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4262A - 유해 조류에 의한 피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는 조류기피제 - Google Patents

유해 조류에 의한 피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는 조류기피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4262A
KR20060084262A KR1020050005057A KR20050005057A KR20060084262A KR 20060084262 A KR20060084262 A KR 20060084262A KR 1020050005057 A KR1020050005057 A KR 1020050005057A KR 20050005057 A KR20050005057 A KR 20050005057A KR 20060084262 A KR20060084262 A KR 20060084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gae
repellent
damage
harmful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형규
신동일
Original Assignee
(주) 팜텍21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팜텍21 filed Critical (주) 팜텍21
Priority to KR1020050005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4262A/ko
Publication of KR20060084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 A01N3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containing aliphatically bound aldehyde or keto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cet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0Aromatic or araliphatic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4Lauraceae [Laurel family], e.g. laurel, avocado, sassafras, cinnamon or camph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농업분야에서 생태계의 파괴, 환경변화 등으로 인하여, 농촌지역에서 농작물 등에 대한 유해 조류(有害 鳥類)에 의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으며, 또한 도심에서도 유해 조류에 의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바, 이에 유해 조류 퇴치 방법으로 시각(視覺)에 의한 방법, 음향에 의한 방법, 그물망 등 물리적인 방법, 기피제에 의한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방법들은 효과가 짧고 비용이 많이 들며, 특히 기피제에 사용되는 화학 물질들은 환경 오염과 인축에 큰 피해를 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조류 방제에 효과적인 방법인 생물 약제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바, 본 발명은 화학 약제가 가지는 내성균 발생 위험 및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을 해결한, 육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류 기피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육계나무 수피 추출물, 유해 조류, 조류 기피제, 까치, 직박구리, 미각기피, 후각기피

Description

유해 조류에 의한 피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는 조류 기피제{Repellant for protecting crops from birds that causing damage}
도 1은 조류 기피제 처리에 따른 까치 반응을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본 사진도에서 좌측은 조류 기피제가 처리된 사과를 먹고있는 까치를 보여준 것이며, 중간과 우측은 사과를 먹고 까치가 토한 흔적을 보여준 것이다.
도 2는 조류 기피제 처리에 따른 미각 기피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본 사진은 16조각의 사과에 조류 기피제 300배 희석 처리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할수록 사과 섭취량이 감소하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도 3은 조류 기피제 처리에 따른 후각 기피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본 사진에서 좌측은 무처리구의 사과를 3시간 동안 까치가 섭취한 것이며, 우측은 조류 기피제가 처리된 사과를 3시간 동안 까치가 섭취한 것이다.
도 4는 조류 기피제 처리에 대한 항균효과를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본 사진에서 좌측은 사과 겹무늬 썩음병균에 대한 약제의 저지율을 보여준 것이며, 우측은 사과 탄저병균에 대한 약제의 저지율을 보여준 것이다.
도 5는 조류 기피제 처리에 따른 작물별 안정성을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콩, 사과, 배, 포도, 딸기, 복숭아의 신초와 과실에 조류 기피제를 500배 희석하여 처 리하였을 때 약해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조류 기피제 처리에 대한 발아시험을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본 사진의 좌측은 무처리구한 콩의 발아 사진이며, 중간은 대조약제를 처리한 콩의 발아 사진이고, 우측은 조류 기피제 처리한 콩의 발아 사진이다.
도 7은 조류 기피제와 혼용 약제 처리에 따른 사과나무의 약해를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본 사진에서 좌측은 사과 품종 '후지' 잎의 약해를 본 것이며, 우측은 사과 품종 '후지'의 과실에 약해를 본 것이다.
도 8는 조류 기피제와 혼용 약제 처리에 따른 배나무의 약해를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본 사진에서 좌측은 배 품종 '화산' 잎의 약해를 본 것이며, 우측은 배 품종 '화산'의 과실에 약해를 본 것이다.
도 9는 사과 포장에 조류 기피제 처리 후 유해 조류 기피 효과를 시험한 사진도이다. 본 사진에서 좌측은 조류 기피제를 처리하지 않아 유해 조류 피해를 본 과실과 병반이 발생한 과실을 보여주는 것이며, 우측은 조류 기피제 처리를 통한 상품과를 보여준 것이다.
