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4011A -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4011A
KR20060084011A KR1020050004263A KR20050004263A KR20060084011A KR 20060084011 A KR20060084011 A KR 20060084011A KR 1020050004263 A KR1020050004263 A KR 1020050004263A KR 20050004263 A KR20050004263 A KR 20050004263A KR 20060084011 A KR20060084011 A KR 20060084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unit
voice
comple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4192B1 (ko
Inventor
임국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4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19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언권 변동에 의한 자동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에 관한 것으로, 반이중 통신방식 운용상태에서 음성급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직접 제어하는 피티티부; 명령에 의하여 반이중 통신상태를 설정하고 피티티 푸시 신호가 입력되면 발언권을 허여 받아 음성급 신호를 방송하는 제어부; 발언권 점유를 해제하면 송신완료 메시지를 출력하고, 송신완료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는 완료메시지부; 피티티부의 신호가 입력되면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고 피티티부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음성급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부; 해당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하며 반이중 방식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무선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피티티 통신모드를 설정하고 피티티 신호가 입력되면 기지국에 발언권을 요청하는 시작과정; 발언권을 점유하고 음성급 신호를 송신하며 송신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송신과정; 피티티 푸시와 발언권 점유를 해제하고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방송하며 음성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해제과정;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음성신호를 검출 출력하고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가 검출되면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등으로 한다.

Description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METHODS AND A APPARATUS OF TRANSMITTING COMMUNICATION COMPLETE MESSAGE FOR PTT MOBILE PHONE}
도1 은 일반적인 피티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2 은 본 발명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기능 구성도,
도3 는 본 발명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통신완료 송수신 메시지 포맷의 구성상태도,
도4 는 본 발명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방법 순서도,
도5 은 본 발명 피티티서버의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방법 순서도,
도6 은 본 발명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 신호 흐름도,
도7 은 본 발명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 결과 표시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무선부 110 : 제어부 120 : 메모리부
130 : 표시부 140 : 오디오부 150 : 키보드부
160 : 피티티부
본 발명은 피티티(PTT)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자동 전송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티티 통신을 종료하는 경우, 발신측과 수신측이 각각 송수신 완료 메시지를 자동전송하고 모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송수신 상태를 모니터하는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UE)은, 통신을 위한 무선채널을 각각 할당하고 고유번호 호출에 의하여 개별 호접속하므로,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비밀통화를 하는 비화기능의 장점이 있고, 무전기는 채널만 일치되면 다수 무전기가 동시 접속하여 통신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이동통신단말기의 장점과 무전기의 장점을 결합한 피티티(PTT) 통신방식은, 피티티 세션(SESSION)에 참여한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 중에서 특정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 만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기술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무전기를 결합하는 경우, 무전기와 동일한 운용방식의 피티티(PTT: PUSH TO TALK) 스위치(SWITCH)를 부가하고, 피티티 세션(SESSION) 그룹(GROUP)을 형성하여 무전기와 같이 반이중(HALF DUPLEX) 통신방식을 선택 이용한다.
상기 피티티 통신방식은 피티티 스위치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방이 전 송하는 음성급 신호를 수신하며, 상대방의, 일 예에 의한 오버(OVER) 신호를 수신 확인하면, 정상적으로 수신 완료하였다는 의미로, 일 예에 의한 로저(ROGER) 신호를 전송하므로, 통신이 완료되고, 상기 일 예로, 사용되는 오버와 로저 신호는, 피티티 세션 그룹원의 상호 약속에 의하여 다른 신호로 대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피티티 통신방식에서 통신완료 표시를 위하여, 일 실시 예로 사용하는 오버(OVER)와 로저(ROGER)는, 주변 전파환경과 통신환경이 열악한 경우, 정확한 수신 및 확인이 어려우며, 상기 일 실시 예에 의한 오버 또는 로저 확인에 의한 통신완료 까지 시간이 소요되고 절차가 복잡한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신완료 상태를 자동으로 통보하고, 피티티 세션 통신그룹의 다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운용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피티티방식 이동통신단말기의 운용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피티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피티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설명하면, 피티티(PTT) 이동통신단말기(UE)(10)는, 기지국(RAN)(2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한다.
상기 기지국(20)은 셀(CELL)이라고 하는 일정한 범위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을 형성하고, 다수의 기지국(20)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므로, 전국을 서비스 영역으로 형성한다.
상기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10)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위치등록(LOCATION REGISTRATION)을 하여야 하고, 상기 위치등록은, 이동통신단말기(10)의 고유한 전자일련번호(ESN), 할당된 고유전화번호(ID)를 포함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를 구분하는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받기에 필요한 다양한 운용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가 위치등록을 위하여 출력되는 정보는, 기지국(20)에서 무선수신하고 이동교환국(30)에 인가한다.
상기 이동교환국(30)은, 입력되는 위치정보를 해당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하고 관리하므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대상으로 설정하고, 상기와 같이 위치등록이 완료된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10)는, 선택(OPTION)에 의하여, 호출과 피호출에 의한 피티티 방식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일 예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가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되는 경우, 상기 이동교환국(30)은 해당 데이터 베이스(DATA BASE)를 검색하여 등록된 위치를 확인하고, 스위칭하므로 통신경로가 설정 접속되어 통신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가 상대방을 지정하여 호출하는 경우, 상기 호출신호는 기지국(20)에서 수신하고 이동교환국(30)에 전달되며, 상기 이동교환국(30)은, 입력된 상대방의 위치를 확인하여, 자체 망(NETWORK)에 등록된 상대방인 경우는 해당 스위칭으로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다른 망(NETWORK), 일 예로, 다른 이동통신망, 또는 유선통신망, 또는 인터넷(INTERNET) 등에 가입된 상대방으로 확 인되면 공중망(50)을 제어하여 해당 통신경로가 설정되도록 스위칭한다.
