 표시 및 다운로드 프로세스 단계의 표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형 크기의 디스플레이가 갖춰진 인터넷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편리함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이점을 지닌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들을 브라우징하는 것이 더 신속해짐으로써, 필요한 인터넷 접속 시간이 짧아진다는 이점을 지닌다. 이는 통신 비용의 절감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첨부도면들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인터넷 단말기의 구조를 블록 선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정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인터넷 단말기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한 웹 브라우저의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들에 대한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인터넷 단말기(10)의 기능 부품들에 대한 일 례가 블록 선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대한 설명에서 이동 단말기란 이동 통신 네트워크(200)를 통한 인터넷(100)으로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과 사용자가 휴대하려고 의도된 데이터 처리 장치가 통합된 것을 말한다. 상기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들 및 파일들을 로드 및 세이브하기 위한 메모리(12), 및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 내에 로드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14)를 지닌다. 상기 메모리 내로 로드되는 것은 적어도 운영 시스템(16) 및 웹 브라우저(18)이며, 이들은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20)를 통해 인터넷으로부터 로드된 페이지들의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정보 및 커맨드들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22)을 지닌다. 상기 입력 수단은 예를 들면 키보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또는 기타 적합한 입력 수단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또한 다른 여러 데이터 입력 수단을 지닐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부품들 외에도, 상기 단말기는 또한 인터넷 접속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것이 아니고 상기 단말기의 다양한 능력을 증가시키는 다른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들은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라디오 및/또는 TV 방송용 수신기, 및 전화 통화를 받거나 거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가 위에서 언급된 인터넷 능력들이 구비된 이동 전화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단말기(1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말기는 커버(24)를 지니며, 상기 커버(24) 내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가 위치해 있다. 디스플레이(20) 및 키들(26)은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디스플레이(20) 및 키들(26)은 상기 커버의 외부 표면상에 위치해 있다. 상기 단말기에 내재하는 디스플레이는 소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이며, 다시 말하면 접촉시 키와 같은 기능을 하는 이미지 영역들이 그러한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말기가 기다란 포인터(28)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터(28)를 통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포인터는 상기 단말기의 제2 정보 입력 수단을 형성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단말기는 적어도 이동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전화 통화를 걸고 전화 통화를 받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속성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은 본원 명세서에 더 상세하게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에는 운영 시스템(16)에서 동작하는 웹 브라우저에 의해 생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20)를 통한 뷰(view)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는 이에 대한 설명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라고 언급되는 소위 일반 모드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에는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된 웹 페이지들의 콘텐츠가 재생되는 컨텐츠 영역(30)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부 에지 상에 있는 컨텐츠 영역 위에는 개별 메뉴 부분(34) 및 아이콘들(40)을 포함하는 제1 이이콘 부분(36)을 지니는 제1 태스크 바(32)가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 에지 상에 있는 콘텐츠 영역 아래에는 상기 컨텐츠 영역에서 열린 웹 페이지의 인터넷 주소용 주소 공간(38), 및 제2 아이콘 부분(37)을 지닌다. 상기 콘텐츠 영역 내측에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한 에지 상에는 상기 콘텐츠 영역에 내재하는 웹 페이지를 스크롤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크롤 바(42)가 있다. 웹 페이지가 완전히 상기 콘텐츠 영역 내에 나타날 수 없는 경우에만 상기 콘텐츠 영역에 스크롤 바 기능이 생기도록 스크롤 바 기능이 웹 브라우저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웹 브라우저에서 메뉴들, 아이콘들 및 스크롤 바들을 사용하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는 선행 기술의 기법이기 때문에 본원 명세서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3b에는 브라우저가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을 때 인터넷 단말기의 디스플레이(20)의 뷰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는, 상기 태스크 바들(32,33)이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보이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의 본질적으로 전체의 영역이 상기 콘텐츠 영역(30)으로 이용가능하다. 상기 태스크 바들의 제거로 인해, 상기 콘텐츠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보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더 큰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단말기에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의 스위칭이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 내에 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되는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의 일부로서 통합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콘텐츠 영역 내에 영구히 배치되는 그래픽 요소(44)를 생성하고, 이러한 그래픽 요소(44)를 통해 한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다른 한 디스플레이 모드로의 스위칭이 수행된다. 상기 그래픽 요소는 상기 콘텐츠 영역 내의 어느 원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텐츠 영역의 우측 상부 코너에 그래픽 요소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래픽 요소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들에 서 다른 형상을 지니게끔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콘의 형상은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어느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준다. 상기 그래픽 요소는 임의 종류의 외관을 지닐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 일례로서 도시된 그래픽 요소는 원의 둘레 및 원 둘레의 4분의 1 지점에 배치되는 삼각형의 화살촉들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도 3a 참조)에 있을 때, 상기 그래픽 요소(44)의 화살촉들은 원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향해 있다.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스위칭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간단히 상기 포인터로 상기 그래픽 요소를 접촉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도 3b 참조)로 스위칭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그래픽 요소는 상기 화살촉들이 상기 원의 중심으로 향해 있도록 자신의 형상을 변경한다. 사용자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다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스위칭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포인터로 다시 상기 그래픽 요소를 접촉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변하게 되고 상기 그래픽 요소의 형상도 또한 변하게 된다.
