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859A - Method for protect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tect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859A
KR20060081859A KR1020050002295A KR20050002295A KR20060081859A KR 20060081859 A KR20060081859 A KR 20060081859A KR 1020050002295 A KR1020050002295 A KR 1020050002295A KR 20050002295 A KR20050002295 A KR 20050002295A KR 20060081859 A KR20060081859 A KR 20060081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cessing
portable terminal
external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2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02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1859A/en
Publication of KR20060081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8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1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being candle-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3Power supplies in a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6Ornamental or decorative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저장 데이터 보호 방법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tecting stored data in a portable terminal.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외부 기기(컴퓨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해당 명령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저장 데이터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The present invention, by validat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computer) and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the corresponding command, the storage in the portable terminal to prevent data loss stor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ue to user carelessness Its purpose is to provide data protection methods.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저장 데이터 보호 방법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처리 명령(예 : 다이아그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으면 상기 외부 기기로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임을 알리는 알림단계; 상기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유효함에 따라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해당 명령을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단계; 및 상기 처리 결과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tecting stored data in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data and a data processing command (eg, a Diag packet) from an external device; 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received data; A notification step of notifying the external device that the data is invalid if the received data is not vali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determination step; A data processing step of processing a corresponding command of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ing step as the received data is valid; And transmitting the processing result to the external device.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데이터 유효성 검증, 저장 데이터 보호 방법, 휴대용 단말기Data validation, stored data protection method,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저장 데이터 보호 방법{Method for protect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Method for protect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외부 기기와 무선통신 단말기의 연결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nection between an external devic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설명도,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저장 데이터 보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tecting stored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 : USB 하드웨어 22 : USB 드라이버21: USB Hardware 22: USB Driver

23 : 다이아그(DIAG) 패킷 처리부 24 : 데이터 보호부23: DIAG packet processing unit 24: data protection unit

25 : 파일 시스템 26 : 플래시 메모리 드라이버25: File System 26: Flash Memory Driver

27 : 플래시 메모리 하드웨어
27: flash memory hardwar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저장 데이터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기기(컴퓨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해당 명령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저장 데이터 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tecting stored data in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by validating data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computer) and processing the data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command, thereby storing the wireless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ue to user's carelessn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tecting stored data in a portable terminal for preventing data loss.

본 발명에서 휴대용 단말기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 통신 단말기(PCS),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 뿐만 아니라 휴대멀티미디어재생기(PMP), 디지털 카메라, 게임기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is a mobile multimedia terminal as well a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ersonal digital communication terminal (PCS), a personal digital terminal (PDA), a smartphone,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T-2000), a wireless LAN terminal, and the like.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player (PMP), a digital camera, a game machine, or the like.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무선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한편,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외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범용 직렬 버스(USB)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following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an example of a universal serial bus (USB) for interfacing with an external device.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 라 함)는 컴퓨터전화통합(CTI)산업의 성장을 위해 상호접속(Interconnection)의 필요성을 인식한 정보통신의 선두 격인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컴팩, IBM, NEC, DEC 및 노텔(Nortel) 등이 개발한 진정한 플러그 앤 플레이(PnP)를 위한 개인용 컴퓨터(PC) 주변장치의 버스 규격으로서, 개인용 컴퓨터(PC) 본체에 USB 접속기를 하나만 갖추고 있으면, 주변 기기 등을 성형 접속(star connection) 또는 방사형 형태로 최고 127대까지 연결할 수 있다. 즉, USB를 사용하면 주변 기기 등을 PC와 연결할 때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 없이 모든 주변 기기를 동일한 USB 접속기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포트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가 간편하고, 휴대형 PC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The Universal Serial Bus (“USB”) is Intel, Microsoft, Compaq, and IBM, the leaders in telecommunications that recognize the need for interconnections to grow the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CTI) industry. A bus standard for personal computer (P) peripherals for true plug and play (PnP), developed by NEC, DEC, and Nortel, etc., provided that the personal computer has only one USB connector. Up to 127 lights can be connected in star or radial form. In other words, USB allows you to connect all peripheral devices to the same USB connector without setting up software or hardware when connecting peripheral devices to a PC. This greatly reduces the number of ports and makes installation easy and portable. The advantage is that the PC can be miniaturized.

USB의 가장 큰 장점은 사람과 컴퓨터 또는 주변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의 제공은 통신 기능을 통해서 지원되는 기능이다. 이전에는 컴퓨터에 많은 수의 통신 포트를 내장해야 이러한 기능의 지원이 가능하였지만, USB는 최대 127개의 주변기기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세세한 영역까지 손쉬운 지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biggest advantage of USB is its ability to conveniently handle the interface between people and computers or peripherals. Provision of such a function is a function supported through a communication function. Previously, a large number of communication ports were built into the computer to support this feature, but USB has the advantage that up to 127 peripherals can be easily supported.

