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7451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plication prevent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plication prevent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7451A
KR20060077451A KR1020040116309A KR20040116309A KR20060077451A KR 20060077451 A KR20060077451 A KR 20060077451A KR 1020040116309 A KR1020040116309 A KR 1020040116309A KR 20040116309 A KR20040116309 A KR 20040116309A KR 20060077451 A KR20060077451 A KR 20060077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base station
terminal
record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3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운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6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7451A/en
Priority to CNA2005100929112A priority patent/CN1798391A/en
Publication of KR20060077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4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04W36/008375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based on historical dat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통화기능이 설정될 경우 기지국시스템부로부터 호를 할당받아 호신호를 처리하고 그 처리된 통화기록을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제1 통화기능 실행단계와, 상기 제1 통화기능 실행단계후에 현재 단말기에 또다른 제2의 통화기능이 설정되었을 경우 기지국시스템부로부터 호를 할당받아 호신호를 처리하고 그 처리된 통화기록을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제2 통화기능 실행단계와, 상기 제2 통화기능 실행단계후에 제2 통화 직전에 수행한 제1 통화에 대한 기록과 그에 대응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은 제2 통화에 대한 기록을 디스플레이상에 표시시키는 복제판별정보 표시단계로 이루어진 복제방지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When the call function is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call from a base station system unit, processes a call signal, and stores the processed call record in a memory; and executing the first call function. Executing a second call function to receive a call from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process a call signal, and store the processed call record in a memory if another second call function is set in the current terminal after the step; After the call function execution step has a copy protection function consisting of a copy discrimination information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record of the first call made immediately before the second call and a record of the second cal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hereto on the display. Provided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단말기와 기지국이 현재 실행한 통화기록을 각기 별개로 동시에 저장한 다음 신규 콜 요청시 기지국이 이전 통화기록을 단말기로 전송하고 단말기에서 이들 통화기록를 서로 비교하여 복제여부를 판별하도록 외부로 표시하므로써, 그에 따라 단말기의 보안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call records currently executed by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separately at the same time, and when the new call is requested,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previous call records to the terminal and compares these call records with each other to determine whether to replicate or not. By displaying externally, the security of the terminal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accordingly.

통화기록, 제1 통화, 제2 통화, 기지국시스템부, 복제Call record, first call, second call, base station system unit, replication

Description

복제방지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plication prevent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opy protec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plication prevent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도 1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를 설명하는 설명도.1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반복 모닝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설명하는 설명도.2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repetitive morning cal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3 is a flow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반복 모닝콜기능에 의해 구현되는 모닝콜의 설정화면을 설명하는 설명도.4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setting screen of a morning call implemented by a repetitive morning cal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Codes>

1 : 이동통신단말기 2 : LCD패널부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 LCD panel

3 : MSM부 4 : 메모리부3: MSM 4: Memory

5 : 송수화기 6 : 코덱부5: handset 6: codec unit

7 : 키패널부 8 : 기지국시스템부7: Key panel unit 8: Base station system unit

9 : 단말기9: terminal

본 발명은 복제방지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와 기지국이 현재 실행한 통화기록을 각기 별개로 동시에 저장한 다음 신규 콜 요청시 기지국이 이전 통화기록을 단말기로 전송하고 단말기에서 이들 통화기록를 서로 비교하여 복제여부를 판별하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복제방지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것이다.ㅇ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opy protection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particular, the mobil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store the current call records separately and simultaneously, and when the new call is requested, the base station transfers the previous call records to th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opy protection function which transmits and compares these call records with each other and displays the copy externally to determine whether the call is duplicated.

