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421A -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8421A
KR20060088421A KR1020050009305A KR20050009305A KR20060088421A KR 20060088421 A KR20060088421 A KR 20060088421A KR 1020050009305 A KR1020050009305 A KR 1020050009305A KR 20050009305 A KR20050009305 A KR 20050009305A KR 20060088421 A KR20060088421 A KR 20060088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rtable terminal
terminal
typ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동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9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8421A/ko
Publication of KR20060088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0Mounting or supporting mixing devices or receptacles; Clamping or holding arrangements therefor
    • B01F35/41Mounting or supporting stirrer shafts or stirrer units on receptacles
    • B01F35/412Mounting or supporting stirrer shafts or stirrer units on receptacles by supporting both extremities of the shaft
    • B01F35/4121Mounting or supporting stirrer shafts or stirrer units on receptacles by supporting both extremities of the shaft at the top and at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e.g. for performing a conical orbital movement about a vertical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바형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바형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경사지게 위치되도록 일부분이 회동하는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는 바형, 플립형,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에 적용시켜 필요시 단말기가 일정 각도로 절곡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통화시 사용자의 입과 마이크로 폰을 근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바형, 플립형, 슬라이딩형 단말기들에 비해 사용자의 음성을 선명하고 깨끗하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주시하면서 단말기를 조작할 때, 키패드들을 조작이 편리한 상태로 단말기를 들고 있으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의 시선에 일직선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단말기, 절곡, 경사 고정수단, 바형 단말기

