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5340A - A portable mp3 transmitter which enables to optional output among audio, voice, and the text signal - Google Patents

A portable mp3 transmitter which enables to optional output among audio, voice, and the text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5340A
KR20060085340A KR1020050006138A KR20050006138A KR20060085340A KR 20060085340 A KR20060085340 A KR 20060085340A KR 1020050006138 A KR1020050006138 A KR 1020050006138A KR 20050006138 A KR20050006138 A KR 20050006138A KR 20060085340 A KR20060085340 A KR 20060085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sound source
audio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65033B1 (en
Inventor
이강훈
박근원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모토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토웨이브 filed Critical (주)모토웨이브
Priority to KR1020050006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033B1/en
Publication of KR20060085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3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0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 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원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음원 입력부와; 상기 음원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음원 신호를 주파수 특성에 의해 분배하는 음원 분배기와; 상기 음원 분배기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원하는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저장한 후, 그 디지털 신호를 인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디지털신호프로세서와;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의 디지털의 신호를 메모리 하여 처리하고,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장치인 키 패드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CD와;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와 외부의 입력장치인 마이크로부터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혼압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부와 ; 상기 믹서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공받아 수신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무선 송신부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를 구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for outputting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s, comprising: a sound source input unit for inputting a sound source signal; A sound source distributor for distributing a sound source signal provided from the sound source input unit by a frequency characteristic; A digital signal processor converting an output signal of the sound source distributor into a digital signal, extracting and storing a desired audio signal, and extracting the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 microcontroller unit which processes and processes digital signals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controls respective components; A keypad as an in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microcontroller unit; An LCD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microcontroller unit; A mixer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d mix an input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a microphone, which is an external input device, and output an audio signal;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output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s, comprising a wireless transmitter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output from the mixer and generate a signal for output to a receiver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Implement a portable radio transmitter.

무선 가사출력, 오디오 신호 변환기, 휴대용 무선, 무선 송신기, MP3Audio Lyrics Output, Audio Signal Converter, Portable Wireless, Wireless Transmitter, MP3

Description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A PORTABLE MP3 TRANSMITTER WHICH ENABLES TO OPTIONAL OUTPUT AMONG AUDIO, VOICE, AND THE TEXT SIGNAL}Portable Wireless Transmitter with Selective Output of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s {A PORTABLE MP3 TRANSMITTER WHICH ENABLES TO OPTIONAL OUTPUT AMONG AUDIO, VOICE, AND THE TEXT SIG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radio transmitting apparatus capable of outputting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송신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개요도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 transmitter in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3은 종래의 오디오 신호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에프엠 링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wireless FM linker for conventional audio signal outpu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2 : 음원 입력부 110 : 신호선택부102: sound source input unit 110: signal selection unit

120 : 음원 분배기 130 : 전원부120: sound source distributor 130: power supply

140 : 디지털신호프로세서 150 :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0: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microcontroller unit

160 : 키 입력부 170 : LCD부160: key input unit 170: LCD unit

180 : 믹서부 186: 마이크180: mixer 186: microphone

188: 스피커 190 : 무선 송신부188: speaker 190: wireless transmission unit

191: 변조부 192 : 위상동기루프(PLL)191: modulator 192: phase locked loop (PLL)

193 : 전압제어발진부(VCO) 194: RF 증폭부193: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194: RF amplifier

195 : 필터링부 195: filtering unit

본 발명은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오디오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오디오에 실리는 가사와 함께 무선 송출하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 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signal output from a portable audio device and a voice signal of a user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Sily relates to a portable wireless transmitter for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 output wirelessly with lyrics.

일반적으로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로 사용되는 기기로는, 예를 들면 MP3 플레이어, 카세트테이프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휴대폰 내장형의 플레이어 등이 있다. In general, a device used as a portable audio playback device includes, for example, an MP3 player, a cassette tape player, a CD player, an MD player, a player with a built-in mobile phone.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와 같은 휴대용 오디오 기기 및 고정식의 오디오 기기, PC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가정이나 차량 등에 구비된 FM 수신 라디오 및 무선 마이크 수신기로 전송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때, 각 지역이나 국가에서 사용되는 FM 수신 무선 마이크 주파수 대역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송신 주파수를 임의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 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가 필요한 것을 인식하였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 the audio signals output from such portable audio devices, fixed audio devices, PCs, etc. to FM reception radios and wireless microphone receivers provided in homes or vehicles, and output them through speakers. Regardless of the frequency band of the FM receiving wireless microphone used in the country, it has been recognized that a portable wireless transmitting device for outputting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s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nd used.