컴퓨터에는 각종 외장형 장치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씨디롬(CD-ROM) 드라이브, 집(ZIP)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 장치류 이외에도 모뎀, 키보드, 마우스 등이 이에 해당한다. 참고로 프린터, 스캐너, 스피커는 주변 장치에 해당한다. 이들 외장형 장치는 컴퓨터의 내부에서 커넥터를 이용해 연결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포트에 연결해야하는 장치들이며, 스카시(SCSI : Small Computers System Interface)와 같은 외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부품을 추가하거나 또는 기존의 직렬/병렬 포트를 이용해야 한다. 따라서, 연결 가능한 장치의 개수에 한계가 있고 또한 단순하게 통신 기능만을 제공하므로 장치의 구동을 위해서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Various external devices exist in a computer. For example, in addition to storage devices such as hard disk drives, CD-ROM drives, and ZIP drives, modems, keyboards, mice, and the like are applicable. For reference, printers, scanners, and speakers are peripheral devices. These external devices are devices that need to be connected inside a computer using connectors or to a predetermined port, adding components that provide an external interface such as SCSI (SSC), or existing serial / parallel ports. Should be used.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the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and simply provides a communication function, thus requiring a separate power supply device for driving the device.

이 때문에 외장 장치들의 이동성과 편리성은 줄어들게 마련이다. 이에 반해 USB 포트는 기본적으로 각 기기 당 100mA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허브에서 최 고 500mA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외장형 장치에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가 없어도 USB 케이블만 연결하면 곧바로 사용이 가능하다.This reduces the portability and convenience of external devices. In contrast, the USB port can supply 100mA per device by default and up to 500mA from the hub. Therefore, even if the external device does not have a separate power supply, it can be used immediately by connecting a USB cable.

이와 같은 원리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를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외부 컴퓨터에 연결하면 상호간에 통신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principle, whe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omputer using a USB cabl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 each other.

그런데, 무선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는 여러 프로그램들의 사용중에 부주의로 인하여, 원하지 않게 데이터의 손실을 입는 경우가 흔하다.However, inadvertent loss of data is often caused by carelessness during the use of various programs that can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예를 들어, 각 무선통신 단말기마다 정해져 있는 "PC-Sync"라는 프로그램의 경우, 무선통신 단말기의 데이터(data)를 컴퓨터에 옮겨놓고, 필요할 때마다 무선통신 단말기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rogram called "PC-Sync" defined for each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at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transferred to a computer and stored and stor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henever necessary.

그러나, 프로그램의 잘못된 사용으로 데이터가 분실되는 경우가 많다.However, data is often lost due to incorrect use of the program.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외부 기기와 무선통신 단말기의 연결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nection between an external devic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 단말기(11)는 케이블(12)을 통해 외부 기기(컴퓨터)(13)와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1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computer) 13 through a cable 12.

무선통신 단말기(11)와 외부 컴퓨터(13)는 보통 USB 케이블 또는 시리얼 케이블로 연결하여 둘 사이에 정해진 프로토콜(Protocol)에 의해 통신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1 and the external computer 13 are usually connected by a USB cable or a serial cable to communicate by a predetermined protocol between the two.

보통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은 직접 데이터의 교환, 그리고 그 데이터가 쓰여져 있는 파일 단위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교환은 특별한 다른 절차없이 프로토콜에 의해서 쓰여지고 읽혀지기만 한다. In general, data exchange protocols exchange data directly, and in the file unit where the data is written. This exchange can only be written and read by the protocol without any special procedure.                         

이 프로토콜은 단지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계된 것만을 정의하고 있기에 중간에서 데이터의 내용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원하지 않는 데이터의 손실 입게 된다.Since this protocol only defines data related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no process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data in the middle, resulting in loss of unwanted data due to user error.

외부 컴퓨터에서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미리 약속된 프로토콜로 패킷(Packet)을 전송한다. 무선통신 단말기는 외부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패킷이 정확하게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각 커맨드(Command)별로 나누어 각 커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The external computer transmits a packet in a protocol previously agreed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hecks whether the packet received from the external computer is correctly transmitted, divides each command, and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each command.

