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5382A -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vail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f most used menu and recent used menu - Google Patents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vail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f most used menu and recent used menu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5382A
KR20060075382A KR1020040114162A KR20040114162A KR20060075382A KR 20060075382 A KR20060075382 A KR 20060075382A KR 1020040114162 A KR1020040114162 A KR 1020040114162A KR 20040114162 A KR20040114162 A KR 20040114162A KR 20060075382 A KR20060075382 A KR 20060075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list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41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14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5382A/en
Publication of KR20060075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38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메모리 자원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해 단말기의 최다 접근 메뉴 정보, 최근 사용 메뉴 정보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주 사용하는 메뉴들을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할 수 있는 최근 이용메뉴 정보 및 최다 이용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easily extract the most accessed menu information and recently used menu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rough the effective use of the terminal memory resources, but also the most recently used menu information and the most used to allow users to arbitrarily define frequently used menus.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menu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최근 이용메뉴 정보 및 최다 이용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반 구성 요소와 소정의 통신연결관계를 맺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수행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 제어부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구현 가능한 제반 메뉴로 구성되는 메뉴 리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메뉴 리스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메뉴별로 이용 횟수 정보 및 최근 이용한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부와, 상기 단말 제어부의 제어 하에 소정 메뉴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메뉴의 이용 횟수를 누적하여 계산하여 각 메뉴별 이용 횟수 정보를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메뉴 리스트 정보 및 각 메뉴별 이용 횟수 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최다 이용메뉴 리스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최다 이용메뉴 산출모듈과, 상기 단말 제어부의 제어 하에 소정 메뉴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메뉴의 이용한 시간을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메뉴 리스트 정보 및 각 메뉴의 이용한 시간 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최근 이용메뉴 리스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 행하는 최근 이용메뉴 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the most recently used menu information and the most used menu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all compon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erforms a role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menu list information comprising a control unit and various menus that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s data about the number of times of use and time information used for each menu constituting the menu list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When an event for a predetermined menu occurs under the control of a memory unit and the terminal control unit,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corresponding menu is accumulated and stored,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each menu is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and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Menu list information and usage count for each menu And extracting the most used menu list by selectively extracting and outputting the most used menu list, and when an event for a predetermined menu occurs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storing the used time of the corresponding menu in the data memory unit, And a recently used menu analysis module for selectively extracting menu lis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and time information of each menu, and outputting a recently used menu list.

메뉴, 레벨, 정렬Menu, level, sort

Description

최근 이용메뉴 정보 및 최다 이용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vail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f most used menu and recent used menu}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vail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f most used menu and recent used menu}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메뉴 이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1A and 1B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menu movement proces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최근 이용메뉴 정보 및 최다 이용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the most recent menu information and the most used menu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최근 이용메뉴 정보 및 최다 이용메뉴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recent usage menu information and most usage menu inform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용 메뉴정보 표시방법의 진행 과정을 디스플레이한 참고도.4A to 4C are reference diagrams showing the progress of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use menu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메뉴 리스트를 나타낸 참고도.
5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menu list stored in a data memory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201 : 단말 제어부 202 : 무선 송수신부201: terminal controller 202: wireless transceiver

203 : 최다 이용메뉴 산출모듈 204 : 메뉴 레벨 설정모듈 203: Most used menu calculation module 204: Menu level setting module                 

205 : 최근 이용메뉴 분석모듈 206 : 사용자 지정메뉴 설정모듈205: Analysis module of the recently used menu 206: Custom menu setting module

207 : 데이터 메모리부 208 : 키 입력부207: data memory section 208: key input section

209 : 표시창 210 : 표시창
209: display window 210: display window

본 발명은 최근 이용메뉴 정보 및 최다 이용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메모리 자원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해 단말기의 최다 접근 메뉴 정보, 최근 사용 메뉴 정보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주 사용하는 메뉴들을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할 수 있는 최근 이용메뉴 정보 및 최다 이용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rovides the most recently used menu information and the most used menu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asily extract the most accessed menu information, recently used menu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rough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terminal memory resource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rovides the most recently used menu information and the most used menu information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define frequently used menus.