이에 대해,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281453호(등록일자; 2002년 6월 27일)에는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에프엠 링커에 대해 게시되었다. In this regar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81453 (registration date; June 27, 2002) published a portable wireless FM linker for audio signal outpu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에프엠 링커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종래의 오디오 신호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에프엠 링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portable wireless FM linker for outputting a conventional audio sig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wireless FM linker for outputting a conventional audio signal.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오디오 신호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에프엠 링커는, FM 링커 사용자가 송신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해 조작하는 업다운 스위치(11)와; 송신 주파수 및 배터리 상태의 표시를 제어하고, FM 링커의 전원 온/오프, RF 출력제어를 위한 PLL 데이터의 출력, 사용자의 업다운 스위치 조작에 따른 주파수 변환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2)와; FM 링커의 전원이 온되면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현재의 송신 주파수를 표시하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LCD부(13)와; 전원 오프시 최종 사용된 송신 주파수를 저장하고 있으며, 전원 온시 저장된 송신 주파수를 자동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메모리부(14)와; 사용자의 업다운 스위치 조작시 온되어 어두운 곳에서도 LCD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램프부(15)와; 1.5V 배터리 전원을 5V로 승압하여 FM 링커의 각 부분으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6)와;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PLL 데이터를 토대로 88∼108MHz, 78∼90MHz의 주파수를 발진하는 PLL 발진부(17)와; FM링커가 접속된 휴대용 오디오기기에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PLL 발진부에서 발진하는 송신 주파수를 합성하여 FM스테레오 신호를 발생시키고, 안테나를 통해 가정 또는 차량에 구비된 FM 수신 라디오로 RF 주파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FM IC부(18)와; 휴 대용 오디오기기에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송신 주파수를 합성하기 전에 FM 수신기 특성에맞도록 신호를 조정하고, 스테레오 분리를 위한 PILOT 신호의 크기를 조정하는 LPF/PILOT 조정부(19)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conventional portable wireless FM linker for audio signal output includes an up-down switch 11 which the FM linker user operates to select a transmission frequency; A microcomputer 12 that controls the display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and the battery status, and controls the power on / off of the FM linker, the output of the PLL data for the RF output control, and the frequency conversion according to the user's up-down switch operation; An LCD unit 13 which displays the current transmission frequency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when the FM linker is turned on, and displays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A memory unit 14 for stor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last used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and automatically using the stored transmission frequency when the power is turned on; A lamp unit 15 turned 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up-down switch so that the LCD unit can be checked even in a dark place; A power supply unit 16 for boosting 1.5V battery power to 5V and supplying operation power to each part of the FM linker; A PLL oscillator 17 for oscillating frequencies of 88 to 108 MHz and 78 to 90 MHz based on the PLL data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Synthesizes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portable audio device connected to the FM linker and the transmission frequency oscillated by the PLL oscillator to generate the FM stereo signal, and outputs the RF frequency to the FM receiving radio provided in the home or vehicle through the antenna. An FM IC unit 18; The LPF / PILOT adjusting unit 19 adjusts the signal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M receiver and synthesizes the PILOT signal for stereo separation before combining the audio signal and the transmission frequency input from the portable audio device.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오디오 신호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에프엠 링커의 작용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wireless FM linker for the conventional audio signal outpu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already known and a separ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휴대용 또는 고정식의 오디오 기기와는 별도로 무선 에프엠 링커를 구비하고, 이어폰 잭등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별도의 장치를 제작하여 휴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오디오 기기 외에 별도의 링커장치를 구비하여야 되므로, 간편화 및 통합화되고 있는 실정에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제작 비용이 발생하게 되어 경제적으로도 불리하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device is provided with a wireless FM linker separately from a portable or stationary audio device, and ha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device must be manufactured and carried by connecting and using an earphone jack. Accordingly, since a separate linker device must b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portable audio device, it does not fit the situation that is being simplified and integrated as well as an additional production cost is disadvantageous economically.