도 10은 배 포장에 조류 기피제 처리 후 유해 조류 기피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본 사진에서 좌측은 조류 기피제를 처리하지 않아 유해 조류 피해를 본 과실을 보여주는 것이며, 우측은 조류 기피제 처리를 통한 상품과를 보여준 것이다.
도 11은 포도 포장에 조류 기피제 처리 후 유해 조류 기피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본 사진에서 좌측은 조류 기피제를 처리하지 않아 유해 조류 피해를 본 과실을 보여주는 것이며, 우측은 조류 기피제 처리를 통한 상품과를 보여준 것이다.
도 12는 콩 포장에 조류 기피제 처리 후 유해 조류 기피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본 사진에서 좌측은 조류 기피제를 처리하지 않아 유해 조류 피해를 본 콩 포장의 모습이며, 우측은 조류 기피제 처리를 통해 정상적으로 발아한 콩의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도 13은 콩 포장에 조류 기피제 처리 후 유해 조류 기피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본 사진에서 좌측은 조류 기피제를 처리하지 않아 발아한 콩에 대해 유해 조류 피해를 본 사진이며, 우측은 조류 기피제 처리를 통해 정상적으로 생장하고 있는 콩의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최근, 생태계의 파괴, 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농촌지역의 경우 조류의 먹이 원이 사라지면서 새로운 먹이를 찾아 예전에는 피해를 주지 않던 과수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사례가 급속히 증가하는 등 길조의 상징이라 불리던 까치가 현재는 유해 조류로 까지 분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조류 피해가 급증하면서 조류 퇴치 방법으로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어왔다. 시각에 의한 방법, 음향에 의한 방법, 그물망 등 물리적인 방법, 그리고 최근에는 기피제에 의한 방법에 까지 다양한 방법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시각(視覺)에 의한 조류 퇴치 방법으로는 예전 농사철에 허수아비를 세워두거나 반짝이는 끈 등을 주변에 설치해 참새 등 곡물에 피해를 주는 조류를 쫓았던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시각적인 방법은 초기에 있어서는 다른 어떤 방법보다도 자극에 가장 빠르게 반응하지만 그만큼 빠르게 학습되어진다. 이들 장치들이 거둔 대부분의 단기간의 성공은 그것들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어떤 실제적인 공격적인 효과보다는 오히려 새로운 물체에 대한 반응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조류문제에 대해 장기간의 해결책으로서 사용은 부적당하다.
음향에 의한 조류 퇴치 방법에서 우선 가장 초보적인 방법으로 깡통 등을 줄에 매달아서 바람에 의해서 새들이 놀라 달아나게끔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자극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먹이 활동을 하는 조류에게는 크게 위협적이지 못한다. 또한 경보음, 라디오의 소음 등이 있는데 이들은 단순히 반복적인 소리만으로는 일시적인 효과밖에는 기해하기 어렵다. 소음이 큰 지역 등에서 이미 소음에 노출되었던 조류들에게 단순한 모빌모형의 시각 퇴치 제품보다는 기피효과가 길게 유지 되어서 국내 과수 농가의 경우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미 근처의 다른 농가 등에서 이러한 음향 퇴치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주변의 조류들은 이미 소음 등에 노출되어서 거의 기피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물리적인 방법에 의한 조류퇴치 방법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방조망 제품을 이용한 방법 등이 있다. 물리적인 방법은 다른 여타의 방법과 비교하여 단위면적 당 처리비용을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지만 조류의 착지 및 진입을 가장 확실하게 막을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시각적인 방법이나 청각적인 방법과는 달리 새들이 둥지를 몰고 있거나 자주 착지하여 대기하는 장소에 처리해 주는 방법으로, 위에 제시한 방조망을 사용하는 방법, 폴리부텐이 주성분인 끈끈이 군집방해제품, 창살형의 군집방해제품 등이 나와있다. 하지만 방조망 설치 시 시설비가 많이 투자되어야 하며, 태풍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입을 수 있으며, 끈끈이 제품은 처리 시 모든 지역에 처리 해야 하며 3개월 정도의 기간이 지나면 먼지 등으로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는 재 처리가 요구된다.