상기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10)가 무전기 방식의 피티티(PTT) 통신을 선택 요청하면, 상기 이동교환국(30)은, 전이중 방식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호접속 처리 대신에, 반이중 방식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피티티 통신 요청을 피티티서버(PTT SERVER)(40)에 인가한다.
상기 피티티서버(PTT SERVER)(40)는,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10)가 피티티 통신을 요청하는 경우, 발언권(FLOOR)을 허여(GRANT)하고, 상기 발언권(FLOOR)을 확보한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10)가 송신하는 음성신호는 발언권(FLOOR)을 확보하지 못한 피티티 세션 그룹의 모든 이동통신단말기(10)에 방송된다.
상기 피티티서버(40)는, 하나의 채널을 점유하는 하나의 피티티 세션(SESSION) 그룹에 하나의 발언권(FLOOR)을 허여할 수 있으므로, 해당 채널을 점유한 다른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10)로부터 발언권(FLOOR)을 요청 받는 경우 거부(DENIAL)하며, 발언권을 점유한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10)가 발언권(FLOOR) 점유를 해제(RELEASE)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발언권(FLOOR)을 신청한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10)에 허여하는 과정에 의한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한다.
상기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10)(이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각 상대방은, 각각 해당 통신완료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대방의 송신이 진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므로, 통신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의사전달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피티티 통신방식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피티티 스위치 푸시에 의하여 발언권을 허여 받고 음성급 신호의 송신을 완료하여 피티티 스위치의 푸시를 해제하는 경우, 송신측에서는, 자동으로 송신완료 데이터 메시지를 송신하며, 수신측에서는, 정상적으로 수신을 완료하였다는 수신완료 데이터 메시지를 자동 송신하므로, 피티티 세션 그룹의 모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현재의 통신진행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이중 통신방식 운용상태에서 음성급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직접 제어하는 피티티부와; 상기 피티티부에 접속하고 명령에 의하여 반이중 통신상태를 설정하고 피티티 푸시 신호가 입력되면 발언권을 허여 받아 음성급 신호를 방송하고, 발언권 점유를 해제하면 송신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며, 송신완료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피티티부의 신호가 입력되면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고 피티티부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음성급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하며 반이중 방식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무선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여 피티티 통신하는 경우 피티티 통신모드를 설정하고 피티티 신호가 입력되면 기지국에 발언권을 요청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요청된 발언권이 허여되는 경우 발언권을 점유하고 음성급 신호를 송신하며 송신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송신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송신이 완료되었으면 피티티 푸시와 발언권 점유를 해제하고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피티티 세션 그룹에 방송하며 음성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해제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음성신호를 검출 출력하고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가 검출되면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시스템의 피티티서버에 의하여 피티티 통신 방식으로 형성된 피티티 세션 그룹에 하나의 발언권을 설정하고 구성원으로부터 발언권 점유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요청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발언권 점유 요청이 있으면 최초 요청자에 허여하고 음성급 신호 방송경로를 설정하며 발언권 점유 해제를 요청하는지 감시하는 허여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발언권 점유 해제 요청이 있으면 허여된 발언권을 회수하고 피티티 세션 그룹에 메시지 전송을 위한 데이터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메시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3 은 본 발명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통신완료 송수신 메시지 포맷의 구성상태도 이며,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방법 순서도 이고,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피티티서버의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방법 순서도 이며,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 신호 흐름도 이고, 도7 은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한 것으로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 결과 표시상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2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를 설명하면, 이동통신용 이동통신단말기의 피티티 통신과 셀룰러 통신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 기지국(RAN)과 무선접속하며 반이중(HALF DUPLEX) 방식 피티티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동시에, 선택(OPTION)에 의하여 전이중(FULL DUPLEX) 방식의 셀룰러(CELLULAR) 이동통신 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무선부(100)와,
상기 무선부(100)에 접속하고, 키보드부(150)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에 의하여 반이중 통신상태를 설정하고 피티티(PTT) 푸시(PUSH) 신호가 입력되면 발언권(FLOOR)을 요청(REQUEST) 및 허여(GRANT) 받아 음성급 신호를 방송(BROADCASTING)하고, 발언권 점유를 해제(RELEASE)하면 송신완료 메시지(MESSAGE)를 출력하며, 송신완료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완료 메시지(MESSAGE)를 출력하는 것으로, 키보드부(150)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에 의하여 반이중(HALF DUPLEX) 통신방식의 피티티(PTT) 통신모드(MODE)를 설정하고, 피티티부(160)로부터 푸시(PUSH) 신호가 입력되면, 무선부(100)를 제어하여 무선접속된 기지국(RAN)에 발언권(FKOOR) 허여(GRANT)를 요청(REQUEST)하고, 발언권(FLOOR)이 허여(GRANT)되면 오디오부(140)를 제어하여 주 변에서 발생된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며 무선부(100)를 통하여 송신(TX)하므로 피티티 세션(PTT SESSION) 그룹(GROUP)에 방송(BROADCASTING)하고, 상기 피티티부(160)로부터 푸시(PUSH) 신호의 입력이 해제(RELEASE)되면, 발언권(FLOOR) 해제를 요청하고, 송신완료 메시지(MESSAGE)를 출력하여 무선부(100)에 인가하므로 피티티(PTT) 세션(SESSION) 그룹(GROUP)에 방송(BROADCASTING)하며, 상기 무선부(100)를 통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RX)하면,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출력하여 무선부(100)에 인가하므로 피티티 세션 그룹에 방송(BROADCASTING)되도록 제어와 감시 운용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셀룰러(CELLULAR) 방식 이동통신단말기(UE)를 선택(OPTION)에 의하여 반이중(HALF DUPLEX) 통신의 피티티(PTT: PUSH TO TALK) 방식으로 운용하는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과 데이터(DATA)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 출력하는 메모리부(12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피티티(PTT) 세션 그룹 구성원의 현재 송수신 상태를 각각의 아이콘(ICON)과 해당 문자로 표시하는 동시에 이동통신단말기(UE)의 운용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3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피티티부(170)의 푸시(PUSH)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면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성급 신호를 적정 레벨(LEVEL)로 입력하고, 피티티부(170)의 푸시(PUSH)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무선부(100)에서 수신하며 제어부(110)를 통하여 인가되는 음성급 신호를 적절 레벨(LEVEL)로 증폭(AMPLIFY)하여 출력하는 오디오부(14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피티티(PTT) 통신방식을 선택 및 해제하고 제어명령과 다이얼링(DIALING) 신호를 입력하는 키보드부(150)와,
셀룰러 방식 이동통신단말기(UE)의 반이중(HALF DUPLEX) 통신방식 운용상태에서 음성급 신호의 송신(TX)과 수신(RX)을 직접 제어하는 것으로, 제어부(110)가 키보드부(150)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의하여 피티티(PTT) 통신하는 상태에서 형성된 피티티 세션 그룹에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발언권(FLOOR)을 허여(GRANT) 받고자 하는 경우에 피티티(PTT) 스위치(SWITCH)를 푸시(PUSH)하여 해당 신호를 제어부(110)에 출력하고, 음성급 신호의 송신이 완료된 경우는 피티티(PTT) 스위치(SWITCH)의 푸시(PUSH) 상태를 해제하는 피티티부(160)가 포함되는 구성이다.
