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4622A - Structure of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4622A
KR20060074622A KR1020040113395A KR20040113395A KR20060074622A KR 20060074622 A KR20060074622 A KR 20060074622A KR 1020040113395 A KR1020040113395 A KR 1020040113395A KR 20040113395 A KR20040113395 A KR 20040113395A KR 20060074622 A KR20060074622 A KR 20060074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foreign matter
dust collecting
bas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33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재호
황만태
김영호
황정배
정회길
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3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4622A/en
Publication of KR20060074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62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조는 진공 청소기의 저면이 보호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놓이는 커버(200); 및 상기 커버(200)와 상기 베이스가 각각 상/하 측에 결합되는 서포터(170)가 포함된다.Th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or protecting the bottom of the vacuum cleaner; A cover 200 placed above the base; And a supporter 170 to which the cover 200 and the base are coupled to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본 발명에 의해서 진공 청소기의 일부 측면에 내력벽이 없으면서도, 진공 청소기의 본체강도는 저하되지 않기 때문에, 기기의 안정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보다 넓은 진공 청소기의 간격을 통하여 집진유닛의 내부 상태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증진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strength of the vacuum cleaner is not lowered even though there are no bearing walls on some side surfaces of the vacuum cleaner,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device is increased. And, since the internal stat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can be observed through a wider vacuum cleaner,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진공 청소기, 전방 서포터Vacuum cleaner, front supporter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구조{Structure of vacuum cleaner}Structure of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의 정면 사시도.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유닛의 분리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서포터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front supp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유닛의 분해 사시도.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3의 Ⅰ-Ⅰ'의 단면도.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3.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세로 단면도.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70 : 전방 서포터 179 : 상측 지지부170: front supporter 179: upper support

180 : 세로대 181 : 보강리브180: vertical rod 181: reinforcing rib

182 : 하측 지지부 183 : 안착 가이드182: lower support 183: seating guide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싸이클론 집진유닛이 내장되는 경우에 적합한 진공 청소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강도가 개선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안전성이 개선되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suitable when a cyclone dust collecting unit is buil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vacuum cleaner is improved, thereby improving safety in use.

진공 청소기는 기기 내부의 진공압에 의해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이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외부 환경에 대한 청소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상기 진공 청소기는 흡입된 공기 중에서 이물이 걸러지도록 하기 위해서, 소정의 필터링 장치에 의해서 이물이 걸러지는 집진유닛이 내부에 놓여있다.The vacuum cleaner is a device for cleaning the external environment by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by the vacuum pressure inside the device. In the vacuum cleaner, in order to filter foreign matter from the sucked air, a dust collecting unit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s placed therein by a predetermined filtering device.

한편, 상기 필터링 장치는, 공기가 매체를 통과되는 중에 이물이 여과되는 다공성 재질의 필터와, 공기의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이물이 공기 중에서 제거되는 싸이클론 방식의 필터가 있다. 그리고, 상기 다공성 재질의 필터는 이물이 침착된 경우에 떼어내어 청소를 하거나, 이물이 많이 침착되면 버려야되기 때문에, 계속해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싸이클론 방식의 필터는 공기의 싸이클론 유동 중에 이물이 공기의 회전기류에 의해서 분리 제거되도록 하기 때문에, 필터에 침착되는 문제가 없다. 이러한 배경에 의해서 근래들어서는 상기 싸이클론 방식의 필터가 적용되는 싸이클론 집진유닛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ltering device includes a filter of a porous material in which foreign matter is filtered while the air is passed through the medium, and a cyclone-type filter in which foreign matter is removed from the air by cyclone flow of air. In addition, the filter of the porous material is removed when the foreign matter is deposited, or cleaned, or if a lot of foreign matter is deposit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continuously. On the other hand, the cyclone-type filter allows the foreign matter to be separated and removed by the rotary airflow of the air during the cyclone flow of air, there is no problem deposited on the filter. Background Art In recent years, the use of the cyclone dust collecting unit to which the cyclone filter is applied has been increasing.

한편, 싸이클론 집진유닛은 내부에 먼지가 적층되어 쌓이기 때문에, 집진유닛의 내부에 어느 정도의 이물이 쌓였는지를 육안으로 보고서 관찰을 할 필요가 있다. 즉, 싸이클론 집진유닛의 내부에 이물이 쌓여있는 정도를 파악하고, 일정정도 이상으로 이물이 쌓여 있는 경우에는 이를 확인한 뒤에, 집진유닛을 비워야 되는 필요가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yclone dust collecting unit accumulates and piles up dust inside, it is necessary to visually observe how much foreign matter has accumulat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unit. That is, the degree of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cyclone dust collecting unit, and if the foreign matter is accumulated in a certain degree or more, after confirming this, it is necessary to empty the dust collecting unit.                         

이와 같은 필요에 의해서 싸이클론 집진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진공 청소기 본체의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즉, 진공 청소기 본체의 일측이 열리도록 하여 본체의 어느 측에는 케이스가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When the cyclone dust collecting unit is used by such a need, a part of the vacuum cleaner body is formed to be opened. That is, one side of the vacuum cleaner body is opened so that the case is removed on either side of the body, so that the inside can be observed.