기피제를 이용에 의한 조류퇴치 방법으로 목초액, 나프탈렌, 메틸 안트라닐레이트(methyl anthralinate) 등의 화학물질 들이 사용된다. 목초액은 10-15일 간격으로 수상 살포하는 것으로서 작은 면적에서는 효과를 볼 수 있지만 대면적에서는 효율이 크게 떨어지며, 나프탈렌은 과수 농가의 경우 나무에 걸어 놓을 경우 조류의 후각을 자극하여 과수의 피해를 줄 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극의 정도가 작고 또한 주변 여건에 따라 그 효과가 떨어져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효과적이지 못하다. 그 외에,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안트라퀴논, 아비트롤(avitrol)이 첨가된 먹이를 먹을 경우 새들이 거북함을 느끼게 되고 이후 이 먹이에 대한 반감을 갖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과수류 등 농작물에 해를 주는 조류를 방제하는데 많은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단기 효과와 비용 등 많은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조류 방제에 효과적인 방법, 특히 생물 약제를 분무 처리하여 조류의 서식 환경에 영향을 주어 과실 피해를 줄이고 가축 사료에 처리하여 조류에 의한 사료 섭식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많다.
한편, 까치는 우리 나라 전역에서 흔히 번식하는 텃새이고, 가장 대표적인 유해 조류이다. 거의 모든 농작물에 피해를 주며, 특히 포도, 복숭아, 사과와 배에 심각한 피해를 준다. 춘기에 파종한 콩과 묘포장의 종자나 발아한 싹을 쪼아먹어 피해를 주며 수확기에는 배, 사과 등 과수를 쪼아 먹어 상품의 가치를 없애버려 과수원 주인들의 원성을 크게 받고 있다. 또한 전신주에 집을 만들면서 누전을 야기하여 전기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피해를 주고 있다. 직박구리(Hypsipetes amauroites)한반도의 중부 이남 지역에서 흔히 번식하는 텃새이다. 남부 지방으로 갈수록 더 흔히 관찰되며, 농작물에 대해 피해도 남부지방에서 더 심하다. 곡식류에는 피해를 거의 주지 않지만, 가을에 과실에 피해를 주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 조류(예: 까치, 직박구리 등)로부터 작물을 보호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화학 약제가 가지는 내성균 발생위험 및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없는 새로운 유형의 생물약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해 조류로부터 작물을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새로운 생물약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까치와 직박구리 등의 유해 조류로부 터 과수와 농작물을 보호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생물약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육계나무(cinnamon tree)는 사철 푸른 나무(상록수)로서, 중국의 남부(광동, 광서, 복건, 운남)와 월남 등의 온난한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식물이다. 육계나무의 수피 추출물은, 신남알데히드(cinnamaldehyde), 유제놀(eugenol), 펠란드렌(phellandrene) 등의 휘발성 물질과 탄닌(tannin), 식물 점질물(mucilage), 검(gum), 당(sugar) 쿠마린(coumarin) 등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상기한 육계나무 수피 추출물이 함유하는 성분 중에서 주요성분 중 하나인 신남알데히드는 음료, 아이스크림, 사탕, 껌, 빵 등의 향을 내는 식품 첨가물로서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미국 식품의약청(FDA)에 의해 식품 첨가제로서 승인을 받은 물질이다. 또한 육계나무 껍질은 한방치료에서 땀내기약, 열내림약 등으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기혈이 부족할 때 찬기운으로 배가 아플 때, 또는 어지럼증, 신경쇠약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육계나무 껍질의 활성산소 제거제로서의 효과(일본 특개평 4-5237), 화장품에서의 미백효과(일본 특허공개공보 제(평)7-277944, 특허공개공보 제(평)4-342519호), 탄닌 효과(일본 특허공개공보 제(소)60-64983) 등에 대해서도 이미 알려진 바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비극성 용제로서 코코졸-100(SK화학, 대한민국 소재)과 사이클로헥사논(대정화학, 대한민국 소재)의 혼합 용제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는 HY-300(한농화학, 대한민국 소재)를 사용하였다.
본원에서의 용어 "유해 조류에 의한 피해"는 본 발명의 육계나무 수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기피효과를 얻을 수 있는 모든 조류에 의한 피해를 의미한다.
