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006A -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006A
KR20060081006A KR1020050001312A KR20050001312A KR20060081006A KR 20060081006 A KR20060081006 A KR 20060081006A KR 1020050001312 A KR1020050001312 A KR 1020050001312A KR 20050001312 A KR20050001312 A KR 20050001312A KR 20060081006 A KR20060081006 A KR 20060081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hanne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978B1 (ko
Inventor
손지현
정은수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1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978B1/ko
Publication of KR20060081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컨텐츠 채널을 전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정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정보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상기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며, 상기 컨텐츠 채널을 검색하는 모드에서 키 입력부에 포함되는 방향키의 키 값을 입력받아 상기 컨텐츠 채널을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컨텐츠 채널 전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정보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가 수신되거나, 상기 컨텐츠 채널을 검색하는 상기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컨텐츠 채널 전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시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컨텐츠 채널별로 분류된 상기 컨텐츠의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채널의 화면의 키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컨텐츠 채널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컨텐츠 채널을 전환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키 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 간의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담당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며, 각각의 컨텐츠 채널을 TV 채널 전환하듯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우 방향키 입력에 따라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한 동작만으로 원하는 컨텐츠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컨텐츠, 정보채널, 채널 전환,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hanging Content Channel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 화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 전환을 위한 키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텐츠 채널 전환 방법이 적용되는 대기모드 기반 정보채널 방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방향 아이콘 400 : 이동통신 단말기
402 : 키 입력부 404 : 표시부
406 : 프로그램 저장부 408 : 메모리
412 : 송/수신부
본 발명은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며, 각각의 컨텐츠 채널을 TV 채널 전환하듯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우 방향키 입력에 따라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한 동작만으로 원하는 컨텐츠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모바일 금융, 게임, 증권, 뉴스 등의 컨텐츠를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키입력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고 다시 컨텐츠 목록 중의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키입력에 의해 특정 컨텐츠의 세부 내용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또한, 또 다른 컨텐츠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시 처음의 컨텐츠 목록 메뉴로 들어간 후 다시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컨텐츠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여러 가지의 컨텐츠를 전환할 경우 키입력을 여러 번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 화면이다.
도 1A에서와 같이 컨텐츠를 테마별로 분류한 목록에서 사용자가 증권에 관한 컨텐츠를 확인하기 위해 "증권" 컨텐츠를 선택하면, 도 1B에서와 같이 증권에 관련된 컨텐츠들이 표시된다. 이후 "종합 주가 지수" 컨텐츠를 선택하면 종합 주가 지수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종합 주가 지수에 대한 컨텐츠를 확인 중 "게임" 컨텐츠에 속하는 특정 게임 컨텐츠를 이용하려고 할 경우에는, 다시 도 1A의 전체 컨텐츠 목록 화면으로 되돌아 간 후 "게임" 컨텐츠를 선택하고 다시 특정 게임 컨텐츠를 선택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다양한 컨텐츠들로 컨텐츠 서비스가 구성되어 있거나 증권 정보와 같이 자주 검색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특정 컨텐츠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컨텐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며, 각각의 컨텐츠 채널을 TV 채널 전환하듯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우 방향키 입력에 따라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한 동작만으로 원하는 컨텐츠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컨텐츠 채널을 전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 기로서, 정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정보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며, 컨텐츠 채널을 검색하는 모드에서 키 입력부에 포함되는 방향키의 키 값을 입력받아 컨텐츠 채널을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컨텐츠 채널 전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정보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컨텐츠의 데이터가 수신되거나, 컨텐츠 채널을 검색하는 모드가 설정되면, 컨텐츠 채널 전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 시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며, 컨텐츠 채널별로 분류된 컨텐츠의 정보 및 컨텐츠 채널의 화면의 키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컨텐츠 채널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 컨텐츠 채널을 전환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키 입력부; 및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 간의 컨텐츠의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담당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컨텐츠 채널을 전환 하는 방법으로서, (a) 정보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전송받는 단계; (b)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컨텐츠 채널에 채널 전환 키입력 식별값을 부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c) 컨텐츠 채널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d) 컨텐츠 채널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이동통 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방향키의 키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e) 방향키의 키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채널 전환 키입력 식별값을 갖는 컨텐츠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 및 (f) 방향키의 키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채널 전환 키입력 식별값을 갖는 컨텐츠 채널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컨텐츠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에서와 같이 "뉴스 속보"에 대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채널을 검색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른쪽 방향키를 입력하면 도 2B와 같이 "관심 종목 현재가" 채널로 전환되며, 다시 오른쪽 방향키를 입력하면 도 2C와 같이 "관심 종목 뉴스" 채널로 전환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왼쪽 방향키를 입력하면 다시 "관심 종목 현재가" 채널을 거쳐 "뉴스 속보" 채널로 전환하게 된다.
