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5470A - Method for preventing from intercept by converting the access frequenc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eventing from intercept by converting the access frequenc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5470A
KR20060075470A KR1020040114265A KR20040114265A KR20060075470A KR 20060075470 A KR20060075470 A KR 20060075470A KR 1020040114265 A KR1020040114265 A KR 1020040114265A KR 20040114265 A KR20040114265 A KR 20040114265A KR 20060075470 A KR20060075470 A KR 20060075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access frequency
terminal
subscriber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42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03448B1 (en
Inventor
이광수
Original Assignee
(주) 콘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콘텔라 filed Critical (주) 콘텔라
Priority to KR1020040114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448B1/en
Publication of KR20060075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4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4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주파수 선택을 이용한 도청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입자 단말기가 기지국 접속시 접속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접속 주파수 선택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 가입자 발신시나 기지국으로 부터의 호출에 의한 착신응답시, 상기 접속 주파수 선택 모드에 따라 접속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접속 주파수를 통해 기지국과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가입자 단말기의 접속 주파수를 통해 복제 여부를 판별하고 서비스를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using access frequency sel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n particular, providing an access frequency selection mode so that a subscriber station can select an access frequency when accessing a base station; Selecting an access frequency according to the access frequency selection mode when the subscriber originates or receives an incoming call by a call from the base station; Performing a call setup procedure with a base station through the access frequency; And determining, by the base station, whether to be duplicated through the access frequency of the subscriber station and limiting service.

이동 통신, 접속 주파수, 대기 모드, 도청 방지, 호출 메시지, 주파수 선택Mobile communication, access frequency, standby mode, eavesdropping, call message, frequency selection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주파수 선택을 이용한 도청 방지 방법{METHOD FOR PREVENTING FROM INTERCEPT BY CONVERTING THE ACCESS FREQUENC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How to prevent eavesdropping by selecting access frequency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PREVENTING FROM INTERCEPT BY CONVERTING THE ACCESS FREQUENC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주파수 선택 방법을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frequency selection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주파수를 선택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3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selecting an access frequency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접속 주파수 선택을 통한 기지국 접속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ase station access procedure through access frequency selec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복제 단말기 검출 및 서비스 제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uplicated terminal detection and service restriction procedure in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이동통신 시스템 101, 102, 103 : 기지국100: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1, 102, 103: base station

111, 112, 113 : 이동 단말기 121, 122, 123 : 셀111, 112, 113: mobile terminal 121, 122, 123: cell

131, 132 : 통신 중계 선로 140 : 무선망 교환기131, 132: communication relay line 140: wireless network switch

200 : 무선망 교환기 210 : 기지국 제어기200: wireless network switch 210: base station controller

220, 230 : 기지국 240 : 정상 가입자220, 230: base station 240: normal subscriber

241 : 복제 가입자241: replica subscrib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도청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현재까지의 통신 서비스는 이동통신과 유선 통신 서비스로 구분되어 발전되어 왔다. 이동통신이란 이동 전화를 활용하여 음성 및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서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및 IS-95(Interim Standard-95) 계열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시스템, cdma2000 1x/Ev-Do(Evolution Data only), WCDMA(Wideband CDMA)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음성통화와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특징으로 인해 비싼 사용 요금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To date, communication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into two categories: mobile communication and wired communication services. Mobile communication is a technology that provides voice and wireless data services using mobile phones. 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system (AMP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and CDMA (Code of Interim Standard-95) of IS-95 series.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ystem, cdma2000 1x / Ev-Do (Evolution Data only), Wideband CDMA (WCDMA), and the like. Such technologies are rapidly growing despite the high usage fee due to the feature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used to provide voice calls and wireless data services anytime and anywhere.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시스템(100)은 각각이 기지국(101, 102 또는 103)들 중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다수의 셀 사이트(121 내지 123)들을 포함한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0 includes a plurality of cell sites 121 to 123, each of which includes one of the base stations 101, 102, or 103.

상기 기지국들(101 내지 103)은 다수의 이동국들(MS; 111 내지 114)과 통신 하며, 상기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통신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한다) 방식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동국들(111 내지 114)은 소정의 적절한 무선 장치들이며, 통상적으로 셀룰라 무선전화기, PCS 핸드셋 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용 컴퓨터, 계량 장치들을 포함한다.The base stations 101 to 103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mobile stations (MS) 111 to 114,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by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DMA") scheme. The mobile stations 111-114 are any suitable wireless devices, and typically include cellular radiotelephones, PCS handset devic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computers, and metering devices.