본원에서의 용어 "농작물"은 본 발명의 육계나무 수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조류 피해를 얻을 수 있는 모든 작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채소류(오이, 고추, 당근, 배추 등), 과수류(사과, 배, 복숭아, 포도, 감 등), 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육계나무 수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유해 조류에 의한 피해로부터 작물을 보호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화학 약제가 가지는 내성균 발생 위험 및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없으면서도, 농작물에 대한 약해가 없으며 조류 피해를 방제하는 효과를 가진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육계나무 수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결과를 분석하여 보여준다.
실시예
1. 재료
(1) 육계나무 수피 추출물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활성 성분인 육계나무 수피 추출물은 Cinnamomum zeylanicum의 속 껍질을 증기 추출한 정유(essential oil)로서, 폴리 내추럴즈 인크.(Poya Naturals INC.)에서 구입한 것을 약 50중량%의 양으로 사용하였다(프랑스 소재의 Robertet사로부터도 구입가능함).
(2) 조성물
비극성 용제로서 코코졸-100(SK화학, 대한민국 소재) 약 30중량%와 사이클로헥사논(대정화학, 대한민국 소재) 약 10중량%의 혼합 용제가 사용되었다.
계면활성제로는 HY-300(한농화학, 대한민국 소재)를 약 9중량%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3) 유해 조류
본 실시예에서는, 2가지 조류 즉 까치와 직박구리에 대해 각각 시험하였다.
(4) 약제 준비
- 공시 약제(상표명: Natural keeper) : 육계나무 수피 추출물 약 50중량% + 조성물 약 49중량%(코코졸-100 약 30중량%, 사이클로헥사논 약 10중량% 및 HY-300 약 9중량%) + 나머지 양의 요소[여기서, 공시 약제 조성물의 총 함량은 100중량%이다].
- 약제 농도 : 조류 기피제 300배,500배 희석 혹은 원액
- 약제 처리 : 조류 기피제를 물에 희석하여 500배로 만든 후 살포기로 과수포장 전체에 분무하거나 혹은 원액을 과수 목질부에 처리.
2. 시험내용
(1) 조류 기피제 처리에 따른 반응
본 기내시험은 본 발명의 조류 기피제를 처리한 경우, 까치의 반응을 살펴 본 실험이다.
사과 2개를 4조각씩 나눠 8조각을 준비한 후, 8조각에 조류 기피제를 300배 희석하여 처리한 후 까치 트랩에 넣어둔다. 4시간 후 조류 기피제 처리에 따른 기피 반응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첨부한 도 1에 나타내었다.
약제를 처리한 사과를 트랩 안에 넣은 즉시 까치들이 처리한 사과 조각을 먹기 시작했고, 4시간 후에 토한 흔적을 확인할 수 있어 처리 약제에 대한 거부반응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조류 기피제 처리에 따른 미각기피 현상
본 기내시험은 본 발명의 조류 기피제를 처리한 경우, 까치의 미각기피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시험이다.
사과 4개를 4조각씩 나눠 16조각을 준비한 16조각에 조류 기피제 300배 희석하여 처리한 후 까치 트랩에 넣어둔다. 처리 3시간 후 사과의 감소량을 체크 하여 조류 기피제에 대한 미각 기피현상을 조사하며, 조사는 같은 방법으로 3일 동안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처리 3시간 후 사과의 감소량을 조사한 결과, 첫날은 사과 무게가 728.8g 감소하였지만, 셋째 날 사과 무게가 159.8g 감소로 시간이 갈수록 까치의 사과 섭취량이 줄어 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까치가 처리 약제에 대해 미각 기피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되어 이로써 개발된 약제가 까치에 대해 조류 기피제로써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조류 기피제 처리에 따른 후각기피 현상
본 기내시험은 본 발명의 조류 기피제를 처리한 경우, 까치의 후각기피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시험이다.