상기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와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전송목적지(DESTINATION)를 피티티 세션 그룹의 모든 구성원에 방송(BROADCASTING)하는 방송모드로 기록하고, 송신완료 메시지 내용과 수신완료 메시지 내용을 제어부(110)의 선택(OPTION)에 의하여 포함 기록하며, 발신자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번호(ID) 데이터가 부가된 포맷(FORMAT)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피티티(PTT) 이동통신단말기(UE)는, 셀룰러(CELLULAR) 방식 이동통신 이동통신단말기(UE)에 무전기 운용과 같이 피티티 세션 그룹으로 형성된 구성원을 일괄적으로 호출하거나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피티티 스위치를 푸시하여 입력하는 경우에만 자신의 음성신호를 피티티 세션 그룹에 전송한다.
상기 피티티 스위치를 푸시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피티티 세션 그룹 구성원 중에서 어느 누가 전송하는 음성급 신호를 수신하는, 반이중(HALF DUPLEX) 통신방식이며, 피티티 세션 그룹에 동시에 2 이상의 구성원 또는 이동통신단말기가 피티티 스위치를 눌러 음성신호를 전송하지 못하도록, 피티티서버(PTT SERVER)에서 발언권을 관리한다.
상기 피티티서버는 발언권(FLOOR)을 피티티 세션 그룹(GROUP)에 하나(1)만을 설정하고, 상기 발언권은 유휴(IDLE) 상태에서 최초로 점유 요청한 구성원 이동통신단말기에 허여(GRANT)하며, 상기 발언권을 점유한 구성원 이동통신단말기 만이 음성신호를 출력하여 전송한다.
상기 피티티 통신방식은 반이중 통신방식에 의한 일방향 통신이므로, 발언권을 점유한 송신자가 송신을 완료한 이후에 다른 구성원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언권을 점유하여 송신하는 방식이므로, 상대방의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특성이 있다.
상기와 같이 피티티 통신하는 각 구성원은, 송신자의 경우, 음성급 신호의 송신이 완료되면, 일 예에 의한 것으로, 오버(OVER)의 음성신호를 발생하여 피티티 세션 그룹원에게 자신의 송신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고, 각 수신자는, 일 예에 의한 것으로, 로저(ROGER)의 음성신호를 발생하여 정확하게 수신하였음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피티티 통신방식에서는 송신완료 음성 메시지와 수신완료 음성 메시지를 각각 수신하는 경우에 비로소 통신이 완료되는 것으로, 상기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는, 반복하여 해당 통신내용을 송신하므로, 상대방이 인식 하도록 하는 것으로, 통신에 소요되는 시간이 비교적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피티티 세션 그룹의 구성원 이동통신단말기의 숫자가 많아지는 경우, 송신자의 음성신호를 피티티 세션 그룹원 모두가 정확하게 수신하였는지 확인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무선환경이 나쁜 지역에서는 송신과 수신완료 음성 메시지의 전송이 원만하지 못하므로 통신진행이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송신완료 음성 메시지와 수신완료 음성 메시지 전달 및 확인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각각 전송하므로, 피티티 세션 그룹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원이 다른 구성원의 현재 송신 및 수신 상태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 기술이다.
상기 피티티 방식 이동통신단말기(UE)의 제어부(110)는, 키보드부(150)를 감시하여 제어명령이 인가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키보드부(150)로부터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전이중(FULL DUPLEX) 통신방식의 셀룰러(CELLULAR) 이동통신을 할 것인지 또는 반이중(HALF DUPLEX) 통신방식의 피티티(PTT: PUSH TO TALK) 이동통신을 할 것인지 분석하며, 상기 분석결과 반이중 통신방식의 피티티 통신을 하는 경우, 무선부(100)를 제어하여 반이중 통신방식의 피티티 모드(PTT MODE)로 운용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피티티부(160)를 감시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피티티부(160)를 감시하여 푸시 스위치(PUSH SWITCH)로부터 푸시된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에서 피티티부(160)로부터 푸시 신호가 입력되면, 무선부(100)를 제어하여 무선접속된 기지국(RAN)에 발언권(FLOOR) 요청(REQUEST) 신호를 송신(TX)하므로, 피티티서버(PTT SERVER)에 전달되 도록 하며, 상기 피티티서버는 발언권(FLOOR)이 유휴(IDLE) 상태에서 최초로 발언권을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 인지를 판단하고, 해당 피티티 세션 그룹의 구성원 중에서 최초로 발언권을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 이면, 발언권의 점유를 허여(GRANT)한다.