또한 종래의 오디오 신호출력을 위한 휴대용 무선 에프엠 링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오디오 기기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만을 무선으로 송출하여 FM 수신기가 구비되어 있는 가정 또는 차량내에서 스피커를 통해 청취할 수 있는 것만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되는 음원을 선택하거나 별도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선택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는 장치는 구성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 portable wireless FM linker for outputting a conventional audio signal, only the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device can be transmitted wirelessly and can be heard through a speaker in a home or a vehicle equipped with an FM receiver. And, there is a big problem that the device for transmitting the radio by selecting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by selecting the user's voice input separate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오디오 기기와 무선 송신장치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main object is to provide a portable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outputting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s in which an audio device and a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ar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 음원 및 및 음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원에 포함된 가사를 출력하면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 할 수 있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를 얻을 수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s that can separately output various sound sources and voice signals, and can selectively output the user's voice signals while outputting lyrics contained in the sound sources. It is possible to obtain a portable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an outpu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는, 음원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음원 입력부(102)와; 상기 음원 입력부(102)로부터 제공되는 음원 신호를 주파수 특성에 의해 분배하는 음원 분배기(120)와; 상기 음원 분배기(120)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원하는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저장한 후, 그 디지털 신호를 인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와;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의 디지털의 신호를 메모리 하여 처리하고,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장치인 키 패드(160)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CD(170)와;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와 외부의 입력장치인 마이크(186)로부터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혼압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믹 서부(180)와 ; 상기 믹서부(18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공받아 수신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무선 송신부(190)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30)를 포함함으로써 달성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outputting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s includes: a sound source input unit 102 for inputting a sound source signal; A sound source divider 120 for distributing a sound source signal provided from the sound source input unit 102 by a frequency characteristic; A digital signal processor 140 for converting an output signal of the sound source distributor 120 into a digital signal, extracting and storing a desired audio signal, and then extracting the digital signal and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 microcontroller unit (150) which processes and processes the digital signal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40) and controls each component; A keypad (160) which is an in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microcontroller unit (150); An LCD (170)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microcontroller unit (150); A mixer 180 which receives an input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40 and a microphone 186, which is an external input device, mixes the input signal, and outputs an audio signal; It can be achieved by including a wireless transmitter 190 for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the mixer 180 to generate a signal for output to the receiver and a power supply 130 for supplying power.

이때, 상기 무선 송신부는,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공받아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동기를 실행하는 위상동기루프부와; 상기 변조부의 출력신호와, 사용자의 마이크 입력신호와, 위상동기루프부루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일정전압으로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전압제어발진부와; 상기 전압제어발진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RF 증폭부와; 상기 RF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제공받아 필터링하는 필터링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a modulator for receiving and modulat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A phase synchronization loop unit which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microcontroller unit and performs phase synchronization; A voltage control oscillator for receiving an output signal of the modulator, a microphone input signal of the user, and a signal from a phase-locked loop unit to control an output signal at a constant voltage; An RF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is provided with a filter for receiving the output signal of the RF amplifier.

여기에서,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는, 입력되는 음원을 주파수 대역 범위를 지정하여, 같은 특성을 갖는 음원을 복수개의 밴드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preferably designates a frequency band range for the input sound source, and stores the sound source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a plurality of bands.

이때, 상기 믹서부는,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음원에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직접 입력하는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ixer unit mixes and outputs a voice signal directly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to a sound source selectively provided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또 상기 무선 송신부는, 음원으로 제공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단독으로 출력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output the user's voice input alone, even if there is no signal provided to the sound sour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 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portable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outputting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radio transmitting apparatus capable of outputting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있어서, 부호 102는 음원입력부(102)이다. 음원입력부(102)는, 예를 들어 MP3, MD, CD, 라디오, PC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신호 및 곡의 가사를 제공 받는 부분으로, 상기 음원입력부(102)에서는 각각의 입력장치로부터 다양을 음원을 갖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 In FIG. 1, reference numeral 102 denotes a sound source input unit 102. The sound source input unit 102 is, for example, a part that receives lyrics of an audio signal and a song provided from an input device such as an MP3, MD, CD, radio, PC, and the like. Receives an audio signal with various sound sources.

