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236A - A camer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 Google Patents

A camer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236A
KR20060087236A KR1020050008173A KR20050008173A KR20060087236A KR 20060087236 A KR20060087236 A KR 20060087236A KR 1020050008173 A KR1020050008173 A KR 1020050008173A KR 20050008173 A KR20050008173 A KR 20050008173A KR 20060087236 A KR20060087236 A KR 20060087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amera modul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1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북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008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7236A/en
Publication of KR2006008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2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4Multicolour therm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결합된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이 더욱 다양해지면서도, 휴대시에 카메라모듈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메라모듈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일측에 카메라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삽입홈에 카메라힌지부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카메라삽입홈의 내측으로 삽입 및 돌출되는 카메라모듈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이 상하로 회전되면서 상기 카메라삽입홈의 내측으로 삽입 및 돌출되는 제1힌지부와; 상기 카메라모듈이 돌출된 상태에서 측방으로 회전되는 제2힌지부;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camer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camera module coup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re diversified and prevents damage to the camera module when carrying.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amera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mera insertion groove is hinged by the camera hing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amera insertion groove and protrudes in the camera insertion groove, The hinge part includes: a first hinge part inserted and protruding into the camera insertion groove while the camera module is rotated up and down; And a second hinge portion which is rotated laterally in the state where the camera module is protruded.

이에 따라, 카메라모듈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LCD창을 사용자가 바라보는 상태에서 더욱 다양항 방향의 촬영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Accordingly, the camera module has an effect of allowing shooting in various directions while the user views the LCD window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메라모듈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a camer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Camer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써,1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카메라모듈의 삽입상태를 보인 사시도,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ertion state of the camera module,

도 1b는 카메라모듈의 돌출상태를 보인 사시도.   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ruding state of the camera module.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써,Figure 2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카메라모듈의 삽입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Figure 2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insertion state of the camera module,

도 2b는 카메라모듈의 돌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Figure 2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protruding state of the camera module,

도 2c는 카메라모듈의 회전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Figure 2c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rotation state of the camera modul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써,Figure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카메라모듈의 삽입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Figure 3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insertion state of the camera module.

도 3b는 카메라모듈의 돌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Figure 3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protruding state of the camera module,

도 4는 종래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camera.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이동통신단말기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 본체 11 : 카메라삽입홈   10: main body 11: camera insertion groove

20 : 힌지부   20: hinge part

21 : 제1힌지부 22 : 제2힌지부      21: first hinge portion 22: second hinge portion

30 : 카메라모듈   30: camera module

31 : 케이스 32 : 카메라      31: Case 32: Camera

33 : 플래시 34 : 마이크      33: flash 34: microphone

35 : 스피커       35: speaker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mera coupling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첨단 이동통신수단의 일종으로 휴대폰, PDA등이 개발되어지고 있으며, 특히 휴대폰은 대중의 기호에 따라 초기의 무전기형으로부터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등 다양한 구조의 단말기가 출시되어 있고, 근래에는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함은 물론 디지털카메라등의 보조장치가 구비된 다양한 기능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high-tech mobile communication means developed to allow a user to freely communicate wirelessly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nd mobile phones and PDAs are being developed. In the early walkie-talkies, various types of terminals, such as flip type, flip type, slide type, etc., have been released. In recent years, various functions such as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digital cameras have been introduced. It is true.

특히 디지털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일 예를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케이스(100)의 일측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카메라삽입홈(101)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삽입홈(101)에 삽입되고 일측면에 카메라(201)가 부착된 카메라모듈(200)이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모듈(200)은 힌지축(202)에 의해 상기 카메라삽입홈(101)에 삽입 및 돌출되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방 및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고 있다.In particular, looking at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igital camera through Figure 4,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01 is formed is recessed on one side of the case 100, is inserted into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01 A camera module 200 having a camera 201 attached to one side thereof is provided, and the camera module 200 is inserted into and protrudes into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01 by a hinge shaft 202 to the fro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photograph the rear image.