상기와 같이 피티티서버(PTT SERVER)에 의하여 발언권(FLOOR)을 허여(GRANT) 받고, 상기 무선부(100)를 통하여 발언권(FLOOR) 허여(GRANT)를 확인한 제어부(110)는, 피티티부(160)로부터 푸시(PUSH) 신호가 계속 인가되는 상태에서, 오디오부(140)를 제어하여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고, 무선부(100)를 통하여 반이중(HALF DUPLEX) 방식으로 기지국(RAN)에 일방향(ONE WAY) 전송하므로, 피티티 세션 그룹을 형성하는 구성원 이동통신단말기(UE)가 모두 수신하도록 하는 일방향(ONE WAY)의 방송(BROADCASTING)한다.
상기 반이중(HALF DUPLEX) 방식에 의하여 음성급 신호의 송신을 완료한 이동통신단말기(UE)는, 피티티부(160)에 구성되는 푸시 스위치의 푸시(PUSH) 상태를 해제(RELEASE)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푸시 신호의 입력이 해제된 것을 확인하며, 상기와 같이 피티티부(160)로부터 푸시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첨부된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포맷(FORMAT)의 송신완료 메시지(MESSAGE) 데이터 신호를 자동(AUTOMATICALLY) 출력시키고, 상기 무선부(100)에 인가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피티티서버(PTT SERVER)에 전송한다.
상기 피티티서버(PTT SERVER)는, 상기와 같이 인가된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를 해당 피티티 세션 그룹의 구성원 이동통신단말기(UE)에 별도의 데이터 채널을 통한 데이터 통신방식으로 전송한다.
상기 피티티(PTT) 세션 그룹을 구성하는 각 수신자 구성원은, 해당 무선부(100)를 통하여 발신자의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검출하여 확인하는 경우, 해당 제어부(110)는, 기록저장된 것으로, 상기 첨부된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포맷(FORMAT)의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무선부(100)에 인가하므로, 무선접속된 기지국(RAN)에 자동(AUTOMATICALLY) 송신(TX)하고, 상기 기지국(RAN)은 피티티서버(PTT SERVER)에 전송한다.
상기 피티티서버는, 각 구성원 이동통신단말기(UE: USER EQUIPMENT)로부터 인가되는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를 해당 피티티 세션(SESSION) 그룹(GROUP) 구성원 이동통신단말기(UE)에 별도의 데이터 채널(DATA CH)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방식으로 자동(AUTOMATICALLY) 전송한다.
따라서, 피티티 세션 그룹을 구성하는 각 구성원 이동통신단말기(UE)는, 송신자와 수신자의 송신상태와 수신상태에 의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통신방식으로 모두 수신하고, 해당 표시방식으로 표시부(130)에 출력하여 표시하므로, 누가 송신하고 송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동시에, 누가 수신하고 수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를, 자신의 상태를 포함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한다.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것으로, 피티티 세션 그룹을 구성하는 구성원의 송신과 수신상태를 표시하는 메시지(MESSAGE)는, 일 예로, 상기 첨부된 도7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첨부된 도7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반이중(HALF DUPLEX) 피티티(PTT) 통신방식에 의하여 피티티 세션 그룹을 형성하는 구성원 이동통신단말기(UE)의 현재 통신진행 상태를 아이콘(ICON)과 해당 문자 또는, 그래픽(GRAPHIC)으로 간략하게 표시한 것이다.
상기 도7의 맨 왼쪽에 도시된 것을 설명하면, 일 예로, 피티티 세션 그룹 중에서, 발언권을 허여 받은 제2 이동통신단말기(UE 2)에서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상태와, 피티티 세션 그룹의 다른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신상태를 그래픽(GRAPHIC) 또는 아이콘(ICON)과 문자로 표현하고, 해당 표시부(130)를 통하여 출력하여 표시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7의 가운데 도시된 것을 설명하면, 상기 발언권자인 제2 이동통신단말기(UE 2)에서 송신을 완료하여 피티티부(160)의 푸시(PUSH) 상태를 해제하므로, 그래픽(GRAPHIC) 또는 아이콘(ICON)과 문자로 이루어지는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를 자동 출력하고, 피티티서버(PTT SERVER)의 제어에 의하여 데이터 채널을 경유하여 피티티 세션 그룹에 방송(BROADCASTING)한 상태의 그래픽(GRAPHIC) 또는 아이콘(ICON)과 문자로 도시한 상태도 이다.
상기 도7의 오른쪽에 도시된 것을 설명하면, 상기 발언권자인 제2 이동통신단말기(UE 2)로부터 자동 출력되어 방송된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 피티티 세션 그룹의 각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그래픽(GRAPHIC) 또는 아이콘(ICON)과 문자로 이루어지는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를 자동 출력하여, 상기 피티티서버(PTT SERVER)에 전달하고, 상기 피티티서버(PTT SERVER)의 제어에 의하여, 데이터 채널을 경유하여, 피티티 세션 그룹에 방송(BROADCASTING)한 상태의 도시도 이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UE)가 발언권(FLOOR)을 허여(GRANT) 받고, 음성급 신호의 송신이 완료되어 자동 출력하는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와,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자동 출력하는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는, 제어부(110)에 의하여 출력되는 것으로, 상기 첨부된 도3에 데이터 포맷(FORMAT)의 형태가, 일 예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첨부된 도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포맷(FORMAT)을 구성하는 메시지의 전송목적지(DESTINATION)는, 방송모드(BROADCASTING)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방송모드는, 해당 피티티 세션 그룹의 모든 구성원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함을 표시한다.