또한, 전체 채널이 도 2에서와 같이 3개인 경우, 도 2C와 같은 "관심 종목 뉴스" 채널에서 오른쪽 방향키를 입력하면 곧바로 최초의 도 2A와 같은 "뉴스 속보" 채널로 전환하도록 하는 순환적 채널 전환 구조로 구성된다.
즉, 각종 컨텐츠를 채널 개념으로 총괄하여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컨텐츠 검색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는 방향키를 눌렀을 경우 각 화면(도 2A 내지 도 2C)에 표시되어 있는 방향 아이콘(200)의 색이 변화되도록 하여 어느 쪽의 방향키가 눌려졌는지 알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 전환을 위한 키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최초 컨텐츠 검색 모드일 경우 채널별로 지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키 값을 초기화 하고, 총 채널 수를 검사하여 키 값의 크기로 총 채널 수를 설정한다(S301).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키가 눌려지기 전까지 입력 대기 상태가 되고(S302), 사용자가 방향키를 눌렀을 경우 그 누른 키가 오른쪽 방향키 값인지 검사한다(S303).
만약, 오른쪽 키 값이면 초기화된 키 값의 크기를 1 만큼 증가시키고(S304a), 오른쪽 키 값이 아니고 왼쪽에 해당하는 키 값일 경우 키 값의 크기를 1 만큼 감소시킨다(S304b).
가감된 키 값의 절대값과 최초 설정된 키 값의 크기를 비교한다(S305).
여기서, 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키 값의 절대값이 클 경우 키 값을 초기화 시 킨다(S306).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른쪽 방향키를 계속 적으로 눌렀을 경우 채널의 전환을 하다가 더 이상 전환할 채널이 없을 경우 최초 채널로 귀환하기 위한 방법이다. 예를 들면, 채널의 총수가 "6"이라 할 경우, 오른쪽 방향키를 한번 눌렀을 경우 키 값이 1 증가하고, 계속적으로 오른쪽 버튼을 6번 눌렀을 경우 키 값은 7이 저장되어, 그 값의 절대값은 키 값의 크기인 6을 넘게 되어 키 값이 초기화 된다. 또한, 초기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왼쪽 방향키를 한번 눌렀을 경우 키 값은 1 만큼 감소하고, 계속적으로 왼쪽 버튼을 6번 눌렀을 경우 키 값은 -7이 저장되어, 그 값의 절대값은 키 값의 크기인 6을 넘게 되어 키 값은 초기화된다. 동일한 기술적 사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른쪽 방향키를 3번 누르고 왼쪽 방향키를 2번 눌렀을 경우 그 키 값의 절대값은 1이 된다.
결국, 키 값에 대응되는 화면을 구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307).
이상 도 3에서 설명한 알고리즘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 전환을 위한 키 입력을 처리하는 알고리즘은 실제로 구현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도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키 입력부(402), 표시부(404), 프로그램 저장부(406), 메모리(408), 제어부(410), 송/수신부(412)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400)가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브라우저(Browser)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브라우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ME(Mobile Explorer) 브라우저, I-mode,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등이 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키 입력부(402)는 전화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키버튼은 통상적으로 12개의 숫자키(0 ~ 9, *, #), 다수의 기능키, 다수의 커서(Cursor) 이동키 및 방향키 등을 포함한다. 또한, 방향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현재 컨텐츠의 채널을 다른 채널로 선택하여 바꿀 수 있도록 한다.