상기 음원입력부(102)의 출력신호는 음원 분배기(120)에 제공되어, 상기 음원입력부(102)에서 들어오는 일정한 오디오 신호를 각각 하이레벨(H), 중간 레벨(M), 낮은 레벨(L)의 오디오 신호를 구분하고, 또한 신호선택부(110)의 선택에 따라 입력되는 음원을 분리하여 출력 한다. The output signal of the sound source input unit 102 is provided to the sound source distributor 120 so as to output a constant audio signal from the sound source input unit 102 of the high level (H), the middle level (M), and the low level (L), respectively. The audio signal is distinguished and the input sound source is separated and outpu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ignal selector 110.

상기 음원 분배기(120)의 출력신호는, 디지털 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집적회로인 디지털신호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140)에 입력된다. The output signal of the sound source divider 120 is input to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140 which is an integrated circuit capable of processing digital signals in hardware.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는 상기 음원 분배기(120)의 출력신호를 디지털의 신호로 변환하여 원하는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고, 또 그 신호를 출력 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icro Controller Unit; 이하 MCU 라 함)(150)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다시 그 디지털화 한 신호중 원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동작 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40 converts the output signal of the sound source divider 120 into a digital signal to separate a desired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signal to output a microcontroller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icrocontroller unit). It stores in the memory of 150, and again selects the desired signal from the digitized signal to convert 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

이때,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의 동작은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 감독 하며,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의 디지털의 신호를 메모리 하여, 다른 입력 신호가 없는 경우에도 오디오 신호를 출력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후술하는 마이크(186)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이나 효과음(또는 자연음)의 음성데이터(VOICE DATA)를 입력 받아, 음원과 가사 및 음성신호등의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변환 하여 오디오를 출력 하는 기능을 한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microcontroller unit 150 controls and supervise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and stores the digital signal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40 so that the audio signal can be output even when there is no other input signal. do. In addition, the VOICE DATA of the user's voice or effect sound (or natural sound) provided through the microphone 186 to be described below is input, and receives and stores data such as a sound source, lyrics and a voice signal, and stores an analog signal. It converts and outputs audio.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로부터 출력된 곡에 대한 가사 정보 데이터는 LCD(170) 창을 통해 표시 되며, 입력장치인 키 패드(160)의 작동을 통해 상술한 각각의 기능을 제어 하게 된다.The lyrics information data of the music output from the microcontroller unit 150 is displayed through the LCD 170 window, and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are controll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keypad 160 as an input device.

한편,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에서는 입력되는 음원에 따라 신호를 구분 처리한다. 예를 들어, 입력 음원으로 특정주파수를 갖는 악기의 신호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입력 음원에 포함된 신호중에 피아노(A), 첼로(B), 바이올린(C) 및 비올라(D) 등의 악기 출력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이를, 각각 분리하여 출력처리 할 수 있는 구성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40 processes the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sound source. For example, the input sound source may be classified into a signal of an instrument having a specific frequency. That is, when the instrument outputs such as piano (A), cello (B), violin (C), and viola (D) are included in the signals included in the input source, the components can be separately processed for output. .

이때,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의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각 음원 신호 및 음성신호등은 믹서부(180)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선택하는 신호만을 조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연습 또는 청감 훈련의 목적으로 입력 음원에 포함된 신호중에 피아노(A), 첼로(B), 바이올린(C) 및 비올라(D) 신호중의 일부를 선택하여 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신호선택부(110)를 조작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spective sound source signals and the audio signals output from the output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40 may be provided to the mixer 180 to combine and output only the signals selected by the user. That is, when a user wants to select and listen to a part of the piano (A), cello (B), violin (C) and viola (D) signals among the signals included in the input source for the purpose of practice or listening training, signal selection The unit 110 may be operated to operate.

좀더 구체적으로, MP3 등의 장치로부터 음원파일(신호)가 제공되어 음악을 청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임의 선택한 곡(오디오 및 비디오 포함가능)이 음원으로 제공될 때, 사용자는 음원 중에서 곡의 멜로디와 가사만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음성입력장치인 마이크(186)를 통해 가사에 맞는 곡을 직접 부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육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노래 연습기 등으로 사용하는 등으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 case in which a sound source file (signal) is provided from a device such as an MP3 to listen to music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When a user randomly selects a song (including audio and video) as a sound source, the user selects and outputs only the melody and lyrics of the song from the sound source, and directly outputs a song corresponding to the lyrics through the microphone 186 which is a voice input device. I can call. Through this, educational effect can be obtained, and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using as a song exerciser.

