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5061A -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키버튼 장치 - Google Patents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키버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5061A
KR20060075061A KR1020040113616A KR20040113616A KR20060075061A KR 20060075061 A KR20060075061 A KR 20060075061A KR 1020040113616 A KR1020040113616 A KR 1020040113616A KR 20040113616 A KR20040113616 A KR 20040113616A KR 20060075061 A KR20060075061 A KR 20060075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key button
electromotive force
ke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3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단
송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113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5061A/ko
Publication of KR20060075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2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actuated by movement of a float carrying a magnet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키버튼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키 신호를 발생시키고, 같은 극성의 자석간에 발생하는 척력을 이용하여 키버튼을 원복시킴으로써,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키버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메인기판; 상기 메인기판의 상부에 설치된, 코일이 감긴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기판의 상부에 설치된 제1자석; 키버튼 하측면의 상기 제1자석에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석과 마주하는 면은 상기 제1자석과 같은 극성을 갖고, 상기 키버튼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에 감긴 코일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켜 키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자석과의 사이에 척력을 통해 상기 키버튼을 원복시키는 제2자석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키버튼, 자석, 유도기전력

Description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키버튼 장치{Keybutton Apparatus Using Induced Electromotive Force}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키버튼 장치의 일실시예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키버튼 장치의 일실시예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버튼 장치에서 키 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는 일실시예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버튼 장치에서 눌렸던 키버튼이 원 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일실시예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키버튼 202 : 케이스
203 : 메인기판 204 : 플레이트
205 : 코일 206 : 동작 자석
207 : 반발 자석
본 발명은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키버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키 신호를 발생시키고, 같은 극성의 자석간에 발생하는 척력을 이용하여 키버튼을 원복시키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키버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디지털 캠이나 게임 프로그램 등이 내장되어 있어 키버튼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증가하고 있는 키버튼 사용에 대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치는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버튼 장치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돔(Dome)을 구비하여 키 신호를 발생시키고 키버튼을 원복시킨다. 따라서, 증가하고 있는 키버튼 사용에 대해 내구성은 한계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키버튼 장치의 일실시예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키버튼 장치는, 키버튼(101), 키버튼(101)을 둘러싼 케이스(102), 메인기판, 예를 들면 인쇄 회로 기판(103), 상기 키버튼(101)과 상기 메인기판(103) 사이에 위치하는 돔(104)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키버튼(101)을 누르면 그 힘은 돔(104)으로 전달되고, 돔(104)은 메인기판(103)에 닿으면서 신호를 보내고, 돔(104)이 원래 형상을 찾는 복귀력으로 키버튼(101)은 제자리로 원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키버튼 장치는 돔(104)의 내구성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잦은 키버튼 사용에 적당하지 않으며, 또한 키버튼(101)을 누르는 힘이 돔(104)을 통해 메인기판(103)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메인기판(103) 자체의 균열이나 메인기판(103)에 위치하는 부품들의 접합 부분에 균열을 야기시켜 단말 자체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키 신호를 발생시키고, 같은 극성의 자석간에 발생하는 척력을 이용하여 키버튼을 원복시킴으로써,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키버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메인기판; 상기 메인기판의 상부에 설치된, 코일이 감긴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기판의 상부에 설치된 제1자석; 키버튼 하측면의 상기 제1자석에 대칭되는 위치 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석과 마주하는 면은 상기 제1자석과 같은 극성을 갖고, 상기 키버튼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에 감긴 코일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켜 키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자석과의 사이에 척력을 통해 상기 키버튼을 원복시키는 제2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뿐만 아니라 키버튼이 적용되는 모든 장치에 사용될 수 있음을 분명히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키버튼 장치의 일실시예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버튼 장치는, 키버튼(201), 키버튼(201)을 감싸고 있는 케이스(202), 메인기판(203), 상기 메인기판(203) 상부에 설치된 플레이트(204), 상기 플레이트(204)를 둘러싼 코일(205), 상기 키버튼(201)의 저면에 부착된 동작 자석(206) 및 상기 플레이트(204) 하부에 설치된 반발 자석 (207)을 포함한다.
이 때, 동작 자석(206)과 반발 자석(207)은 마주보는 면의 극성이 서로 같고, 플레이트(204)는 단면이 원형 뿐만 아니라 다각형의 모양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코일을 지나는 자기장에 변화가 생기면 코일에는 그 자기장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유도기전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을 패러데이의 법칙이라고 한다.
사용자가 키버튼(201)을 누르면 상기 동작 자석(206)이 상기 플레이트(204) 내부를 통과하고, 상기 패러데이의 법칙에 의해 코일에는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키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키버튼(201)을 누르지 않으면, 동작 자석(206)과 반발 자석(207) 사이에는 척력이 생겨 반발 자석(207)은 동작 자석(206)을 밀어낸다. 따라서, 키버튼(201)은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버튼 장치에서 키 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는 일실시예 도면이다. 여기서, 도 2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키버튼(201)이 눌리면 키버튼(201)의 저면에 부착된 동작 자석(206)은 코일(205)이 감겨진 플레이트(204)를 통과하게 되고, 패러데이의 법칙에 의해 유도기전력과 유도전류가 발생하며, 상기 유도전류는 키버튼(201)이 눌렸다는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버튼 장치에서 눌렸던 키버튼이 원 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일실시예 도면이다. 여기서, 도 2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키 신호가 전송되고, 동작 자석(206)이 반발 자석(207)에 근접하게 내려오며, 사용자가 키버튼(201)에 가하는 힘을 빼면, 동작 자석(206)과 반발 자석(207) 사이에는 척력이 생겨 동작 자석(206)은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이 때, 동작 자석(206)과 반발 자석(207)의 마주보는 면은 극성이 서로 같다. 이 때, 반발하는 힘은 종래 키버튼 장치에서의 돔(dome)과 같은 터치감을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자석을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직접적으로 메인기판으로 힘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 자체의 성능에도 영향을 주지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메인기판;
    상기 메인기판의 상부에 설치된, 코일이 감긴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기판의 상부에 설치된 제1자석;
    키버튼 하측면의 상기 제1자석에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석과 마주하는 면은 상기 제1자석과 같은 극성을 갖고, 상기 키버튼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에 감긴 코일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켜 키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자석과의 사이에 척력을 통해 상기 키버튼을 원복시키는 제2자석
    을 포함하는 키버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감긴 코일의 권선수와 상기 제1, 2자석의 자력를 조절하여 상기 유도기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버튼 장치.
KR1020040113616A 2004-12-28 2004-12-28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키버튼 장치 KR20060075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616A KR20060075061A (ko) 2004-12-28 2004-12-28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키버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616A KR20060075061A (ko) 2004-12-28 2004-12-28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키버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061A true KR20060075061A (ko) 2006-07-04