통신 산업의 발달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신장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고 있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기능 향상 요구에 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이동 무선 전화통신 기능 이외에 음악 파일의 재생, 무선 인터넷 등의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cation industry and the rapid expansion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many people are carry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in order to meet various demands of users for improving their function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an play music files and wirelessly in addition to mobile wireless telephony functions. Functions such as the Internet are being added.

한편, 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은 계층적 구조를 갖는 메뉴 방식으로 관리되고 있다. 즉, 상위 카테고리의 나열되어 있는 메인 메뉴가 있고 상기 메인 메뉴를 구성하는 각각의 메뉴에 종속되는 복수의 서브 메뉴가 있는 구조를 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메인 메뉴에서 특정 카테고리의 메뉴를 선택하고 서브 메 뉴에서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Meanwhile,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managed by a menu method having a hierarchical structure. That is, there is a structure in which there is a main menu listed in a higher category and there are a plurality of submenus that are dependent on each menu constituting the main menu.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xecute a specific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selecting a menu of a specific category in the main menu and a desired function in the sub menu.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키를 누르게 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창에는 상위 카테고리의 메뉴들 즉, 소리설정, 화면설정, 전자수첩 등의 메인 메뉴가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위 카테고리의 메인 메뉴 중 소리설정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소리설정에 속하는 서브 메뉴가 상기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소리설정에 속하는 서브 메뉴는 벨소리선택, 음량설정, 효과음설정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브 메뉴 중에서 특정 기능 예를 들어, 벨소리선택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벨소리선택 기능에 대해서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설정이 진행하게 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A and 1B, when a menu ke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essed, menus of higher categories, that is, sound setting, screen setting, and electronic notebook,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In this state, when the sound setting is selected from the main menu of the upper category, a sub menu belonging to the sound setting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The sub menu belonging to the sound setting may be a ringtone selection, a volume setting, an effect sound setting, and the like. If a specific function, for example, a ringtone selection function is selected from the submenus, setting of a ringtone sel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is performed.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계층적 구조를 갖는 메뉴 방식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다양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이 보다 다양화됨에 따라 다양화된 기능을 수용하기 위해 계층적 구조의 메뉴 방식 또한 보다 복잡화되고 있다. 즉, 통상의 메인 메뉴-서브 메뉴 구조에서 메인 메뉴-제 1 서브 메뉴-제 2 서브 메뉴 등과 같이 메인 메뉴에 종속되는 서브 메뉴의 수가 늘어나게 된다. In the related art, various functions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effectively used through a menu system having a hierarchical structure. However, 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more diversified, the hierarchical menu method is more complicated to accommodate the diversified functions. That is, in the normal main menu sub menu structure, the number of sub menus subordinate to the main menu, such as the main menu, the first sub menu, and the second sub menu, increases.

이와 같이 메인 메뉴에 종속되는 서브 메뉴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특정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복수의 메뉴를 거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단말기 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반 기능 및 특정의 기능들이 어느 메뉴에 속하는지에 대하여 숙지하지 못한다면 해당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복수의 메뉴들을 찾아 들어가는 과정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시행착오가 발생될 수밖에 없다. As the number of submenus subordinate to the main menu increases, a us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to go through a complicated process of going through a plurality of menus in order to use a specific function. Therefore, if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know about all the functions and specific menus included in the terminal, a trial and error may inevitably occur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 plurality of menus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function. It must b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단말기 상에서 자주 이용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하여 이용 편이성을 증대시키는 방편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2003-48195호의 '사용빈도수가 높은 메뉴를 별도로 구성하여 억세스하는 방법,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한 휴대 전화기'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기술을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사용자가 메뉴를 이용할 때마다 메뉴의 사용 회수를 계산하여 사용 빈도수를 산출하며, 사용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소정의 메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ior art has suggested a method of increasing the ease of use by displaying a menu frequently used by the user on the terminal. The technique is describ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48195, "Method for separately accessing a menu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a recording medium, and a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The technique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publication is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it is a method of calculating the frequency of use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menu each time the user uses the menu, and displaying a predetermined menu list in the order of high frequency of use.