사과 4개를 4조각씩 나눠 16조각을 준비한 8조각에 무처리구로 트랩 안에 넣어두고, 나머지 8조각에는 조류 기피제 300배 희석하여 처리한 후 까치 트랩에 넣어둔다. 처리 3시간 후 사과의 감소량을 체크 하여 조류 기피제에 대한 미각 기피현상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무처리구의 처리 전 사과의 무게는 418.4g이며, 처리구의 처리전 사과의 무게는 450.4g이었으며 처리 3시간 후 무처리구의 사과의 무게는 319.1g, 처리구의 사과의 무게는 435.5g으로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의 사과 무게의 감소량이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처리구의 사과 무게 감소는 수분의 무게 감소로 생각된다. 이는 까치가 처리 약제에 대해 후각 기피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되어, 이로써 개발된 약제가 까치에 대해 조류 기피제로써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조류 기피제 처리에 대한 항균효과
곰팡이배지 (Potato Dextrose Agar 배지)에 조류 기피제 구성 물질인 육계나무 수피추출물 0.1%를 처리하여 약액 배지를 만든 후 충분히 자란 사과겹무늬썩음병균과 사과탄저병균을 지름 0.5cm로 오려내어 약액 배지 위에 접종하고 시간이 지난 후 균주에 대한 저지율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사과 수확기에 많이 발생하는 진균 병에 대해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실험한 결과, 진균에 대해 100% 저지율을 나타내어 조류 기피제가 진균에 대한 항균력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조류 기피제 처리에 따른 작물별 안전성
콩, 옥수수, 사과, 배의 신초와 포도, 딸기, 복숭아, 자두 과실에 조류 기피제를 500배로 처리하였을 때 약해 정도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류 기피제를 500배 처리하였을 때 신초와 과실에 육안으로 약해가 보이지 않아 작물에 대해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콩, 옥수수, 사과, 배, 포도, 딸기, 복숭아 및 자두 모두에서 약해 정도가 0으로서, 육안으로 약해가 인정되지 않는 것이 입증되었다.
(6) 조류 기피제 처리에 대한 발아 시험
콩을 대상으로 조류 기피제를 처리 하였을 때,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실험이다. 포트에 원예용 상토를 넣고 건전한 콩을 5립씩 파종한 후 충분한 물을 공급하면서 26? 배양실에 배양하며, 파종 3일 후 조류 기피제 500배를 처리구에 20ml 처리하여 6일 후 발아율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무처리구의 발아율은 95%, 대조약제의 발아율은 30%, 조류 기피제 발아율은 85%로 무처리구에 비해 발아율이 큰 차이가 없으며, 약해도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7) 조류 기피제와 혼용 약해 시험-사과
조류 기피제를 처리한 후, 처리 식물에 약해를 알아보는 시험으로. 사과(후지)의 신초와 과실에 약제를 500배 희석하고 사과 갈색무늬병을 방제하는 살균제 푸르겐과 사과 굴나방을 방제하는 살충제 야무진을 신초 부분과 과실에 다량 처리 하고, 처리 7일 후 약해가 있는지 확인한다. 약해는 반점 및 반문의 유무, 경엽의 위조 여부, 경엽의 고사여부, 낙엽여부, 기타 발아 및 생육상태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선정된 약제를 혼용하여 처리하였을 때 약해 실험을 한 결과 약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조류 기피제와 다른 약제를 혼용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8) 조류 기피제와 혼용 약해 시험-배
조류 기피제를 처리한 후, 처리 식물에 약해를 알아보는 시험으로. 배(화산)의 신초와 과실에 약제를 500배 희석하고 배 갈색무늬병을 방제하는 살균제 푸르겐과 명나방 방제하는 살충제 야무진을 신초 부분과 과실에 다량 처리하고, 처리 7일 후 약해가 있는지 확인한다. 약해는 반점 및 반문의 유무, 경엽의 위조 여부, 경엽의 고사여부, 낙엽여부, 기타 발아 및 생육상태를 조사하여 도 8에 나타내었다.