상기 포맷(FORMAT)의 메시지 구성은,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와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로 구성되며, 마지막에 발신자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번호(ID)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포맷(FORMAT)의 메시지 데이터 신호는, 제어부(110)의 선택 제어에 의하여 송신완료 메시지 또는 수신완료 메시지가 선택되어 자동 출력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피티티 방식 이동통신단말기(UE)는, 허여 받은 발언권에 의하여 음성급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음성급 신호의 출력이 완료되어 피티티부의 푸시상태를 해제한 경우, 자동으로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를 피티티 세션 그룹에 방송하고, 각 피티티 세션 그룹원은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자동으로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해당 피티티 세션 그 룹에 방송한다.
따라서, 송신자(TX)는 피티티 세션 그룹의 모든 구성원 이동통신단말기(UE)와 일일이 통신하여 수신완료를 확인하지 않아도 되므로, 신속하고 정학하며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티티 세션 그룹의 구성원 이동통신단말기(UE)가 무선환경이 나쁜 지역에 있는 경우, 음성급 신호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못하는 동시에,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와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못하므로, 상기 도7의 일 예에서와 같이 정상 송수신의 그래픽(GRAPHIC) 또는 아이콘(ICON) 표시가 되지 않고, 상기 그래픽 또는 아이콘 표시에 의하여, 누가 정상적으로 피티티 통신에 의한 송수신을 못하는지, 용이하고 정확하게 확인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이동통신단말기(UE)에 의하여 피티티 통신하는 경우 피티티(PTT) 통신모드를 설정하고 피티티(PTT) 신호가 입력되면 기지국(RAN)에 발언권(FLOOR)을 요청(REQUEST)하는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UE)의 제어부(110)에 의하여 키보드부(150)를 감시하고 피티티 통신을 선택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피티티 통신을 선택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피티티 통신모드를 설정 운용하고, 피티티부(160)로부터 입력되는 푸시 신호에 의하여 무선접속된 기지국(RAN)을 통하여 피티티서버(PTT SERVER)에 발언권(FLOOR)을 요청(REQUEST)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요청된 발언권(FLOOR)이 허여되는 경우 발언권(FLOOR)을 점유하고 음성급 신호를 송신하며 송신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시작과정에서 기지국(RAN)을 통하여 무선접속된 피티티서버(PTT SERVER)에 요청한 발언권(FLOOR)이 허여(GRANT)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에서 피티티서버(PTT SERVER)로부터 발언권(FLOOR)이 허여(GRANT)되었으면, 발언권(FLOOR)을 점유하고 오디오부(14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급 신호를 무선부(100)에 인가하여 기지국(RAN)에 송신(TX)하므로 피티티 세션 그룹에 전송하는 과정(S130); 상기 과정(S130)의 음성급 신호 전송상태에서 피티티부(160)의 푸시(PUSH) 신호 입력이 해제되어 음성급 신호의 송신(TX)을 완료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40)으로 이루어지는 송신과정과,
상기 송신과정에서 음성급 신호의 송신이 완료되었으면 피티티(PTT) 푸시(PUSH)와 발언권(FLOOR) 점유를 해제하고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방송(BROADCASTING)하며 음성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것으로, 음성급 신호의 피티티 세션 그룹(GROUP) 내 송신(TX)이 완료되어 피티티(PTT) 푸시(PUSH) 신호 입력이 해제되면 무선부(100)를 제어하여 무선접속된 피티티서버(PTT SERVER)에 발언권(FLOOR) 점유 해제를 요청하고 발언권 점유를 해제하는 과정(S150); 상기 과정(S150)의 제어부(110)에 의하여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출력하고 무선부(100)를 통하여 기지국(RAN)에 전송하므로 피티티 세션 그룹의 구성원에 방송(BROADCASTING)하는 과정(S160); 상기 과정(S160)의 제어부(110)는 무선부(100)를 감시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음성급 신호가 무선수신되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S160)으로 이루어지는 해제과정과,
상기 해제과정에서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음성신호를 검출 출력하고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가 검출되면 수신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으로, 피티티 세션 그룹의 상대방으로부터 음성급 신호가 전송되어 수신되면 입력하여 음성신호를 검출 출력하는 과정(S180); 상기 과정(S180)의 음성신호 송신자로부터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과정(S190); 상기 과정(S190)에서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면, 완료메시지부로부터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출력하고 무선부(100)에 인가하여 피티티 세션 그룹 구성원에 방송(BROADCASTING)하는 과정(S200)으로 이루어지는 수신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UE)를 구성하는 제어부(110)는, 키보드부(150)를 감시하여, 반이중(HALF DUPLEX) 방식의 피티티(PTT)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이 인가되는지를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S100)에서 키보드부(150)로부터 피티티(PTT) 방식 통신을 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피티티부(160)를 감시한다.
상기 과정(S100)의 제어부(110)는 피티티부(160)로부터 피티티(PTT) 푸시(PUSH) 신호가 입력되면 무선부(100)를 제어하여 피티티서버(PTT SERVER)에 발언권(FLOOR)의 점유를 요청(REQUEST)하고(S110), 상기 과정(S110)에 의한 발언권(FLOOR) 요청(REQUEST)이 피티티서버(PTT SERVER)에 의하여 허여(GRANT)되었는지 판단한다(S120).
상기 판단(S120)에서 발언권 점유가 허여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허여된 발언권(FLOOR)을 점유하고, 오디오부(140)를 제어하여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며, 상기와 같이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는 무선부(100)를 통하여 송신(TX)하므로, 피티티서버(PTT SERVER)가 설정한 통신경로를 통하여, 피티티 세션 그룹의 모든 구성원 이동통신단말기(UE)에 방송(BROADCASTING)한다(S130).