이 때, 플래시 메모리 저장에 관계된 동작에서는 데이터의 쓰기 및 읽기가 있다. 읽기는 원하는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에서 읽어들여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이고, 쓰기는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에 쓰는(write) 것이다. 이 때, 무선통신 단말기는 데이터가 정확하게 이상없이 플래시 메모리에 쓰여졌는가를 판단하고 정확히 쓰여졌으면 OK 신호를 컴퓨터로 다시 보내 쓰기 작업이 이상 없이 수행되었음을 알려준다.At this time, operations related to flash memory storage include writing and reading of data. Reading is reading the desired data from the flash memory and transferring it to a computer, and writing is writ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computer to the flash memory. At this time,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data has been correctly written to the flash memory without any abnormality, and if it is correctly written, sends an OK signal back to the computer to inform that the writing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without any abnormality.

무선통신 단말기와 컴퓨터가 연결된 상태에서(통신시), 컴퓨터가 임의의 커맨드를 단말로 전송하면, 단말은 그 패킷을 받아 정해진 명령대로 처리한다.When the computer transmits an arbitrary command to the terminal 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mputer are connected (in communication), the terminal receives the packet and processes the packet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command.

그러나, 컴퓨터에서 빈 전화번호를 저장하라고 하는 명령을 보낸 경우, 무선통신 단말기는 데이터의 잘못된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고 단지 커맨드에 따라 처리한다. 즉, 패킷의 이상없이 전송된 것만을 확인하고 빈 전화번호를 저장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computer sends a command to store an empty telephone numb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recognize the wrong state of the data and simply processes it according to the command. That is, it checks only that the packet has been transmitted without abnormality and stores an empty telephone number.

현재 무선통신 단말기의 기능은 전화번호 저장에서부터 명함 교환까지 매우 폭넓으며, 저장 내용들도 전자수첩에 비할 만큼 중요해졌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와 같이 데이터의 잘못된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고 빈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이미 저장되어 있던 내용들이 사소한 실수로 지워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Currently, the functions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re very wide ranging from storing phone numbers to exchanging business cards. The content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come more important than those of electronic notebooks. However, as in the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by storing the empty data without recognizing the wrong state of the data, the previously stored contents can be erased by a minor mistak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외부 기기(컴퓨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해당 명령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저장 데이터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validat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computer) and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comm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ta loss stor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ue to user carelessnes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tecting stored data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저장 데이터 보호 방법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처리 명령(예 : 다이아그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으면 상기 외부 기기로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임을 알리는 알림단계; 상기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유효함에 따라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해당 명령을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단계; 및 상기 처리 결과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tecting stored data in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data and a data processing command (eg, a Diag packet) from an external device; 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received data; A notification step of notifying the external device that the data is invalid if the received data is not vali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determination step; A data processing step of processing a corresponding command of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ing step as the received data is valid; And transmitting the processing result to the external device.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몇가지 용어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First, som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태스크(Task)란 단말기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작업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나누어 놓은 것이다. 태스크로 정의된 모든 작업들은 모두 컴퓨터에서 각각의 프로그램들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듯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태스크에는 유아이 태스크(UI Task), 다이아그 태스크(Diag Task) 등이 있다.Task is a software division of all the work done inside the terminal. All tasks defined as tasks are configured to work independently, as each program runs independently on the computer. For example, a task includes a UI task, a Diag task, and the like.

상기 유아이 태스크는 화면 구성이나, 전화번호부, SMS, 사진 등 모든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부분을 담당한다.The infant task is responsible for the screen configuration, the phone book, SMS, photos, etc. that all users see.

한편, 상기 다이아그 태스크는 컴퓨터에서 단말기를 컨트롤하기 위해서 만들 퀄컴만의 데이터 패킷 교환방식의 작업을 담당한다. 이 패킷 교환을 통해서 단말기 의 상태정보도 컴퓨터에서 얻어볼 수 있고, 단말기 내부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쓰고 지우는 일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AG task is responsible for the work of Qualcomm's own data packet exchange method to be controlled by the computer. Through this packet exchang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an be obtained from the computer, and the data existing in the terminal can be written and erased.