배에 조류 피해를 주는 시기에 사용되는 약제를 선정하여 혼용하여 처리하였을 때 약해 실험을 한 결과 약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조류 기피제와 다른 약제를 혼용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9) 조류 기피제 처리에 대한 포장 시험 (사과-1)
사과(홍로)에 유해 조류 직박구리를 대상으로 약효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사과나무 목질부에 조류 기피제 원액을 2-3번 스프레이 (10-15ml)한 후 15일 후 조류 피해에 대해 조사한다. 사과나무에 조류 기피제 처리시 5그루 당 1그루씩 처리한다
Figure 112005003069287-PAT00001
무처리구와 처리구의 사과나무 5그루에 대한 조류피해를 조사해 보았을 때 무처리구에는 14.3%의 조류피해가 있었지만, 처리구에는 조류 피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처리구에 조류 기피제를 처리하였을 때 근처에 직박구리가 오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조류 기피제 처리에 대한 포장 시험 (사과-2)
사과(후지)에 유해 조류 직박구리를 대상으로 약효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사과나무 포장을 무처리구(400평)와 처리구(800평) 두 부분으로 나눠 처리구에 조류 기피제를 300배 희석하여 기계를 사용하여 살포한다. 조류 기피제 처리 30일 후, 처리 당 13그루 나무에 대해 진균에 의한 피해와 충에 의한 피해, 조류에 의한 피해 3가지를 조사하여, 표 2와 도 9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03069287-PAT00002
무처리구에 6%의 직박구리의 피해가 있는 반면 처리구에는 직박구리의 피해 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병해(점무늬낙엽병, 겹무늬 썩음병, 탄저병) 무처리구에 비해 적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개발된 조류 기피제가 유해 조류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 조류 기피제 처리에 대한 포장시험 (배)
배(신고)에 유해 조류 까치를 대상으로 약효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배나무 포장을 무처리구(1500평)와 처리구(3000평) 두 부분으로 나눠 처리구에 조류 기피제를 500배 희석하여 기계를 사용하여 살포한다. 조류 기피제 처리 15일 후 조류 피해에 대해 조사하여,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봉지가 씌워진 상태의 배 포장에 약제를 처리하고 15일 후 조류피해율을 확인한 결과 무처리구는 16.2%, 처리구는 2.7%로 Natural keeper 사용으로 유해 조류의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12) 조류 기피제 처리에 대한 포장시험 (포도)
포도(캠벨)에 유해 조류 까치를 대상으로 약효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포도나무 하우스 600평에 약제를 조류 기피제를 500배 희석하여 기계를 사용하여 살포한다. 조류 기피제 처리 15일 후 조류 피해에 대해 조사하여, 그 결과를 도 11에 타나내었다.
포도(캠벨)에 유해 조류 까치, 참새를 대상으로 Natural keeper를 500배 희석하여 전체에 분무 처리한 결과 무처리구에 나타나는 조류 피해를 줄일 수 있었으며, 약효 기간이 최소10일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13) 조류 기피제 처리에 대한 포장시험 (콩-1)
콩(백태)에 유해 조류 까치, 비둘기를 대상으로 약효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300평 콩 포장에 처리구(150평), 무처리구(150평)로 나눠 조류 기피제를 500배 희석하여 기계를 사용하여 살포한다. 조류 기피제 처리 7일 후 조류 피해에 대해 조사하여,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토양에 조류 기피제 냄새 인해 조류가 후각기피하여, 처리구의 콩에는 피해를 주지 않아 파종 후 콩이 발아하였지만 무처리구의 콩은 조류에 의해 섭취되어 피해를 보았다.
(14) 조류 기피제 처리에 대한 포장시험 (콩-2)
콩(백태)에 유해 조류 까치, 비둘기를 대상으로 약효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500평 콩 포장에 콩을 파종하고 난 후 떡잎이 나올 때 조류 기피제를 500배 희석하여 기계를 사용하여 살포한다. 조류 기피제 처리 7일 후 조류 피해에 대해 조사하여,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콩 포장에 파종을 하고 난 후 싹이 났을 때 조류 기피제를 500배로 처리하고, 처리 3일 후 재 처리하였을 때 무처리구는 싹이 났을 때 조류가 뜯어먹은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무처리구는 조류 피해를 줄일 수 있었으며, 약효 기간이 최소 7일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7)

  1. 유해 조류에 의한 피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는 조류 기피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류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까치 또는 직박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기피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류가 농작물과 도심에 피해를 주는 까치, 여치, 직박구리, 멧비둘기, 꿩 또는 참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기피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농작물이 조류에 의해 피해를 받는 과수류, 채소류 또는 화훼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기피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류 기피제가 육계나무 수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육계나무 수피 추출물은 신남알데히드, 계피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성물이 비극성 용제로서 코코졸-100과 사이클로헥 사논을 함유하고, 계면활성제로는 HY-300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0050005057A 2005-01-19 2005-01-19 유해 조류에 의한 피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는 조류기피제 KR20060084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057A KR20060084262A (ko) 2005-01-19 2005-01-19 유해 조류에 의한 피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는 조류기피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057A KR20060084262A (ko) 2005-01-19 2005-01-19 유해 조류에 의한 피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는 조류기피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262A true KR20060084262A (ko) 2006-07-24