상기 과정(S130)의 제어부(110)는, 피티티부(160)를 계속 감시하여 음성급 신호의 송신을 완료하는 피티티(PTT) 푸시(PUSH) 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는지를 판단하고(S140), 상기 판단(S140)에서 피티티 푸시(PUSH) 신호의 입력이 중단되어 음성급 신호의 송신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무선부(100)를 제어하여 피티티서버(PTT SERVER)에 발언권(FLOOR) 점유 해제(RELEASE)를 요청하는 동시에, 현재 점유하고 있는 발언권(FLOOR)의 점유를 해제(RELEASE)한다(S150).
상기 과정(S150)의 제어부(110)는, 상기와 같이 발언권(FLOOR)의 점유를 해제(RELEASE)하는 동시에, 완료메시지부(160)를 제어하여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무선부(100)에 인가하며, 피티티서버(PTT SERVER)에 전송하므로, 피티티 세션 그룹의 모든 구성원 이동통신단말기(UE)에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통신(DATA COMMUNICATION) 방식으로 방송(BROADCASTING)한다(S160).
상기 제어부(110)는, 무선부(100)를 감시하여 피티티 세션 그룹의 상대방으로부터 음성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S160), 상기 판단(S160)에서 음성급 신호가 수신되면, 무선부(100)를 제어하여 수신되는 음성급 신호를 검출하고, 오디오부 (140)를 제어하므로 적정한 레벨(LEVEL)로 증폭(AMPLIFYING)하여 출력한다(S18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부(100)를 통하여 피티티 세션 그룹을 구성하는 상대방으로부터 음성급 신호의 송신(TX)을 완료하였다는 메시지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RX)되는지를 판단하고(S190), 상기 판단(S190)에서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되는 경우,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무선부(100)를 통하여 피티티서버(PTT SERVER)에 인가하므로, 피티티(PTT) 세션 그룹에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방송(BROADCASTING)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반이중 통신방식으로 운용되는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는, 피티티부(160)를 푸시(PUSH)하여 음성급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음성급 신호의 송신이 완료되어 피티티부(160)를 푸시하지 않는 경우,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자동 출력 및 송신하며, 음성급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상대방으로부터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자동 출력 및 송신하므로, 피티티 통신의 진행을 신속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티티서버의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피티티서버(PTT SERVER)에 의하여 피티티(PTT: PUSH TO TALK) 통신 방식으로 형성된 피티티 세션 그룹(GROUP)에 하나의 발언권(FLOOR)을 설정하고 구성원으로부터 발언권 점유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것으로, 피티티서버에 의하여 피티티 통신방식으로 형성된 피티티 세션 그룹에 하나의 발언 권(FLOOR)을 설정하는 과정(S210); 상기 과정(S210)의 피티티서버(PTT SERVER)는 형성된 피티티 세션(PTT SESSION) 그룹의 구성원 중에서 발언권(FLOOR) 점유를 요청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220)으로 이루어지는 요청과정과,
상기 요청과정에서 발언권 점유 요청이 있으면 최초 요청자에 허여(GRANT)하고 음성급 신호 방송경로(BROADCASTING PATH)를 설정하며 발언권(FLOOR) 점유 해제를 요청하는지 감시하는 것으로, 발언권(FLOOR) 점유 요청에 의하여 최초 발언권 요청자에게 피티티(PTT) 통신방식에 의한 발언권 점유를 허여(GRANT)하는 과정(S230); 상기 과정(S230)에서 발언권(FLOOR)을 점유한 이동통신단말기(UE)의 음성신호가 피티티 세션 그룹에 방송되는 음성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S240); 상기 과정(S240)의 피티티서버(PTT SERVER)는 발언권 점유자를 감시하여 발언권의 점유 해제(RELEASE)를 요청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250)으로 이루어지는 허여과정과,
상기 허여과정에서 발언권 점유 해제 요청이 있으면 허여된 발언권을 회수하고 피티티 세션 그룹에 메시지 전송을 위한 데이터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발언권(FLOOR) 점유의 해제(RELEASE)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피티티서버(PTT SERVER)에 의하여 허여된 발언권(FLOOR)을 회수하는 과정(S260); 상기 과정(S260)의 피티티 세션 그룹에 송신과 수신의 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S270)으로 이루어지는 메시지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피티티서버의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피티티서버(PTT SERVER)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교환국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피티티 세션 그룹을 구성 관리하며, 피티티 통신을 위한 음성통신 경로와 데이터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구성된 피티티 세션 그룹에 하나(1)의 발언권(FLOOR)을 설정 운용한다(S210).
상기 발언권(FLOOR)은, 해당 피티티 세션 그룹에 음성급 신호를 방송(BROADCASTING)할 수 있는 권한으로, 유휴상태에서 최초로 점유 요청하는 구성원 이동통신단말기에 점유를 허여(GRANT)하는 것이다.
상기 과정(S210)의 피티티서버(PTT SERVER)는 발언권(FLOOR)의 유휴(IDLE) 상태에서, 피티티 세션 그룹원으로부터 발언권(FLOOR)의 점유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S220)하고, 상기 판단(S220)에서 발언권(FLOOR)의 점유 요청이 있으면, 최초로 발언권(FLOOR) 점유를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UE)에 발언권 점유를 허여(GRANT)한다(S230).
상기 과정의 피티티서버(PTT SERVER)는, 해당 피티티 세션 그룹을 구성하는 구성원 사이에서, 발언권(FLOOR)을 점유한 이동통신단말기(UE)로부터 인가되는 음성급 신호가 피티티 세션 그룹 구성원으로 방송(BROADCASTING)되도록 하는 음성신호 전송경로를 설정하고, 해당 음성급 신호가 인가되면 설정된 경로(PATH)를 통하여 방송(BROADCASTING)한다(S240).