상기 카메라(201)는, 내부에 CCD나 CMOS등의 디지털 촬영소자를 구비하여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영상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LCD창 등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The camera 201 includes a digital photographing element such as a CCD or a CMOS inside to convert an image received through a lens into a digital signal and store it in a memor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display it on an LCD window.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모듈은 케이스의 일측에 힌지결합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의 영상은 사용자가 LCD창을 바라보는 상태에서도 촬영이 가능했지만,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면의 영상은 촬영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the conventional camera module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case, the imag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taken even while the user looks at the LCD window, but the image of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difficult to shoot.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결합된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이 더욱 다양해지면서도, 휴대시에 카메라모듈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camera module coup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the shooting direction is more diversified, to prevent damage to the camera module when carrying It is in a ship.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촬영 방향이 자유롭게 조절되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mera module that the shooting direction is freely adjust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이 자유로운 카메라모듈을 이용하여 광량이 어두운 곳에서도 선명한 사진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clear picture taking even in a dark place using a freely rotated camera modul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영상 촬영시에 선명한 음성의 녹음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recording of clear voice during video shooting.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모듈의 내부에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결 합되도록 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bine the speaker for outputting the sound inside the camera module.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촬영방향이 자유로우면서도, 휴대시에 카메라모듈의 파손이 방지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free shooting direction,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camera module when carry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일측에 카메라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삽입홈에 카메라힌지부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카메라삽입홈의 내측으로 삽입 및 돌출되는 카메라모듈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이 상하로 회전되면서 상기 카메라삽입홈의 내측으로 삽입 및 돌출되는 제1힌지부와; 상기 카메라모듈이 돌출된 상태에서 측방으로 회전되는 제2힌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mera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mera insertion groove is hinged by the camera hing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amera insertion groove and protrudes into the camera In the module, the hinge portion: The first hinge portion is inserted and protruded into the camera insertion groove while the camera module is rotated up and down; And a second hinge portion that is laterally rotated in the protruding state of the camera module.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은; 카메라모듈의 몸체를 형성하면서 상기 카메라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힌지부에 의해 회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렌즈가 부착되고 상기 렌즈의 내부에 촬영소자가 구비되는 카메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Forming a body of the camera module is inserted into the camera insertion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amera that is rotated by the hinge portion, the lens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ase and the photographing element is provided inside the lens. .

또한, 상기 렌즈가 부착된 케이스의 측면에 빛을 발산하는 플래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lash for emitting light on the side of the case is attached to the le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동영상 촬영시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phone is further provided for receiving a voice during video shooting.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peaker for outputting voice on one side of the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한편,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카메라삽입홈에 힌지부에 의해 삽입 및 돌출되 는 카메라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이 상하로 회전되면서 상기 카메라삽입홈의 내측으로 삽입 및 돌출되는 제1힌지부와; 상기 카메라모듈이 돌출된 상태에서 측방으로 회전되는 제2힌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amera module that is inserted and protruded by the hinge portion in the camera insertion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hinge part includes a first hinge part which is inserted and protrudes into the camera insertion groove while the camera module is rotated up and down; And a second hinge portion that is laterally rotated in the protruding state of the camera modu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써, 도 1a는 카메라모듈(30)의 삽입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b는 카메라모듈(30)의 돌출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1)의 본체(10)의 상부 모서리에 카메라삽입홈(11)을 형성하고, 상기 카메라삽입홈(11)에 힌지부(20)에 의해 삽입 및 돌출되는 카메라모듈(30)을 구비하여 이동통신단말기(1)를 이용한 촬영이 더욱 간편해지도록 한 것이다.Figure 1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ertion state of the camera module 30, 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ruding state of the camera module 30,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amera insertion groove 11 in the upper edge of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e camera module is inserted and protruded by the hinge portion 20 in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1 ( 30) to make it easier to shoot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상기 카메라삽입홈(11)은 상기 본체(10)의 상부 모서리에 함몰되어 형성되면서 카메라모듈(30)이 삽입되도록 한 것으로써, 본체(10)의 후면 및 상면으로 개방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부 내측 모서리에 후술되는 힌지부(20)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모듈(30)이 이동통신단말기(1) 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도록 한다.The camera insertion groove 11 is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upper edg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camera module 30 is inserted, and is formed recessed to open to the rear and upper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the upper By the hinge portion 20 to be described later coupled to the inner edge, the camera module 30 is inserted into or protruded into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상기 카메라모듈(30)은 이동통신단말기(1)를 이용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이 촬영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상기 카메라삽입홈(11)의 크기 및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 으로 형성되는 케이스(31)의 일측면에 내측으로 CCD나 CMOS 등의 촬영소자가 내장되는 카메라(32)가 구비되고, 카메라(32)가 형성된 일측에는 플래시(33)를 형성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원활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mera module 30 is to take a picture or video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one of the case 3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1). It is preferable that a camera 32 having a built-in imaging device such as a CCD or CMOS is provided on the side, and a flash 33 is formed at one side where the camera 32 is formed so that smooth shooting can be performed even in a dark place.