그러나, 이와 같이 진공 청소기 본체의 일측에서 케이스가 없어지는 경우에는 진공 청소기 본체의 자체적인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다시 말하면, 케이스가 제거되면 없어진 케이스 만큼의 내력벽이 없어지기 때문에, 외부의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진공 청소기가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However, when the case disappears from one side of the vacuum cleaner body as described above, a problem occurs that the strength of the vacuum cleaner body itself decreases. In other words, when the case is removed, the bearing wall of the case disappears as much as it disappears, so that the vacuum cleaner may be damaged even by a small external impact.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진공 청소기의 일부 측면이 개구되면서도 진공 청소기의 본체 강도는 저하되지 않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in which a body strength of the vacuum cleaner does not decrease while some side surfaces of the vacuum cleaner are opened.

또한, 본 발명은 싸이클론 집진유닛의 내부에 쌓여있는 이물이 눈으로 관찰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이 없어지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that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cyclone dust collecting unit is observed by the eyes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조는 진공 청소기의 저면이 보호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놓이는 커버(200); 및 상기 커버(200)와 상기 베이스가 각각 상/하 측에 결합되는 서포터(170)가 포함된다.Th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se on which the bottom of the vacuum cleaner is protected; A cover 200 placed above the base; And a supporter 170 to which the cover 200 and the base are coupled to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제안되는 바와 같은 진공 청소기의 구조에 의해서, 사용자의 편의는 증진되 면서도, 진공 청소기의 강도문제는 해소되어 기기의 내구성이 증진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By th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as proposed, while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the strength problem of the vacuum cleaner can be solved to obtain the advantage that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can be improv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에는 진공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흡입측에 연결되는 흡입관로가 포함된다.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흡입팬 및 집진유닛이 놓여서, 흡입된 공기 중에서 이물이 걸려져 깨끗해진 뒤에, 외부로 배출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cuum cleaner body 100 and a suction pipe path connected to the suction side of the vacuum cleaner body 100. At least a suction fan and a dust collecting unit are disposed inside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0, and foreign substances are caught and cleaned in the sucked air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흡입관로는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흡인력에 의해서 공기와 함께 이물이 흡입되는 관로이다. 상세하게, 상기 흡입관로는 강한 공기 유동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공기와 함께 이물 및 먼지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노즐체(1)와, 상기 흡입 노즐체(1)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따라서 길이가 신축적으로 늘어나는 연장관(2)과, 상기 연장관(2)의 단부에 제공되는 동작 핸들(3)과, 상기 동작 핸들(3)의 전방에 사용자의 손이 닿는 부분에 제공되는 조작부(4)와, 상기 동작 핸들(3)에서 후방으로 더 연장되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서 구부러지는 플렉시블 관(5)과, 상기 플렉시블 관(5)의 단부에서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와 연결되는 커넥터(6)와, 상기 연장관(2) 또는 흡입 노즐체(1)의 소정 위치에 놓여 진공 청소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 연장관(2)이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연장관 걸이(7)가 포함된다. The suction pipe is a pipe in which foreign matter is sucked together with air by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0. In detail, the suction pipe passage includes a suction nozzle body 1 for sucking foreign matter and dust together with air from the outside by a strong air flow, and a length extending from the suction nozzle body 1 according to a user's use state. A stretchable extension tube 2, an operation handle 3 provid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tube 2, and an operation unit 4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user's hand touches the front of the operation handle 3; And a flexible tube 5 further extending rearward from the operation handle 3 and b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and a connector 6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body 100 at an end of the flexible tube 5. And an extension tube hook 7 for placing the extension tube 2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extension tube 2 or the suction nozzle body 1 when the vacuum cleaner is not used.                     

상기 커넥터(6)는 상기 조작부(4)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 신호가 진공 청소기 본체(100)로 인가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단자의 기능과, 흡입된 공기가 진공 청소기 본체(6)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이 동시에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넥터(6)의 단부에는 복수개의 전기 연결단이 더 제공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6)는 흡입관로의 어느 부분에 상기 조작부(4)가 놓일 경우에만 필요한 것으로서, 본원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상기 조작부(4)가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어느 곳에 형성되는 경우에, 커넥터(6)는 상기 신호 연결단이 없이 공기의 유입통로로서의 기능만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connector 6 has a func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for allowing the user's operation signal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4 to be applied to the vacuum cleaner body 100, and to allow the sucked air to flow into the vacuum cleaner body 6. The function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o this end,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nection ends are further provided at the ends of the connector 6.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or 6 is necessary only when the operation unit 4 is placed in any part of the suction pip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when the operation unit 4 is formed anywhere in the vacuum cleaner body 100, the connector 6 may allow only the function as the inflow passage of air without the signal connection end.

또한, 상기 흡입관로를 통하여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이물이 걸러지고 깨끗해진 뒤에,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0 through the suction pipe pass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0 after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and cleaned inside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0.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vacuum cleaner body 100 will be described.

도 2는 진공 청소기 본체의 정면 사시도이다.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body.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진공 청소기 본체의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 제공되는 제 1 베이스(110)와, 상기 제 1 베이스(110)의 직근 상측에 놓이는 제 2 베이스(150)와, 상기 본체(100)의 후부의 양측에 제공되어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이동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바퀴(111)와,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상측부에 제공되는 커버(200)와, 본체(100)의 전방부에서 상기 커버(200)와 상기 베이스(110)(150)가 연결되어 양자간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전방 서포터(170)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body will be described. In the vacuum cleaner body 100, a first base 11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and the first base ( The second base 150 plac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110, the wheels 11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o smoothly move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0, and the vacuum cleaner A cover 200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a front supporter which is firmly supported between the cover 200 and the base 110 and 150 at a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 170).                     