도 3c에는 상기 웹 페이지의 콘텐츠가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 내에 로드될 경우에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20) 상의 웹 브라우저에 의해 생성되는 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페이지들이 로드되고 있을 때, 상기 페이지들의 로드가 진행중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게끔 상기 그래픽 요소(44)의 외관이 이루어져 있다. 상기 그래픽 요소의 외관은 또한 로드 동작 단계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c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페이지들의 로드가 진행중에 있을 때 그래픽 요소의 화살촉들이 원 둘레의 접선 방향을 따라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원의 세그먼트는 상기 그래픽 요소의 중심에 나타나고 원의 크기는 로드 프로세스 단계를 나타낸다. 상기 세그먼트의 크기는 페이지 로드 진행에 따라 증가한다. 도 3c에 도시된 경우에, 상기 세그먼트의 크기가 전체 원의 약 3/4이며, 다시 말하면 상기 페이지들의 콘텐츠의 약 75%가 로드된 것이다. 페이지 로드 경우는 또한 그래픽 요소의 다른 어떤 적합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텍스트 로드는 로드 단계를 나타내는 백분율과 함께 그래픽 요소로 나타날 수 있다. 텍스트 및 숫자들 대신에, 페이지 로드가 진행중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스위칭 윈도우에서 적합한 그림들 및/또는 동영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요소의 크기가 항상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그래픽 요소의 외관은 가변적이다. 따라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항상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의 본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을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방법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본 발명은 단지 위에서 설명된 해결방안들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범위 내에서 여러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6)

  1. 이동 통신 네트워크(200)를 통한 인터넷(100)으로의 접속을 설정하는 수단, 프로세서(14), 디스플레이(20), 정보 입력 수단(22) 및 적어도 운영 시스템(16) 및 웹 브라우저(18)가 로드되어 있는 메모리(12)를 지니는 인터넷 단말기(10)로서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1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웹 페이지들을 재생하기 위해 예약된 콘텐츠 영역(30)의 크기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보다 본질적으로 큰 인터넷 단말기(10)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콘텐츠 영역 내에 영구히 배치되는 그래픽 요소(44)를 포함하며, 상기 그래픽 요소를 선택함으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변하게 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모드 스위칭 기능이 상기 그래픽 요소 내에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단말기(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영역(30) 및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 바(32,33)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20)를 통해 보이게 되며 본질적으로 전체의 디스플레이를 점유하는 콘텐츠 영역만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단말기(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44)는 상기 콘텐츠 영역(30) 의 우측 상부 코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단말기(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44)는 상기 디스플레이(20)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을 때 제1 외관을 지니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을 때 제2 외관을 지니도록 상기 그래픽 요소의 외관을 변경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이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외관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단말기(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의 제1 외관은 원 둘레 상에 화살촉들이 원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향해 있는 원을 포함하며, 제2 외관은 원 둘레 상에 원 중심으로 화살촉들이 향해 있는 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단말기(10).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44)는 또한 상기 웹 페이지들이 로드되고 있을 때 제3 외관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단말기(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44)의 제1, 제2 및 제3 외관이 본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단말기(10).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44)의 제3 외관은 상기 웹 페이지들이 로드되고 있다는 구두 또는 그림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단말기(10).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44)의 제3 외관은 웹 페이지 로드 프로세스 단계의 구두 또는 그림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단말기(1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소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단말기(10).
  11. 이동 통신 네트워크(200)를 통한 인터넷(100)으로의 접속을 설정하는 수단, 프로세서(14), 디스플레이(20), 정보 입력 수단(22) 및 적어도 운영 시스템(16)이 로드되어 있는 메모리(12)를 지니는 인터넷 단말기(10)에 위치해 있는 웹 브라우저(18)로서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1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웹 페이지들을 재생하기 위해 예약된 콘텐츠 영역(30)의 크기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보다 본질적으로 큰 웹 브라우저(18)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콘텐츠 영역 내에 영구히 배치되는 그래픽 요소(44)를 포함하며, 상기 그래픽 요소를 선택함으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변하게 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모드 스위칭 기능이 상기 그래픽 요소 내에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18).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영역(30) 및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 바(32,33)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20)를 통해 보이게 되며 본질적으로 전체의 디스플레이를 점유하는 콘텐츠 영역만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18).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44)는 상기 콘텐츠 영역(30)의 우측 상부 코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18).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44)는 상기 디스플레이(20)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을 때 제1 외관을 지니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을 때 제2 외관을 지니도록 상기 그래픽 요소의 외관을 변경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이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외관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18).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의 제1 외관은 원 둘레 상에 화살촉들이 원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향해 있는 원을 포함하며, 제2 외관은 원 둘레 상에 원 중심으로 화살촉들이 향해 있는 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18).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44)는 또한 상기 웹 페이지들이 로드되고 있을 때 제3 외관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18).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44)의 제1, 제2 및 제3 외관이 본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18).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44)의 제3 외관은 상기 웹 페이지들이 로드되고 있다는 구두 또는 그림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18).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44)의 제3 외관은 웹 페이지 로드 프로세스 단계의 구두 또는 그림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18).
