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275A - 축광 간판 - Google Patents

축광 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0275A
KR20060080275A KR1020050000545A KR20050000545A KR20060080275A KR 20060080275 A KR20060080275 A KR 20060080275A KR 1020050000545 A KR1020050000545 A KR 1020050000545A KR 20050000545 A KR20050000545 A KR 20050000545A KR 20060080275 A KR20060080275 A KR 20060080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luminescent
guide plate
light guide
rear surfac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5004B1 (ko
Inventor
장우진
안성호
Original Assignee
(주)엘리버텍
장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리버텍, 장우진 filed Critical (주)엘리버텍
Priority to KR1020050000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004B1/ko
Publication of KR2006008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광 간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면에 소정의 문구 또는 도형을 표현하는 홈이 식각되어 있는 표지패널; 상기 홈에 도포되어 소정의 색상을 나타내는 도료층; 및 상기 표지패널의 배면에 형성된 축광부;를 포함하는 축광 간판이 개시된다. 이로써, 조명기구가 고장나거나 정전이 되어 발광원이 없는 상태에서도 간판의 식별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간판, 축광, 도료, 발광부재

Description

축광 간판{Phosphorescent signboar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광 간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축광 간판을 Ⅰ-Ⅰ선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광 간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축광 간판을 Ⅱ-Ⅱ 선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광 간판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광 간판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광 간판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표지패널 11...홈
20...도료층 30...축광부
40...도광판 50...발광부재
60...보호코팅부 70...불투명부
본 발명은 축광 간판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축광물질을 이용하여 광이 없는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간판 내용을 식별하게 하는 축광 간판에 관한 것이다.
간판은 통상적으로 건물의 외벽 또는 입구에 설치되어 회사 또는 상점명이나 상품 등을 광고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전형적인 간판은 본체를 이루는 프레임 전면에 예를 들어, 플렉시블한 시트지를 부착하고 그 위에 원하는 글씨 또는 도형 등의 광고 문안을 인쇄 또는 부착함으로써 구성된다.
특히, 어두운 야간에 간판을 식별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는데, 가장 전형적인 예로는 반투명의 패널 위에 광고 문안을 표시하고 프레임 내부에 조명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조명 기구로부터 나오는 빛에 의해 광고를 표시하는 방법이다. 또한 일반적인 간판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조명기구를 이용하여 간판을 식별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첫번째 방법은 간판 패널의 광투과율이 낮아 휘도 특성이 우수하지 않고, 원하는 휘도를 얻기 위해서는 전력소모가 큰 형광램프를 사용해야 하는 취약점이 있다. 또한 두번째 방법에 의한 간판 자체의 발광에 의한 방법이 아니기에 식 별력이 뛰어나지 못한 단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조명기구에만 의존하여 야간 식별을 하기에 불시에 정전이 되거나 조명기구가 고장난 경우에는 간판의 식별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축광을 이용하여 정전 또는 고장으로 인해 발광원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에서도 간판의 식별이 가능하며, 발광원이 존재할 때는 전력소모가 큰 발광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판의 고휘도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축광 간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축광성 물질을 외부의 스트레스로부터 충분히 보호하여 그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축광 간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축광 간판은, 배면에 소정의 문구 또는 도형을 표현하는 홈이 식각되어 있는 표지패널; 상기 홈에 도포되어 소정의 색상을 나타내는 도료층; 및 상기 표지패널의 배면에 형성된 축광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광부 상에 형성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되는 발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축광부 상에 형성된 보호코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 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면에 소정의 문구 또는 도형을 표현하는 홈이 식각되어 있는 표지패널; 상기 홈에 도포되어 소정의 색상을 표현하는 도료층; 상기 표지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된 발광부재; 및 상기 도광판 상에 형성된 축광부;를 포함하는 축광 간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면에 소정의 문구 또는 도형을 표현하는 홈이 식각되어 있는 표지패널; 상기 홈에 형성된 축광층; 상기 표지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되는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축광 간판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광층 상에 도포된 보호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지패널의 배면과 상기 도광판 사이에 개재되는 불투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부재는 외부전극형광램프(EEFL), 냉음극형형광램프(CCFL),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전계발광소자(EL)로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광 간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축광 간판은 배면에 홈(11)이 식각되어 있는 표지패널(10), 홈(11)에 도포되는 도료층(20), 및 표지패널(10)의 배면에 형성된 축광부(30)를 포함한다.
표지패널(10)은 그 배면에 간판이 표현하고자 하는 문자 또는 도형이 홈(11)으로 식각되어 있다. 또한 표지패널(10)은 연질 또는 경질의 염화비닐수지(PVC)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의 투명재 수지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면에서 표지패널(10)을 바라보았을 때 표지패널(10) 배면에 식각된 홈(11)이 표현하는 문자 또는 도형 등이 충분히 인식될 수 있다. 그러나 완전히 투명한 재질이 아니더라도 표지 내용을 식별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불투명한 패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패턴 재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목적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료층(20)은 표지패널(10)에 형성된 홈(11)에 도포되어 소정의 색상을 표현하여 간판의 식별력을 높인다. 바람직하게, 도료층(20)은 발색력이 우수한 금속도료를 이용하며, 종래에 알려진 방법에 따라 도포한다.