상기 전방 서포터(170)에는 상기 커넥터(6)가 연결되어 외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 서포터(170)는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부의 형상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Of course, the connector 6 is connected to the front supporter 170 to allow outside air to be sucked. In addition, the front supporter 170 allows the shape of the front part of the vacuum cleaner body 100 to be firmly supported.

상기 제 2 베이스(150)는 상기 제 1 베이스(110)의 직근 상방에 제공되어 제품의 형상이 미려하게 유지되고,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하측부의 강도가 증가되도록 한다. The second base 150 is provided directly above the first base 110 so that the shape of the product is beautifully maintained and the strength of the lower side of the vacuum cleaner body 100 is increased.

상기 커버(200)의 후방에는 본체 배기구(302)가 형성되는 배기커버(301)가 제공되어, 진공 청소기 본체(100)에 의해서 깨끗해진 공기가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00)의 상면에는 소정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이동핸들(201)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핸들(201)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움직임으로써, 진공 청소기 본체(100)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직립되고 보관시에는 뉘어져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An exhaust cover 301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ver 200 to form a main body exhaust port 302 so that the air cleaned by the vacuum cleaner body 100 is discharged. In addition, a movable handle 20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00 to rotate around a predetermined hinge point. The movement handle 201 is moved by the user's operation, so that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0 is upright when the user wants to move it, and when it is stored, the mobile handle 201 can be conveniently used.

상기 전방 서포터(170)의 후방에는 집진유닛(400)이 안착되어 외기가 유입되고, 상기 집진유닛(400)의 내부에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이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싸이클론 부재가 수용된다. At the rear of the front supporter 170, a dust collecting unit 400 is seated and outside air is introduced therein, and a cyclone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to filter foreign matter by cyclone flow.

도 3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집진유닛(400)은 진공 청소기 본체(100) 내부의 집진 유닛 수용부(151)에 상하 방향으로 안착된다. 그러므로, 장착시에는 하방으로 누르고, 탈거시에는 상측으로 당기면 된다.As shown in FIG. 3,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s seat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mmodating part 151 inside the vacuum cleaner body 100.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ush downward when mounting and pull upward when removing.

상기 전방 서포터(170)에는 본체 흡입구(17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흡입구(171)와 정렬되는 상기 집진유닛(400) 상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집진유닛 흡 입구(401)가 위치한다. 그리고, 집진유닛(400)에서 상기 집진유닛 흡입구(401)와 반대되는 방향에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는 모터측 흡입구(172)와 정렬되어 집진유닛(400)을 통과하며 깨끗해진 공기가 모터측으로 흡입된다.The front supporter 170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suction port 171, and a dust collecting unit suction inlet 401 is position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aligned with the main body suction port 171. In addition, a discharge port is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ust collecting unit suction port 401.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is aligned with the motor side suction port 172 and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and the clean air is sucked to the motor side.

또한, 상기 배출구와 상기 모터측 흡입구(172)는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크기를 줄이고 공기가 원활히 유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납작한 직 사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된다. In addition, the outlet and the motor side inlet 172 is provided in a flat rectangular shape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vacuum cleaner body 100 and to allow the air to flow smoothly.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서는 진공 청소기 전방부의 측벽이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의 개구된 부분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유닛(400)이 안착되는 경우에는 손쉽게 집진유닛(400)의 내부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물이 쌓여있는 정도를 파악하여 정확한 시기에 집진유닛(400) 내부의 이물을 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vacuum clean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since the side wall of a vacuum cleaner front part is opened, the opening part of a front part can be observed visually. In addition, when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s seated, since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can be easily seen, the foreign matter inside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can be emptied at an accurate time by grasping the degree of accumulation of the foreign matter. There is an advantag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베이스(110)의 상측부에서 앞쪽에는 상기 제 2 베이스(150)가 놓이고, 뒷쪽에는 상기 모터 하우징(300)이 놓인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상기 커버(200)가 덮혀져서 진공 청소기의 본체(100)가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base 150 is placed in fron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ase 110, and the motor housing 300 is placed in the rear thereof. Then, the cover 200 is sequentially covered to form a main body 100 of the vacuum cleaner.

여기서, 상기 커버(200)는 상기 전방 서포터(170)가 별도의 부분으로서 상기 커버(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10)(15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하우징(300)에서는 상기 모터측 흡입구(17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동 방향이 수직으로 꺾여서 하방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된 공기는 모터 하우징(300)에서 유동 방향이 수평으로 꺾여서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Here, the cover 200 is coupled to the base 110 and 150 in a state where the front supporter 170 is fastened to the cover 200 as a separate part. In the motor housing 300, the air sucked through the motor side inlet 172 flows downward in a vertical direction. Then, the introduced air is discharged to the rear by bending the flow direction in the motor housing 300 horizontally.                     

또한, 상기 전방 서포터(170)는 상기 커버(200)의 일부분과 정렬되어 같이 결합되고, 상기 전방 서포터(170)의 하측은 상기 베이스(110)(150)에 결합된다. 상기 전방 서포터(170)에 진공 청소기 본체(100)에서 특히 취약한 전방부의 강도가 강하게 개선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supporter 170 is coupled to be aligned with the portion of the cover 200,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upporter 170 is coupled to the base (110, 150). The strength of the front part, which is particularly vulnerable in the vacuum cleaner body 100, to the front supporter 170 may be strongly improved.