일반적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은 이동중인 사람이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 숫자, 영상 등 각종 데이터를 기지국 시스템을 통해 무선으로 주고받는 통신기능을 말한다. 예컨대, 셀룰러폰, 휴대용 컴퓨터, 팩시밀리, 신용카드 조회기 등 각종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중에 양방향으로 자료를 교환하거나 검색하는 이동 통신체계이다. 이러한 이동통신체계중 특히 휴대폰은 1980년대 초에 북미지역에서 서비스 대상지역을 수 km ~ 수 10 km 직경의 육각형 셀로 분할한 후 , 지리적으로 떨어진 셀에서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가입자의 이동에 따라 셀간에서 무선채널 절체 기능을 구현한 셀룰러폰(cellular-phone)이 최초로 상용화하므로써 급성장하게 되었다. In general, wireless data communication refers to a communication function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such as letters, numbers, and images through a base station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example, it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exchanges or retrieves data in both directions while moving by using various terminals such as a cellular phone, a portable computer, a facsimile, and a credit card inquiry machine. Especially in the early 1980s, mobile phones divided the service area into hexagonal cells of several km to several ten kilometers in diameter in North America, and then repeatedly used the same frequency channel in geographically separated cells. As a result, cellular phones that implement radio channel switching between cells have grown rapidly for the first time.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이동통신시스템을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다수의 단말기(70)로부터 전송된 기능신호 예컨대, 호신호나 SMS 메시지등을 무선으로 처리하는 기지국(71,72)과, 상기 기지국(71,72)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호신호나 SMS메시지의 전송기능을 제어하는 MSC(7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 (71,72)은 자신의 셀내에 있는 단말기(70)의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을 인증한 다음 단말기가 요구하는 호신호를 처리한다. Then, referring to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 1, the base station (71, 72) for wirelessly processing function signals, for example, call signals or SMS message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70, and MSC (73)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call signal or SMS message input via the base station (71, 72). Here, the base station 71, 72 authenticates the electronic serial number (ESN) of the terminal 70 in its cell, and then processes the call signal requested by the terminal.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단말기(70)의 사용자가 폴더(74)를 열고 키패드(75)를 통해 전화번호신호를 눌러주게 될 경우 이 전화번호신호는 LCD패널(76)상에 표시됨과 동시에 단말기(70)에 의해 무선신호처리되어 기지국(71)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71)은 단말기(70)로부터 입력된 ESN정보를 인증한 다음 해당 호신호를 MSC(73)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MSC(73)는 입력된 호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목적지 전화번호를 인식하고 그 해당 목적지의 기지국(72)으로 호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목적지 기지국(72)은 전송되온 호신호를 중계처리하여 상대방 단말기(77)로 호연결한다. 이때, 상기 과정에 의해 호가 형성되면 상기 단말기(70)는 상대방 단말기(77)와 통상의 통화를 실행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first, 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70 opens the folder 74 and presses the telephone number signal through the keypad 75, the telephone number signal is the LCD panel ( At the same time as displayed on the 76, the radio signal is processed by the terminal 70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71. The base station 71 authenticates the ESN information input from the terminal 70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all signal to the MSC 73. Then, the MSC 73 analyzes the input call signal data to recognize the destination telephone number and transmits the call signal to the base station 72 of the corresponding destination. Accordingly, the destination base station 72 relays the transmitted call signal and connects the call to the counterpart terminal 77. At this time, when the call is formed by the above process, the terminal 70 executes a normal call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77.