축광부(30)는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에너지를 흡수했다가 장시간에 걸쳐 서서히 고유한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공지의 축광물질로 이루어진 판재로 구성된다. 상기 축광물질은 광을 흡수-축적-발광 과정이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물질로써, 보다 상세하게, 상기 축광 물질은 축광성 발광체, 상기 축광성 발광체 입자를 상호결합시키는 바인더, 첨가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광부는 소정 사이즈의 장방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축광 간판은 축광부(30) 상에 형성되는 보호코팅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코팅부(60)는 축광부(30)의 내광성을 감소시키는 요소로써 작용하는 수분 또는 자외선 등의 외부 스트레스로부터 축광부(30)를 보호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축광 간판은 주간에 태양으로부터 자연광을 입사받아 축광부(30)에 광을 축적했다가, 자연광이 존재하지 않는 밤에 축광부(30)에서 고유파장의 광을 방출한다. 따라서 야간에도 간판을 식별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광 간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 이전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축광 간판은 축광부(30) 배면 상에 형성된 도광판(40) 및 도광판(40) 주변에 설치된 발광부재(50)를 더 포함한다.
도광판(light guide panel)(40)은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된 발광부재(50)로부터 공급받은 광을 도광판(40) 내부, 즉 축광부(30) 측으로 고르게 조사시킨다. 따라서 발광부재(50)로부터 방출된 광은 도광판(40) 내부를 진행함과 동시에 표지패널(10) 방향으로 입사되며, 그 일부는 축광판(30)에 흡수된다. 부가적으로, 도광판(40)의 배면 부근에는, 예컨데 "V"자 컷팅구조가 주기적으로 마련된 반사부(41)가 형성되어 표지패널(10) 방향으로의 광반사 효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발광부재(50)는 도광판(40)의 측면에 대응하여 길게 배치되는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 Fluorescent Lamp; CCFL) 또는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도광판(40)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미도시) 또는 도광판(40) 측면에 대응하여 길게 배치되는 스트립 형태의 전계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ce ;EL)(미도시)가 발광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축광 간판 역시 보호코팅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코팅부(60)는 도광판(50)의 배면에 배치되어 외부 스트레스로부터 도광판을 보호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축광 간판은 축광부(30)에 의해 주간에는 자연광을 축적하거나 또는 야간에는 발광부재(50)로부터 방출된 광을 축적한다. 그 후 발광부재(50)가 정전 또는 고장으로 인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축광부(30)는 축적시킨 광을 방출하여 표지패널(10)의 배면에 홈(11)으로 표현한 광고내용을 식별 하게 한다. 또한 축광부(30)는 발광부재(50)나 자연광이 있는 경우에도 조사된 광이 증폭 조명되는 효과를 발휘하여 간판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광 간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 이전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축광 간판은, 투명기판(10)의 배면에 접촉하여 축광부(30)가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도광판(40)이 배치되며, 도광판(40)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발광부재가 설치된다. 또한 도광판(40) 배면에 축광부(30)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축광 간판은 축광부(30)가 발광부재(50) 및 자연광으로부터 축적한 광을 표시패널(10)을 향하여 방출할 때 방출된 광이 모두 도광판(40)을 통하여 진행한 후 표시패널(10) 상에서 식별되므로 더욱 고르게 발광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광 간판을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4 및 도 5에서, 이전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축광 간판은 표시패널(10)에 식각된 홈(11)에 도료층(20) 대신 축광층(31)이 도포된다. 또한 표시패널(10)의 배면에는 도광판(40)이, 도광판(40) 주변에는 발광부재(50)가 설치된다.
여기서 축광층(31)의 구성 물질은 상기 축광부(3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 축광물질에 소정의 안료를 혼합하여 레드, 옐로우, 그린, 블루 등의 원하는 색상을 표현하여 장식성과 식별성을 더욱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광 간판은 축광층(31) 상에 도포된 보호코팅층(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코팅층(61)은 축광층(31)을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내구성을 유지시킨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축광 간판은 표시패널(10)의 배면에 불투명부(70)가 배치되며, 불투명부(70)의 배면에는 도광판(40)이 배치된다. 또한 도광판(40)의 주변에는 발광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불투명부(70)는 도광판(40)을 통과하여 홀(11)에 입사되는 광이 과도하게 밝게 되어 오히려 간판 내용을 식별하는 것이 난이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도광판(40)을 통과한 광을 한층 약화시켜 시각적으로 보다 부드러운 빛이 간판 상에 표현되도록 한다.
도 4 또는 도 5와 같은 구성을 갖는 축광 간판은 발광부재(50)에서 방출되어 도광판(40)을 통하여 홀(11)로 입사된다. 그러면, 축광층(31)은 홀(11)로 입사된 광을 축적한다. 그 후 발광부재(50)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축광층(31)은 축적한 광을 발광하고, 이로써 간판 내용을 표현하는 홀(11) 부분이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야간에도 발광부재(50) 없이 간판의 식별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축광층(31)은 발광부재(50)나 자연광이 있는 경우에도 조사된 광이 증폭 조명되는 효과를 발휘하여 간판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스트레스에 약한 축광층(31)이 간판 내부에 배치되어, 축광층(31)의 신뢰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축광 간판에 있어서 그 간판의 내용은 상업적인 내용이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비상구, 교통 표시판 등 다양한 간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광 간판은 조명기구가 고장나거나 정전이 되어 발광원이 없는 상태에서도 간판의 식별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발광원이 존재할 때는 전력소모가 큰 발광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판을 고휘도로 표현할 수 있다.
아울러, 축광성 물질을 외부의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여 그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보다 축광 간판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Claims (9)