이하에서는 상기 전방 서포터(17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front supporter 1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서포터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front supp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 서포터(170)에는 상측부에 제공되는 상측 지지부(179)와, 하측부에 제공되는 하측 지지부(182)와, 상기 상측 지지부(179) 및 하측 지지부(182)의 사이에 개입되어 양자가 지지되는 세로대(180)가 포함된다. 상기 세로대(180)에는 다수의 보강리브(181)가 제공되어 세로대(180)의 관성 모멘트가 커지도록 하여 외부의 충격에 대해서 강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front supporter 170 includes an upper support part 179 provided at an upper part, a lower support part 182 provided at a lower part, and an upper support part 179 and a lower support part 182. Included is a longitudinal pole 180 interposed between and supported by both. The longitudinal pole 18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81 to increase the moment of inertia of the longitudinal pole 180 to be strongly supported against external impact.

또한, 상기 상측 지지부(179)에는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결부(184)가 제공되고, 상기 하측 지지부(182)에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결부(185)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upper support part 179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on part 184 extending in an upward direction, and the lower support part 182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nection part 185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상세하게, 상기 제 1 연결부(184)는 상기 커버(200)의 일부분과 정렬되고, 정렬된 지점에서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상측 스크류(186)가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상측 지지부(179)와 상기 커버(20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185)는 상기 제 1 베이스(110) 및 제 2 베이스(150)와 정렬되고, 정렬된 지점에서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하측 스크류(187)가 삽입된다. 상기 하측 스크류(187)에 의해서 상기 제 1 베이스(110), 제 2 베이스(150), 및 하측 지지부(182) 가 함께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측 스크류(187)에 의해서 세 가지 부품이 함께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방 서포터(170)와 상기 베이스(110)(150)와의 결합은 더욱 견고해지는 장점이 있다. In detail, the first connector 184 is aligned with a portion of the cover 200, and the upper screw 186 is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t the aligned point. By this configuration, the upper support part 179 and the cover 200 are coupled.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part 185 is aligned with the first base 110 and the second base 150, and the lower screw 187 is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t the aligned point. The first base 110, the second base 150, and the lower support part 182 are coupled together by the lower screw 187. As such, by combining the three parts by the lower screw 187, the coupling between the front supporter 170 and the base 110, 150 has an advantage that it is more robust.

또한, 상기 전방 서포터(170)가 고정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전방 서포터(170)가 상기 커버(200)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 서포터(170)와 커버(200)가 일체로 된다. 그 뒤에, 상기 전방 서포터(170)와 상기 베이스(110)(150)가 상호 간에 정렬된다. In addition, the order in which the front supporter 170 is fixed will be described. First, the front supporter 170 is fixed to the cover 200 so that the front supporter 170 and the cover 200 are integrated. Thereafter, the front supporter 170 and the base 110, 150 are aligned with each other.

이때, 상기 제 1 베이스(110) 및 제 2 베이스(150)는 상호간에 정확한 위치로 정렬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 서포터(170)와 상기 베이스(110)(150)간의 정렬이 쉽게 가이드되고, 상기 베이스(110)(150)와 전방 서포터(170) 간의 결합강도가 높아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베이스(150)의 상측에는 안착 가이드(183) 두 개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안착 가이드(183)의 사이에는 상기 하측 스크류(187)가 삽입되는 보스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하측 지지부(182)에는 상기 안착 가이드(183)와 대응되는 형상의 구조물이 더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base 110 and the second base 150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t the correct position.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alignment between the front supporter 170 and the base 110 and 150 to be easily guided, and the coupling strength between the base 110 and 150 and the front supporter 170 is increased, the second Two mounting guides 183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150. And, between the seating guide 183 is formed a boss into which the lower screw 187 is inserted. Of course, the lower support portion 182 is further formed with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guide 183.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전방 서포터(170)는 안착 가이드(183)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110)(150)상의 정확한 위치에 손쉽게 놓일 수 있게 된다. By this configuration, the front supporter 170 can be easily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on the base 110, 150 by the seating guide 183.

그리고, 상기 전방 서포터(170)가 상기 베이스(110)(150)상의 정확한 위치에 놓인 뒤에는, 상기 하측 스크류(187)가 제 1 베이스(110), 제 2 베이스(150), 및 하측 지지부(182) 전체에 대하여 삽입됨으로써, 양자가 완벽하게 결합된다. And, after the front supporter 170 is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on the base 110, 150, the lower screw 187 is the first base 110, the second base 150, and the lower support 182 By inserting the whole, the two are perfectly combined.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일 측벽이 열리게 됨으로써, 진공 청소기 본체의 일 부분에서 내력벽이 제공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진공 청소기 본체의 전방부에서 진공 청소기의 기기 강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전방 서포터(170)가 제공되기 때문에, 진공 청소기의 강도에는 문제가 없다. 또한, 상기 전방 서포터(170)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이 되면서도, 강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강도와 관련되는 문제는 발생되지 아니한다. As will be described, one side wall of the vacuum cleaner body 100 is opened so that the strength of the vacuum cleaner is maintained at the front of the vacuum cleaner body even when the bearing wall is not provided at one portion of the vacuum cleaner body. Since the front supporter 170 is provided, there is no problem in the strength of the vacuum cleaner. In addition, the front supporter 170 is manufactured as a separate component, but because it is strongly coupled, the problem associated with the bonding strength does not occur.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진 유닛(400)은 스펀지등과 같은 다공성의 필터가 사용되지 아니하고, 싸이클론 유동에서 이물이 걸러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 유동은 서로 분리되는 두개소 이상의 분리챔버에서 각각 수행되도록 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까지 완전하게 필터링되도록 하는 것에 일 특징이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porous filter such as a sponge or the like, and filters foreign matter from the cyclone flow. In addition, the cyclone flow may be performed in two or more separation chamb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ne dust in the air may be completely filtered.

