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8307A - 반사되는 무선 신호 레벨 측정을 통해 기지국으로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반사되는 무선 신호 레벨 측정을 통해 기지국으로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8307A
KR20060078307A KR1020040117903A KR20040117903A KR20060078307A KR 20060078307 A KR20060078307 A KR 20060078307A KR 1020040117903 A KR1020040117903 A KR 1020040117903A KR 20040117903 A KR20040117903 A KR 20040117903A KR 20060078307 A KR20060078307 A KR 20060078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irectional coupler
transmission power
por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117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8307A/ko
Publication of KR20060078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반사파 레벨 측정을 통해 기지국으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안테나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전력을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이득제어신호에 따라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와, 상기 전력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신호를 분기시키는 방향성 결합기와, 상기 방향성 결합기에 의해 분기된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듀플렉서와, 상기 방향성 결합기의 제1 포트로부터 입력되는 방향성 결합기에 의해 분기된 또 하나의 무선 신호 전력을 검출하는 제1 송신전력 검출기와, 상기 방향성 결합기의 제2 포트로부터 상기 듀플렉서단에서 반사되어 입력되는 무선 신호 전력을 검출하는 제2 송신전력 검출기와, 상기 제1, 제2 송신전력 검출기를 통해 획득된 송신전력의 세기에 따라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력 증폭부로 출력하는 송신전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송신전력, 이득제어, 방향성 결합기

Description

반사되는 무선 신호 레벨 측정을 통해 기지국으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 transmitting power by means of measuring power level of reflected wave}
도 1 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는 도1 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방향성 결합기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반사파 레벨 측정을 통해 기지국으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사업자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무선 통신을 위해 기지국과 이동전화 교환기 등을 포함하는 무선망 시스템이 설치 운용하고 있다. 여기서, 무선망 시스템은 제한된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넓은 지역에 분포된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유선전화에 견줄만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셀이라 불리는 작은 지역을 각각의 기지국이 담당하도록 구현된다. 기지국은 기지국이 관리하고 있는 셀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서비스 호 관리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채널할당, 재할당, 핸드오프(Handoff) 처리를 위한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신호 감도 감시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전화 교환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리와 호출, 위치추적,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특성에 따른 핸드오프(Handoff)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핸드오프(Handoff)는 이동전화 교환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동일 기지국의 다른 채널이나 다른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과정이다. 이동전화 교환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신호의 강도가 한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핸드오프(Handoff)를 수행한다.
이에 이동통신 사업자 측에서는 이동전화 교환기의 빈번한 핸드오프(Handoff) 수행으로 인한 과부하를 줄이고,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감도의 변화로 인한 통화품질의 저하를 방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출력 전력을 주변 무선 신호 공간(Air Feild)의 특성에 따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조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무선 신호 공간(Air Feild)의 특성 에 따라 무선 신호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방식은, 안테나 스위치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의 출력경로를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측정장비로 맞추고 상기 측정장비와 안테나간의 임피던스가 정합되도록 인위적으로 셋팅한 후 수신 전력의 감도에 따라 출력 신호의 전력 크기를 조정하여 얻은 실험적인 조정값을 사용하는 방식이었다.
이하, 도 1, 2 를 참조하여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무선 신호 공간(Air Feild)의 특성에 따라 무선 신호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방식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 는 도1 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방향성 결합기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크게 RF신호 발생부(310), 전력 증폭부(320), 방향성 결합기(330), 듀플렉서(340), 송신전력 검출기(350), RF신호 수신부(360) 및 송신 전력 제어부(210)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RF신호 발생부(31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 전력 제어부(210)로부터 인가되는 이득제어신호에 따라 입력 송신신호의 이득을 조절하고, 그 이득 조절된 중간주파수(IF) 형태의 송신신호를 RF신호로 천이시켜 출력한다. 이러한 RF신호 발생부(310)는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신호의 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자동이득제어 증폭기와, 상기 자동이득제어 증폭기의 출력과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F형태의 상기 송신신호를 RF신호로 주파수 업시키는 믹서(mixer)를 포함한다.