  1. 배면에 소정의 문구 또는 도형을 표현하는 홈이 식각되어 있는 표지패널;
    상기 홈에 도포되어 소정의 색상을 나타내는 도료층; 및
    상기 표지패널의 배면에 형성된 축광부;를 포함하는 축광 간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부의 배면에 형성된 보호코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간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부의 배면에 형성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되는 발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간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형성된 보호코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간판.
  5. 배면에 소정의 문구 또는 도형을 표현하는 홈이 식각되어 있는 표지패널;
    상기 홈에 도포되어 소정의 색상을 표현하는 도료층;
    상기 표지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된 발광부재; 및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형성된 축광부;를 포함하는 축광 간판.
  6. 배면에 소정의 문구 또는 도형을 표현하는 홈이 식각되어 있는 표지패널;
    상기 홈에 형성된 축광층;
    상기 표지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되는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축광 간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층 상에 도포된 보호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간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패널의 배면과 상기 도광판 사이에 개재되는 불투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간판.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외부전극형광램프(EEFL), 냉음극형형광램프(CCFL), 발광다 이오드(LED) 또는 전계발광소자(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간판.
KR1020050000545A 2005-01-04 2005-01-04 축광 간판 KR100715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545A KR100715004B1 (ko) 2005-01-04 2005-01-04 축광 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545A KR100715004B1 (ko) 2005-01-04 2005-01-04 축광 간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275A true KR20060080275A (ko) 2006-07-10
KR100715004B1 KR100715004B1 (ko) 2007-05-09

Family

ID=3717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545A KR100715004B1 (ko) 2005-01-04 2005-01-04 축광 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0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298B1 (ko) * 2007-03-05 2008-09-25 야스히로 고바야시 축광 표시장치
KR100917669B1 (ko) * 2009-06-19 2009-09-18 (주)일산금속 축광 조명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9528B2 (en) 2015-02-13 2020-06-09 Ecoglo Holdings Na Inc. Hybrid illuminated indicator sig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367Y1 (ko) 1996-08-12 1999-06-15 박명수 축광식 유도표지판의 개량구조
KR200346375Y1 (ko) 2003-11-14 2004-03-30 (주)지스코 비상구 축광유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298B1 (ko) * 2007-03-05 2008-09-25 야스히로 고바야시 축광 표시장치
KR100917669B1 (ko) * 2009-06-19 2009-09-18 (주)일산금속 축광 조명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004B1 (ko)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1880C (en) Edge-lit panel with photo-luminescent features
US20100046198A1 (en) Flexible Backlit Display
AU2018309021B2 (en) Photoluminescent cover for indicator signs
KR20070012793A (ko) 비상정보 표지
KR101313039B1 (ko) 광변환시트를 이용한 조명식 표지판
KR20060096833A (ko) 후측광을 구비한 광고 간판
KR101039205B1 (ko) 광고용 led 간판
KR100715004B1 (ko) 축광 간판
KR100864734B1 (ko) 옥외 조명간판
KR102391807B1 (ko) 발광시트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지판
KR102265671B1 (ko) 이엘 시트를 이용한 발광형 도로 표지판
KR20190028252A (ko) 고효율, 고시인성을 갖는 led 면조명 교통신호등
KR20080080711A (ko) 광고판용 엘이디 조명장치
JP2000356950A (ja) 表示シートおよび表示装置
KR20050116764A (ko) 축광 유도등
KR200264961Y1 (ko) 형광 수지를 이용한 조명 간판
KR200346369Y1 (ko) 광고장치
EP3646312B1 (en) Photoluminescent cover for indicator signs
KR200144170Y1 (ko) 축광식 유도표지판
KR200252808Y1 (ko) 표시판
KR200454975Y1 (ko) 발광소자(led)를 이용한 표시등
KR102222554B1 (ko) 경관 조명 일체형 도로 안내 표지판
KR101125959B1 (ko) 가로등용 보조 조명기구의 제조공정 및 그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 보조 조명기구
KR200450549Y1 (ko) 저철분 유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10168Y1 (ko) 이엘보드를 이용한 광고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