상세하게 설명하면, 복수 개의 이물분리챔버(도 7의 423, 424참조)와 복수개의 이물저장챔버(도 7의 417, 416참조)가 형성되는 집진바디(406)와, 상기 집진바디(406)의 하측부에 밀폐로 제공되어, 상기 이물저장챔버(416)(417)에 저장되는 이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챔버 실링부(415)(402)와, 상기 집진바디(406)의 상방에 놓여서 집진바디(406)에서 배기되는 공기의 유동이 가이드되는 배기부(407)와, 상기 배기부(407)의 상방에 소정의 간격으로 제공되어 배기부(407)를 통과한 공기가 일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간격부(408)와, 상기 간격부(408)의 상방에 놓이는 커버구조(409)(410)(411)(412)가 포함된다. In detail, a dust collecting body 406 having a plurality of foreign matter separating chambers (see 423 and 424 of FIG. 7) and a plurality of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s (see 417 and 416 of FIG. 7) and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It i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and the chamber sealing parts 415, 402 and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is placed above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stored 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417) to leak The exhaust part 407 to which the flow of the air exhausted from the body 406 is guided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bove the exhaust part 407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xhaust part 407 is directed in one direction. And a cover structure 409, 410, 411, and 412 placed above the spacer 408.

상세하게, 상기 커버구조는 모체를 이루는 제 1 커버(410)와, 상기 제 1 커버(4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놓이는 제 3 커버(412) 및 제 2 커버(409)와, 상기 제 1 커버(410)와 제 2 커버(409)가 같이 고정되도록 하는 커버 삽지구(411)가 포함된다. 상기 커버 삽지구(411)는 상기 제 1 커버(410) 상면부의 일부분을 덮어서 외관이 아름답게 구현되고, 상기 제 1 커버(410) 및 제 2 커버(409)가 동시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이 수행된다.In detail, the cover structure includes a first cover 410 that forms a parent, a third cover 412 and a second cover 409 which are respectively placed in front and rear of the first cover 410, and the first cover 410. A cover insertion hole 411 for fixing the cover 410 and the second cover 409 together is included. The cover insertion slot 411 covers a part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cover 410 so that the appearance is beautifully implemented, and the first cover 410 and the second cover 409 are simultaneously fixed.

상기 집진바디(406)의 내부에는, 싸이클론 유동에서 오물 분리가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는 원추형 필터(405)와, 상기 원추형 필터(405)의 하방에 놓여서 포집된 이물의 재비산을 방지하는 쉬라우드(404), 상기 쉬라우드(404)의 하방에 형성되어 회전운동되는 공기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이물이 오물저장챔버의 내부에 가라앉도록 하는 유동방지판(403)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쉬라우드(404)와 상기 유동방지판(403)은 한 몸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추형 필터(405)는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Inside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a conical filter 405 for smoothly separating the dirt in the cyclone flow, and a shroud to prevent the re-splash of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by placing below the conical filter 405 ( 404, a flow preventing plate 403 is formed below the shroud 404 to slow the flow rate of the air to be rotated, so that the foreign matter sinks inside the dirt storage chamber. Here, the shroud 404 and the flow preventing plate 403 may be formed in one body, and the conical filter 405 may be formed as a separate component.

또한, 상기 제 1 커버(410)의 일측부에는 개폐버튼(413)이 놓이고, 상기 개폐버튼(413)과 일단이 닿아서 상기 개폐버튼(413)의 푸쉬 동작에 의해서 회동운동이 수행되는 개폐레버(414)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개폐레버(414)의 타단은 상기 제 1 챔버 실링부(415)와 닿는다. 그러므로, 상기 개폐버튼(413)의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 상기 개폐레버(414)는 소정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레버(414)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 1 챔버 실링부(415)와 상기 개폐레버(414)와의 접촉부가 떨어지면, 상기 제 1 챔버 실링부(415)는 자중에 의해서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이물저장챔버(416)(417)의 내부에 포집되어 있던 이물은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 폐기된다. In addition, an opening and closing button 413 is placed at one side of the first cover 410, and on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button 413 is in contact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push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button 413 Lever 414 is included.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lever 414 contacts the first chamber sealing part 415. Therefore,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button 413,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414 is rotated about a predetermined hinge point. When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first chamber sealing portion 415 and the opening / closing lever 414 is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lever 414, the first chamber sealing portion 415 may set a hinge point by its own weight. The foreign material that is rotated about the center and collected 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s 416 and 417 is dropped by its own weight and discarded.                     