또한, 상기 과정중에 단말기(70)의 사용자가 키패드(75)를 통해 특정기능 예컨대, 모닝콜기능이나 MP3파일 재생기능을 설정하면 단말기(70)는 해당 메뉴화면을 LCD패널(76)상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70)의 사용자가 예컨대, 모닝콜기능을 설정할 경우 LCD패널(76)상에 표시된 해당 메뉴화면을 보면서 시간 및 벨소리정보와 함께 설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70)는 입력된 모닝콜 정보를 저장한 다음 해당 시간에 도달될 경우 모닝콜신호를 외부로 방출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70)의 사용자는 상기 모닝콜신호를 듣고 자리에서 일어나게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70 sets a specific function such as a wake-up call function or an MP3 file playback function through the keypad 75, the terminal 70 displays a corresponding menu screen on the LCD panel 76. . Here, 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70 sets a wake-up call function, for example, the user of the terminal 70 sets the time and ring tone information while viewing the corresponding menu screen displayed on the LCD panel 76. Then, the terminal 70 stores the input morning call information and then emits the morning call signal to the outside when the corresponding time is reached. Therefore, the user of the terminal 70 hears the morning call signal and wakes up from the sea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이동통신시스템은 기지국이 단말기의 ESN을 인증 만하면 모든 호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 ESN을 다른 단말기로 복재할 경우 원래 소유주가 있는 단말기처럼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불법복제된 단말기의 사용요금이 원래 소유주에게 부과되는 등 단말기의 소유주에게 금전적으로 막대한 손해를 끼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를 신속히 효과적으로 알아낼 수 없어 그에 따라 단말기의 보안성도 상당히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is a method in which the base station processes all call signals only if the base station authenticates the ESN of the terminal. Therefore, this ESN can be used without restriction as if the terminal owned by the original owner. The use of the duplicated terminal was imposed on the owner of the terminal such as a huge amount of financial damage to the owner of the terminal as well as the user of the terminal can not find out quickly and effectively there was a problem that significantly reduces the security of the terminal accordingly.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실제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말기에 표시되는 기지국과 단말기상의 통화기록의 상이점을 확인하여 자신의 단말기의 복제여부를 판별한 다음 그 결과에 따라 조치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단말기의 보안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는 복제방지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user of the actual terminal check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e station displayed on the terminal and the call record on the termi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is duplicated. 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opy protection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security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복잡한 회로구성을 추가하지 않고도 단말기의 복제여부를 사용자가 신속히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그에 따라 단말기의 기능성도 상당히 향상되는 복제방지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ith a copy protection function, which allows the user to quickly check whether the terminal is duplicated without adding a complicated circuit configuration.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처리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부 몸체에 설치되어 기지국시스템부로부터 수신한 이전 통화기록과 그에 대응되는 단말기의 통화기록을 표시하는 LCD패널부 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 처리된 호신호의 통화기록과 그에 대응되는 기지국시스템부로부터 수신받은 통화기록을 사용자가 서로 비교할 수 있도록 LCD패널부상에 표시시키는 MSM부와, 상기 MSM부의 저장제어신호에 따라 통화실행후의 통화기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복제방지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a call processing function, which is installed on a part of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d the previous call record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and the corresponding call record of the terminal An LCD panel unit for displaying and an MSM unit for displaying a call record of a call signal proces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all record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system unit on the LCD panel unit so that a user can compare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torage control signal of the MSM un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opy protection function including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call record after the call executio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동통신단말기에 통화기능이 설정될 경우 기지국시스템부로부터 호를 할당받아 호신호를 처리하고 그 처리된 통화기록을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제1 통화기능 실행단계와, 상기 제1 통화기능 실행단계후에 현재 단말기에 또다른 제2의 통화기능이 설정되었을 경우 기지국시스템부로부터 호를 할당받아 호신호를 처리하고 그 처리된 통화기록을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제2 통화기능 실행단계와, 상기 제2 통화기능 실행단계후에 제2 통화 직전에 수행한 제1 통화에 대한 기록과 그에 대응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은 제2 통화에 대한 기록을 디스플레이상에 표시시키는 복제판별정보 표시단계로 이루어진 복제방지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tep of executing a first call function to receive a call from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when the call function is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ocess a call signal and to store the processed call record in a memory; A second call function execution step of receiving a call from a base station system unit to process a call signal and storing the processed call record in a memory when another second call function is set in the current terminal after the call function execution step; Copy protection comprising a copy discrimination information display step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a record of the first call made immediately before the second call after the second call function execution step and a record of the second cal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hereto; Provided is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unc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통신단말기(1)의 일부 몸체에 설치되어 기지국시스템부(8)로부터 수신한 이전 통화기록과 그에 대응되는 단말기의 통화기록을 표시함과 더불어 단말기에 의해 처리되는 각종 정보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LCD패널부(2)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에 의해 처리된 호신호의 통화기록과 그에 대응되는 기지국시스템부(8)로부터 수신받은 통화기록을 사용자가 서로 비교할 수 있도록 LCD패널부(2)상에 표시시키고 이동통신단말기(1)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MSM부(3;Mobile station modem)와, 상기 MSM부(3)의 저장제어신호에 따라 통화실행후의 통화기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부(4)와, 상기 MSM부(3)의 호연결 제어신호에 따라 송수화폰(5)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코덱부(6)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art of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s shown in FIG. 2 and displays the previous call log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8 and the call log of the terminal corresponding thereto. LCD panel 2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signals processed by the outside, call records of call signals proces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nd call log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8 corresponding thereto. Are displayed on the LCD panel 2 so that the user can compare with each other, the mobile station modem (MSM) (3) and the storage control of the MSM (3) to control the overall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Memory unit 4 for storing the call record after the call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signal and the analog voice signal inputted through the handset 5 according to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ignal of the MSM unit 3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or Digital audio signal And a codec unit 6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analog signal.