또한 상기 믹서부(180)의 출력신호는 내장된 무선 송신부(190)를 통해 안테나를 거쳐 수신장치(미도시)로 송신된다. 상기 믹서부(180)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PLL DATA를 전송하여 원하는 주파수로 선택 하고, 스테레오 송신을 위한 38KHz및 19KHz를 구형파 발진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190)로 출력 한다. In addition, the output signal of the mixer 180 is transmitted to a receiver (not shown) through an antenna through the built-in wireless transmitter 190. The signal output from the mixer unit 180 transmits PLL DATA to select a desired frequency, and square-wave oscillates 38KHz and 19KHz for stereo transmission and outputs it to the wireless transmitter 190.

여기에서, 상기 믹서부(18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의 출력부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마이크(186)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신호와 함께,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믹서한 후, 그 출력을 스피커(188)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오른쪽(R)과 왼쪽(L)의 신호로 분리 하여 출력 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그 신호를 상술한 무선 송신부(190)에 입력 하여 스테레오 신호로 송신 할 수도 있다. Here, the operation of the mixer 18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the analog audio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put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40, and the selected audio signal is mixed with the audio signal provided from the user's microphone 186. The audio signal may be separated into a signal of the right (R) and the left (L) and output. The signal may be input to the wireless transmitter 190 and transmitted as a stereo signal.

상기 LCD(170)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의 각종 동작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 표시한다. 상세하게는, 전원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전원의 상태 표시, 상기 음원 분배기(120)의 동작표시,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의 동작 및 출력 표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의 메모리 상태표시, 상기 키 패드(160)의 상태 표 시, 마이크(186)의 동작 표시, 스피커(188) 동작 표시, 믹서부(180) 동작 표시, 무선 송신부(190)의 동작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안테나 출력상태 표시, 음원 입력 상태표시, 신호선택부(110)의 동작 표시, 음원에 포함된 곡의 가사 동작표시, 및 LCD(170)를 통해 어두운 곳에서도 LCD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램프를 표시 한다. The LCD 170 displays and displays various operating states of the portable radio transmitter capable of selectively outputting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status display of the input power input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30, the operation display of the sound source distributor 120, the operation and output display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40, the memory of the microcontroller unit 150 In addition to displaying the status, the status of the keypad 160, the operation of the microphone 186, the operation of the speaker 188, the operation of the mixer 180, and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ransmitter 190, Displays the antenna output status, the sound source input status display, the operation display of the signal selector 110, the lyrics operation of the song included in the sound source, and displays the lamp to check the LCD in the dark through the LCD 170 .

도시한 전원부(130)의 동작은 외부의 DC 입력을 통하여 5V로 정전압 정전류를 통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그 전압과 전류를 각각의 구성부에 입력 한다. 이때, 내장된 배터리는 2.8VDC의 전압으로 전원을 승압 할 수 있는 DC/DC 회로로 구성되어 DC5V의 전압을 각각의 부분에 공급 한다. The illustrated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30 charges the battery through a constant voltage constant current at 5V through an external DC input, and inputs the voltage and current into each component. At this time, the built-in battery is composed of a DC / DC circuit capable of boosting the power to a voltage of 2.8VDC to supply a voltage of DC5V to each part.

상기 키 패드(160)는, 상술한 각 구성부의 제어를 목적으로 하며, 음원의 종류를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음원 분배기(120)의 동작을 위한 선택 스위치,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의 선택 동작을 위한 스위치, 믹서부(180)에서의 종류를 선택 하기 위한 스위치, 송신되는 오디오 종류를 정하는 스위치, 주파수를 입력 하기 위한 스위치, 스피커(188)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마이크(186)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그리고 장치 전체의 전원을 온/오프(ON/OFF) 제어 할수 있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 되며 모든 스위치는 스캔 제어방식으로 입력 포트를 최소화 하도록 구성하였다. The keypad 160 is for controlli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type of sound source, a selection switch for the operation of the sound source distributor 120, and a selection operation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40. Switch for controlling, a switch for selecting a type in the mixer unit 180, a switch for determining the type of audio to be transmitted, a switch for inputting a frequency,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peaker 188, a microphone 186 on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off and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ntire device on and off. All the switches are configured to minimize the input port by using a scan control method.