상기 힌지부(20)는 상기 카메라모듈(30)이 상기 카메라삽입홈(11)에 삽입 및 돌출되거나, 카메라모듈(30)이 돌출된 상태에서 측방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카메라삽입홈(11)의 상부 내측면 및 카메라모듈(30)의 케이스(31)의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카메라(32)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한다.The hinge portion 20 is the camera module 30 is inserted and protruded into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1, or by rotating the s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camera module 30 is protruded,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1 It is coupled to the upper inn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31 of the camera module 30, respectively,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camera 32 can be freely adjusted in the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써, 도 2a는 카메라모듈(30)의 삽입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2b는 카메라모듈(30)의 돌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2c는 카메라모듈(30)의 회전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ure 2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insertion state of the camera module 30, Figure 2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protruding state of the camera module 30, 2c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rotation state of the camera module 30, and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상술한 힌지부(20)는 카메라모듈(30)이 상하로 회전되면서 카메라삽입홈(11)에 삽입되거나 돌출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양 측이 상기 카메라삽입홈(11)의 내측면에 지지되면서 힌지결합되어 카메라모듈(30)이 상하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힌지부(21)와, 상기 카메라모듈(30)의 하부측과 상기 제1힌지부(21)가 연결되면서 카메라모듈(30)이 측방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힌지부(22)로 구성된다.The hinge unit 20 is inserted into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1 or protrudes while the camera module 30 is rotated up and down, and both sides are support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1. The first hinge portion 21 is coupled to the camera module 30 to rotate up and down, and the lower side of the camera module 30 and the first hinge portion 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amera module 30 is sideward. It consists of a second hinge portion 22 to be rotated.

이에 따라, 도 2a에서 보인 것과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의 휴대중에는 카메라모듈(30)의 케이스(31)가 제1힌지부(21)에 의해 접철되면서 본체(10)의 상부측 모서리에 형성된 카메라삽입홈(1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휴대중에 카메라모듈(30)이 걸리적거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2A, the case 31 of the camera module 30 is folded at the upper edge of the main body 10 while being folded by the first hinge portion 21 while carr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By being inserted into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mera module 30 from being caught or damaged while carrying.

또한, 이 상태에서 카메라(32)가 이동통신단말기(1)의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카메라모듈(30)이 카메라삽입홈(11)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1)의 전면에 배치되는 LCD창을 바라보면서 이동통신단말기(1)의 후방측을 간편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tate, the camera 32 is disposed to face the rea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so that the camera module 30 is generally inserted into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1 so that the fro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generally used. Looking at the LCD window disposed in the will be able to easily photograph the rear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이후, 카메라모듈(30)을 이용하여 셀프카메라(32) 등의 이동통신단말기(1)의 전면의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에는 도 2b에서 보인 것과 같이 카메라삽입홈(11)에 삽입된 카메라모듈(30)을 제1힌지부(21)를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케이스(31)가 이동통신단말기(1)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면서 렌즈가 이동통신단말기(1)의 전방 측을 향하게 되어 사용자가 LCD창을 바라보는 상태에서도 간편하게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Then, when using the camera module 30 to take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such as the self-camera 32, the camera module (inserted into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1, as shown in Figure 2b ( If the 3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portion 21, the case 31 protrudes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nd the lens faces the front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so that the user can open the LCD window. You can easily take photos or videos while looking at them.

더불어, 이동통신단말기(1)의 측방의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에는 도 2c에서 보인 것과 같이 케이스(31)를 제2힌지부(22)를 이용하여 측방으로 회전시키면 렌즈가 회전되면서 카메라(32)의 측방을 향하게 되어 사용자가 LCD창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이통동신단말기의 측방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image of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to be photographed, as shown in FIG. 2C, when the case 31 is rotated laterally using the second hinge portion 22, the lens is rotated and the camera 32 is rotated. Towards the side of the user will be able to take a picture or video of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looking at the LCD window.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써, 도 3a는 카메라모듈(30)의 삽입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3b는 카메라모듈(30)의 돌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로써,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 하고, 상기 케이스(31)의 일측에 동영상을 촬영할 때 음성이 녹음되는 마이크(34) 및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3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Figure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insertion state of the camera module 30, Figure 3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protruding state of the camera module 30, This embodiment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and is provided with a microphone 34 on which a voice is recorded and a speaker 35 for outputting a voice when photographing a video on one side of the case 31. do.