전력 증폭부(320)는 상기 RF신호 발생부(310)에서 출력되는 RF 신호의 전력 을 송신 전력 제어부(210)에서 입력되는 이득제어신호 따라 레벨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레벨 증폭된 RF신호는 후단의 방향성 결합기(Directional Coupler)(330)에 의해 분기된다. 즉, 방향성 결합기(330)는 전력 증폭부(320)의 출력을 분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방향성 결합기(330)의 기본원리를 도 2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방향성 결합기(330)의 ①번 포트는 입력(input) 포트, ②번 포트는 출력(through) 포트, ③번 포트는 커플링(coupling)포트, ④번 포트는 격리(isolation) 포트로 명명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방향성 결합기(330)의 ①번 포트로 입력되는 RF신호는 ②번 포트를 통해 듀플렉서(34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①번 포트에서 ②번 포트로 전달되는 전력을 삽입손실(Insertion Loss)로 표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삽입손실은 적을수록 좋지만 커플링되는 양이 크면 삽입손실은 그 만큼 늘어날 수 밖에 없다.
한편 상기 방향성 결합기(330)의 결합도(Coupling:C)는 ①번 포트에서 ③번 포트로 전달되는 전력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①번 포트로 입력된 RF신호는 ③번 포트를 통해 송신전력 검출기(350)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방향성 결합기(330)에서 ①번 포트와 ④번 포트(P4)간의 전력차는 격리도(Isolation:I)로 불리운다. 이러한 격리도는 양이 적을수록 좋다. 상기 격리도(I)에 대비한 커플링 레벨의 비율을 방향성(Directivity:D)이라 칭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방향성은 ③번 포트와 ④번 포트간의 전력차를 나타내기도 한다. 커플링 레벨에 비해 격리도가 낮아야 좋은 품질의 방향성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방향성 결합기(330)를 사용하게 되면 듀플렉서(340)와 송신전력 검출기(350)가 분리되어 있는 효과를 얻게 되므로, 안테나 혹은 듀플렉서(340)의 부정합에 의해 반사되는 송신전력(power)이 송신전력 검출기(350)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1를 참조하면, 듀플렉서(340)는 상기 방향성 결합기(330)에 의해 분기된 RF 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수신경로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송신전력 검출기(350)는 상기 방향성 결합기(330)에 의해 분기된 또 하나의 RF 신호 전력을 검출하여 그에 따른 송신전력 세기를 전압의 형태로 송신 전력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RF신호 수신부(360)는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되는 RF신호를 수신하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으로 구현된다.
송신 전력 제어부(210)는 기본적으로 상기 RF신호 수신부(360)루부터 입력되는 전력 제어 데이터(Power Control Bit)에 따라 RF신호의 송신전력(dBm)값을 산출하고, 이후 그 RF신호의 송신전력에 상응하는 이득제어신호를 상기 RF신호 발생부(310)와 전력 증폭부(320)로 출력해 줌으로서, RF신호 발생부(310)내의 자동이득제어 증폭기와 전력 증폭부(320)의 이득을 송신전력에 상응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송신 전력 제어부(210)는 상기 송신전력 검출기(350)를 통해 얻어진 송신전력의 세기에 따라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제어신호를 추가 발생하여 출력함으로서 송신전력을 미세하게 조정한다.
이러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방향성 결합기에 의해서 듀플렉서단과 송신전력 검출기가 격리되기 때문에 듀플렉서나 안테나단의 부정합에 의해 송신전력 검출기로 피드백되는 전력의 영향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어, 안테나단의 임피던스 변화에 무관하게 단말기 생산과정에서 수신 전력의 감도에 따라 출력 신호의 전력 크기를 조정시와 유사한 임피던스 환경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무선 신호 공간(Air Feild)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전력은 듀플렉서단 또는 안테나단에서의 임피던스 변화에 의해 심하게 변동될 수 있다. 예컨대, 실제 무선 신호 공간(Air Feild)에 단말기의 위치, 안테나의 인체 접촉 여부 등 다양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형태에 의해 안테나단에서 임피던스 부정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은 듀플렉서단 또는 안테나단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를 단지 송신전력 검출기에 이르지 못하게 할뿐 실제 방사되는 전력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가 실제 무선 신호 공간(Air Feild)의 무선 전계가 약전계인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 제어 데이터(Power Control Bit)에 따른 송신전력 증가요구를 단말기에서 수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듀플렉서단 또는 안테나단에서의 임피던스 변화에 의해 실제 안테나에서의 송신전력이 작은데도 전력 증폭부로부터의 송신전력만을 모니터링하여 설정된 최대출력제한치에 도달했다라고 판단되면 더이상 송신전력을 높이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이동전화 교환기는 필요없는 핸드오프(Handoff) 동 작을 더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반사파 레벨 측정을 통해 기지국으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안테나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전력을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이득제어신호에 