다음으로 상술한 스피커(188)는 통상의 MP3 등의 기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오디오 출력시 자체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 하기 위한 스피커와, 외부의 오디오 기기나 이어폰으로 출력 할 수 있는 외부 신호출력단으로 구성된다. Next, the speaker 188 described above is used for a device such as a general MP3, and comprises a speaker for outputting its own audio signal at the time of audio output, and an external signal output terminal that can be output to an external audio device or earphone. do.

다음으로, 상기 무선 송신부(190)의 구성 및 동작을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 하기로 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wireless transmitter 19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송신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 transmitter in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에 적용되는 무선 송신부(190)는,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공받아 변조하는 변조부(191)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동기를 실행하는 위상동기루프부(Phase-Locked Loop; PLL)(192)와; 상기 변조부(191)의 출력신호와, 사용자의 마이크(186) 입력신호와, 위상동기루프부(192)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일정전압으로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전압제어발진부(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193)와;상기 전압제어발진부(193)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RF 증폭부(RF AMP)(194) 및 ; 상기 RF 증폭부(194)의 출력신호를 제공받아 필터링하는 필터링부(Low Pass Filter)(19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wireless transmitter 190 applied to a portable wireless transmitter capable of selectively outputting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d modulates a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40. A modulator 191; A phase-locked loop (PLL) 192 for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the microcontroller unit 150 to perform phase synchronizatio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for controlling the output signal with a constant voltage received from the output signal of the modulation unit 191, the input signal of the microphone 186 of the user, the phase synchronization loop unit 192 An RF amplifying unit (RF AMP) 194 for amplifying an output signal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93; A low pass filter 195 is provided to receive and filter the output signal of the RF amplifier 194.

여기에서, 상기 변조부(191)는 음원 오디오에 포함된 38KHZ의 입력신호와, 오른쪽(R) 입력신호 및 왼쪽(L) 입력신호를 제공받는다. Here, the modulator 191 receives an input signal of 38KHZ, a right (R) input signal and a left (L) input signal included in the sound source audio.

또, 상기 위상동기루프부(192)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의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전압제어발진부(193)에 필요한 주파수를 발진한다. In addition, the phase locked loop unit 192 receives an input signal stored in a memory of the microcontroller unit 150 and oscillates a frequency required for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93.

다음으로, 상기 전압제어발진부(193)는 상기 변조부(191)와, 상기 위상동기루프부(192)와, 사용자의 마이크(186)의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일정한 신호를 출력 한다. 이 신호는 상기 RF 증폭부(194)를 통해 증폭되어, 상기 필터링부(195)에 제공된다. 이때 상기 필터링부(195)는 로우패스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93 receives an input signal from the modulator 191, the phase synchronization loop 192, and the user's microphone 186 and outputs a constant signal. The signal is amplified by the RF amplifier 194 and provided to the filtering unit 195. In this case, the filtering unit 195 is preferably a low pass filt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송신부(19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ransmitter 1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변조부(192)에서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로부터 출력되는 PLL 데이터를 전송 받아 주파수를 설정하고, 상기 믹서부(180)의 오디오 출력을 오른쪽(R)과 왼쪽(L) 신호 및 사용자의 마이크(186)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를 받아 변조한다. First, the modulator 192 receives the PLL data output from the microcontroller unit 150 to set a frequency, and sets the audio output of the mixer 180 to the right (R) and left (L) signals and the user. The audio input from the microphone 186 is received and modulated.