여기서, 각각의 태스크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일들이 생기는데, 이럴 경우에는 정의된 신호를 주고받음으로써, 서로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는다.In this case, tasks may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defined signals may be exchanged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케이블(12)을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컴퓨터(13)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USB 하드웨어(21), 상기 USB 하드웨어(21)와 다이아그 패킷 처리부(23) 간의 송수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USB 드라이버(22), 상기 USB 드라이버(22)를 통해 전달받은 다이아그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다이아그(DIAG) 패킷 처리부(23), 상기 다이아그 패킷 처리부(23)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 보호부(24), 상기 검증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하기 위한 파일 시스템(25), 상기 파일 시스템(25)과 플래시 메모리 하드웨어(27) 간의 송수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 드라이버(26), 및 상기 플래시 메모리 드라이버(26)를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 하드웨어(27)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USB hardware 21 for physically connecting through a cable 12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an external computer 13, and the USB. USB driver 22 for process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ata between the hardware 21 and the diamond packet processing unit 23, DIAG packe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diamond packet received through the USB driver 22 ( 23, a data protection unit 24 for verifying the data processed by the diamond packet processing unit 23, a file system 25 for storing the verified data, the file system 25 and the flash memory Flash memory driver 26 for process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hardware 27, and flash memory for physically stor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flash memory driver 26 Mori hardware 27 is included.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저장 데이터 보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tecting stored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다이아그 태스크(31)가 컴퓨터(13)로부터 다이아그 패킷을 수신하면(301), 유아이 태스크(32)로 데이터 유효성 검증 요청 신호(UI_CHECK_DATA_PROTECTION_SIG)을 전달한다(302). First, when the diamond task 31 receives a diamond packet from the computer 13 (301), the infant transmits a data validation request signal (UI_CHECK_DATA_PROTECTION_SIG) to the task 32 (302).                     

이후, 유아이 태스크(32)는 상기 데이터 유효성 검증 요청 신호에 따라 데이터가 유효한지를 판단한다(303).In operation 303, the infant task 32 determines whether data is valid according to the data validation request signal.

상기 판단 결과(303),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임에 따라, 상기 다이아그 태스크(31)로 유효성 OK 신호(DIAG_CHECK_DATA_OK_SIG)를 전달한다(304).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303, as valid data, the validity OK signal DIAG_CHECK_DATA_OK_SIG is transmitted to the diamond task 31 (304).

이후, 다이아그 태스크(31)가 유효성 OK 신호(DIAG_CHECK_DATA_OK_SIG)를 전달받음에 따라 해당 다이아그 패킷의 명령을 처리하고(305), 컴퓨터(13)로 응답 패킷을 전송한다(306).Then, as the diag task 31 receives the valid OK signal DIAG_CHECK_DATA_OK_SIG, the diag task 31 processes an instruction of the corresponding diag packet (305), and transmits a response packet to the computer 13 (306).

한편, 상기 판단 결과(303),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가 아님에 따라, 상기 다이아그 태스크(31)로 유효성 Not OK 신호(DIAG_CHECK_DATA_NOTOK_SIG)를 전달한다(307).In response to the determination result 303, the data is not valid data, and a valid Not OK signal DIAG_CHECK_DATA_NOTOK_SIG is transmitted to the diamond task 31 (307).

이후, 다이아그 태스크(31)가 유효성 Not OK 신호(DIAG_CHECK_DATA_NOTOK_SIG)를 전달받음에 따라 컴퓨터(13)로 응답 패킷을 전송한다(306).Thereafter, the plug task 31 transmits a response packet to the computer 13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valid Not OK signal DIAG_CHECK_DATA_NOTOK_S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보호 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data pro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우선, 다이아그 태스크(31)는 전달받은 다이아그 명령(Diag command)(다이아그 태스크에서 인식할 수 있는 패킷마다 패킷의 첫부분(헤더)에 다이아그 커맨드가 있어, 그 패킷이 어떠한 일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나타낸다.)을 분석하여 데이터의 유효성(validation)을 체크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을 경우 유아이 태스크(32)로 데이터 유효성 검증 요청 신호(UI_CHECK_DATA_PROTECTION_SIG)를 전달 하여 데이터를 검사하게끔 한다.First, the diag task 31 has a diag command in the first part (header) of each packet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diag command (diagram task), and the packet performs some work. If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validation of data, the infant sends a data validation request signal (UI_CHECK_DATA_PROTECTION_SIG) to task 32 to check the data.

이후, 데이터 유효성 검증 요청 신호(UI_CHECK_DATA_PROTECTION_SIG)를 전달받은 유아이 태스크(32)는 다이아그 태스크(31)가 전달해준 데이터를 분석한다.Afterwards, the infant 32 receiving the data validation request signal UI_CHECK_DATA_PROTECTION_SIG analyzes the data delivered by the diamond task 31.

이 때, 유아이 태스크(32)는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가 전화번호부인지, 단문메시지(SMS)인지, 동영상인지 등을 판단한 뒤에 그 데이터가 비어있는지, 데이터가 생성된 시간이 무선통신 단말기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보다 이전의 것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저장해도 된다고 판단되면 "304" 과정으로 진행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저장하면 안된다고 판단되면, "307" 과정으로 진행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infant task 32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data is a phone book, a short message (SMS), a video, and the like, and if the data is empty or not, the time when the data is generated is dat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older than the above, it is determined that it may be stor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rocess proceeds to "304".