그러나, 상기의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기술은 메뉴를 사용할 때마다 메모리부와 연동하여 사용 빈도수를 처음부터 계산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어 메모리 자원의 소요가 상당함에 따라 전체적인 단말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However, the technique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publication is a method that calculates the frequency of use from the beginning in conjunction with the memory unit each time the menu is used. Work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단말기 메모리 자원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해 단말기의 최다 접근 메뉴 정보, 최근 사용 메뉴 정보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주 사용하는 메뉴들을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할 수 있는 최근 이용메뉴 정보 및 최다 이용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rough the effective use of the terminal memory resources, the user can easily extract the most accessed menu information and recently used menu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s well as frequently used menu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rovides the most recently used menu information and the most used menu information that can be arbitrarily defin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최근 이용메뉴 정보 및 최다 이용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반 구성 요소와 소정의 통신연결관계를 맺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수행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 제어부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구현 가능한 제반 메뉴로 구성되는 메뉴 리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메뉴 리스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메뉴별로 이용 횟수 정보 및 최근 이용한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부와, 상기 단말 제어부의 제어 하에 소정 메뉴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메뉴의 이용 횟수를 누적하여 계산하여 각 메뉴별 이용 횟수 정보를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메뉴 리스트 정보 및 각 메뉴별 이용 횟수 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최다 이용메뉴 리스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최다 이용메뉴 산출모듈과, 상기 단말 제어부의 제어 하에 소정 메뉴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메뉴의 이용한 시간을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메뉴 리스트 정보 및 각 메뉴의 이용한 시간 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최근 이용메뉴 리스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최근 이용메뉴 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the most recently used menu information and the most used menu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all compon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menu list information consisting of a termi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d general menus that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and the latest information for each menu constituting the menu list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A dat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used time information, and when an event for a predetermined menu occurs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corresponding menu is accumulated and stored,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each menu is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Menu lis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And a module for calculating the most used menus by selectively extracting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each menu and outputting a list of the most used menus. When an event for a predetermined menu occurs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And a recently used menu analysis module configured to selectively extract menu list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used for each menu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and output a recently used menu list. It is characterized by.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최다 이용메뉴 산출모듈 및 상기 최근 이용메뉴 분석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최다 이용메뉴 리스트 및 상기 최근 이용메뉴 리스트를 특정의 레벨로 정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메뉴 레벨 설정모듈을 더 포함한다.Preferably, a menu level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aligns the most used menu list and the most recently used menu list to a specific level in association with the most used menu calculation module and the most recently used menu analysis module. It further includes a configuration module.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구현되는 제반 메뉴에 대해서 각 메뉴별로 이용 횟수 및 최근 이용한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최근 이용메뉴 리스트 및 최다 이용메뉴 리스트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단말기의 이용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menu implemen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number of times of use and the recently used time information are stored for each menu, and selectively extracts the most recently used menu list and the most used menu lis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By displaying on the display window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ase of use of the terminal.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최근 이용메뉴 정보 및 최다 이용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최근 이용메뉴 정보 및 최다 이용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최근 이용메뉴 정보 및 최다 이용메뉴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용 메뉴정보 표시방법의 진행 과정을 디스플레이한 참고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메뉴 리스트를 나타낸 참고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the most recently used menu information and the most used menu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recent use menu information and the most used menu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cent use menu information and the most used menu inform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reference diagrams showing the progress of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use menu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e also the menu list.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는 크게 단말 제어부(201), 무선 송수신부(202), 데이터 메모리부(207)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First, as shown in FIG. 2,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mplementing a menu display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 combination of a terminal control unit 201,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02, and a data memory unit 207. Is done.

