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8463A -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8463A
KR20060078463A KR1020040118426A KR20040118426A KR20060078463A KR 20060078463 A KR20060078463 A KR 20060078463A KR 1020040118426 A KR1020040118426 A KR 1020040118426A KR 20040118426 A KR20040118426 A KR 20040118426A KR 20060078463 A KR20060078463 A KR 20060078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input device
information input
image acqui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298B1 (ko
Inventor
주성철
Original Assignee
(주)모비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비솔 filed Critical (주)모비솔
Priority to KR102004011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298B1/ko
Publication of KR20060078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휴대형 정보기기와 착용할 수 있는 컴퓨팅용 입력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초소형의 정보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는 손가락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을 조명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와 영상취득부 사이에 위치하고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영상취득부로 전달하는 광전달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빛을 입사받아 빛을 반사하며 손가락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이 위치하는 영상취득부, 상기 영상취득부에서 반사된 빛을 모아 영상을 결상하는 결상부; 상기 발광부, 광전달부, 영상취득부 및 결상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이를 내장하는 광학적 암실 환경을 제공하는 하우징부; 상기 결상부에 의해 결상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광부 및 상기 수광부의 출력에 의거하여 영상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로 구성된 초소형 광학 장치; 상기 초소형 광학 장치의 송수신을 담당하고 소정의 탄성재질로 형성된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안테나 및 상기 초소형 광학 장치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로 구성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는 휴대형 정보기기와 착용할 수 있는 컴퓨팅 및 홈 네트워킹 환경에 적용함으로써 초소형, 초박형, 저전력이 가능하고, 방습, 방진 및 내충격성을 지닌 입력 장치의 구현이 가능하여 고기능의 제어 장치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광학 장치, 입력 장치

Description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Wearable micro information input device}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정보 입력 장치에 사용되는 포인팅 장치를 나타내는 기본 구조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정보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정보 입력 장치가 실장된 제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광학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광학 장치를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스위치를 사용하여 핸드라이팅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초소형 광학 장치 110 : 안테나
120 : 통신 모듈 130 : 발광부
140 : 영상취득부 150 : 결상부
160 : 수광부 170 : 움직임 검출부
180 : 광전달부
본 발명은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휴대형 정보기기와 착용할 수 있는 컴퓨팅용 입력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초소형의 정보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노트북이나 개인 휴대 통신 단말기기와 같은 정보기기가 많이 보급되었다. 이러한 정보기기는 일반적으로 평면 디스플레이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된다. 사용자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기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정보기기의 입력 장치로 포인팅 장치를 사용한다.
정보기기의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포인팅 장치는 트랙 볼(Track ball), 마우스(Mouse),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터치 패드(Touch Pad)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정보 입력 장치에 사용되는 포인팅 장치를 나타내는 기본 구조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발광소자(Light-Emitting Diode, 이하 LED)(10)에서 발생한 빛은 물체의 면을 비추고 물체에서 반사된 빛은 결상렌즈(20)에 의하여 영상센서(30)에 결상되며 상기 영상센서(30)는 결상된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제어 및 연산부로 넘겨준다. 상기 제어 및 연산부는 물체의 움직임에 의하여 시간적으로 변화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물체의 움직임에 관한 방향 및 움직임의 양을 2차원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정보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정보 화면(40)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50)와 착용할 수 있는 센싱부(90)로 구성된다.
정보 입력 장치는 모니터(50)를 통해 소프트웨어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화면(40)을 통해 보여져 사용자가 정보 화면(40)을 보면서 원하는 키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정보 화면(40)은 가상 마우스(60), 가상 리모콘(70) 또는 가상 키보드(80)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다.
만약, 정보 화면(40)이 가상 키보드(80) 형태로 표현될 경우에 가상 키보드(80)는 사용자의 용도에 맞도록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어떠한 형태를 갖든지 가상 키보드(80)는 다수개의 키 그룹들로 이루어지고, 각 키 그룹은 다수개의 키들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키 그룹은 알파벳, 숫자 또는 각종 기호와 같은 캐릭터(Character)를 나타내는 키들만을 가질 수도 있고, 캐릭터를 나타내는 키들과 실행키, 스페이스 키와 같은 기능(Function)을 나타내는 키들을 모두 가질 수도 있다. 정보 입력 장치는 사용자 신체의 부위에 착용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신체의 부위들의 평면적이거나 공간적인 움직임들을 센싱하는 센싱부(90)를 구비하 였다.