그리고, 상기 MSM부(3)의 일단에는 MSM부(3)로 사용자의 기능설정신호를 입력시키는 키패널부(7)가 연결된다.One end of the MSM unit 3 is connected to a key panel unit 7 for inputting a function setting signal of the user to the MSM unit 3.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된 본 발명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Next, a control method of the system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상태(S1)에서 제1 통화기능 설정확인단계(S2)로 진행하여 현재 단말기에 통화기능이 설정되었는 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제1 통화기능 설정확인단계(S2)중에 확인한 결과 현재 단말기에 통화기능이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 현단계를 종료하고 대기상태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제1 통화기능 설정확인단계(S2)중에 확인한 결과 현재 단말기에 통화기능이 설정되었을 경우 제1 통화기능 실행단계(S3)로 진행하여 기지국시스템부로부터 호를 할당받아 호신호를 처리하고 그 처리된 통화기록을 메모리에 저장시킨다.As shown in FIG. 3,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from the initial state S1 to the first call function setting checking step S2 to check whether the call function is set in the current terminal. At this time, if the call function is not set in the current terminal as a result of checking during the first call function setting confirmation step (S2), the current step ends and proceeds to the standby state. However, if the call function is set to the current terminal as a result of the check during the first call function setting confirmation step (S2), the process proceeds to the first call function execution step (S3) to process a call signal by receiving a call from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The processed call log is stored in the memory.

여기서, 상기 제1 통화기능 실행단계(S3)에는 현 통화가 완료되어 단말기가 현 통화에 대한 통화기록을 저장하는 것과 동시에 기지국시스템부에서도 그에 대응하는 통화기록을 저장하는 제1 통화기록 기지국저장단계를 더 포함한다.Here, in the first call function execution step (S3), the current call is completed, and the terminal stores the call record for the current call, and at the same time,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stores the first call record base station storing step corresponding thereto. It further includes.

또한, 상기 제1 통화기능 실행단계(S3)후에 제2 통화요청 확인단계(S4)로 진 행하여 현재 단말기에 또 다른 제2의 통화기능이 설정되었는 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제2 통화요청 설정확인단계(S4)중에 확인한 결과 현재 단말기에 또다른 제2의 통화기능이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 현단계를 종료하고 대기상태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제2 통화요청 설정확인단계(S4)중에 확인한 결과 현재 단말기에 또다른 제2의 통화기능이 설정되었을 경우 제2 통화기능 실행단계(S5)로 진행하여 기지국시스템부로부터 호를 할당받아 호신호를 처리하고 그 처리된 통화기록을 메모리에 저장시킨다.In addition, after the first call function execution step (S3), and proceeds to the second call request confirmation step (S4) to confirm whether another second call function is currently set in the terminal. At this time, if another second call function is not set in the current terminal as a result of checking during the second call request setting confirmation step (S4), the current step ends and proceeds to the standby state. However, if another second call function is currently set in the terminal as a result of checking during the second call request setting confirmation step (S4), the process proceeds to the second call function execution step (S5) and receives a call from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Processes the call signal and stores the processed call log in memory.