이때 적용되는 변조 방식은 F3E의 방식등을 이용할 수 있고, 스테레오 오디오 변조와 마이크 변조를 할 수 있는 변조기를 사용하여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의 38KHz와19KHz의 신호를 동시에 변조 하여 스테레오 송신이 가능 하다. 또, FM 주파수 대역과 무선 송신부(190)의 주파수를 선택 할 수 있는 전압제어발진부(193)를 통해 신호의 전압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전압제어발진부(193)의 출력신호는 RF 증폭하기 위한 RF 증폭부(194)와, 상기 위상동기루프부(196)의 피드백 신호로 제공된다. 상기 RF 증폭부(194)에서 증폭된 신호는 상기 필터링부(195)를 통해 안테나를 거쳐 송신된다. At this time, the modulation method applied may use the method of F3E, etc., and by using a modulator capable of stereo audio modulation and microphone modula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modulate the 38KHz and 19KHz signal of the microcontroller unit 150 to stereo transmission Do. Further, the voltage of the signal is controlled through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93 capable of selecting the FM frequency band and the frequency of the wireless transmitter 190. The output signal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93 is provided as a feedback signal of the RF amplifier 194 for RF amplification and the phase-locked loop unit 196. The signal amplified by the RF amplifier 194 is transmitted via an antenna through the filtering unit 195.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MP3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원을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음악의 멜로디와 가사만을 출력되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직접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고,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출력하면 서 노래연습을 할 수도 있게 된다. In this way, when the user uses the MP3 device, the user can select a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for example, the user inputs a voice directly through a microphone while outputting only the melody and lyrics of the music, and the sound through the speaker. You can also practice singing while printing.

상기한 마이크(186)는 외부의 사람 목소리 혹은 외부의 효과음(자연음)을 입력 받아 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전압제어발진부(193)에 내장된 자동이득제어회로(Aotomatic Gain Control)를 통하여 일정한 진폭의 오디오 신호를 상술한 믹서부(180)에 제공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19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FM 송신 주파수는, 88∼108MHz 또는 78∼90MHz 또는 무선 마이크 대역 등 다양한 스펙트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면, 특정 국가나 지역에 한정됨이 없이 무선 송신기능을 구비하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The microphone 186 receives an external human voice or an external sound effect (natural sound) and receives the audio signal through a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Aotomatic Gain Control) built in the voltage control oscillator 193. The audio signal is provided to the mixer 180 as described above and output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190. In this case, when the FM transmission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be utilized in various spectrums such as 88 to 108 MHz or 78 to 90 MHz, or a wireless microphone band, audio / voice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function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country or region and A portable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outputting lyrics signals can be implemen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개요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out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by those who have the sam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구성에 따르면, 오디오 기기와 무선 송신장치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a portable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outputting the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 is composed integrally of the audio device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구성에 따르면, 각종 음원 및 및 음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원에 포함된 가사를 출력하면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 할 수 있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separate and output various sound sources and voice signals, but also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s that can selectively output the user's voice signal while outputting the lyrics contained in the sound source It is possible to obtain a portable radio transmitt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outputting a.

Claims (5)