도 3은 종래의 정보 입력 장치가 실장된 제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용한 정보 입력 장치가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두 개의 평판형 저항막을 근접하게 배치하여 끝이 뾰족한 볼펜 등의 도구로 누르면 이들 저항막이 서로 달라 붙어 저항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정보 입력 장치는 볼 마우스와 광 마우스의 경우에 그 동작 구조의 제한으로 소형 정보기기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터치 패드나 터치스크린 패널 등을 사용하였고, 노트북의 경우에는 외장형 마우스를 별도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터치 패드나 터치스크린 패널을 사용하는 정보기기는 해당 정보기기의 상부면 등에 비교적 넓은 면적을 할당해야 하고, 착용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에서 초소형의 회로를 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형 정보기기와 착용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에 적합하고, 방습, 방진 및 내충격성을 가진 초소형의 정보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손가락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을 조명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와 영상취득부 사이에 위치하고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영상취득부로 전달하는 광전달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빛을 입사받아 빛을 반사하며 손가락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이 위치하는 영상취득부, 상기 영상취득부에서 반사된 빛을 모아 영상을 결상하는 결상부; 상기 발광부, 광전달부, 영상취득부 및 결상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이를 내장하는 광학적 암실 환경을 제공하는 하우징부; 상기 결상부에 의해 결상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광부 및 상기 수광부의 출력에 의거하여 영상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로 구성된 초소형 광학 장치; 상기 초소형 광학 장치의 송수신을 담당하고 소정의 탄성재질로 형성된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안테나 및 상기 초소형 광학 장치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를 반지에 적용한 실시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입력 장치는 초소형 광학 장치(100), 안테나(110) 및 통신 모듈(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테나(110)는 형상의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재질로 구현하며,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icro Strip Line)과 같은 내장형 안테나를 사용하여 형상의 지지체와 일체로 형성하여 초소형 광학 장치(100)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상기 통신 모듈(120)은 초소형 광학 장치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LAN), 적외선 통신(IrDA), 울트라사운드(Ultrasound)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착용할 수 있는 컴퓨팅용 입력 장치에 적용할 수 있어 반지형, 손목띠형, 단추형 등 다양한 형태로 통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는 주전원을 초소형 초박형의 이차 전지로 사용하여 구현한다. 초소형 광학 장치(100)에 관한 설명은 도 5a 및 도 5b에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광학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초소형 광학 장치는 크게 발광부(130), 영상취득부(140), 결상부(150), 수광부(160), 움직임 검출부(170) 및 광전달부(180)로 구성된다.
발광부(130)는 빛을 발광하여 영상취득부(140)에 위치하는 손가락(300)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을 조명하는 수단으로 가시광선 LED 또는 적외선 LED로 구성한다. 영상취득부(140)는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을 위치시키는 곳으로 발광부(130)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입사받아 결상부(150)로 빛을 반사시킨다.
결상부(150)는 영상취득부(140)에 의해 반사된 빛을 모아서 영상을 결상하여 수광부(160)로 효율적으로 전달한다. 상기 결상부(150)는 비구면 렌즈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비구면 렌즈 주변의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기 위해 마스크 등과 같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상부(150)는 박형으로 설계되야 하기에 광학 입체각(Solid Angle)이 이미지 대비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유효 이미지 범위 주변의 조도를 중앙 부위보다 입체각이 낮아지는 만큼 높이는 발광부(130) 설계가 바람직하다. 결과로 얻어지는 조명의 편차를 50% 이내로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상부(150)는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을 대는 지름인 1mm ~ 4 mm의 유효면적과 정확하게 일치되어야 하고, 특히 수광부(160)의 영상센서와 정확히 일치시켜야 하며, 결상부(150)와 광전달부(180)는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형함이 바람직하다.
수광부(160)는 결상부(150)에 의해 결상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단으로 영상센서 어레이로 구성한다. 상기 영상센서 어레이는 15*15부터 150*150 정도의 픽셀로 구성하고, 영상센서는 CMOS 또는 CCD 센서를 사용한다. 상기 영상센서는 손가락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의 감지가 없을 경우 발광부를 꺼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각을 보호한다.
상기 발광부(130)와 수광부(160)를 PCB 기판에 초소형 일체형으로 장착하기 위해 웨이퍼 크기의 칩 스케일 패키지(Wafer Level Chip Scale Package) 방법을 사용한 플립 칩을 사용한다.
움직임 검출부(170)는 수광부(160)의 출력에 의거하여 움직임 데이터를 생성하여 손가락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수단이다.