여기서, 상기 제2 통화기능 실행단계(S5)에는 현 통화가 완료되어 단말기가 현 통화에 대한 통화기록을 저장하는 것과 동시에 기지국시스템부에서도 그에 대응하는 통화기록을 저장함과 더불어 기지국시스템부가 저장하고 있던 이전의 제1 통화기록을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통화기록 기지국처리단계를 더 포함한다.Here, in the second call function execution step (S5), the current call is completed, the terminal stores the call record for the current call, and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stores the call record corresponding thereto and also stored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And a second call record base station processing step of transmitting the previous first call recor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한편, 상기 제2 통화기능 실행단계(S5)후에 복제판별정보 표시단계(S6)로 진행하여 제2 통화 직전에 수행한 제1 통화에 대한 기록과 그에 대응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은 제2 통화에 대한 기록을 디스플레이상에 표시시킨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second call function execution step (S5) proceeds to the duplicate discrimination information display step (S6) to record the first call made just before the second call and the second cal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hereto The recor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즉, 본 발명의 단말기(1)에 전원이 인가될경우 단말기(1)의 MSM부(3)는 초기화상태로 진행하여 메모리부(4)로부터 ESN를 포함한 필요한 정보를 형성시켜 기지국시스템부(8)를 통해 초기화과정을 실행한 다음 대기상태로 진행한다. That is,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terminal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SM unit 3 of the terminal 1 proceeds to an initial state and forms necessary information including the ESN from the memory unit 4 to form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8 ) To execute the initialization process and then to the standby state.

이때, 상기 단말기(1)의 MSM부(3)는 사용자가 키패널부(7)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시키고 통화버튼을 누를 경우 이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메모리부(4)에 저장함과 더불어 엑세스채널을 통해 기지국시스템부(8)로 시스템접 속을 실행한 다음 해당 전화번호로 발신호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시스템부(8)는 단말기(1)로부터 송출된 발신호를 처리하여 상대방 단말기(9)로 착신호를 전송하여 호를 형성시킨다. 즉, 상기 단말기(1)의 사용자가 송수화폰(5)을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시켜 주면 상기 단말기(1)의 코덱부(6)는 송수화폰(6)을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여 MSM부(3)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의 MSM부(3)는 코덱부(6)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무선처리하여 기지국시스템부(8)를 경유하여 상대방 단말기(9)로 전송하므로 통상의 통화를 이루게 된다.At this time, the MSM unit 3 of the terminal 1 recognizes when the user inputs a telephone number through the key panel unit 7 and presses a call button, and the user inputs the telephone number to the memory unit 4. In addition to the storage, the system accesses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8 through the access channel, and then transmits an outgoing signal to the corresponding telephone number. Then,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8 processes the outgoing signal sent from the terminal 1 and transmits an incoming call to the counterpart terminal 9 to form a call. That is, when a user of the terminal 1 inputs a voice signal through the handset 5, the codec unit 6 of the terminal 1 signals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handset 6. Processing is input to the MSM unit 3. In addition, the MSM unit 3 of the terminal 1 wirelessly processes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codec unit 6 and transmits the voice signal to the counterpart terminal 9 via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8. Is achieved.

여기서, 상기 단말기(1)의 MSM부(3)는 상기 통화과정이 종료하게 될 경우 해당 통화에 대한 통화기록 예컨대, 통화시작시간이나 통화시간과 같은 통화기록정보들을 메모리부(4)에 저장시킨다. 이때, 상기 기지국시스템부(8) 역시 단말기(1)의 통화가 종료될 경우 그 해당 통화에 대한 통화기록을 저장한다. In this case, the MSM unit 3 of the terminal 1 stores the call log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call in the memory unit 4, for example, a call start time or a talk time, when the call process ends. .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8 also stores a call record for the corresponding call when the call of the terminal 1 ends.