따라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와, 상기 전력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신호를 분기시키는 방향성 결합기와, 상기 방향성 결합기에 의해 분기된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듀플렉서와, 상기 방향성 결합기의 제1 포트로부터 입력되는 방향성 결합기에 의해 분기된 또 하나의 무선 신호 전력을 검출하는 제1 송신전력 검출기와, 상기 방향성 결합기의 제2 포트로부터 상기 듀플렉서단에서 반사되어 입력되는 무선 신호 전력을 검출하는 제2 송신전력 검출기와, 상기 제1, 제2 송신전력 검출기를 통해 획득된 송신전력의 세기에 따라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력 증폭부로 출력하는 송신전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반사파 레벨 측정을 통해 기지국으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출력 전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안테나에서 기지국으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송신전력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 동전화 교환기는 필요없는 핸드오프(Handoff) 동작 횟수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크게 RF신호 발생부(10), 전력 증폭부(11), 방향성 결합기(13), 듀플렉서(15), 송신전력 검출부(30), RF신호 수신부(40) 및 송신 전력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RF신호 발생부(1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신호의 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자동이득제어 증폭기와, 상기 자동이득제어 증폭기의 출력과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F형태의 상기 송신신호를 RF신호로 주파수 업시키는 믹서(mixer)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증폭부(11)는 상기 RF신호 발생부(10)에서 출력되는 RF 신호의 전력을 송신 전력 제어부(210)에서 입력되는 이득제어신호 따라 레벨 증폭하여 출력한다.
방향성 결합기(13)는 전력 증폭부(320)에서 레벨 증폭된 RF 신호 출력을 분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입력(input), 출력(through), 커플링(coupling) 및 격리(isolation) 포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방향성 결합기(13)는 입력(input)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RF 신호를 상기 출력(through) 포트와 커플링(coupling) 포트로 분기 출력하고, 상기 출력(through) 포트를 통해 듀플렉서단 또는 안테나단에서 반사되어 입력되는 RF 신호를 상기 격리(isolation) 포트로 출력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종래에 사용하지 않던 방향성 결합기의 격리(isolation) 포트를 이용하여 듀플렉서단 또는 안테나단으로부터의 반사파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듀플렉서(15)는 상기 방향성 결합기(13)에 의해 분기된 RF 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수신경로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송신전력 검출부(30)는 상기 방향성 결합기(13)에 의해 분기된 RF 신호 전력을 검출하여 그에 따른 송신전력 세기를 전압의 형태로 송신 전력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검출부(30)는 상기 방향성 결합기(13)의 커플링(coupling) 포트로부터 입력되는 방향성 결합기(13)에 의해 분기된 RF신호 전력을 검출하는 제1 송신전력 검출기(31)와, 상기 방향성 결합기(13)의 격리(isolation) 포트로부터 상기 듀플렉서단 또는 안테나단에서 반사되어 입력되는 RF신호 전력을 검출하는 제2 송신전력 검출기(32)를 포함한다.
RF신호 수신부(40)는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되는 RF신호를 수신하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으로 구현된다. 상기 RF신호 수신부(40)는 기지국으로부터 채널할당, 재할당, 단말기에서 기지국쪽으로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Power Control Bit)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송신 전력 제어부(110)는 기본적으로 상기 RF신호 수신부(360)루부터 입력되는 전력 제어 데이터(Power Control Bit)에 따라 RF신호의 송신전력(dBm)값을 산출하고, 이후 그 RF신호의 송신전력에 상응하는 이득제어신호를 상기 RF신호 발생부 (10)와 전력 증폭부(11)로 출력해 줌으로서, RF신호 발생부(10)내의 자동이득제어 증폭기와 전력 증폭부(11)의 이득을 송신전력에 상응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송신 전력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제2 송신전력 검출기(31,32)를 통해 획득된 송신전력의 세기에 따라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제어신호를 추가 발생하여 상기 전력 증폭부(11)로 출력함으로서 송신전력을 미세하게 조정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실제 무선 신호 공간(Air Feild)에 단말기의 위치, 안테나의 인체 접촉 여부 등 다양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형태에 의해 안테나단에서 임피던스 부정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송신 전력 제어부(110)는 송신전력 검출부(30)에서 안테나단에서 발생되는 반사파 레벨을 모니터링하여 실제 무선 신호 공간(Air Feild)으로 방사되는 RF신호의 송신전력의 저하를 보상해 줄수 있는 것이다.