상기 과정(S240)의 피티티서버(PTT SERVER)는, 발언권(FLOOR)을 점유한 이동통신단말기(UE)를 감시하여, 발언권 점유를 해제요청하는지 판단하고(S250), 상기 판단(S250)에서 발언권을 점유한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언권의 점유를 해제요청하는 경우, 허여된 발언권을 회수하고(S260), 피티티 세션 그룹에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 경로를 설정하여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와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를 각각 자동 방송(BROADCASTING)하도록 한다(S270).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피티티서버는, 피티티 세션 그룹에 하나의 발언권을 설정하고, 유휴상태에서 최초로 점유를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에 발언권 점유를 허여하며, 점유된 발언권의 해제를 요청하면, 데이터 통신경로를 설정하여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와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가 피티티 세션 그룹원 사이에서 각각 자동(AUTOMATICALLY)으로 방송(BROADCASTING)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반이중(HALF DUPLEX) 통신방식의 피티티 모드에서 운용되는 피티티 세션 그룹의 이동통신단말기(UE)와 피티티서버(PTT SERVER)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처리를, 상기 첨부된 도6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로 설명한다.
상기 피티티서버(PTT SERVER)는 피티티 세션 그룹에 하나의 발언권을 설정하고, 상기 발언권은 허여(GRANT)되지 않은 유휴(IDLE)상태이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피티티 세션 그룹을 형성하는 제1 이동통신단말기(UE 1)가 피티티서버(PTT SERVER)에 발언권(FLOOR)의 점유를 요청하면(ST200), 상기 피티티서버는 발언권을 할당하여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에 점유 허여한다(ST210).
상기와 같이 발언권(FLOOR)의 점유를 허여(GRANT) 받은 제1 이동통신단말기(UE 1)는 제2 이동통신단말기(UE 2)를 포함하는 피티티 세션 그룹 구성원 이동통신단말기에 음성급 신호를 전송하여 방송(BROADCASTING)한다(ST220).
상기 발언권을 점유한 제1 이동통신단말기(UE 1)가 음성급 신호의 전송을 완료하여 발언권 점유해제를 피티티서버에 요청하는 경우, 상기 피티티서버(PTT SERVER)는 발언권을 회수하고(ST230), 피티티(PTT) 세션 그룹원 사이에 데이터 통신경로를 설정하므로, 제1 이동통신단말기(UE 1)는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통신으로 피티티 세션 그룹원에 방송(BROADCASTING)하고(ST240), 상기 각 피티티 세션 그룹원은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UE 1)를 포함하는 다른 피티티 세션 그룹원에게 방송(BROADCASTING)한다(ST250).
상기와 같이 피티티 세션 그룹원과 피티티서버 사이에는 발언권 점유 요청에 의하여 유휴상태의 발언권이 있으면 최초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에 발언권을 허여하고, 발언권자는 피티티 세션 그룹에 음성급 신호를 방송하며, 발언권 점유가 해제되면, 피티티서버에 의하여 설정된 데이터 통신경로를 통하여, 해당 피티티 세션 그룹에, 자동으로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와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방송하는 신호흐름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언권을 허여 받고 음성급 신호를 방송하는 상태에서 발언권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출력하여 피티티 세션 그룹에 방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자동으로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출력하여 피티티 세션 그룹에 방송하므로 통신완료를 일일이 통보하지 않아도 되어 피티티 통신이 빠르게 진행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피티티 세션 그룹에 포함되는 각 이동통신단말기는 상대방 이동통신단 말기의 통신 진행상태를 해당 아이콘과 문자를 통하여 즉시 정확하게 확인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이중 통신방식 운용상태에서 음성급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직접 제어하는 피티티부와,
    상기 피티티부에 접속하고 명령에 의하여 반이중 통신상태를 설정하고 피티티 푸시 신호가 입력되면 발언권을 허여 받아 음성급 신호를 방송하고, 발언권 점유를 해제하면 송신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며, 송신완료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피티티부의 신호가 입력되면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고 피티티부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음성급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하며 반이중 방식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무선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이동통신단말기를 선택에 의하여 반이중 통신의 피티티 방식으로 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피티티 세션 그룹 구성원의 현재 송수신 상태를 아이콘과 문자로 표시하는 동시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운용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피티티 통신방식을 선택 및 해제하고 제어명령과 다이얼링 신호를 입력하는 키보드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티티부는,
    상기 제어부가 키보드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의하여 피티티 통신하는 상태에서 형성된 피티티 세션 그룹에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발언권을 허여 받고자 하는 경우에 피티티 스위치를 푸시하여 해당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고, 음성급 신호의 송신이 완료된 경우는 피티티 스위치의 푸시상태를 해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보드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에 의하여 반이중 통신방식의 피티티 통신모드를 설정하고, 피티티부로부터 푸시 신호가 입력되면, 무선부를 제어하여 무선접속된 기지국에 발언권 허여를 요청하고, 발언권이 허여되면 오디오부를 제어하여 주변에서 발생된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며 무선부를 통하여 송신하므로 피티티 세션 그룹에 방송하고, 상기 피티티부로부터 푸시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면, 발언권 해제를 요청하고, 송신완료 메시지를 출력하여 무선부에 인가하므로 피티티 세션 그룹에 방송하며, 상기 무선부를 통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출력하여 무선부에 인가하므로 피티티 세션 그룹에 방송되도록 제어와 감시 운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완료 메시지와 수신완료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의 전송목적지를 피티티 세션 그룹의 모든 구성원에 방송하는 방송모드로 기록하고, 송신완료 메시지 내용과 수신완료 메시지 내용을 제어부의 선택에 의하여 포함 기록하며, 발신자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번호 데이터가 부가된 포맷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6.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여 피티티 통신하는 경우 피티티 통신모드를 설정하고 피티티 신호가 입력되면 기지국에 발언권을 요청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요청된 발언권이 허여되는 경우 발언권을 점유하고 음성급 신호를 송신하며 송신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송신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송신이 완료되었으면 피티티 푸시와 발언권 점유를 해제하고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피티티 세션 그룹에 방송하며 음성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해제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음성신호를 검출 출력하고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가 검출되면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키보드부를 감시하고 피티티 통신을 선택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피티티 통신을 선택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피티티 통신모드를 설정 운용하고, 피티티부로부터 입력되는 푸시 신호에 의하여 무선접속된 기지국을 통하여 피티티서버에 발언권을 요청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과정은,