한편, 상기와 같은 제1 통화이후에 단말기(1)의 사용자가 다시 호를 요청하여 통화(제2 통화)가 실행되었을 경우 상기 기지국시스템부(8)는 현 통화기록(제2 통화)를 저장함과 더불어 현 통화직전에 저장하였던 통화기록(제1 통화)를 해당 단말기(1)로 전송처리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1)의 MSM부(3)는 현 통화기록(제2 통화)를 메모리부(4)에 저장함과 더불어 기지국시스템부(8)로부터 수신한 이전 통화기록(제1 통화)과 이에 대응되는 단말기(1)가 기저장한 통화기록(제1 통화)를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시에 LCD패널부(2)상에 표시시킨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all (second call) is execu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1 again after the first call as described above,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8 stores the current call record (second call). In addition, the call record (first call) stored immediately before the current cal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 At this time, the MSM unit 3 of the terminal 1 stores the current call record (second call) in the memory unit 4 and the previous call record (first cal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8. As shown in FIG. 4, the terminal 1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all record (first call) is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LCD panel 2.

따라서, 상기 단말기(1)의 사용자는 상기 LCD패널부(2)상에 표시된 기지국시스템부(8)의 통화기록(제1 통화)과 단말기(1)에 저장된 동일한 통화기록(제1 통화) 를 비교한 다음 차이나지 않는다면 불법복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상기 단말기(1)의 사용자는 기지국시스템부(8)의 통화기록과 단말기(1)의 통화기록에 차이가 남을 확인할 경우 즉, 불법 복제되었음을 확인할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된다. Accordingly, the user of the terminal 1 can make a call record (first call) of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8 displayed on the LCD panel 2 and the same call record (first call) stored in the terminal 1. If there is no difference after the comparison, it is judged that no piracy was made. However, 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1 confirm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call record of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8 and the call record of the terminal 1, that is, it is illegally copied, the user takes appropriate measures.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와 기지국이 현재 실행한 통화기록을 각기 별개로 동시에 저장한 다음 신규 콜 요청시 기지국이 이전 통화기록을 단말기로 전송하고 단말기에서 이들 통화기록를 서로 비교하여 복제여부를 판별하도록 외부로 표시하므로써, 실제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말기에 표시되는 기지국과 단말기상의 통화기록의 상이점을 확인하여 자신의 단말기의 복제여부를 판별한 다음 그 결과에 따라 조치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단말기의 보안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simultaneously store the call records currently executed separately, respectively, and then, when a new call is requested,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previous call records to the terminal and compares them with each other in the terminal. By displaying it externally to determine, the user of the actual terminal check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e station displayed on the terminal and the call record on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is duplicated, and then takes action based on the result. Has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improv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복잡한 회로구성을 추가하지 않고도 단말기의 복제여부를 사용자가 신속히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그에 따라 단말기의 기능성도 상당히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quickly check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s duplicated without adding a separate complicated circuit configuration, the functionality of the terminal i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Claims (4)