음원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음원 입력부(102)와; A sound source input unit 102 for inputting a sound source signal; 상기 음원 입력부(102)로부터 제공되는 음원 신호를 주파수 특성에 의해 분배하는 음원 분배기(120)와; A sound source divider 120 for distributing a sound source signal provided from the sound source input unit 102 by a frequency characteristic; 상기 음원 분배기(120)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원하는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저장한 후, 그 디지털 신호를 인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와; A digital signal processor 140 for converting an output signal of the sound source distributor 120 into a digital signal, extracting and storing a desired audio signal, and then extracting the digital signal and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의 디지털의 신호를 메모리 하여 처리하고,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과; A microcontroller unit (150) which processes and processes the digital signal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40) and controls each component;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장치인 키 패드(160)와; A keypad (160) which is an in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microcontroller unit (150);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50)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CD(170)와; An LCD (170)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microcontroller unit (150);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140)와 외부의 입력장치인 마이크(186)로부터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혼압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부(180)와 ; A mixer unit 180 which receives an input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40 and a microphone 186 which is an external input device, mixes the mixed signal, and outputs an audio signal; 상기 믹서부(18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공받아 수신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무선 송신부(190)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Audio / vo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190 for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the mixer 180 to generate a signal for output to the receiving device and a power supply unit 130 for supplying power And a portable radio transmitter capable of selectively outputting the lyrics signa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 송신부는, The wireless transmitter,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공받아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동기를 실행하는 위상동기루프부와; 상기 변조부의 출력신호와, 사용자의 마이크 입력신호와, 위상동기루프부루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일정전압으로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전압제어발진부와; 상기 전압제어발진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RF 증폭부와; 상기 RF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제공받아 필터링하는 필터링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A modulator for receiving and modula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A phase synchronization loop unit which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microcontroller unit and performs phase synchronization; A voltage control oscillator for receiving an output signal of the modulator, a microphone input signal of the user, and a signal from a phase-locked loop unit to control an output signal at a constant voltage; An RF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a filter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d filter an output signal of the RF amplifying unit, wherein the portable radio transmitter is capable of selectively outputting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s.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는, 입력되는 음원을 주파수 대역 범위를 지정하여, 같은 특성을 갖는 음원을 복수개의 밴드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is a portable wireless transmission capable of selectively outputting audio / audio and lyrics sign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sound source to specify a frequency band range, and separate and store the sound source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into a plurality of bands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믹서부는, 상기 디지털신호프로세서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음원에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직접 입력하는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The mixer unit is capable of selectively outputting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s to a sound source selectively provided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outputting a mixed voice signal directly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Devic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무선 송신부는, 음원으로 제공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단독으로 출력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The wireless transmitter is a portable wireless transmitter capable of selectively outputting audio / voice and lyrics sign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voice input alone is output even when no signal is provided as a sound source.
KR1020050006138A 2005-01-24 2005-01-24 A portable mp3 transmitter which enables to optional output among audio, voice, and the text signal KR1006650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138A KR100665033B1 (en) 2005-01-24 2005-01-24 A portable mp3 transmitter which enables to optional output among audio, voice, and the text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138A KR100665033B1 (en) 2005-01-24 2005-01-24 A portable mp3 transmitter which enables to optional output among audio, voice, and the text signa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198U Division KR200380994Y1 (en) 2005-01-25 2005-01-25 A portable mp3 transmitter which enables to optional output among audio, voice, and the text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340A true KR20060085340A (en) 2006-07-27
KR100665033B1 KR100665033B1 (en) 2007-01-04

Family

ID=3717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138A KR100665033B1 (en) 2005-01-24 2005-01-24 A portable mp3 transmitter which enables to optional output among audio, voice, and the text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03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601Y1 (en) * 2020-12-21 2021-11-15 윈텍정보(주) Portable wireless transmitter including audio input plug and wireless transceiver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601Y1 (en) * 2020-12-21 2021-11-15 윈텍정보(주) Portable wireless transmitter including audio input plug and wireless transceiver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033B1 (en)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8048B1 (en) Portable karaoke device
US5317622A (en) Ringing circuit for use in a telephone set for detecting a mobile mode or a portable mode of the telephone set
KR100270988B1 (en) Recording and regenerating apparatus in microphone
US7835772B2 (en) FM output portable music player with RDS capability
KR100665033B1 (en) A portable mp3 transmitter which enables to optional output among audio, voice, and the text signal
HUT73903A (en) Portable music performance device
KR200380994Y1 (en) A portable mp3 transmitter which enables to optional output among audio, voice, and the text signal
KR100342061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sound data by using FM transmitter
KR200170731Y1 (en) A mp-3 music player having functions of transmitting frequency modulation signals
KR200305751Y1 (en) wireless and portable karaoke
KR100843722B1 (en) Multifunctional microphone device for karaoke in car
KR20040028433A (en) wireless and portable karaoke
KR200281453Y1 (en) Wireless portable FM linker for audio signal output
KR200317602Y1 (en) Audio-file player including fm transmitter
KR200415707Y1 (en) FM Transmitter
KR20030066578A (en) MP3 Player With Transmitter Interface Include Memory Chip And Cigar Plug
KR100892077B1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equipment of microphone
WO2007008041A1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equipment of microphone
JP3568491B2 (en) Portable karaoke equipment
KR100696953B1 (en) Portable karaoke have the custody of microphone
KR200253083Y1 (en) Computer input devices with FM transmitter
KR19990041218A (en) Portable wireless flexible accompaniment method and device
KR200332362Y1 (en) MP3 Player With Transmitter Interface Include Memory Chip And Cigar Plug
KR200374673Y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ransmitter
JP2003110665A (en)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