상기 도 1의 점선부분은 기지국들(101 내지 103)이 위치한 곳에서의 셀(121 내지 123)들의 대략적인 영역을 나타낸다. 상기 셀들은 예시로서 대략적으로 원형으로 보여지며, 상기 셀들은 선택되어지는 상기 셀 환경 및 자연적이고 인위적인 장애물들에 따라서 일정치 않은 다른 모양들을 형성한다.The dotted line in FIG. 1 shows an approximate area of the cells 121 to 123 where the base stations 101 to 103 are located. The cells are shown in an approximately circular form by way of example, and the cells form different inconsistent shapes depending on the cell environment being selected and natural and artificial obstacles.

상기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셀(121 내지 123)들은 다수의 섹터(미도시)들로 구성되며, 각 섹터는 상기 기지국에 결합된 방향성 안테나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도 1의 구현은 상기 셀의 중심부에 기지국이 있음을 도시한다. 변형된 구현들은 상기 섹터들의 구석에 상기 방향성 안테나들을 위치시킨다.As is well known in the art, the cells 121-123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tors (not shown), and each sector can be described by a directional antenna coupled to the base station. The implementation of Figure 1 shows that there is a base station in the center of the cell. Modified implementations place the directional antennas in the corners of the sectors.

한편, 상기 기지국(101 내지 103)들은 하나의 기지국 제어기(BSC)와 하나 이상의 기지국 서브시스템(BTS)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제어기(BSC) 및 기지국 서브시스템(BTS)들은 해당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기지국 제어기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특정 셀들에 대한 상기 기지국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자원들을 관리하는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에어컨, 히터, 전원공급기, 전화선 접속장치 및 RF 송/수신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base stations 101 to 103 may include one base station controller (BSC) and one or more base station subsystems (BTSs). 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and base station subsystems (BTSs)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base station controller is a device for managing wireless communication resources including the base stations for specific ce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device may include an air conditioner, a heater, a power supply, a telephone line connection and an RF transmitter / receiver.

각 기지국들(101 내지 103)은 각 기지국들 및 공중 전화 교환망(PSTN; 미도 시) 간에 음성 및 데이터 신호들을 제1 통신 중계 선로(131), 교환기(MSC; 140) 및 제2 통신 중계 선로(132)를 통해 전송한다. 또한, 제1 통신 중계 선로(131)는 상기 제1 통신 중계 선로를 통해 MSC(140) 및 BS들(101 내지 103) 및 제2 통신 중계 선로를 통해 MSC(140) 및 인터넷 또는 PSTN 간의 음성 및 데이터 회로들을 통해 접속을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MSC(140) 및 BS들(101 내지 103)간의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는 연결 통로를 제공한다.Each of the base stations 101 to 103 transmits voice and data signals between each of the base stations and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relay line 131, the switchboard (MSC) 14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relay line ( 132). 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relay line 131 is a voice between the MSC 140 and BSs 101 to 10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relay line and the MSC 140 and the Internet or PST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relay line. It provides a connection path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between the MSC 140 and the BSs 101-103 used to establish a connection via data circuits.

중계 선로들(131, 132)은 T1, 광 링크, 네트워크 패킷 백본 연결 또는 소정의 다른 데이터 연결 유형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적절한 연결 수단으로 구성된다.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전송 선로(131 및 132)로의 연결들이 아날로그 음성 대역 신호들의 전송을 위한 전송 통로, PCM(Pulse code modulated) 포맷으로 전송되는 음성 신호들의 전송을 위한 디지털 통로, 인터넷 프로토콜(IP) 포맷으로 전송되는 음성 신호들을 위한 디지털 통로,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포맷에서 음성 시그널의 전송을 위한 디지털 통로 또는 다른 적절한 연결 전송 프로토콜에 의한 전송 통로로 이해할 것이다.The relay lines 131, 132 consist of one or more suitable connection means, including T1, optical link, network packet backbone connection or some other type of data connec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connections to the transmission lines 131 and 132 are for transmission of analog voice band signals, digital channels for transmission of voice signals transmitted in Pulse code modulated (PCM) format, Internet protocol (IP) Will be understood as a digital pathway for transmission of voice signals in A) format, a digital pathway for transmission of voice signals i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format, or a transmission pathway by another suitable connection transmission protocol.

한편, CDMA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the following two characteristics.

첫째, 이동 가입자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이라 한다)가 동일한 단말기는 동일한 주파수에 동조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CDMA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항상 서비스 가능한 주파수 목록을 셀 영역내에 방송(Broadcast)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이 방송하는 이러한 서비스 주파수 목록에 대해 자신의 가입자 번호의 해쉬(hash) 연산 과정 통해 동조 주파수를 결정하고 이를 대기 모드 주파수로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MIN이 동일한 두 가입자는 항상 동일한 주파수를 대기 모드 주파수로 가지게 된다.First, terminals having the same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MIN') should tune to the same frequency. More specifically, in the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base station always broadcasts a list of serviceable frequencies in a cell area, and the mobile terminal has its subscriber number for such service frequency list broadcasted by the base station. The hash operation of the algorithm determines the tuning frequency and sets it to the standby mode frequency. Therefore, two subscribers having the same MIN always have the same frequency as the standby mode frequency.