광전달부(180)는 발광부(130)와 영상취득부(140) 사이에 삽입하여 상기 발광 부(130)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영상취득부(140)로 보다 잘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상세한 설명은 도 5b에서 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의 광원(190)으로부터 빛을 모아 손가락(300)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로부터 유효한 대비(Contrast)를 가진 영상을 확보하기 위해 광전달부의 평행광 프리즘렌즈(200)에서 평행광으로 만들면, 광전달부의 반사판(220)에서 상기 평행광을 입사받아 영상취득부(210)로 빛을 전반사한다.
상기 평행광 프리즘렌즈(200)에서의 평행광은 입사각을 일정 범위 이내로 조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상기 입사각은 20도 내지 45도로 조정함으로써 광효율을 높이고 유효한 대비를 가진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평행광 프리즘렌즈(200)는 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리즘과 1개 이상의 렌즈를 이용하여 설계한다. 상기 프리즘은 소형화를 위해 렌즈기능을 추가한 프리즘 렌즈로 구현함으로써 소형화는 물론 조명광학계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반사된 빛을 결상부의 결상렌즈(240)에서 반사된 빛을 모으고 마스크(230)에서 잡광을 제거하고, 수광부로 전달한다. 상기 결상렌즈(240)와 마스크(230)는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하고, 하우징부(250)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다.
영상취득부(210)의 주변에 위치하는 터치센서(260)는 손가락(300)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이 접촉한 경우에만 영상취득부(210)에 손가락(300)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이 닿은 동작 상태로 판단한다. 상기 결상부의 하단에 위치한 수광부의 영상센서(270)는 PCB(28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영상센서(270)를 보호하 기 위해 영상센서 보호커버(290)가 하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영상센서(270)는 발광부의 광량 획득기간만 발광부가 켜지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광학 장치는 상단 외부의 긁힘이나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해 강화 코팅하거나 필름을 부착하여 사출하는 인몰드 방식으로 제작함으로써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광학 장치는 영상센서(270)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PCB(280) 상단의 구조물(이하, '광가이드'라 칭함)이 하우징부(250)와 일체형 구조로 연결되어 있고, 그 구조의 상단이 하단을 보호하는 형태이다. 상기 광가이드 및 하우징부(250)는 투명한 플라스틱인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부(250)는 발광부, 광전달부, 영상취득부 및 결상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이를 내장하는 광학적 암실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초소형 광학 장치는 손가락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의 움직임을 핸드라이팅(Handwriting) 입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을 땔 경우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이를 감지하고 획간 구분으로 사용하여 인식 절차를 간편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초소형 광학 장치에 초소형 스위치를 내장하여 선택기능을 구현하고, 핸드라이팅(Handwriting)시 획 구분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광학 장치는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 표면을 통해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체형으로 방수, 방습, 내충격 구조는 물론 긁힘 방지 (Anti-Scratch) 코팅한다.
상기 초소형 광학 장치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휴대형 정보기기와 반지형, 손목띠형, 단추형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장치로 제작하여 착용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광학 장치를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반지형 입력 장치로 사용시 핸드라이팅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문자 입력이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 문자 입력은 광학 장치(400)에 손가락(300)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을 접촉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ㄱ'이라는 글자를 상기 반지형 입력 장치(400) 상에 손가락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을 올려놓고 'ㄱ'을 만든다. 상기 문자 입력시 손가락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의 움직임 경로는 터치센서의 출력을 누적으로 한다. 상기 터치센서는 핸드라이팅 입력의 획 구분을 할 수 있다.