  20. 이동 통신 네트워크(200)를 통한 인터넷(100)으로의 접속을 설정하는 수단, 프로세서(14), 디스플레이(20), 정보 입력 수단(22) 및 적어도 운영 시스템(16) 및 웹 브라우저(18)가 로드되어 있는 메모리(12)를 지니는 인터넷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1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스위칭됨으로써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웹 페이지들을 재생하기 위해 예약된 콘텐츠 영역(30)의 크기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보다 본질적으로 큰 방법에 있어서, 영구 그래픽 요소(44)가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의 콘텐츠 영역 상에 생성되며, 상기 그래픽 요소를 선택함으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변하게 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모드 스위칭 기능이 상기 그래픽 요소 내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영역(30) 및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 바(32,33)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20)를 통해 보이게 되며 본질적으로 전체의 디스플레이를 점유하는 콘텐츠 영역만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44)는 상기 콘텐츠 영역(30)의 우측 상부 코너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44)는 상기 디스플레이(20)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을 때 제1 외관을 지니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을 때 제2 외관을 지니며, 상기 웹 페이지들이 로드되고 있을 때 제3 외관을 지니도록 상기 그래픽 요소의 외관을 변경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이 경우에 상기 제1, 제2 및 제3 외관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44)의 제1, 제2 및 제3 외관이 크기 면에서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44)의 제3 외관은 상기 웹 페이지들이 로드되고 있다는 것을 구두로 또는 그림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44)의 제3 외관은 웹 페이지 로드 프로세스가 어느 단계에 있는지를 구두로 또는 그림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7011457A 2006-06-09 2003-12-11 인터넷 단말기, 인터넷 단말기에 위치해 있는www―브라우저 및 인터넷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설정하는 방법 KR20060091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1457A KR20060091323A (ko) 2006-06-09 2003-12-11 인터넷 단말기, 인터넷 단말기에 위치해 있는www―브라우저 및 인터넷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설정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1457A KR20060091323A (ko) 2006-06-09 2003-12-11 인터넷 단말기, 인터넷 단말기에 위치해 있는www―브라우저 및 인터넷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설정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718A Division KR20080082014A (ko) 2008-08-22 2003-12-11 인터넷 단말기, 인터넷 단말기의 www―브라우저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인터넷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323A true KR20060091323A (ko) 2006-08-18

Family

ID=3759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1457A KR20060091323A (ko) 2006-06-09 2003-12-11 인터넷 단말기, 인터넷 단말기에 위치해 있는www―브라우저 및 인터넷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설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13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758B1 (ko) * 2007-11-06 2010-05-25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 로딩 진행 정보출력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통신 단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758B1 (ko) * 2007-11-06 2010-05-25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 로딩 진행 정보출력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통신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01157B (zh) 侧边栏图标设置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050149874A1 (en) Internet terminal, WWW-browser located in the terminal and a method for setting a display mode of the terminal
KR100801650B1 (ko) 휴대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서의 기능 실행 방법
US8432416B2 (en) Method for adjusting page display manne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9788072B2 (en) Providing a search service convertible between a search window and an image display window
US7123945B2 (en) Task display switching method, portable apparatus and portable communications apparatus
US9600153B2 (en)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 webp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70078857A1 (en) Method and a device for browsing information feeds
US20080313722A1 (en) Mobile terminal for setting bookmarking area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107638A (ko) 위젯형 대기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이용한 대기화면 제어 방법
KR100657520B1 (ko) 정보 단말 장치에서 파일 계층 구조의 탐색 방법
CN106919301B (zh) 壁纸预览方法和系统以及壁纸更换方法和系统
EP1803312B1 (en) Interactive imaging for cellular phones
WO2006123513A1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2007251920A (ja) 移動通信端末機における高速アプリケーションアクセス方法及び装置
US798697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laying a video from a website
JP2008165735A (ja) 携帯端末機及びその画面表示方法
JP2006505025A (ja) 展開可能なメニューのための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8799802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nabling zoom function with multi-function key input that inhibits focus on a textually-responsive element
WO2008018503A1 (fr) Dispositif d'affichage d'images, dispositif fournisseur de données d'image, système d'affichage d'images, procédé de commande du système d'affichage d'images, programme de commande et support d'enregistrement
EP1883211A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reating menu screen for the same
US110864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moving or advancing a display region
JP2012084948A (ja) 携帯端末装置、その情報選択支援プログラム及び情報選択支援方法
JP2007141064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メニュー表示切り替え方法
JP605890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723

Effective date: 2009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