둘째, 통화로가 형성되기 전 모든 순방향 데이터는 공통 채널(Common Channel)을 이용하여 송신한다. 이동 단말기가 통화로 설정을 위해 기지국으로 접속을 하거나, 혹은 기지국이 이동 단말기와의 통화로 설정을 위해 이동 단말기를 호출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이동 가입자와 기지국간 통화로 설정시, 통화로 설정에 필요한 호 제어 메시지 중 기지국에서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든 순방향 메시지는 공통 채널인 페이징 채널(Paging)을 통해 송신되며, 이 메시지는 이동 단말기 식별 번호를 통해 구별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복수의 단말은 동일한 순방향 제어 메시지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Second, all the forward data is transmitted using a common channel before the call path is formed. When a mobile terminal connects to a base station to set a call, or a base station calls a mobile terminal to set up a call with a mobile terminal, when setting up a call between a mobile subscriber and a base station, Among the call control messages, all forward message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re transmitted through the paging channel, which is a common channel, and the messages are distinguished by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Therefore, a plurality of terminals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receive the same forward control message.

따라서, 상술한 일반적인 CDMA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기 식별 정보인 상기 MIN과 장치 일련 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이하, 'ESN'이라 한다.)가 동일한 복수의 단말기가 동일한 셀 지역에 존재 할 경우 이를 식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로 인해 정상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주입한 복제 단말기를 이용할 경우 정상 단말기의 통화에 대한 도청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general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plurality of terminals having the sam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MIN and an electronic serial nu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ESN') in the same cell area exist in the same cell reg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identified. For this reason, when using a duplicate terminal inje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ormal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possible to tap the call of the normal terminal.

한편,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으로 인증 절차를 제공하고 있지만, 인증 절차 또한 호 설정을 위해 접속한 단말기를 대상으로 합법성 여부만을 판단 할 뿐임으로, 복제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접속을 시도하지 않고 기지국이 정상 단말기로 송 신하는 정보만 처리할 경우에 대해서는 복제 여부의 검출 및 도청을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is provided as a function to prevent this, but also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only determines the legitimacy of the terminal connected to establish a call, so that the base station does not attempt to access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does not attempt to access the base station. In the case of processing only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network, there is a problem that detection and eavesdropping of duplication cannot be detected.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가입자로 하여금 기지국 접속시 접속 주파수를 대기 모드의 주파수가 아닌 다른 주파수를 선택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제 단말로 인한 도청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주파수 선택을 이용한 도청 방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subscriber to select a frequency other than the standby mode when accessing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frequencies, thereby preventing eavesdropping due to duplicated terminals. An anti-tapping method using frequency selection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통해 동시에 접속 요구를 하는 단말에 대해 기지국이 이를 복제 단말로 인식하고 해당 기지국 영역에서의 서비스를 일시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복제 단말기로 인한 도청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주파수 선택을 이용한 도청 방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plicated terminal by allowing a base station to recognize this as a duplicated terminal and temporarily limit the service in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area for a terminal requesting simultaneous access through different frequenci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frequenci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using access frequency sel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caused by eavesdropp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가입자 단말기가 기지국 접속시 접속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접속 주파수 선택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 가입자 발신시나 기지국으로 부터의 호출에 의한 착신 응답시, 상기 접속 주파수 선택 모드에 따라 접속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접속 주파수를 통해 기지국과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가입자 단말기의 접속 주파수를 통해 복제 여부를 판별하고 서비스를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providing an access frequency selection mode so that the subscriber station can select the access frequency when accessing the base station; Selecting an access frequency according to the access frequency selection mode when a subscriber originates or an incoming response by a call from a base station; Performing a call setup procedure with a base station through the access frequency; And determining, by the base station, whether to be duplicated through the access frequency of the subscriber station and limiting ser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방법은, 가입자 단말기에 키 버튼이나 혹은 버튼의 조합을 이용해 가입자가 접속 주파수 선택 모드를 설정 하는 단계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irst method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setting the access frequency selection mode by the subscriber using a key button or a combination of buttons in the subscriber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방법은, 가입자가 접속 주파수 선택 모드를 설정한 경우, 가입자 단말이 동조하고 있는 대기 모드 주파수가 아닌, 기지국의 다른 서비스 주파수 목록에서 랜덤하게 접속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second method of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en the subscriber sets the access frequency selection mode, the access frequency is randomly selected from a list of other service frequencies of the base station instead of the standby mode frequency to which the subscriber station is tu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3 방법은, 기지국이 가입자 단말기의 신호를 획득한 접속 주파수를 이용해 복제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복제 단말로 판정된 가입자 단말에 대한 도청 위험성 경고 및 단말기 잠금 명령 전송 단계; 및 상기 복제 단말에서 발생하는 기지국 접속 요구를 일정 시간 제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hird method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base station to replicate using the access frequency obtained the signal of the subscriber station; Transmitting the eavesdropping risk warning and the terminal lock command to the subscriber station determined as the duplicated terminal; And limiting a base station access request generated by the duplicated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본 발명은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 특히 다중 주파수를 제공하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제 단말기를 이용한 도청을 차단하기 위하여, 호 설정을 위해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접속하는 접속 주파수를 대기 모드에서의 주파수가 아닌 타 주파수 목록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대기 주파수를 모니터링하고 있는 복제 단말기가 정상 단말기의 기지국 접속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ndby mode to access the access frequency that the terminal accesses to the base station for call establishment in order to block eavesdropping using a duplicated terminal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particular,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multiple frequencie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in which a duplicated terminal monitoring the standby frequency does not recognize the access of a base station to a normal terminal by arbitrarily selecting and accessing a frequency list from other frequencies.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동 가입자 식별 번호(즉, MIN)가 동일한 이동 단말기가 대기 모드에서 항상 동일한 주파수에 동조함으로 인해 유발되는, 즉 동일 주파수에서 호 설정을 수행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호 제어 정보 유출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주파수 선택 과정에서 대기 모드 주파수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목록에서 랜덤하게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복제 단말기를 이용한 추적을 따돌릴 수가 있게 된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ll control which may be caused when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number (i.e., a MIN) always tunes to the same frequency in the standby mode, i.e., a call setup may occur when performing the call setup at the same frequency. Information leakag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by selecting randomly from the remaining frequency list except the standby mode frequency in the access frequency selec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bypass the tracking using the duplicated terminal.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동일한 단말기가 서로 다른 접속 주파수를 통해 동시에 기지국 접속을 시도할 경우, 기지국은 이를 복제된 단말기로 인식하고 복제된 단말기의 식별 번호에 대해서는 서비스를 일정 시간 동안 중지하도록 함으로써, 가입자의 정보가 도청되지 않도록 하게 한다.Meanwhile, when the same terminal attempts to access the base station at the same time through different access frequencies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ation recognizes it as a duplicated terminal and stops the service for a certain time for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uplicated terminal. By doing so, the subscriber's information is not eavesdropped.