상기 단말 제어부(201)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반 구성 요소와 소정의 통신연결관계를 맺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수행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이용 메뉴정보 표시 과정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202)는 안테나(2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단말 제어부(201)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 제어부(201)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안테나(210)를 통해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terminal controller 201 establishe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all compon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erforms an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the terminal controller 201 controls the display process of the use menu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ransceiver 202 transmit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210 to the terminal controller 201 or transmits a signal generat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201 through an antenna 210 to a base station (not shown). It performs the role of outputting to.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7)는 기본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수행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부가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7)에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구현 가능한 모든 메뉴에 대한 메뉴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메뉴 리스트는 일 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트리 구조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각각의 메뉴는 메뉴의 상하 위치에 따라 레벨 1, 레벨 2, 레벨 3 등으로 구분되며 각 메뉴에 대하여 소정의 일련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7)에는 최근 이용 메뉴 정보, 최다 이용 메뉴 정보 및 사용자 지정 메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메뉴 리스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메뉴별로 소정 기간 내에 이용한 횟수, 이용한 시간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The data memory unit 207 basically stores a program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arious data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data memory unit 207 stores menu lists for all menus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is time, the menu list may be stored in a predetermined tree structure as shown in FIG. 5, for example, and each menu is divided into level 1, level 2, level 3,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menu. A predetermined serial number may be assigned to. In addition, the data memory unit 207 includes information on recently used menu information, most used menu information, and a user specified menu. Specifically, the number of times us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for each menu constituting the menu list, and the used time. Information about the data is stor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는 본 발명의 핵심 특징부로서 최다 이용메뉴 산출모듈(203), 최근 이용메뉴 분석모듈(205), 사용자 지정메뉴 설정모듈(206) 및 메뉴 레벨 설정모듈(204)이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r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t used menu calculation module 203, the recently used menu analysis module 205, the user specified menu setting module 206 and the menu level setting module 204 ) Is provided.

상기 최다 이용메뉴 산출모듈(203)은 상기 단말 제어부(201)의 제어 하에 후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소정의 메뉴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 메뉴의 이용 횟수를 누적하여 계산하고, 각 메뉴별 이용 횟수 정보를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7)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7)에 저장되어 있는 메뉴 리스트 정보 및 각 메뉴별 이용 횟수 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최다 이용 메뉴 리스트를 완성하여 상기 단말 제어부(201)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각 메뉴의 이용 횟수의 계산시 해당 메뉴의 이벤트가 완료된 시점 즉, 사용자가 해당 메뉴를 이용을 완료한 시점에서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7)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메뉴의 이용 정보에 이용 횟수를 한번 추가하는 방식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경우는 해당 메뉴의 이용 횟수 산출시 매번 소정 기간 내에 이용한 횟수를 처음부터 최근 발생 이벤트 시점까지 계산함에 따라 데이터 메모리부(207)의 자원을 잠식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누적 계산 방식을 택함에 따라 이와 같은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The most used menu calculation module 203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menu is used and counts the number of times each menu is used when an event for a predetermined menu is generated from a user interface described later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201. Selectively stores information in the data memory unit 207, and selectively extracts the menu lis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207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each menu to complete the most used menu list. It serves to transfer to the control unit 201. In this case, when calculating the number of times the menu is used, it is used for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menu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207 when the event of the menu is completed, that is, when the user completes using the menu. It is preferable to take the method of adding the number of times once. In the conventional case, there is a problem of encroaching the resources of the data memory unit 207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times us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each time when calculating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corresponding menu from the beginning to the time of the latest occurrence event. This problem can be solved accordingly.

상기 최근 이용메뉴 분석모듈(205)은 소정 메뉴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 메뉴의 이용한 시간을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7)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7)에 저장되어 있는 메뉴 리스트 정보 및 각 메뉴의 이용한 시간 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최근 이용 메뉴 리스트를 완성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지정메뉴 설정모듈(206)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되는 사용자 지정메뉴 리스트를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7)에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지정메뉴 리스트를 상기 단말 제어부(201)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메뉴 레벨 설정모듈(204)은 상기 최다 이용메뉴 산출모듈(203) 및 상기 최근 이용메뉴 분석모듈(205)과 연동하여 사용자 인터페이 스를 통해 특정 레벨에 대한 정렬(sorting)이 요구되면 상기 최근 이용 메뉴 리스트 및 최다 이용 메뉴 리스트를 메뉴 레벨로 정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When an event for a predetermined menu occurs, the recently used menu analysis module 205 selectively stores the used time of the menu in the data memory unit 207 and the menu list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207. It selectively extracts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used for each menu to complete and output a recently used menu list. The user-specified menu setting module 206 stores a user-specified menu list set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 the data memory unit 207 and transmits the stored user-specified menu list to the terminal controller 201. It plays a role. The menu level setting module 204 is linked with the most used menu calculation module 203 and the recently used menu analysis module 205 when sorting for a specific level is required through a user interface. It sorts the menu list and the most used menu list at the menu level.