Family

ID=3717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057A KR20060084262A (ko) 2005-01-19 2005-01-19 유해 조류에 의한 피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는 조류기피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42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290B1 (ko) * 2007-05-28 2008-02-04 전진바이오팜 주식회사 겔상의 조류퇴치용 조성물
CN101715763B (zh) * 2008-10-09 2012-11-28 河南农业大学 烟草甲驱避剂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290B1 (ko) * 2007-05-28 2008-02-04 전진바이오팜 주식회사 겔상의 조류퇴치용 조성물
CN101715763B (zh) * 2008-10-09 2012-11-28 河南农业大学 烟草甲驱避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29589A1 (en) Insect and plant disease contr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Olaitan et al. Comparative toxicity of botanical and synthetic insecticides against major field insect pests of cowpea (Vigna unquiculata (L.) Walp)
Kahramanoglu et al. Management strategies of fruit damaging pests of pomegranates: Planococcus citri, Ceratitis capitata and Deudorix (Virachola) livia
Baidoo et al. Effects of neem (Azadirachta indica A. Juss) products on Aphis craccivora and its predator Harmonia axyridis on cowpea.
KR100984217B1 (ko)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용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CN112243769A (zh) 一种防治根蛆类害虫的方法
Nzelu et al. Evaluation of melon seed oil Citrullus colocynthis (L.) Schrad, for the protection of cowpea Vigna unguiculata seeds against Callosobruchus maculatus (Fabricius)(Coleoptera: Bruchidae)
KR20060084262A (ko) 유해 조류에 의한 피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는 조류기피제
Dowson Some problems of economic biology in East Africa (Kenya Colony)
CN107258809A (zh) 桔小实蝇食物引诱剂与化学药剂的协同防治方法
Gill Important pecan insects and their control
KR20170140546A (ko) 저장곡물해충에 대해 기피활성을 갖는 해충기피 조성물
CN105994258B (zh) 一种农用大蒜素乳剂的制备方法
US4906472A (en) Pelletized rodenticide from rodent toxic plant matter
KR20060038270A (ko) 메틸 안트라닐레이트의 조류퇴치 용도 및 이를 이용한조류퇴치방법
Chakravarthy Role of vertebrates in inflicting diseases in fruit orchards and their management
Ho et al. Cultivation, common diseases and potential nutraceutical values of watermelon
Sharma et al. Effect of Melia extracts on oviposition, gonad development and field infestation of melon fruit fly (Bactrocera tau) in cucumber (Cucumis sativus)
Yang et al. Ethyl Formate Fumigation for Controlling Two Major Aphid Pests, Aphis spiraecola and Aphis gossypii, on Passion Fruit, from Cultivation to Post-Harvest Storage
ABBA et al. EFFICACY OF Ficus congensis Engl. LEAF POWDER AGAINST PESTS OF STORED Tamaridus indica L. FRUITS IN GOMBE STATE, NIGERIA
Martini et al. 2023–2024 Florida Citrus Production Guide: Plant Bugs, Chewing Insect Pests, Caribbean Fruit Fly, and Thrips: CPG ch. 26, CG005/ENY-605, rev. 5/2023
Martini et al. 2020–2021 Florida Citrus Production Guide: Plant Bugs, Chewing Insect Pests, Caribbean Fruit Fly, and Thrips: Chapter 27, ENY-605/CG005
Martini et al. 2022–2023 Florida Citrus Production Guide: Plant Bugs, Chewing Insect Pests, Caribbean Fruit Fly, and Thrips: CPG ch. 27, CG005/ENY-605, rev. 3/2022
Martini et al. 2021–2022 Florida Citrus Production Guide: Plant Bugs, Chewing Insect Pests, Caribbean Fruit Fly, and Thrips: CG005/ENY-605, rev. 3/2021
Stankevych et al. The common tomato insect pests in greenho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