즉, 본 발명은 가입자가 대기 모드 주파수가 아닌 타 주파수를 이용해 기지국으로 접속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단말기와 이 단말기의 식별 번호를 복제한 복제 단말기, 그리고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복수의 단말기가 서로 다른 접속 주파수를 통해 동시에 기지국으로 접속할 경우 이 단말기를 복제된 단말기로 판단하여 이 단말기에 대한 서비스를 일시 중지시키고 복제된 단말기로 복제 위험을 경고하여 서비스가 중지되었음을 알리는 방법을 제공하는 기지국으로 구성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that provides a method for allowing a subscriber to access a base station using a frequency other than the standby mode frequency, a duplicate terminal that duplicate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terminal,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accessing the base station through different access frequencies at the same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s a duplicated terminal, so that the service is suspended for this terminal and the duplicated terminal is alerted to the danger of copying, and thus the base station provides a method of informing that the service has been stopped. do.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개념을 설명하며,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수행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concep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a procedure of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주파수 선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selecting a connection frequency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무선망 교환기(200)에 복수의 기지국 제어기들(210a 내지 210n)이 연결되며, 상기 하나의 기지국 제어기(210)에는 복수의 기지국들(220a 내지 220n)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의 기지국(220a)은 하나의 셀을 형성하고, 상기 셀 내에 속한 복수의 이동 단말기(240, 241)들과의 무선 채널을 통한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plurality of base station controllers 210a to 210n are connected to one wireless network switch 200 as described above, and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re connected to the one base station controller 210. The fields 220a to 220n may be connected. In this case, the one base station 220a forms one cell and performs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channel with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240 and 241 belonging to the cell.