상기 구성 요소 이외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는 키 입력부(208)와 표시창(209)으로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된다. 상기 키 입력부(208)는 다수의 숫자키 및 다양한 기능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창(209)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수행 상태 및 전술한 최다 이용 메뉴 리스트, 최근 이용 메뉴 리스트, 사용자 지정 메뉴 리스트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되는 무선 통신에 요구되는 필수 구성요소 즉, 듀플렉스, 주파수 변환부 등을 구비하나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user interface consisting of a key input unit 208 and a display window 209. The key input unit 208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various function keys, and the display window 209 is an operation performanc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above-mentioned most used menu list, recently used menu list, and user specified menu list. Serves to display and the like. In addition, although an essential component requir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provid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a duplex, a frequency converter, and the lik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의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용 메뉴정보 표시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되는 각각의 메뉴에 대한 이벤트 발생에 의한 메뉴 정보 처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at is, a method of displaying the use menu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 menu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by generating an event for each menu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208)를 이용하여 소정의 메뉴를 이용하는 경우 즉, 메뉴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단말 제어부(201)의 제어 하에 상기 최다 이용메뉴 산출모듈(203)은 해당 메뉴의 이용 횟수를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7)에 저장한다. 추후 동일한 메뉴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7)에 저장되어 있는 이용 횟수에 추가 이용 횟수를 누적한다. 한편, 상기 해당 메뉴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최근 이용메뉴 분석모듈(205)은 상기 해당 메뉴의 이용한 시간을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7)에 선택적으로 저장 하며 동일한 메뉴에 대하여 추후 이용이 발생하는 경우 이용한 시간을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상기 메뉴 리스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메뉴들은 소정의 일련번호가 부여되어 저장 방식의 효율을 배가시킬 수도 있다. When a terminal user uses a predetermined menu using the key input unit 208, that is, when an event for a menu occurs, the most-used menu calculation module 203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201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menu. The number of times of use is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207. If an event for the same menu is generated later, an additional use count is accumulated in the use count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207. On the other hand, when an event for the corresponding menu occurs, the recently used menu analysis module 205 selectively stores the used time of the corresponding menu in the data memory unit 207, and later use of the same menu occurs. If used, update the time used. Here, each of the menus constituting the menu list may be assigned a predetermined serial number to double the efficiency of the storage method.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7)에 저장되어 있는 메뉴 리스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메뉴에 대해서 최근 이용한 시간 및 이용한 횟수 등의 메뉴 정보가 저장된다. Through such a process, menu information, such as the recently used time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is stored for each menu of the menu list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207.