이후, 유아이 태스크(32)가 데이터의 유효성을 확인하면, 다이아그 태스크(31)로 유효성 OK 신호(DIAG_CHECK_DATA_OK_SIG)를 전달한다. 그러면, 다이아그 태스크(31)는 해당 패킷을 처리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infant checks the validity of the data, the child 32 transmits a validity OK signal DIAG_CHECK_DATA_OK_SIG to the diamond task 31. The diamond task 31 then processes the packet.

이후, 다이아그 태스크(31)에서 다이아그 명령(Diag command)이 이상 없이 처리됨에 따라 컴퓨터(13)로 해당 명령 처리 완료 패킷을 전송한다.After that, the diag command 31 processes the diag command without error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mmand processing completion packet to the computer 13.

한편, 유아이 태스크(32)가 확인한 결과 잘못된 데이터인 경우, 다이아그 태스크(31)로 유효성 NOT OK 신호(DIAG_CHECK_DATA_NOTOK_SIG)를 전달한다. 그러면, 다이아그 태스크(31)는 잘못된 데이터임을 인지한 후, 컴퓨터(13)로 잘못된 데이터임을 알리는 응답 패킷을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fant checks that the task 32 is incorrect data, the toddler task 31 transmits a valid NOT OK signal DIAG_CHECK_DATA_NOTOK_SIG. Then, the diamond task 31 recognizes that the data is wrong, and then transmits a response packet to the computer 13 indicating that the data is wrong.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가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패킷에 담긴 데이터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두어 패킷 데이터의 타당성을 검사한 뒤 처리하도록 하 였다. 따라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처리 시간 측면에서는 조금의 손해를 보아야 하지만, 작은 단위의 패킷에 해당하는 타당성 검사만 처리하면 되므로 처리 시간이 그다지 오래 걸리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process of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data contained in the packet received from the computer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packet data and then process it. Therefore, in terms of processing tim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 little damage is required, but the processing time does not take so long because only a validity check corresponding to a small unit of packet is process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외부 기기(컴퓨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해당 명령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validat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computer) by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the corresponding comm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loss of data stor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ue to user carelessness.

Claims (2)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저장 데이터 보호 방법에 있어서,In the storage data protection method in a portable terminal,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처리 명령(예 : 다이아그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단계;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data and a data processing command (eg, a diamond packet) from an external device;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단계;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received data; 상기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으면 상기 외부 기기로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임을 알리는 알림단계;A notification step of notifying the external device that the data is invalid if the received data is not vali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determination step; 상기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유효함에 따라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해당 명령을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단계; 및A data processing step of processing a corresponding command of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ing step as the received data is valid; And 상기 처리 결과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processing result to the external device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저장 데이터 보호 방법.Storage data protection method in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판단단계는,The determining step,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빈(empty) 데이터인지 또는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기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보다 이전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저장 데이터 보호 방법.And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data is empty data or whether the received data is older than the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KR1020050002295A 2005-01-10 2005-01-10 Method for protect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KR200600818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295A KR20060081859A (en) 2005-01-10 2005-01-10 Method for protect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295A KR20060081859A (en) 2005-01-10 2005-01-10 Method for protect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859A true KR20060081859A (en) 2006-07-13

Family

ID=37172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295A KR20060081859A (en) 2005-01-10 2005-01-10 Method for protect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185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45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pairing of Bluetooth devices
US7921244B2 (en) Data sharing and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US20060160569A1 (en) Cellular phone and portable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EP2466480B1 (en) Dongle and method for operating external input means, and external input system with the dongle
US20100159989A1 (en) Cellular phone and portable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CN103106109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pplication interface switching method
US200600250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luetooth data
JPH11119878A (en) Computer interface device
US20130324191A1 (e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ly accessing storage device
CN112711955A (en) NFC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NFC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NFC terminal
CN103198257B (en) Security under mixed information treatment facility environment is reused
KR20060081859A (en) Method for protect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JP2012053792A (en) System for reducing usb isochronous transfer error
KR200420506Y1 (en) Network switching apparatus for providing security function about mobile storage device and security computer system using by the network switching apparatus
WO2016031456A1 (en) Reader/writer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ata transfer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1886585B (en) Terminal device, debugging card and debugging method
KR200411273Y1 (en) Network switching apparatus
JP2015018573A (en) Memory card
JP6027235B2 (en) Mobile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1435978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0917193B1 (en) Device for sharing input means of mobile phone and computer and thereof method
KR100642267B1 (en)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multiple kinds of phone
US10061733B2 (en) Peripheral interface chip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KR1007417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 peripherals
JP5883424B2 (en) Portab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