한편, 종래 기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동일 기지국(220a)내에 속한 두 개의 단말기(240, 241)가 동일 MIN과 동일 ESN을 가지게 될 경우, 상기 기지국에서는 상기 두 단말기를 식별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정상 단말기(240)의 식별 정보를 주입한 복제 단말기(241)를 이용할 경우 정상 단말기의 통화에 대한 도청이 가능하게 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in the related art, when two terminals 240 and 241 belonging to the same base station 220a have the same MIN and the same ESN, the base station cannot identify the two terminals. Therefore, when using the duplicate terminal 241 inje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ormal terminal 240, it is possible to tap the call of the normal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상 단말기(240)가 호 설정을 위해 상기 기지국(220a)에 접속할 때, 접속 주파수를 대기 모드에서의 주파수가 아닌 타 주파수 목록 중에서 선택하여 접속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동일 기지국(220a)내에 있는 복제 단말기(241)는 대기 모드의 주파수가 정상 단말기(240)의 주파수와 같더라도 접속 주파수가 상기 정상 단말기(240)의 주파수와 다르게 되므로, 도청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때 상기 기지국(220a)에서는 상기 정상 단말기(240)의 접속 주파수와 다른 접속 주파수를 사용하는 상기 복제 단말기(241)를 구별해낼 수가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ormal terminal 240 accesses the base station 220a to set up a call, the access frequency is selected from other frequency lists instead of frequencies in the standby mode. Therefore, even if the frequency of the standby mode is the same as that of the normal terminal 240, the duplicated terminal 241 in the same base station 220a is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of the normal terminal 240, so that eavesdropping is impossible. do.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220a can distinguish the duplicated terminal 241 using a different access frequency from that of the normal terminal 240.

한편, 상기 정상 단말기(240)의 접속 주파수 변경은 상기 단말기(240)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상 단말기(240)의 사용자가 보안이 필요한 중요한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접속 주파수의 변경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도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상 단말기(240)의 사용자가 도청의 가능성을 감지할 경우에도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주파수 변경 기능에 의해 복제 단말기(241)를 추적해낼 수가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hange of the access frequency of the normal terminal 240 can be implemented to be se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the terminal 240. Therefore, when the user of the normal terminal 240 wants to make an important call requiring security, it is possible to prevent eavesdropping by using the function of changing the access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ven when the user of the normal terminal 240 detects the possibility of eavesdropping, the copy terminal 241 can be tracked by the access frequency chang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주파수 변경 절차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cedure for changing the access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주파수를 선택하는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3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selecting an access frequency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동일 기지국(220a)내의 정상 가입자(240)는 복제 가입자(241)의 도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 주파수를 대기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로 선택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3, the normal subscriber 240 in the same base station 220a selects the access frequency as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standby frequency in order to prevent eavesdropping of the duplicate subscriber 241.

예컨대, 상기 기지국(220a)은 서비스 가능한 주파수로 A, B 및 C 세 개의 주파수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220a)은 상기 A, B 및 C를 서비스 주파수 목록으로 하여 공통 채널인 페이징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방송 (S301, S302)한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220a has three frequencies A, B, and C as serviceable frequencies.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220a periodically broadcasts (S301, S302) through a paging channel, which is a common channel, with A, B, and C as service frequency lists.

정상 가입자 단말기(240)는 기지국이 방송하는 서비스 주파수 목록에 대해, 자신의 가입자 번호를 이용하여 해쉬 연산을 하고, 이 결과로 상기 A, B 및 C의 주파수 중에서 획득된 두 번째 서비스 주파수 B에 동조하고, 상기 주파수 B에서 대기 모드 상태를 유지(S303)한다.The normal subscriber station 240 performs a hash operation on its list of service frequencies broadcast by the base station using its subscriber number, and as a result tunes to the second service frequency B obtained from the frequencies of A, B, and C. In operation S303, the standby mode is maintained at the frequency B.

이때, 복제 가입자 단말기(241) 또한 상기 정상 가입자 단말기(240)와 동일한 가입자 번호를 가지게 됨으로 상기 정상 가입자 단말기(240)와 동일한 서비스 주파수 B에 동조하여 대기 모드 상태를 유지(S304)한다.In this case, the duplicated subscriber station 241 also has the same subscriber number as the normal subscriber station 240, so that the duplicated subscriber station 241 synchronizes with the same service frequency B as the normal subscriber station 240 to maintain the standby mode state (S304).

한편, 상기 가입자 단말기들(240, 241)로 호출이 왔을 때, 상기 기지국(220a)은 정상 가입자의 가입자 번호에 대한 호출 메시지를 방송한다. 상기 호출 메시지는 호출 가입자 번호가 동일한 정상 가입자 단말기와 복제 단말기에 동시에 수신(S305, S306)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call comes to the subscriber stations (240, 241), the base station 220a broadcasts a call message for the subscriber number of the normal subscriber. The call message is simultaneously received (S305, S306) at the normal subscriber station and the duplicated terminal having the same calling party number.