상기의 과정을 통해 소정의 메뉴 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이용한 메뉴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208) 상의 소정의 단축키를 누르게 되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이용 메뉴 현황 초기화면이 상기 표시창(209)에 디스플레이된다(S301)(S302). 상기 이용 메뉴 현황 초기화면에는 최다 이용메뉴 리스트, 최근 이용메뉴 리스트, 사용자 지정메뉴 리스트, 메뉴 레벨 설정 항목 등이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predetermined menu information is stor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 process of identifying information on the used menu will be described. First, as shown in FIG. 3, when a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shortcut key on the key input unit 208, as shown in FIG. 4A, a predetermined use menu status initial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209 (S301). (S302). The initial use menu status initial screen may include a most used menu list, a recently used menu list, a user specified menu list, a menu level setting item, and the lik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초기화면의 복수의 항목 중 특정 항목 예를 들어, 최근 이용메뉴 리스트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S303) 상기 단말 제어부(201)의 제어 하에 상기 최근 이용메뉴 분석모듈(205)은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7)에 저장되어 있는 각 메뉴별 최근 이용한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시간을 중심으로 기 이용한 메뉴들을 정렬하여 최근 이용메뉴 리스트를 완성하여 상기 표시창(209)에 디스플레이한다(S309)(S310). 여기서, 상기 최근 이용메뉴 리스트에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메뉴에 대하여 Lv. 1, Lv. 2, Lv .3 등과 같이 메뉴 레벨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최근 이용메뉴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표시창(209)에는 메뉴 레벨 설정창이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최근 이용메뉴 리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메뉴를 소정의 레벨별로 재차 정렬할 수 있다(S310). 상기 메뉴 레벨 설정은 상기 초기화면에서 미리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용메뉴 분석모듈은 상기 메뉴 레벨 설정모듈(204)과 연동하여 레벨별 최근 이용메뉴 리스트를 완성하여 상기 표시창(209)에 디스플레이한다. In this state, when an event for a specific item, for example, a recent use menu list occurs, among the plurality of items on the initial screen (S303),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201, the recently used menu analysis module 205 ) Arranges the used menus based on the recently used time based on the recently used time information of each menu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207 to complete and display the recently used menu list on the display window 209. (S309) (S310). Here, in the list of recently used menus, Lv. 1, Lv. 2, Lv .3, etc., the menu level can be displayed. At this time, a menu level setting window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209 in which the recently used menu list is displayed, so that a plurality of menus constituting the recently used menu list can be rearranged by predetermined levels (S310). The menu level setting may be set in advance in the initial screen. In this case, the use menu analysis module completes a list of recently used menus for each level in cooperation with the menu level setting module 204 and displays the list in the display window 209. .

한편, 상기 초기화면에서 사용자 지정메뉴 리스트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게(S304) 되면 상기 단말 제어부(201)의 제어 하에 상기 사용자 지정메뉴 설정모듈(206)은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7)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지정메뉴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표시창(209)에 디스플레이된다(S312). 상기 사용자 지정메뉴 리스트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an event for a user-specified menu list occurs on the initial screen (S304), the user-specified menu setting module 206 is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207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201. The user-specified menu list is extrac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209 (S312). The user-specified menu list is preset by the user.

마지막으로, 상기 초기화면에서 최다 이용메뉴 리스트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S305) 상기 단말 제어부(201)의 제어 하에 상기 최다 이용메뉴 분석모듈은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7)에 저장되어 있는 각 메뉴별 이용 횟수 정보 등을 바탕으로 이용된 메뉴들을 이용 횟수에 따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 등으로 정렬하여 최다 이용메뉴 리스트를 완성하여 상기 표시창(209)에 디스플레이한다(S306)(S308). 여기서, 상기 최다 이용메뉴 리스트에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뉴의 레벨 정보뿐만 아니라 각 메뉴의 최근 이용 시간(도시하지 않음)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근 이용메뉴 리스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최근 이용메뉴 리스트가 상기 표시창(209)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레벨별로 상기 이용메뉴 리스트를 정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초기화면에서 메뉴 레벨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레벨에 상응하는 최다 이용메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S307).
Finally, when an event for the most used menu list occurs in the initial screen (S305),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201, the most used menu analysis module stores each menu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207. The menus used are sorted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use,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stars. Here, the most used menu list may show not only the level information of the menu as shown in FIG. 4C but also the recent usage time (not shown) of each menu. 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the recent use menu list, the use menu list can be sorted by level while the latest use menu lis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209. Also, the preset use menu list can be preset in the initial screen. If so, the list of most used menus corresponding to the level is displayed (S307).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용 메뉴정보 표시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menu information u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구현되는 제반 메뉴에 대해서 각 메뉴별로 이용 횟수 및 최근 이용한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최근 이용메뉴 리스트 및 최다 이용메뉴 리스트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단말기의 이용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Using the terminal by storing the number of times of use and the most recently used time information for each menu implemen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lectively extracting the most recently used menu list and the most used menu lis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nd displaying them on the display window. I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Claims (2)