Description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SNAPPING TYPE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가 절곡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가 절곡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휴대용 단말기 101 : 제1 하우징
102 : 제2 하우징 103 : 경사 고정장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형, 플립형, 슬라이딩형 등의 단말기 하우징을 절곡시킬 수 있어 통화가 편리한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전기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기기로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성 통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에 송화부, 수화부, 데이터 입출력 장치 등을 설치한 바형 단말기, 바형 단말기와 같이 하나의 하우징에 송화부, 수화부, 데이터 입출력 장치 등을 설치하고서 키패드와 같은 데이터 입력 장치를 개폐시키는 플립 커버가 부착된 플립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면서 송화부, 수화부, 데이터 입출력 장치들을 한 쌍의 하우징 각각에 적절하게 분산 배치한 폴더형 단말기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사용자들의 취향이 다양해지면서, 슬라이딩형, 팝업형, 스윙형 단말기들이 등장하여 상용화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들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들 중 바형, 플립형, 슬라이딩형 단말기와 같이, 통화 대기모드에서나 통화모드에서 하우징의 형태가 일직선을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음성을 선명하고 깨끗하게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폴더형 단말기는 통화모드에서 한 쌍의 하우징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되어 사용자의 입과 마이크로 폰의 위치를 근접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선명하고 깨끗하 게 전달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형태의 단말기들은 통화모드에서도 하우징이 일직선을 유지하여 사용자의 입과 마이크로 폰을 근접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폴더형 단말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선명하고 깨끗하게 전달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하우징이 일직선을 유지하는 형태의 단말기들은 인체 구조상 사용자의 시선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직선으로 유지하면서 단말기를 조작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모드에서 바형, 플립형,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의 하우징을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시킴으로써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을 선명하고 깨끗하게 전달할 수 있는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모드에서 바형, 플립형,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의 하우징을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시선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직선으로 유지하면서 단말기 조작이 편리한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바형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바형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경사지게 위치되도록 일부분이 회동하는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100)가 절곡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 제2 하우징(102) 및 경사 고정수단(103)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은 일면에 문자, 숫자 입력을 위한 제1 키패드(111a)와, 통화/종료 키, 네비게이션 키, 메뉴/선택키 등으로 구성된 제2 키패드(111b)와, 마이크로 폰(micro phone)이 내장된 송화부(113)가 설치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일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21)와 스피커 폰(speaker phone)이 내장된 수화부(123)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휴대 또는 통화 대기모드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일직선 상태를 유지시키고, 게임, 문자 입력, 통화모드 등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하여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단에는 센터 힌지 암(115)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센터 힌지 암(115)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125)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터 힌지 암(115)의 양단과, 상기 사이드 힌지 암(125)들의 내측단에는 각각 힌지 홀(117, 127)들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 고정수단(103)이 상기 힌지 홀(117, 127)들에 결합되어 상기 센터 힌지 암(115)의 양단에 상기 사이드 힌지 암(125)들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즉, 상기 경사 고정수단(103)은 상기 힌지 홀(117, 127)들에 결합되어 상기 센터 힌지 암(115)과 사이드 힌지 암(125)들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회전축(A)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경사 고정수단(103)은 원통형으로 제작되고, 그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이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터 힌지 암(115) 또는 사이드 힌지 암(125) 내에는 상기 경사 고정수단(103)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들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경사지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 고정수단(103)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과 상기 돌기가 서로 맞물려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100)는 휴대 또는 통화 대기모드에서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이 일직선 상태를 유지하는 바형 단말기이며, 통화시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 (101)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시킴으로써 음성 통화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를 바라보면서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이 편리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200)가 절곡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200)는 제1 하우징(101)에 제2 하우징(102)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에 있어서 선행 실시 예와 동일하게 개시된다. 다만, 제1 키패드(111a)와 송화부(113)가 별도의 메인 하우징(201)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101)이 상기 메인 하우징(20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키패드(111a)와 송화부(113)가 개폐되는 구성에 있어서 선행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200)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선행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도면의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메인 하우징(201)은 그의 일면에 문자, 숫자 입력을 위한 제1 키패드(111a)와 송화부(113)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101)이 상기 메인 하우징(20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키패드(111a)와 송화부(113)가 개폐되는 구성이다.
상기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200)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을 상기 메인 하우징(201) 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 모듈은 슬라이딩 플레이트(203)와 슬라이딩 가이드(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후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203)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메인 하우징(201)의 전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가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203)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203)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이 상기 메인 하우징(20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슬라이딩 이동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다. 따라서, 통화 대기모드 또는 휴대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은 상기 메인 하우징(201) 상에 겹쳐진 상태로 유지되고, 통화모드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01)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제1 키패드(111a)와 송화부(113)를 폐쇄시킨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하여 경사지게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하우징(101)이 상기 제1 키패드(111a), 송화부(113)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탁자 등에 올려 놓고, 디스플레이 장치(121)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는 바형, 플립형,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에 적용시켜 필요시 단말기가 일정 각도로 절곡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통화시 사용자의 입과 마이크로 폰을 근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바형, 플립형, 슬라이딩형 단말기들에 비해 사용자의 음성을 선명하고 깨끗하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주시하면서 단말기를 조작할 때, 키패드들을 조작이 편리한 상태로 단말기를 들고 있으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의 시선에 일직선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바형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바형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경사지게 위치되도록 일부분이 회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형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 경사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이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경사 각도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일면에 상기 바형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하우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형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을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모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딩 모듈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바형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개폐되는 키패드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
KR1020050009305A 2005-02-01 2005-02-01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 KR20060088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305A KR20060088421A (ko) 2005-02-01 2005-02-01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305A KR20060088421A (ko) 2005-02-01 2005-02-01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421A true KR20060088421A (ko) 2006-08-04

Family

ID=3717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305A KR20060088421A (ko) 2005-02-01 2005-02-01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84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8691B1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EP1775596B1 (en) Keypad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617675B1 (ko) 회전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그의 힌지 장치
KR10065149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EP1898606B1 (en) Hing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axes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plurality of axes
KR10056627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EP1773031A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display positionable at an angle
KR100800843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모듈
KR20040009466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KR100640395B1 (ko) 휴대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및 그의 장착 메카니즘
US20080026791A1 (en) Watch-type portable terminal
KR1007412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US7859585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lens assembly
KR100663552B1 (ko) 이동성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06186699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1160262B1 (ko) 슬라이드 구동형 휴대용 단말기
KR100790187B1 (ko) 게임 겸용 휴대 통신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60088421A (ko) 절곡형 휴대용 단말기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39506B1 (ko) 회전 가능한 액정화면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2885Y1 (ko) 슬라이드 형의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4528B1 (ko) 회전형 폴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090131128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372884Y1 (ko) 회전형 폴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9016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