호처리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a call processing function,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부 몸체에 설치되어 기지국시스템부로부터 수신한 이전 통화기록과 그에 대응되는 단말기의 통화기록을 표시하는 LCD패널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 처리된 호신호의 통화기록과 그에 대응되는 기지국시스템부로부터 수신받은 통화기록을 사용자가 서로 비교할 수 있도록 LCD패널부상에 표시시키는 MSM부와, 상기 MSM부의 저장제어신호에 따라 통화실행후의 통화기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방지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An LCD panel unit installed in a part of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isplay a previous call record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system unit and a call record of a terminal corresponding thereto, and a call record of a call signal proces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d an MSM unit for displaying the call records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system unit on the LCD panel so that the user can compare with each other, and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call records after the call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storage control signal of the MSM uni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opy protection function. 이동통신단말기에 통화기능이 설정될 경우 기지국시스템부로부터 호를 할당받아 호신호를 처리하고 그 처리된 통화기록을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제1 통화기능 실행단계와, 상기 제1 통화기능 실행단계후에 현재 단말기에 또다른 제2의 통화기능이 설정되었을 경우 기지국시스템부로부터 호를 할당받아 호신호를 처리하고 그 처리된 통화기록을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제2 통화기능 실행단계와, 상기 제2 통화기능 실행단계후에 제2 통화 직전에 수행한 제1 통화에 대한 기록과 그에 대응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은 제2 통화에 대한 기록을 디스플레이상에 표시시키는 복제판별정보 표시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방지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When the call function is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first call function execution step of receiving a call from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processing a call signal, and storing the processed call record in a memory; When the second call function is set in the terminal, receiving a call from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processing a call signal, and storing the processed call record in a memory; and executing the second call function. The copy protection fun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py discrimination information display step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a record of the first call performed immediately before the second call and a second cal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hereto. Control method of the provid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화기능 실행단계에는 현 통화가 완료되어 단말기가 현 통화에 대한 통화기록을 저장하는 것과 동시에 기지국시스템부에서도 그에 대응하는 통화기록을 저장하는 제1 통화기록 기지국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방지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in the step of executing the first call function, when the current call is completed, the terminal stores the call record for the current call and at the same time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stores the first call record base station storag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opy prot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e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화기능 실행단계에는 현 통화가 완료되어 단말기가 현 통화에 대한 통화기록을 저장하는 것과 동시에 기지국시스템부에서도 그에 대응하는 통화기록을 저장함과 더불어 기지국시스템부가 저장하고 있던 이전의 제1 통화기록을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통화기록 기지국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방지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in the step of executing the second call function, when the current call is completed, the terminal stores the call record of the current call, and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stores the corresponding call record and the base station system unit stores the call record. And a second call recording base station processing step of transmitting the previous first call recording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KR1020040116309A 2004-12-30 2004-12-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plication prevent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2006007745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309A KR20060077451A (en) 2004-12-30 2004-12-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plication prevent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CNA2005100929112A CN1798391A (en) 2004-12-30 2005-08-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opy-prevent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309A KR20060077451A (en) 2004-12-30 2004-12-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plication prevent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451A true KR20060077451A (en) 2006-07-05

Family

ID=3681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309A KR20060077451A (en) 2004-12-30 2004-12-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plication prevent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77451A (en)
CN (1) CN1798391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98391A (en)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63996B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571459A (en) Gate inhibition system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1150747A (en) Multi-function media playing device
KR101200082B1 (en) Method for drawing up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62751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haracter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77451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plication prevent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JPH0738957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US200200038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swering machine call screening in a cordless digital system
KR100641013B1 (en) Method for speaker voice information update for user authent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22286A (en) Method for finding the location of a lost mobile by short messag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KR100338640B1 (en) Method for editing and transmission short message contents in mobile phone
KR100819245B1 (en) Method for displaying count of messag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63934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opy prevention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10066156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p3 multi-play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JP3122591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1188788A (en) Method for reporting state of mobile phone with SMS and related mobile phone
JP4660235B2 (en) Parent machine
KR100617543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comforming function of the receiving mecessage list during absence using an wireless interne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920001681B1 (en) Redialing method in telephone
KR20030048196A (en) Mobile phone with phone lock using short messages and method for the same
KR20050028761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ms input security functiona of the wire and wirelss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KR10109896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hone number by using discriminator a storage function
JP3798503B2 (en) ID writing method for mobi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49110B1 (en) How to make a call using a mobile terminal that outputs a DTMF tone and a DTMF tone which is outpu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KR20040049931A (en) Method for connecting VMS direct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