또한, 상기 챔버 실링부(415)(402)는 각각의 실링부에 의해서 이물저장챔버(415)(416)의 하측면 각각이 별도로 밀폐 실링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챔버 실링부(415)는 상기 집진바디(406)에 힌지결합되고, 이물의 폐기시에 제 1 챔버 실링부(415)가 힌지운동에 의해서 열려서 이물이 손쉽게 버려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바디(406)의 상면에는 제 1 이물분리챔버(423)와 제 2 이물분리챔버(424)를 구획하고 유로를 형성하는 분리판(437)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chamber sealing parts 415 and 402 allow each of the lower side surfaces of the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s 415 and 416 to be hermetically sealed by the respective sealing parts. In addition, the first chamber sealing part 415 is hinged to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and when discarding the foreign material, the first chamber sealing part 415 is opened by the hinge movement so that the foreign material can be easily discarded. . In addition, a separation plate 437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to partition the first foreign matter separating chamber 423 and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ng chamber 424 and form a flow path.

또한, 상기 집진바디(406)의 외측면에는 상기 배기부(407)가 집진바디(406)의 바깥쪽으로 안착될 때 위치가 용이하게 찾아지고, 삽입 동작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리브(45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459)의 상측모서리 부위는 부드럽게 만곡되도록 하여, 배기구(407)의 삽입동작이 손쉽게 수행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when the exhaust portion 407 is seat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is easily located, a plurality of guide ribs (so that the insertion operation is performed smoothly) 459 is formed. In addition,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guide rib 459 is smoothly curved, so that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exhaust port 407 can be easily performed.

도 7은 도 3의 Ⅰ-Ⅰ'의 단면도로서, 도 7을 참조하여, 집진 유닛(400)의 내부 구성 및 집진유닛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3,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and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먼저, 상기 도 6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진유닛(400)에는, 집진바디(406)와, 상기 집진바디(406)의 하측을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실링부(402)(415)와, 상기 집진바디(406)의 내부에 수용되어 집진효율을 증대시키는 원추형 필터(405)와, 포집된 이물의 재비산을 막는 쉬라우드(404)와, 싸이클론 유동의 유속이 저하되어 이물이 낙하되도록 하고, 먼지의 들뜸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판(403)과, 상기 집진바디(406)의 상측에 놓여서 상기 집진바디(406)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가 원활히 유동되도록 하는 배기부(407)와, 배기부(407)를 경 유한 공기가 일방향으로 모이도록 하는 간격부(408)와, 상기 배기부(407)의 상측부에 놓이는 커버(409)(410)(411)(412)가 도시된다. First, a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in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ust collecting body 406 and a sealing part 402 for selectively sealing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 415, the conical filter 405 accommodat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dy 406, the shroud 404 for preventing the re-splash of the collected foreign matter, and the flow velocity of the cyclone flow is reduced. A flow preventing plate 403 which allows foreign matters to fall, and prevents the lifting of dust, and an exhaust unit 407 which is disposed above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so that the air exhausted from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flows smoothly. And a spacing 408 for collecting the exhaust air 407 in one direction, and covers 409, 410, 411 and 412 placed above the exhaust 407. do.

상기 집진바디(406)의 구성을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will be described.

상기 집진바디(406)는 상하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벽이 제공되는데, 최외각에 형성되는 외벽(418)과, 상기 외벽(418)의 안쪽에 형성되는 중간벽(419)과, 상기 중간벽(419)의 안쪽에 형성되는 내벽(42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벽(419) 및 내벽(420)은, 상기 집진유닛측 흡입구(401)가 통과되는 간격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원활하게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The dust collecting body 40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lls extending up and down, the outer wall 418 formed on the outermost, the intermediate wall 419 formed inside the outer wall 418, and the intermediate wall ( An inner wall 420 formed inside 419 is included. The intermediate wall 419 and the inner wall 420 are not formed at intervals through which the dust collecting unit side suction port 401 passes, thereby allowing air to flow smoothly.

상기 외벽(418) 및 중간벽(419)의 사이 공간은 제 1 이물저장챔버(416)가 되고, 상기 중간벽(419)과 상기 내벽(420)의 사이 공간은 제 2 이물저장챔버(417)가 되고, 상기 내벽(420)의 내부 공간은 제 1 이물분리챔버(423)가 된다. 다만, 구체적으로 집진유닛(400)의 형태에 따라서, 공간의 사용상의 목적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The space between the outer wall 418 and the intermediate wall 419 is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and the space between the intermediate wall 419 and the inner wall 420 is the second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7.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wall 420 becomes the first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3. Howeve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n detail, the purpose of using the space may vary.

상기되는 구성에 의한 작용 내지 동작을 공기의 유동순서를 기준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집진유닛측 흡입구(401)를 통하여 집진유닛(4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집진유닛측 흡입구(401)는 외측으로는 상기 전방 서포터(170)와 접하고, 내측으로는 상기 제 1 이물분리챔버(423)와 연통되어 외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유닛측 흡입구(401)의 내측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상기 제 1 이물분리챔버(423)의 내주면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제 1 유입 가이드(421)가 상기 내벽(420)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The operation or operation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flow order of air. First, th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through the dust collecting unit side suction port 401. Here, the dust collecting unit side suction port 401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pporter 170 on the outside,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3 on the inside to introduce the outside air. In addition, a first inflow guide 421 is inward from the inner wall 420 so as to guide the flow direction of air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3 inside the dust collecting unit side suction port 401. Protrudes.                     