이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 전력 제어부(110)는 기존의 전력 증폭부(11)의 출력만을 모니터링할 때의 데이터와 반사파의 크기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사용되도록 구현된다. 즉, 기존의 전력 증폭부(11)의 출력만을 모니터링할 때의 데이터는 현재와 같이 각종 이동통신 단말기 규격상의 각종 유선성능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반사파의 크기에 대한 데이터는 실제 방사되는 무선신호의 송신전력 레벨을 모니터링하여 방사출력이 임피던스 부정합에 의해 감소하는 경우 이를 보상해 주기 위해 사용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도 2 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 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두개의 방향성 결합기, 즉 전력 증폭부(11)로부터 출력되는 RF신호를 분기시키는 제1 방향성 결합기(13)와, 상기 제1 방향성 결합기(13)에 의해 분기되어 입력되는 무선 신호를 분기시키는 제2 방향성 결합기(14)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송신전력 검출기(31)는 상기 제1 방향성 결합기(13)의 커플링(coupling) 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제1 방향성 결합기(13)에 의해 분기된 RF신호 전력을 검출한다. 또한, 제2 송신전력 검출기(32)는 상기 제2 방향성 결합기(14)의 커플링(coupling) 포트로부터 상기 듀플렉서단 또는 안테나단에서 반사되어 입력되는 RF신호 전력을 검출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부(110)의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송신 전력 제어부(11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Power Control Bit)에 따라 RF 신호의 송신전력(dBm)값을 산출한다. 이때 RF신호의 송신전력(dBm)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거리에 비례하며,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거리가 가까우면 낮은 송신전력이,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높은 송신전력이 필요하게 된다.
수신레벨에 따라 송신전력 세기가 산출되면 송신 전력 제어부(110)는 산출된 송신전력을 얻기 위한 이득제어신호를 생성하여 RF신호 발생부(10)와 전력 증폭기(11)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RF신호 발생부(10)에서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부(110)로부터 인가되는 이득제어신호에 따라 입력 송신신호의 이득이 조절되고, 그 이득 조절된 송신신호는 RF신호로 천이되어 전력증폭기(11)로 인가되게 되는 것이다. 그 리고 전력 증폭기(11)에서는 상기 RF신호 발생부(10)에서 발생된 RF 송신신호가 상기 송신 전력 제어부(110)로부터 인가되는 이득제어신호에 의해 레벨 증폭 출력되고, 레벨 증폭된 RF신호는 방향성 결합기(13)를 통해 듀플렉서(15)와 송신전력 검출부(30)로 각각 인가된다.
듀플렉서(15)는 방향성 결합기(13)를 통해 인가된 RF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출하고, 제1송신전력 검출기(31)는 상기 방향성 결합기(13)에 의해 분기된 또 하나의 RF 신호 전력을 검출하여 그에 따른 송신전력 세기를 송신 전력 제어부(110)로 전송하여 준다. 따라서 송신 전력 제어부(110)는 RF신호의 송신(TX) 경로상에 위치하는 회로소자들에 의해 발생되는 송신전력의 손실분을 보상하기 위한 이득제어신호를 다시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서, 최적의 송신전력으로 RF신호가 송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안테나 혹은 듀플렉서단에서 부정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부정합에 의해 송신전력의 일부가 반사될 수 있다. 제2송신전력 검출기(32)는 방향성 결합기(13)의 격리(isolation) 포트로부터 상기 듀플렉서단 또는 안테나단에서 반사되어 입력되는 RF신호 전력을 검출하여 그에 따른 송신전력 세기를 송신 전력 제어부(110)로 전송하여 준다. 따라서 송신 전력 제어부(110)는 반사파 레벨에 따른 송신전력의 손실분을 보상하기 위한 이득제어신호를 다시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서, 최적의 송신전력으로 RF신호가 송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다 정확하게 RF신호의 송신전력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안테나 반사파 레벨 측정을 통해 기지국으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출력 전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안테나에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송신전력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반사파 레벨 측정을 통해 기지국으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
    안테나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전력을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이득제어신호에 따라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와;
    상기 전력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신호를 분기시키는 방향성 결합기와;
    상기 방향성 결합기에 의해 분기된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듀플렉서와;
    상기 방향성 결합기의 제1 포트로부터 입력되는 방향성 결합기에 의해 분기된 또 하나의 무선 신호 전력을 검출하는 제1 송신전력 검출기와;
    상기 방향성 결합기의 제2 포트로부터 상기 듀플렉서단 또는 안테나단에서 반사되어 입력되는 무선 신호 전력을 검출하는 제2 송신전력 검출기와;
    상기 제1, 제2 송신전력 검출기를 통해 획득된 송신전력의 세기에 따라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력 증폭부로 출력하는 송신전력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결합기는 입력(input), 출력(through), 커플링(coupling) 및 격리(isolation) 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방향성 결합기의 제1 포트는 커플링(coupling) 포트이고, 상기 방향성 결합기의 제2 포트는 격리(isolation)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3. 안테나 반사파 레벨 측정을 통해 기지국으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