상기 마이크(34)는 동영상의 촬영시에 렌즈의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선명한 음성이 녹음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1)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동영상의 음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microphone 34 is located close to the lens to record a clear video when recording a video,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sound quality of the video recorde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또한, 상기 케이스(31)의 후면에는 사진 촬영시의 효과음이나 동영상의 재생시에 음성을 출력하는 별도의 스피커(35)를 구비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1)를 설계할 때에 공간의 활용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력되는 음성에 최적화된 스피커(35)를 채용함으로써, 더욱 선명한 음질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ear of the case 31 is provided with a separate speaker 35 for outputting sound when photographing the effect sound or video playback,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space when design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n addition, by adopting the speaker 35 optimized for the output voice, it is possible to output a more clear voice qualit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이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에 결합된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이 더욱 다양해지면서도 휴대시에 카메라모듈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모듈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LCD창을 사용자가 바라보는 상태에서 더욱 다양항 방향의 촬영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module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while carrying the camera while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coup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urther diversified by the first hinge part and the second hinge part. By using the camera module, the user can view the LCD window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re diverse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hooting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이 케이스와 카메라의 간단한 구성으로 촬영 방향이 자유롭게 조절되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함으로써, 카메라모듈의 제작이 간편하고, 유지와 보수가 편리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mera module that the shooting direction is freely adjusted by the camera module is a simple configuration of the case and the camera,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camera module, it has the effect that the maintenance and repair is convenient.

또한, 본 발명은 플래시를 구비하여 회전이 자유로운 카메라모듈을 이용하여 광량이 어두운 곳에서도 선명한 사진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모듈을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때 촬영장소와 환경의 제약이 대폭 감소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camera module that is free to rotate with a flash to enable the recording of a clear picture even in a dark light,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location and environment constraints when taking a picture using the camera module Will have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일측에 마이크를 구비하여 동영상 촬영시에 선명한 음성의 녹음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모듈을 이용하여 촬영된 동영상과 함께 녹음된 음성의 품질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icrophone on one side of the case to enable the recording of clear voice during video recording, the quality of the voice recorded with the video recorded using the camera module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mproved Will have the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일측에 스피커를 구비하여 카메라모듈)의 일측에서 음성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진 촬영시의 각종 효과음 및 촬영된 동영상의 재생시 최적의 음질로 음향이 출력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peaker on one side of the case so that the sound is output from one side of the camera module, it has the effect that the sound is output with various sound effects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and the optimum sound quality at the time of reproduction of the captured video. .

한편,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촬영방향이 자유로우면서도, 휴대시에 카메라모듈의 파손이 방지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사진의 촬영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free in the shooting direction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prevents damage to the camera module when carrying, thereby taking the effect of taking a picture more convenient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10)