상기 제 1 이물분리챔버(423)의 내부에서 공기가 싸이클론 유동하는 중에, 이물은 하방으로 낙하되고 깨끗한 공기는 원추형 필터(405)의 개공을 통과하여 상측방향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원추형 필터(405)가 적용되는 것은, 집진유닛측 흡입구(401)가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원추형 필터(405)의 상측부에는 비교적 고속회전의 싸이클론 유동이 일어나고, 하측부에는 비교적 저속의 싸이클론 유동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즉, 고속의 싸이클론 유동에서는 이물이 외측으로 좀더 많이 치우쳐서 회전되지만, 저속의 싸이클론 유동에서는 이물질이 내측으로 좀더 많이 퍼진 상태이기 때문에, 이물이 걸러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터 부재가 원추형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uring the cyclone flow of air in the first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3, the foreign matter falls downward and clean air passes through the opening of the conical filter 405 and is discharged upward. The conical filter 405 is applied in this way because the dust collecting unit side suction port 40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the cyclone flow of the high speed rotation occurs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ical filter 405, and the relatively low speed in the lower portion. Because cyclone flow occurs. That is, in the high-speed cyclone flow, the foreign material is rotated more outwardly, but in the low-speed cyclone flow, the foreign material is spread more inward, so that the filter member is applied in a conical shape to filter the foreign material. desirable.

상기 원추형 필터(405)는 제 1 이물분리챔버(423)의 상면벽을 이루는 분리판(437)의 중심부에 안착되고, 상기 분리판(437)에서 선택적으로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원추형 필터(405)에는 다수의 개공이 형성되어 공기가 외부에서 안쪽으로 통과하여 유입되는 것은 물론이다.The conical filter 405 is seated at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plate 437 forming the upper wall of the first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3, it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plate (437). In addition, the conical filter 405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of course, the air flows in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ide.

여기서, 낙하된 이물의 재비산이 방지되기 위하여 상기 원추형 필터(405)의 하측에는 쉬라우드(404)가 놓이고,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쉬라우드(404)는 하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확장됨으로써, 이물의 상승이 차단되어 들뜨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쉬라우드(404)의 하방에는 유동방지판(40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일단 포집된 이물에 대해서는 싸이클론 공기 유동이 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물이 들뜨는 현상이 원천적으로 없어지도록 한다. Here, the shroud 404 is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ical filter 405 in order to prevent the re-splash of the falling foreign matter, as shown in the shroud 404 is extended downwards as the diameter, foreign matter The rise of is blocked and do not get excited. In addition, below the shroud 404, the flow preventing plate 403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cyclone air flow is not reached for the foreign matters once collected, so that the phenomenon of foreign matters is essentially eliminated. .

또한, 상기 제 1 이물분리챔버(423)의 내부에서 걸러진 이물은 하방의 제 1 이물저장챔버(416)에 저장된다. 여기서, 저장된 이물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이물저장챔버(416)의 하단부에는 제 1 챔버실링부(415)가 놓인다. In addition, the foreign material filtered in the first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3 is stored in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below. Here, the first chamber sealing part 415 is plac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to prevent leakage of the stored foreign material.

한편, 상기 원추형 필터(405)를 통과하여 분리판(437)의 상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대략적으로 큰 이물은 걸러진 상태이다. 그러므로, 이차적으로 미세한 이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싸이클론 유동이 더 필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더 수행되는 싸이클론 유동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conical filter 405 to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ion plate 437 is largely filtered foreign matter. Therefore, there is a further need for cyclone flow to allow secondary fines to be filtered out. Hereinafter, the cyclone flow performed furth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원추형 필터(405)를 통과한 공기는 제 2 유입가이드(422)를 통하여 복수개의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제 2 유입가이드(422)는 상기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주면을 접선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기 때문에,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챔버의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일어난다. Air passing through the conical filter 405 is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through the second inlet guide 422.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inflow guide 422 dire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in a tangential direction,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may be formed in the chamber. Cyclone flow occurs.

상기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분리되는 이물은 하방으로 낙하되어 제 2 이물저장챔버(417)에 저장된다. 그리고, 낙하된 이물이 다시금 비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하측부는 수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이물저장챔버(417)의 내부에 포집되는 이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이물저장챔버(417)의 하측부는 제 2 챔버실링부(402)에 의해서 밀폐된다.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by the cyclone flow in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is dropped downward and stored in the second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7. In order to prevent the dropped foreign material from scattering aga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ng chamber 424 is contracted.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7 is sealed by the second chamber sealing part 402 so that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second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7 does not leak.

여기서, 상기 제 2 챔버실링부(402)는 바 형태의 연결구조에 의해서 상기 제 1 챔버실링부(415)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챔버실링부(415)와 제 2 챔버실링부(402)가 바 형태의 연결구조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은, 상기 제 1 이물 저장챔버(416)의 내부용적을 크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2 챔버실링부(402)의 하단에서 제 1 챔버실링부(415) 상단까지의 이격되는 공간에는 이물이 저장되기 때문에, 이물이 보다 많이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바 형태와 같은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부재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Here, the second chamber sealing part 402 is coupled to the first chamber sealing part 415 by a bar-shaped connection structure. As such, the first chamber sealing portion 415 and the second chamber sealing portion 402 are connected by a bar-shaped connection structure to increase the internal volume of the first foreign matter storage chamber 416. . In other words, the foreign material is stored in the space space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hamber sealing part 402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chamber sealing part 415, so that a small space such as a bar shape is provided in order to accommodate more foreign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by the member which occupies.