    상기 시작과정에서 기지국을 통하여 무선접속된 피티티서버에 요청한 발언권이 허여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피티티서버로부터 발언권이 허여되었으면, 발언권을 점유하고 오디오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급 신호를 무선부에 인가하여 기지국에 송신하므로 피티티 세션 그룹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음성급 신호 전송상태에서 피티티부의 푸시 신호 입력이 해제되어 음성급 신호의 송신을 완료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과정은,
    상기 송신과정에서 음성급 신호의 피티티 세션 그룹 내 송신이 완료되어 피티티 푸시 신호 입력이 해제되면 무선부를 제어하여 무선접속된 피티티서버에 발언권 점유 해제를 요청하고 발언권 점유를 해제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제어부에 의하여 완료메시지부에 기록저장된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출력하고 무선부를 통하여 기지국에 전송하므로 피티티 세션 그룹의 구성원에 방송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제어부는 무선부를 감시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음성급 신호가 무선수신되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과정은,
    상기 해제과정에서 피티티 세션 그룹의 상대방으로부터 음성급 신호가 전송되어 수신되면 입력하여 음성신호를 검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음성신호 송신자로부터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송신완료 메시지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면, 완료메시지부로부터 수신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출력하고 무선부에 인가하여 피티티 세션 그룹 구성원에 방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방법.
  11. 시스템의 피티티서버에 의하여 피티티 통신 방식으로 형성된 피티티 세션 그룹에 하나의 발언권을 설정하고 구성원으로부터 발언권 점유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요청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발언권 점유 요청이 있으면 최초 요청자에 허여하고 음성급 신호 방송경로를 설정하며 발언권 점유 해제를 요청하는지 감시하는 허여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발언권 점유 해제 요청이 있으면 허여된 발언권을 회수하고 피티티 세션 그룹에 메시지 전송을 위한 데이터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메시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과정은,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피티티서버에 의하여 피티티 통신방식으로 형성된 피티티 세션 그룹에 하나의 발언권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피티티서버는 형성된 피티티 세션 그룹의 구성원 중에서 발언권 점유를 요청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허여과정은,
    상기 요청과정에서 발언권 점유 요청이 있으면 최초 발언권 요청자에 피티티 통신방식에 의한 발언권 점유를 허여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발언권을 점유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성신호가 피티티 세션 그룹에 방송되는 음성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피티티서버는 발언권 점유자를 감시하여 발언권의 점유 해제를 요청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과정은,
    상기 허여과정에서 발언권 점유의 해제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피티티서버에 의하여 허여된 발언권을 회수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피티티 세션 그룹에 송신과 수신의 완료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방법.
KR1020050004263A 2005-01-17 2005-01-17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100664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263A KR100664192B1 (ko) 2005-01-17 2005-01-17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263A KR100664192B1 (ko) 2005-01-17 2005-01-17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011A true KR20060084011A (ko) 2006-07-21
KR100664192B1 KR100664192B1 (ko) 2007-01-03

Family

ID=3717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263A KR100664192B1 (ko) 2005-01-17 2005-01-17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5673A (ko) * 2013-02-22 2014-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번역 기반 통신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239B1 (ko) 2008-07-07 2009-09-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전이중 음성패킷망과 반이중 음성패킷망 간의 연동을 위한피티티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306A (ko) * 1998-06-10 2000-01-15 김영환 단방향 통신기기의 송신완료 자동통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67418A (ko) * 1999-04-28 2000-11-15 김영환 단방향통신 단말기간 통화종료 통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5673A (ko) * 2013-02-22 2014-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번역 기반 통신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4192B1 (ko) 200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5978B1 (ko) Ptt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신서비스의 발언권자표시방법
US7587216B2 (en) Method and communications unit for selective receipt of group calls
US200402282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ull duplex dispatch
KR10072440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pt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시스템
CN100376119C (zh) 移动通信系统中使用即按即说方案的通信方法
US7599704B2 (en) Voice call connection method during a push to talk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580721B2 (en) Method of communicating using a push to talk schem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869722B1 (en) Signalling multiple resources for transmitting a/n in an uplink unlicensed channel
KR100664192B1 (ko)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10066419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ptt 서비스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EP1638354B1 (en) Apparatuses and method for queueing and moderating group talk
US55510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private conversation for more than two mobile units in a trunked system
KR20050077673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발신자 정보 확인장치 및 방법
KR100690771B1 (ko) 피티티 휴대단말기의 속삭임 통신장치 및 방법
KR100630125B1 (ko) Ptt콜 중재방법
EP1517567B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KR100690821B1 (ko) 문자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10064032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알림 방법
JP4614127B2 (ja) PoC/W通信システム、PoCサーバ、PoC/W通信方法及びPoC/W通信プログラム
KR101080578B1 (ko) 휴대단말기의 피티티 통신그룹 오너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606019B1 (ko)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
KR100630115B1 (ko) 푸시투토크 방식을 채용한 이동통신 시스템
KR100667341B1 (ko) 양방향 그룹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64032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방법
KR100651956B1 (ko) 그룹통신 단말기의 셋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