도 6b는 헤드 마운트(Head Mount)(410)로 사용시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410)를 착용한 후, 반지형 입력 장치(420)로 헤드 마운트 장치(410)에 나타나는 가상 키보드(Virtual Keyboard)(430) 상에 보이는 커서(Cursor)로 해당 키를 선택하여 정보를 입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스위치를 사용하여 핸드라이팅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ㅠ"이라는 글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 먼저, 'ㅡ'를 만든다. 이후, 'ㅣ'와 'ㅣ'를 순차적으로 입력한 후, 초소형 스위치를 누르면 "ㅠ"자가 입력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는 휴대형 정보기기와 착용할 수 있는 컴퓨팅 및 홈 네트워킹 환경에 적용함으로써 초소형, 초박형, 저전력이 가능하고, 방습, 방진 및 내충격성을 지닌 입력 장치의 구현이 가능하여 고기능의 제어 장치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에 있어서,
    손가락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을 조명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와 영상취득부 사이에 위치하고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영상취득부로 전달하는 광전달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빛을 입사받아 빛을 반사하며 손가락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이 위치하는 영상취득부, 상기 영상취득부에서 반사된 빛을 모아 영상을 결상하는 결상부; 상기 발광부, 광전달부, 영상취득부 및 결상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이를 내장하는 광학적 암실 환경을 제공하는 하우징부; 상기 결상부에 의해 결상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광부 및 상기 수광부의 출력에 의거하여 영상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로 구성된 초소형 광학 장치;
    상기 초소형 광학 장치의 송수신을 담당하고 소정의 탄성재질로 형성된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안테나; 및
    상기 초소형 광학 장치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광학 장치는 외부의 긁힘이나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 또는 필름을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의 통신은 RF, 블루투스, 무선랜, 적외선 통신 또는 울트라사운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광학 장치의 광전달부는 빛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평행광 프리즘렌즈와 상기 평행광을 입사받아 영상취득부로 빛을 전반사하는 반사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광 프리즘렌즈는 프리즘과 1개 이상의 렌즈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광학적 렌즈 기능을 갖는 곡면형 프리즘렌즈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광학 장치의 영상취득부는 손가락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 접촉 여부로 광학 장치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터치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는 핸드라이팅 입력의 획 구분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광학 장치에 선택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초소형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스위치는 핸드라이팅 입력의 획 구분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광학 장치의 결상부는 영상취득부에서 반사된 빛을 모으는 결상렌즈와 상기 결상렌즈 주변의 잡광을 차단하는 마스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광학 장치의 수광부는 PCB 기판과 결합된 영상센서와 상기 영상센서를 보호하는 영상센서 보호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를 PCB 기판에 초소형 일체형으로 장착하기 위해 웨이 퍼 크기의 칩 스케일 패키지 방법을 사용한 플립 칩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정보입력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센서는 발광부의 광량 획득기간만 발광부가 켜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센서는 손가락 또는 의복 등의 손가락 대체물의 감지가 없을 경우 발광부를 꺼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각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광학 장치의 결상부와 광전달부는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광전달부, 영상취득부, 결상부 및 하우징부는 플라스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장치는 이차 전지를 주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KR1020040118426A 2004-12-31 2004-12-31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KR100690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8426A KR100690298B1 (ko) 2004-12-31 2004-12-31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8426A KR100690298B1 (ko) 2004-12-31 2004-12-31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463A true KR20060078463A (ko) 2006-07-05
KR100690298B1 KR100690298B1 (ko) 2007-03-09

Family

ID=3717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8426A KR100690298B1 (ko) 2004-12-31 2004-12-31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2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363B1 (ko) * 2006-09-18 2007-03-26 홍성찬 터치 스크린 터치 기구
US10285039B2 (en) 2013-06-17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wearabl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322B1 (ko) * 2009-07-27 2013-01-1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접촉 및 비접촉식 차량용 룸램프 스위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674Y1 (ko) 2000-11-23 2001-05-15 성성진 컴퓨터 입력장치
JP2004199145A (ja) 2002-12-16 2004-07-15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KR100465969B1 (ko) * 2003-04-11 2005-01-13 (주)모비솔 손가락 표면을 이용한 소형 포인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363B1 (ko) * 2006-09-18 2007-03-26 홍성찬 터치 스크린 터치 기구
US10285039B2 (en) 2013-06-17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wearable device
US10652724B2 (en) 2013-06-17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wear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298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75618A1 (en) Pointing device
US20190146595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KR100590528B1 (ko) 착용형 손가락 움직임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가락의움직임 감지방법
KR101163055B1 (ko) 첨필 및 터치 입력 시스템
US20070146318A1 (en) Pointing device with an integrated optical structure
US8106885B2 (en) Input mechanism for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20060092145A1 (en) Pen type optical pointing device
KR101232596B1 (ko) 적층형 구조 포인팅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100616744B1 (ko)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
KR100749698B1 (ko) 렌즈 일체형 조명계 구조를 이용한 광 포인팅 장치 및 개인 휴대 단말기
KR100690298B1 (ko) 착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 입력 장치
KR100864289B1 (ko) 광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167061B1 (ko) 광 조이스틱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100650623B1 (ko) 스위치 기능을 갖는 광학식 포인팅 장치
KR100734246B1 (ko) 반사거울을 이용한 광학식 포인팅 장치
EP1614022A1 (en) Pointing device
KR100788499B1 (ko) 광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092855B1 (ko) 광 조이스틱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200366964Y1 (ko) 외부기기 제어용 포인팅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337972B1 (ko) 일체형 모션 감지 스위치
KR200366963Y1 (ko) 광학식 포인팅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92857B1 (ko) 초슬림 광조이스틱
US20070075964A1 (en) Mobile pointing device
KR101089065B1 (ko) 초 슬림 광 조이스틱
KR101337973B1 (ko) 모션 감지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