표시부(404)는 일반적으로 배터리(Battery)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해 준 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채널을 표시한다.
프로그램 저장부(406)는 단말기 자체의 기능을 구현하고 네트워크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채널 전환 프로그램도 저장하고 있다. 컨텐츠 채널 전환 프로그램은 정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정보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컨텐츠들을 채널별로 분류하여 메모리(408)에 저장하도록 하며, 컨텐츠 채널 검색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키 입력부(402)의 방향키를 입력하면 각 채널이 순차적으로 전환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컨텐츠 채널은 컨텐츠의 내용별, 컨텐츠의 제공 업체별 또는 컨텐츠의 형식별 등으로 구분되어 운용되며, 사용자가 임의로 각 컨텐츠 채널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편집하여 분류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408)는 제어부(41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된 컨텐츠의 데이터 정보 및 컨텐츠 채널별로 분류된 컨텐츠의 정보 및 각 채널 화면의 키 값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408)는 램(RAM), 비활성(NV : Non Volatile)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저장부, 모드 상태 저장부 및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를 포함하는데(미도시), 데이터 저장부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실행 시 데이터 버퍼(Buffer)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키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외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문자나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모드 상태 저장부는 키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Flag)(0, 1, 2, ...)로 저장하는데, 제어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 모드인지, 발신 모드인지, 저장 모드인지, 통화 모드인지 등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의 모드마다 고유한 상태 플래그를 할당하여 모드 상태 저장부를 갱신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채널 검색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한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에는 가입자 단말기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가입자 단말기 등록 정보는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 단말기마다 부여되는 고유 번호로서, 가입자 정보 저장부는 카드 형태로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이동통신망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통상적인 내용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410)는 모드 상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플래그를 근거로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내부는 산술논리연산기,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명령 디코더, 제어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410)는 주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를 인출하여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어를 실행하며 실행 결과를 다시 주기억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자동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입출력 장치들과도 데이터 교환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4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채널 검색 모드가 되면 컨텐츠 채널 전환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한 명령어들을 실행하며 모드 상태 저장부의 모드를 갱신한다.
송/수신부(412)는 제어부(410)의 제어를 받아 음성 신호와 전기 신호를 증폭하고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정보 컨텐츠 서비스 서버와 컨텐츠의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414), 베이스밴드 변환부(416), 스피커(418), 마이크로폰(420), RF 신호 처리부(422), 안테나(424) 등으로 구성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414)는 베이스밴드 변환부(416)와 주고받는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Encoding)하거나 복호화(Decoding)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다중 경로의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즈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414)는 베이스밴드 변환부(416)로부터 수신 메시지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
베이스밴드 변환부(416)는 RF 신호 처리부(422)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414), 스피커(418) 및 마이크로폰(420)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등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베이스밴드 변환부(416)는 제어부(410)로부터 입력된 송신 메시지 데이터(TX DATA)를 송신 메시지 신호(TXIQ)로 변환해 RF 신호 처리부(422)로 출력하거나, RF 신호 처리부(422)로부터 입력된 수신 메시지 신호(RXIQ)를 수신 메시지 데이터(RX DATA)로 변환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414)로 출력한다. 그리고 베이스밴드 변환부(416)는 RF 신호 처리부(422)의 전력에 대한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AGC).