상기 정상 가입자 단말기(240)는 본 발명에 따라 접속 주파수 선택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접속 주파수 선택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기지국의 서비스 주파수 목록에서 가입자 번호에 대한 해쉬 연산을 통해 획득된 B 주파수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들(예컨대, A 및 C 주파수)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접속 주파수를 결정하게 된다. 반면, 상기 정상 가입자 단말기(240)에 접속 주파수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종래와 같이 대기 모드 주파수를 접속 주파수로 하여 기지국에 접속한다.The normal subscriber station 240 checks whether the access frequency selection mode is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f the access frequency selection mode is set, performs a hash operation on the subscriber number in the service frequency list of the base station. The access frequency is determined by randomly selecting one of the remaining frequencies (eg, A and C frequencies) except for the obtained B frequency. On the other hand, when the access frequency mode is not set in the normal subscriber station 240, it connects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standby mode frequency as the access frequency as in the related art.

상기 도 3에서는 정상 가입자 단말기가 접속 주파수 선택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상기 A 및 C 주파수 중 랜덤하게 선택한 접속 주파수로 A가 결정(S307)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상기 정상 가입자 단말기(240)는 A 주파수로 기지국 호출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S308)한다. 반면, 복제 단말기(241)는 대기 모드 주파수(즉, 주파수 B)를 접속 주파수로 하여 기지국 호출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S309)한다.In FIG. 3, it is assumed that the normal subscriber station is set to the access frequency selection mode, so that A is determined as a randomly selected access frequency among the A and C frequencies (S307). At this time, the normal subscriber station 240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for the base station call at the A frequency (S308). On the other hand, the replica terminal 241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to the base station call using the standby mode frequency (that is, frequency B) as the access frequency (S309).

한편, 기지국(220a)은 동시에 수신된 두개의 호출 응답 메시지에 대해 접속 주파수가 일치하는 지를 판별하고, 접속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는 중복 메시지로 처리하고 접속 주파수가 다를 경우(S310)에는 상기 대기 주파수로 호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241)를 복제 단말기로 처리하여 이에 따른 절차를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station 220a determines whether the access frequency is the same for the two call response messages received at the same time, if the access frequency is the same process as a duplicate message and if the access frequency is different (S310) to the standby frequency The terminal 241, which has transmitted the call response message, is treated as a duplicate terminal to perform the procedure accordingly.

이때, 상기 기지국(220a)은 복제 단말기(241)가 검출되면 정상 가입자 단말기(240) 및 복제 단말기(241)에 대한 정상적인 호 설정 절차를 종료하게 되며, 정상 가입자(240) 혹은 정상 가입자(240)와 복제 가입자(241)에 대해, 도청 위험과 이로 인한 일정 시간 접속 차단을 통보(S311, S312)하고 이를 관리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220a)은 정상 가입자 단말기(240)와 복제 단말기(2410)에 대해 접속 차단 시간 동안은 일체의 호 서비스를 차단(S313)한다.At this time, when the duplicated terminal 241 is detected, the base station 220a terminates the normal call setup procedure for the normal subscriber terminal 240 and the duplicated terminal 241, and the normal subscriber 240 or the normal subscriber 240. And the duplicate subscriber 241, the risk of eavesdropping and a certain time due to the access blocking notification (S311, S312) and manages it.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220a blocks the call service of the normal subscriber station 240 and the replica terminal 2410 during the connection disconnection time (S313).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 및 기지국에서 수행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단말기에서의 접속 주파수 선택 절차를 설명하고, 도 5를 참조하여 기지국에서의 복제 단말기 검출 및 서비스 제한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dure performed by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rst, the access frequency selection procedure in the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nd the duplicated terminal detection and service restriction procedure in the base st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접속 주파수 선택을 통한 기지국 접속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ase station access procedure by selecting an access frequency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정상 단말기에서는 기지국에 접속할 때, 보안을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접속 주파수 선택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when accessing a base station, a normal terminal can set an access frequency selec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ecurity.

먼저, 상기 정상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S401)되면, 일반적으로 대기 모드로 진행(S402)된다. 이때, 접속 모드로 상태 전환되지 않으면 계속하여 대기 모드로 설정된다. 한편, 접속 모드로 상태 전환(S403)하여 호를 발신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호출에 대한 응답(S404)을 하게 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모드 설정 여부에 따라 접속 주파수가 달라지게 된다.First,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normal terminal (S401), generally proceeds to the standby mode (S402). At this time, if the state is not switched to the connected mode, it is continuously set to the standby mode.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ate is switched to the connected mode (S403) to make a call or a response (S404) to the call from the base station, the access frequency is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connection mode is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상기 정상 단말기에 접속 주파수 선택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S405)에는 본 발명에 따라 대기 모드에서의 주파수가 아닌 다른 주파수로 접속 주파수를 선택(S406)하여 기지국에 접속(S407)하게 된다. 반면, 상기 정상 단말기에 접속 주파수 선택 모드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을 경우, 종래와 같이 대기 모드에서의 주파수를 접속 주파수로 하여 기지국에 접속(S407)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access frequency selection mode is set in the normal terminal (S405), the access frequency is selected at a frequency other than the frequency in the standby mode (S406) and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S407). On the other hand, when the access frequency selection mode is not set in the normal terminal, the access point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frequency in the standby mode as the access frequency as in the prior art (S407).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복제 단말기 검출 및 서비스 제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uplicated terminal detection and service restriction procedure in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수신 대기 모드(S501)에서 단말기의 접속 요구가 있으면 이에 대한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해당 단말기에 대한 서비스 제한이 설정(S503)되어 있을 경우, 해당 단말기에게 도청 경고 메시지를 전송(S506)하고, 단말기 잠금 명령을 전송(S507)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the base station performs a call setup procedure for the access request of the terminal in the reception standby mode (S501). At this time, if the service restriction for the terminal is set (S503), the eavesdropping warning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S506), and the terminal lock command is transmitted (S507).