이동통신단말기의 제반 구성 요소와 소정의 통신연결관계를 맺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수행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 제어부;A terminal control unit which form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all compon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구현 가능한 제반 메뉴로 구성되는 메뉴 리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메뉴 리스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메뉴별로 이용 횟수 정보 및 최근 이용한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부;A data memory unit for storing menu list information including general menus that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ing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and time information used for each menu constituting the menu list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상기 단말 제어부의 제어 하에 소정 메뉴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메뉴의 이용 횟수를 누적하여 계산하여 각 메뉴별 이용 횟수 정보를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메뉴 리스트 정보 및 각 메뉴별 이용 횟수 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최다 이용메뉴 리스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최다 이용메뉴 산출모듈;When an event for a predetermined menu occurs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corresponding menu is accumulated and stored,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each menu is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and the menu lis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And a maximum usage menu calculation module for selectively extracting usage count information for each menu and outputting a maximum usage menu list. 상기 단말 제어부의 제어 하에 소정 메뉴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메뉴의 이용한 시간을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메뉴 리스트 정보 및 각 메뉴의 이용한 시간 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최근 이용메뉴 리스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최근 이용메뉴 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근 이용메뉴 정보 및 최다 이용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When an event for a predetermined menu occurs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the time used for the menu is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and the menu lis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and time information for each menu are selectively extract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the latest use menu information and the most used menu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ent use menu analysis module that serves to output a list of the recently used menu.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최다 이용메뉴 산출모듈 및 상기 최근 이용메뉴 분석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최다 이용메뉴 리스트 및 상기 최근 이용메뉴 리스트를 특정의 레벨로 정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메뉴 레벨 설정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근 이용메뉴 정보 및 최다 이용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most used menu calculation module and the most recently used menu analysis module serves to arrange the most used menu list and the recent used menu list to a specific leve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the most recently used menu information and the most used menu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menu level setting module.
KR1020040114162A 2004-12-28 2004-12-28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vail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f most used menu and recent used menu KR2006007538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162A KR20060075382A (en) 2004-12-28 2004-12-28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vail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f most used menu and recent used menu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162A KR20060075382A (en) 2004-12-28 2004-12-28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vail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f most used menu and recent used menu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382A true KR20060075382A (en) 2006-07-04

Family

ID=3716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4162A KR20060075382A (en) 2004-12-28 2004-12-28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vail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f most used menu and recent used menu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5382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982B1 (en) * 2006-10-24 2008-06-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 of mobile terminal
KR100895582B1 (en) * 2007-07-11 2009-04-2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information of communication terminal
KR101340320B1 (en) * 2009-06-29 2013-12-11 지티이 코포레이션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subband index
WO2016058420A1 (en) * 2014-10-14 2016-04-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Appl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982B1 (en) * 2006-10-24 2008-06-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 of mobile terminal
KR100895582B1 (en) * 2007-07-11 2009-04-2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information of communication terminal
KR101340320B1 (en) * 2009-06-29 2013-12-11 지티이 코포레이션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subband index
US8817720B2 (en) 2009-06-29 2014-08-26 Zte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subband index
WO2016058420A1 (en) * 2014-10-14 2016-04-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Appl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1451B2 (en) Method for searching menu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127250B2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items in a mobile device
CN104731450B (en) Device and method for showing user interface
CN100483311C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ts. having hierarchical menu system and dynamic menu
CN100354808C (en) Device with a graphic user interface
US73082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ioritized interface design
EP0891066A2 (en) Adaptable menu-controlled man-machine interface.
CN101682667A (en) Method and portable apparatus for searching items of different types
KR20060075382A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vail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f most used menu and recent used menu
KR100390364B1 (en) Method for operating menu in mobile station
KR100817811B1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lized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51141B1 (en) Method for realizing a menu using mobile phone
KR20040048495A (en) Frequently Serch Function Working Method for Internet Brows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20020080175A (en) Menu configura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56630B1 (en) Mobile phone of menu moving algorithm
KR101030716B1 (en) Method for display menu scree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1257762A (en) Mobile terminal and function selection method use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0608789B1 (en) Information searching method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00692638B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 navig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02452A (en) Method for searching menu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571320B1 (en) How to search menu on mobile terminal
KR200369021Y1 (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table a Pointer
CN1913517B (en) Computer radio modem device of data terminal and using method thereof
KR20050026729A (en) Method for restructuring menu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42657A (en) Method for managing schedul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