    안테나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전력을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이득제어신호에 따라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와;
    상기 전력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신호를 분기시키는 제1 방향성 결합기와;
    상기 제1 방향성 결합기에 의해 분기되어 입력되는 무선 신호를 분기시키는 제2 방향성 결합기와;
    상기 제2 방향성 결합기에 의해 분기된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듀플렉서와;
    상기 제1 방향성 결합기의 제1 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제1 방향성 결합기에 의해 분기된 또 하나의 무선 신호 전력을 검출하는 제1 송신전력 검출기와;
    상기 제2 방향성 결합기의 제1 포트로부터 상기 듀플렉서단 또는 안테나단에서 반사되어 입력되는 무선 신호 전력을 검출하는 제2 송신전력 검출기와;
    상기 제1, 제2 송신전력 검출기를 통해 획득된 송신전력의 세기에 따라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력 증폭부로 출력하는 송신 전력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방향성 결합기는 입력(input), 출력(through), 커플링(coupling) 및 격리(isolation) 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방향성 결합기의 제1 포트가 커플링 포트(Coupling por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117903A 2004-12-31 2004-12-31 반사되는 무선 신호 레벨 측정을 통해 기지국으로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78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903A KR20060078307A (ko) 2004-12-31 2004-12-31 반사되는 무선 신호 레벨 측정을 통해 기지국으로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903A KR20060078307A (ko) 2004-12-31 2004-12-31 반사되는 무선 신호 레벨 측정을 통해 기지국으로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307A true KR20060078307A (ko) 2006-07-05

Family

ID=3717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903A KR20060078307A (ko) 2004-12-31 2004-12-31 반사되는 무선 신호 레벨 측정을 통해 기지국으로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83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38829A (zh) * 2010-07-21 2012-02-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天线状态的确定方法、以及终端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38829A (zh) * 2010-07-21 2012-02-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天线状态的确定方法、以及终端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4352B1 (en) High accuracy receiver forward and reflected path test injection circuit
KR100218152B1 (ko) 기지국 안테나의 전압정재파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US10455510B2 (en) Interface device providing power management and load termination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EP1336258B1 (en) Automatic gain setting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KR100378613B1 (ko) 안테나및피더케이블테스팅장치및방법
KR100267846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정재파비측정방법
KR20010078705A (ko) 수신기 이득의 계측 및 안테나 임피던스 매칭의 측정을위한 통합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674164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return loss of an antenna
CN112118055B (zh) 一种驻波检测装置及通信设备
JPH11136159A (ja) 移動通信機器とその送信出力制御回路
US7054602B2 (en) Calibrat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7327984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receive sensitivity of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receive-only path
KR20060078307A (ko) 반사되는 무선 신호 레벨 측정을 통해 기지국으로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377935B1 (ko) 무선 기지국의 인접채널파워 모니터링 시스템
KR100563321B1 (ko) 신호발생기와 신호분석기를 가지는 무선망 관리장치 및그를 이용한 기능 측정방법
KR100715333B1 (ko)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장치 및 방법
JP7448508B2 (ja) 信号処理装置、RoF送受信機、光ファイバ無線システム、及び信号処理方法
EP1442496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mbining electric signals
KR20060014815A (ko) 송신 전력 세기에 따른 매칭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CN113533865A (zh) 一种有源相控阵天线远场测试系统
KR2006007194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KR20020035670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출력 및 수신 감도 측정 방법
KR2004001917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장치
KR20000001670A (ko) 이동 통신 기지국의 유지보수 진단 장치
KR20030051954A (ko) 기지국 cdma 송신 출력 감지 향상을 위한 검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