반면, 해당 단말기에 대한 서비스 제한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동일 MIN 번호를 가진 단말기가 기 접속된 상태이며, 접속 주파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판단 결과, 접속 주파수가 동일 주파수일 경우 메시지 수신 응답을 전송(S508)하고 정상적인 호 설정 절차(S509)를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service restriction for the terminal is not set, the terminal with the same MIN number is already conn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ccess frequency is the sam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access frequency is the same frequency, it transmits a message reception response (S508) and performs a normal call setup procedure (S509).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접속 주파수가 동일 주파수가 아닐 경우, 상기 단말기를 서비스 제한 단말기로 등록하고, 서비스 제한 시간을 설정(S505)하게 된다. 그런다음, 상기 해당 단말기에게 도청 경고 메시지를 전송(S506)하고, 단말기 잠금 명령을 전송(S507)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access frequency is not the same frequenc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terminal is registered as a service restriction terminal, and the service time limit is set (S505). Then, the eavesdropping warning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S506), and the terminal lock command is transmitted (S507).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appended claims, but also by those equivalent to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르면, 정상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복제한 복제 단말기나 정밀한 도청 장비의 통화 도청으로부터 가입자를 보호함으로써, 가입자의 사생활 및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복제 여부 검출시, 복제된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복제가 검출된 기지국에 한정해서 통화를 일정 시간 동안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복제로 인한 서비스 제한을 최소화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subscriber's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by acqui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ormal terminal and protecting the subscriber from the call eavesdropping of the duplicated terminal or precise eavesdropping equipment. In addition, when detecting the duplication, by limiting the call for a predetermined time by limiting the service for the duplicated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for which the duplication is detect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ervice limitation due to the duplicated terminal.

Claims (11)