스피커(418)는 베이스밴드 변환부(416)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며, 마이크로폰(420)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RF 신호 처리부(422)는 송신 메시지 신호(TXIQ)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해 안테나(424)로 출력하거나, 안테나(424)로부터 인가된 RF 신호를 수신 메시지 신호(RXIQ)로 변환해 베이스밴드 변환부(416)로 출력한다. 안테나(424)는 RF 신호를 공중으로 송출하거나, 공중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RF 신호 처리부(422)로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의 채널 전환 방법은, 대기모드 기반 정보채널 방송 시스템에 의해 전송되는 컨텐츠의 채널을 전환하는 데에도 적용되는데 대기모드 기반 정보채널 방송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대기모드 기반 정보채널 방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대기모드 기반 정보채널 방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500), 무선 접속망(510), 이동통신 교환국(516), SMS 센터(518), 망간 연동 장치(520), WAP 게이트웨이(522), 인터넷(524), 정보채널 방송 서버(526)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528) 등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500)는 무선 접속망(510)을 통해서 이동통신망과 연결되어 서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으로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구비된 웹브라우저 등을 통하여 인터넷 (524)에 접속하여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통신 단말기이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500)는 별도의 스마트 카드 장착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며,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예를 들어, 모바일 금융, 게임, 증권, 뉴스, 채팅 등의 서비스(이하 "컨텐츠"라 칭함)를 제공받을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동통신 단말기(500)는 정보채널 방송 서버(526)에서 컨텐츠를 방송하는 채널 및 제목 등의 요약 정보가 담긴 컨텐츠 요약 정보와 해당 컨텐츠의 보다 자세한 내용이 담긴 상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상세 정보 코드값을 일반 단문 메시지(SMS : Short Message Service)와는 별도의 식별 코드값을 갖는 SMS를 전달 받아 저장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500)의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컨텐츠 요약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면 상세 정보 코드값으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528)에 접속하여 상세 정보 코드값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가져와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무선 접속망(510)은 기지국(512)과 기지국 제어기(514)로 구성되는데, 기지국(BTS :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514)은 이동통신 단말기(500)와 무선으로 정합하여 이동 가입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514)는 기지국(512)과 이동통신 교환국(516) 사이에서 음성호와 회선 데이터호를 연결하고, 음성호에 대해서는 보코딩 기능을 수행하며 기지국을 운용 및 유지, 보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516)은 CDMA-2000 네트워 크에서 교환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네트워크 내의 이동 가입자를 다른 네트워크의 가입자와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각종 부가 시스템과 연결되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홈 위치 등록기(미도시)와 연동하여 위치 등록, 인증 및 암호화 기능을 처리한다.
SMS 센터(518)는 이동통신 교환국(516)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가입자들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SMS 센터(518)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 전달 시스템(PC 통신 시스템, 인터넷 서버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가입자들 사이에 숫자, 문자들을 양방향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 요약 정보 및 상세 정보 코드값을 일반 단문 메시지와는 별도의 식별 코드값을 갖는 SMS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500)로 전송하도록 한다.
망간 연동 장치(IWF : Inter-Working Function)(520)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 유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각 망에 적합한 형태로 프로토콜, 신호 및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망간 연동 장치(520)는 이동통신 교환국(516), 정보채널 방송 서버(526)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528)가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을 연결한다.
WAP 게이트웨이(522)는 유선 인터넷 상의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고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500), 정보채널 방송 서버(526)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528) 사이에서 통신 코드 변환이나 프로토콜 변환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500)와 정보채널 방송 서버(526)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528)를 상호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넷(524)은 이동통신 단말기(500)가 이동통신 교환국(516)을 거쳐 웹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정보채널 방송 서버(526)는 정보채널 방송의 일정을 TV 프로그램 조정하듯이 컨텐츠의 방송(Push) 시간 차트를 조정하여, 방송 일정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500)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 서버(528)를 제어한다.