이동통신단말기(1)의 일측에 카메라삽입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삽입홈(11)에 카메라(32)힌지부(20)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카메라삽입홈(11)의 내측으로 삽입 및 돌출되는 카메라모듈(30)에 있어서,A camera insertion groove 1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nd is hinged to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1 by the camera 32 hinge portion 20 to the inner side of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1. In the camera module 30 is inserted into and protruded, 상기 힌지부(20)는:The hinge portion 20 is: 상기 카메라모듈(30)이 상하로 회전되면서 상기 카메라삽입홈(11)의 내측으로 삽입 및 돌출되는 제1힌지부(21)와;A first hinge portion 21 inserted into and protruding into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1 while the camera module 30 is rotated up and down; 상기 카메라모듈(30)이 돌출된 상태에서 측방으로 회전되는 제2힌지부(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메라모듈.And a second hinge portion 22 which is rotated laterally in the state where the camera module 30 is protrud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카메라모듈(30)은;The camera module 30; 카메라모듈(30)의 몸체를 형성하면서 상기 카메라삽입홈(11)에 삽입되고, 상기 힌지부(20)에 의해 회전되는 케이스(31)와,A case 31 inserted into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1 and rotating by the hinge portion 20 while forming a body of the camera module 30; 상기 케이스(31)의 일측에 렌즈가 부착되고 상기 렌즈의 내부에 촬영소자가 구비되는 카메라(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메라모듈.Camer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amera 32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ase 31 and the photographing element is provided inside the lens.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렌즈가 부착된 케이스(31)의 측면에 빛을 발산하는 플래시(33)가 더 구 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메라모듈.Camer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flash 33 for emitting light to the side of the case 31 is attached to the lens.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케이스(31)의 일측에 동영상 촬영시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3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메라모듈.The camer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of the case 31 is further provided with a microphone (34) for receiving a voice during video shooting.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케이스(31)의 일측에 스피커(3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메라모듈.Camer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aker 35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31).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카메라삽입홈(11)에 힌지부(20)에 의해 삽입 및 돌출되는 카메라모듈(30)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1)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provided with a camera module 30 is inserted and protruded by the hinge portion 20 in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1)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상기 힌지부(20)는 상기 카메라모듈(30)이 상하로 회전되면서 상기 카메라삽입홈(11)의 내측으로 삽입 및 돌출되는 제1힌지부(21)와;The hinge portion 20 includes a first hinge portion 21 which is inserted and protruded into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1 while the camera module 30 is rotated up and down; 상기 카메라모듈(30)이 돌출된 상태에서 측방으로 회전되는 제2힌지부(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And a second hinge portion (22) which rotates laterally in a state where the camera module (30) is protruded.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카메라모듈(30)은;The camera module 30; 카메라모듈(30)의 몸체를 형성하면서 상기 카메라삽입홈(11)에 삽입되고, 상 기 힌지부(20)에 의해 회전되는 케이스(31)와,A case 31 which is inserted into the camera insertion groove 11 and forms the body of the camera module 30 and rotated by the hinge portion 20; 상기 케이스(31)의 일측에 렌즈가 부착되고 상기 렌즈의 내부에 촬영소자가 구비되는 카메라(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amera 32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ase 31 and the recording element is provided inside the lens.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렌즈가 부착된 케이스(31)의 측면에 빛을 발산하는 플래시(3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sh 33 for emitting light to the side of the case 31 is attached to the lens.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케이스(31)의 일측에 동영상 촬영시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3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phone (34) for receiving a voice at the time of video recording on one side of the case (31) is further provided.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상기 케이스(31)의 일측에 스피커(3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aker 35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31).
KR1020050008173A 2005-01-28 2005-01-28 A camer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KR200600872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173A KR20060087236A (en) 2005-01-28 2005-01-28 A camer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173A KR20060087236A (en) 2005-01-28 2005-01-28 A camer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236A true KR20060087236A (en) 2006-08-02

Family

ID=3717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173A KR20060087236A (en) 2005-01-28 2005-01-28 A camer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723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246B1 (en) * 2013-08-28 2015-06-11 플라텔코퍼레이션(주) Watch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246B1 (en) * 2013-08-28 2015-06-11 플라텔코퍼레이션(주) Watch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7241C2 (en) Mobile phone of folding type with camera
JP4802077B2 (en) Portable device
CN100496064C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KR20100106804A (en) Structure for battery cover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2008535315A (en) Camera phone with large sensor
JP3929704B2 (en) Imaging device with communication function
JP4199576B2 (en) Foldable mobile terminal
KR100606797B1 (en) Mobile Phone having Dual Camera
JP2003250071A (en) Image sensor and imaging apparatus
KR100645159B1 (en) a slide type mobile phone with ratating camera
JP2009153085A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20060087236A (en) A camer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JP2002354082A (en) Portable telephone with a camera
JP4187068B2 (en) Foldable mobile terminal
KR100473502B1 (en) Mobile phone with built-in camera
KR100620697B1 (en) a folder type mobile phone with auto pop-up camera
KR200355888Y1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ing camera
KR20040038021A (en) Mobile phone with built-in camera
JP2005250396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camera
KR100497466B1 (en) Mobile phone having dual camera
KR100531936B1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KR20060094729A (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rolling and tilting camera
JP2004040382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ith camera
KR100620686B1 (en) a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ake a front and back photograph
KR200340063Y1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