가입자 단말기가 기지국 접속시 접속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접속 주파수 선택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n access frequency selection mode to allow a subscriber station to select an access frequency when accessing a base station;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호 접속 상황 발생시, 상기 접속 주파수 선택 모드에 따라 접속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Selecting a access frequency according to the access frequency selection mode when a call connection situation occurs between the subscriber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상기 접속 주파수를 통해 기지국과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Performing a call setup procedure with a base station through the access frequency; And 상기 기지국이 상기 가입자 단말기의 접속 주파수를 통해 복제 여부를 판별하고 서비스를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주파수 선택을 이용한 도청 방지 방법.And determining, by the base station, whether to be duplicated through the access frequency of the subscriber station, and limiting a ser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접속 상황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ll connection situation, 상기 가입자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으로 발신하는 상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주파수 선택을 이용한 도청 방지 방법.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scriber station to the base station to the eavesdropping method using the access frequency sel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접속 상황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ll connection situation, 상기 가입자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으로의 호출에 대한 착신 응답 상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주파수 선택을 이용한 도청 방지 방법.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scriber station is an incoming call response to the call to the base s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thod is 가입자 단말기에 키 버튼이나 혹은 버튼의 조합을 이용해 가입자가 접속 주파수 선택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주파수 선택을 이용한 도청 방지 방법.And setting the access frequency selection mode by the subscriber by using a key button or a combination of buttons in the subscriber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주파수의 선택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lecting method of the other frequency, 가입자가 접속 주파수 선택 모드를 설정한 경우, 가입자 단말이 동조하고 있는 대기 모드 주파수가 아닌, 기지국의 다른 서비스 주파수 목록에서 랜덤하게 접속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주파수 선택을 이용한 도청 방지 방법.When the subscriber sets the access frequency selection mode, acces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randomly selecting an access frequency from a list of other service frequencies of the base station instead of a standby mode frequency to which the subscriber station is tuning. Eavesdropping prevention method using frequency sel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 여부 판별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replicate, 기지국이 가입자 단말기의 신호를 획득한 접속 주파수를 이용해 복제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Determining, by the base station, whether to replicate by using an access frequency obtained with a signal of a subscriber station; 복제 단말로 판정된 가입자 단말에 대한 도청 위험성 경고 및 단말기 잠금 명령 전송 단계; 및Transmitting the eavesdropping risk warning and the terminal lock command to the subscriber station determined as the duplicated terminal; And 상기 복제 단말에서 발생하는 기지국 접속 요구를 일정 시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주파수 선택을 이용한 도청 방지 방법.And limiting a base station access request generated by the duplicated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thod is 가입자 단말기가 기지국이 방송하는 서비스 주파수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by the subscriber station, a list of service frequencies broadcast by the base station; 상기 가입자 단말기가 자신의 가입자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주파수 목록을 해쉬 연산을 하는 단계; 및Hashing the service frequency list by the subscriber station using its subscriber number; And 상기 연산의 결과로 상기 수신된 서비스 주파수 목록 중에서 획득된 하나의 서비스 주파수에 동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주파수 선택을 이용한 도청 방지 방법.And tuning to one service frequency obtained from the received service frequency list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ccess frequency sel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두 개 이상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se station receives two or more response messages, 상기 수신된 두개의 호출 응답 메시지에 대해 접속 주파수가 일치하는 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access frequencies match for the two received call response messages; And 상기 판별 결과 접속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메시지를 중복 메시지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주파수 선택을 이용한 도청 방지 방법.And processing the message as a duplicate message if the access frequency is the same as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두 개 이상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se station receives two or more response messages, 상기 수신된 두개의 호출 응답 메시지에 대해 접속 주파수가 일치하는 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access frequencies match for the two received call response messages; And 상기 판별 결과 접속 주파수가 다를 경우 상기 대기 주파수로 호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를 복제 단말기로 처리함으로써 복제 단말기를 검출하는 단 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주파수 선택을 이용한 도청 방지 방법.And detecting the duplicated terminal by processing the terminal which has transmitted the call response message at the standby frequency as a duplicated terminal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dicates that the connected frequency is different. Prevention metho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복제 단말기 검출 후,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fter detecting a duplicate terminal of the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은 정상 단말기에게 도청 위험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주파수 선택을 이용한 도청 방지 방법.The base station notifies the normal terminal of the risk of eavesdropp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iretap prevention method using the access frequency sel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복제 단말기 검출 후,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fter detecting a duplicate terminal of the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은 상기 복제 단말기에 대한 호 서비스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주파수 선택을 이용한 도청 방지 방법.The base station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blocking a call service to the duplicated termina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avesdrop prevention method using the access frequency selection.
KR1020040114265A 2004-12-28 2004-12-28 Method for preventing from intercept by converting the access frequenc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03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265A KR100603448B1 (en) 2004-12-28 2004-12-28 Method for preventing from intercept by converting the access frequenc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265A KR100603448B1 (en) 2004-12-28 2004-12-28 Method for preventing from intercept by converting the access frequenc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470A true KR20060075470A (en) 2006-07-04
KR100603448B1 KR100603448B1 (en) 2006-07-20

Family

ID=3716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4265A KR100603448B1 (en) 2004-12-28 2004-12-28 Method for preventing from intercept by converting the access frequenc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4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525B1 (en) * 2008-11-28 2011-06-20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illegal tapping in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525B1 (en) * 2008-11-28 2011-06-20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illegal tapping in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3448B1 (en)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70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rogue base stations
KR1004437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rivate communication system in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US6405030B1 (en) System for interception of digital cellular phone communication
US7046992B2 (en) Authentication of termination messages in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050215241A1 (en)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restrict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WO2017185742A1 (en)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identifying a pseudo base station
US8155079B2 (en) Method, measuring system, base station, network element, and measuring device
JP2003061129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ed for the same and its control method
WO2005094114A1 (en) Alternative network selection for a communication device
EP1183885B1 (en) A method and a system rela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827944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reducing impact of interference on a control channel
KR20010080908A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encrypted group broadcast messages
JP4433152B2 (en) Method of handover in a multi-mode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040101497A (en) Disaster and emergency mode for mobile telephones
EP1514444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8478192B2 (en) Method and a device in a mobile station for maintaining a communication link to a radio base station in a cellular telephony system
US20050020240A1 (en) Private wireless network
KR100603448B1 (en) Method for preventing from intercept by converting the access frequenc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992103A1 (en) Acquiring identity parameter
WO2005104445A1 (en) Routing area selection for a communication device accessing a umts network through wlan hot spots considered as seprate routing areas of the utms network
KR20000048747A (en) Method for connecting an incoming call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installation to a dual mode terminal
JP4493252B2 (en) How to protect radio waves in certain zones against the use of mobile phones
CN112533205A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intelligent communication based on non-operator wireless network
KR970001859B1 (en) Cellular phone
JP2000156892A (en) Improvement in secrecy protection of mobile telephone from wire tap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