즉, 정보채널 방송 서버(526)는 애플리케이션 서버(528) 및 인터넷(524)과 연동되며, 이동통신 단말기(500)로 컨텐츠 요약 정보를 실시간으로 방송 스케줄에 따라 SMS 형태로 방송하고, 이동통신 단말기(500)에서 상세 정보를 요청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528)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단말기(500)로 상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528)는 정보채널 방송 서버(526) 및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며, 이동통신 단말기(500)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예를 들어, 모바일 금융, 아파트 시세, 주가 지수 및 관심 종목 현재가 등의 증권 정보, 각종 뉴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서버(528)는 정보채널 방송 서버(526)의 방송 스케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서버(528)는 도 5에서처럼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정보채널 방송 서버(526)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채널 전환 방법은, 대기모 드 기반 정보채널 방송 시스템에 의해 전송되는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컨텐츠 채널을 전환하는 데에 적용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며, 각각의 컨텐츠 채널을 TV 채널 전환하듯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우 방향키 입력에 따라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한 동작만으로 원하는 컨텐츠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텐츠 채널을 전환 시 전체 채널을 순환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하게 다양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컨텐츠 채널을 전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정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정보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상기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며, 상기 컨텐츠 채널을 검색하는 모드에서 키 입력부에 포함되는 방향키의 키 값을 입력받아 상기 컨텐츠 채널을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컨텐츠 채널 전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정보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가 수신되거나, 상기 컨텐츠 채널을 검색하는 상기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컨텐츠 채널 전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시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컨텐츠 채널별로 분류된 상기 컨텐츠의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채널의 화면의 키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컨텐츠 채널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컨텐츠 채널을 전환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키 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 간의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담당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채널 전환 프로그램은 좌/우 방향키의 키 입력값에 따라 상기 컨텐츠 채널을 전환하며, 상기 좌/우 방향키의 상기 키 입력값에 따라 상기 컨텐츠 채널이 순환적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컨텐츠 채널을 전환 하는 방법으로서,
    (a) 정보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는 단계;
    (b) 상기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컨텐츠 채널에 채널 전환 키입력 식별값을 부여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컨텐츠 채널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d) 상기 컨텐츠 채널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방향키의 키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e) 상기 방향키의 상기 키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채널 전환 키입력 식별값을 갖는 컨텐츠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 및
    (f) 상기 방향키의 상기 키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채널 전환 키입력 식별값을 갖는 상기 컨텐츠 채널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컨텐츠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컨텐츠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좌/우 방향키의 키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채널을 전환하며, 상기 좌/우 방향키의 상기 키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채널이 순환적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컨텐츠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컨텐츠는 대기모드 기반 정보채널 방송 시스템에 의해 전송되는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컨텐츠를 채널별로 분류하여 방향키의 입력에 의해 컨텐츠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KR1020050001312A 2005-01-06 2005-01-06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06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312A KR100706978B1 (ko) 2005-01-06 2005-01-06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312A KR100706978B1 (ko) 2005-01-06 2005-01-06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006A true KR20060081006A (ko) 2006-07-12
KR100706978B1 KR100706978B1 (ko) 2007-04-11

Family

ID=37172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312A KR100706978B1 (ko) 2005-01-06 2005-01-06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9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080B1 (ko) * 2007-10-19 2015-02-12 주식회사 케이티 이전/ 이후 아이템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904B1 (ko) * 2001-09-07 2004-07-03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040093585A (ko) * 2003-04-30 2004-11-06 이진용 플라스틱 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978B1 (ko)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7045B2 (ja) 文字メッセージの統合管理機能を提供する移動通信端末機及びその方法
US7333804B2 (en) Message transmitting scheme of mobile terminal
CN102422297B (zh) 信息处理器、外部设备扩展系统及外部设备扩展方法
KR20070065688A (ko) 화상 통화 중 sms 메시지의 출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6980B1 (ko) 서브 화면에 위치되며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컨텐츠메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94910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user identif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46356B1 (ko) 실시간 정보 갱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491642B1 (ko) Sms를 이용한 인스탄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06978B1 (ko)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A2625126C (en) Classmark change message system and method
KR10083413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윙크서비스를 이용한 통화연결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590690B1 (ko) 대기모드 기반 정보채널 방송의 실시간 수신을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0850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80233887A1 (en) Classmark Change Message System and Method
KR10062009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설정에 의한 자동 착신 전환시스템 및 방법
KR20050011786A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웹 앨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13008A (ko) 입력 제한이 없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1103530A (ja) 通信装置
KR100708535B1 (ko) 전화번호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100590509B1 (ko) 다양한 sms 메시지 샘플을 이용하여 회신 sms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5003415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광고 문자메시지 수신에 대한 무료문자메시지 이용방법
US20090017846A1 (en) Bracelet for Text Messaging
KR100687580B1 (ko) 부재중인 동안 착신 정보 확인이 가능한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6983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방법
KR100723708B1 (ko) 착신 호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