Family

ID=3716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3616A KR20060075061A (ko) 2004-12-28 2004-12-28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키버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50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7033A2 (ko) * 2010-10-07 2012-04-12 Kim Sung-Su 내구성이 강하며 터치감을 주는 기계식 키의 구조
WO2015034270A1 (ko) * 2013-09-03 2015-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7033A2 (ko) * 2010-10-07 2012-04-12 Kim Sung-Su 내구성이 강하며 터치감을 주는 기계식 키의 구조
WO2012047033A3 (ko) * 2010-10-07 2012-05-31 Kim Sung-Su 내구성이 강하며 터치감을 주는 기계식 키의 구조
WO2015034270A1 (ko) * 2013-09-03 2015-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5518817A (zh) * 2013-09-03 2016-04-20 三星电子株式会社 包含按键的电子装置
US9953775B2 (en) 2013-09-03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 button
US10424445B2 (en) 2013-09-03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 butt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6901B2 (en) Key press registr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with moveable housings
KR101250288B1 (ko) 햅틱 엑추에이터
EP1265261A3 (en) Keypad for mobile phone with electroluminescent element
US8184103B2 (en) Mobile terminal having moving keypad
US20230197323A1 (en) Electro-permanent-magnet-based force profile for an input element on an input device
CN101651053A (zh) 侧键组件及应用该侧键组件的便携式电子装置
CN110703931B (zh) 滑鼠
CN102880297A (zh) 键盘
KR101664495B1 (ko) 휴대 단말기 촉각 피드백 장치
CN205582794U (zh) 手机及其磁性按键
US8013266B2 (en) Key button and key assembly using the key butt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keypad assembly
JP2016201140A (ja) 電子機器
KR20060075061A (ko)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키버튼 장치
TWI386961B (zh) 按鍵行程可調節的鍵盤及使用該鍵盤的電子裝置
JP5489213B2 (ja)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100611001B1 (ko) 누름 및 슬라이딩 스위칭 동작이 가능한 사이드 키를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CN106486309B (zh) 一种按键结构及电子设备
KR20060041981A (ko) 클릭 스프링과 클릭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
JP2012022793A (ja) シートスイッチ及び入力装置
CN106298301B (zh) 一种弹性按键及其终端设备
US20050248472A1 (en) Smart key exclusively for telephones calculator, remote controller and camera
KR101452970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KR20070071400A (ko) Fsr 센서를 이용한 키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CN209417705U (zh) 一种电子设备触屏控制器及电子设备组件
JP2000306465A (ja) キーボ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