상기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부에서 이물이 걸러진 뒤에는 배기부측 흡입구(425)를 경유하여 배기부(407)로 유입되어, 상기 배기부(407)과 간격부(408)의 사이간격의 공간에 모인다. 여기서, 상기 배기부측 흡입구(425)의 직경은 상기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경보다 축소되는데, 이와 같은 직경의 관계로 인하여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이물이 상기 배기부(407)로 함께 유동하는 가능성은 더욱 줄어드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 이물분리챔버(424)의 내주면에 모여있는 이물은 상기 배기부측 흡입구(425)를 통하여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fter the foreign material is filtered in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the foreign material is introduced into the exhaust part 407 via the exhaust part side suction port 425, and a gap between the exhaust part 407 and the spacer part 408 is provided. Gather in space. Here, the diameter of the exhaust side suction port 425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the foreign matter of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is the exhaust portion ( The possibility of flowing together with 407 can be further reduced. In other words, the foreign matter gather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oreign matter separation chamber 424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exhaust side suction port 425.

설명된 바와 같이, 두 군데의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이물이 걸러진 공기는, 상기 모터측 흡입구(172)로 유입되어 모터로 유입된다. 그리고, 모터를 통과한 뒤에는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후면으로 배기된다. As described, the air filtered by foreign matter by two cyclone flows is introduced into the motor side inlet 172 and flows into the motor. Then, after passing through the motor is exhausted to the rear of the vacuum cleaner body (100).

한편, 상기 간격부(408)의 상측부에는 소정의 커버구조가 더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전체적인 커버구조를 이루는 제 1 커버(410)과, 상기 제 1 커버(410)의 전방 및 후방을 보호하는 제 3 커버(412) 및 제 2 커버(409)와, 상기 제 1 커버(410)에 상기 제 2 커버(409)가 고정되도록 하는 커버 삽지구(411)가 제공된다.Meanwhile, a predetermined cover structure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r 408. In detail, the first cover 410 forming the overall cover structure, the third cover 412 and the second cover 409 protecting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first cover 410, and the first cover A cover insertion hole 411 is provided at 410 to fix the second cover 409.

상기되는 집진유닛(400)의 동작과 함께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전체적인 동작 내지 작용을 도 8에 제시되는 진공 청소기의 세로 단면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overall oper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body 100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8.

도 8을 참조하면, 외기는 커넥터(6)와 연결되는 본체측 흡입구(171)를 통하여 진공 청소기 본체(100)로 유입되고, 집진유닛측 흡입구(401)를 통하여 집진유닛(40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집진유닛(400)의 내부에서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은 동작 및 작용에 의해서 이물이 걸러진 뒤에, 모터측 흡입구(172)를 통하여 모터 하우징(300)의 내부로 유입된다. Referring to FIG. 8,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0 through the main body side suction port 171 connected to the connector 6, and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through the dust collection unit side suction port 401. Inflow. In addition, after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by the operation and action 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s introduced into the motor housing 300 through the motor side suction port 172.

이때, 상기 모터 하우징(300)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유입구는 상방을 향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집진유닛(400)을 통과하여 수평으로 유입된 공기는 진행방향이 꺾여서 하방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하우징(300)을 통과한 뒤에는, 진공 청소기 본체(100)의 배면에 제공되는 본체 배기구(30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At this time, the inlet is directed upward in the state in which the motor housing 300 is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 air introduced horizontally through the dust collecting unit 400 is turned downward to be directed downward. Then, after passing through the motor housing 300,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body exhaust port 302 provided on the back of the vacuum cleaner body 100.

본 발명은 상술되는 바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이러한 실시예도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propose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uch embodiment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해서 진공 청소기의 일부 측면에 내력벽이 없으면서도, 진공 청소기의 본체강도는 저하되지 않기 때문에, 기기의 안정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strength of the vacuum cleaner is not lowered even though there are no bearing walls on some side surfaces of the vacuum cleaner,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device is increased.

또한, 보다 넓은 진공 청소기의 간격을 통하여 집진유닛의 내부 상태를 관찰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증진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ternal stat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can be observed through a wider vacuum cleaner,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further enhanced.

Claims (5)

진공 청소기의 저면이 보호되는 베이스;A base on which the bottom of the vacuum cleaner is protected;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놓이는 커버(200); 및A cover 200 placed above the base; And 상기 커버(200)와 상기 베이스가 각각 상/하 측에 결합되는 서포터(170)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The cover 200 and th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supporter 170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포터(170)는 상기 베이스 및 커버의 전단부가 결합되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The supporter 170 is a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base and the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베이스는 제 1 베이스(110) 및 제 2 베이스(150)로 분리되고, 상기 서포터(170)는 제 1 베이스(110) 및 제 2 베이스(150)를 모두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결합되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The base is separated into a first base 110 and a second base 150, the supporter 170 is a vacuum coupled by a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both the first base 110 and the second base 150 Structure of the clean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포터(170)의 양측부에서 상기 커버(200)가 개구되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A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cover 200 is opened at both sides of the supporter 170.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포터(170)와 정렬되는 베이스의 소정위치에는 안착 가이드(183)가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A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in which a seating guide 183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aligned with the supporter 170.
KR1020040113395A 2004-12-27 2004-12-27 Structure of vacuum cleaner KR200600746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395A KR20060074622A (en) 2004-12-27 2004-12-27 Structure of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395A KR20060074622A (en) 2004-12-27 2004-12-27 Structure of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622A true KR20060074622A (en) 2006-07-03

Family

ID=3716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3395A KR20060074622A (en) 2004-12-27 2004-12-27 Structure of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462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429B1 (en) Vacuum cleaner
KR100633605B1 (en)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KR100553042B1 (en) Dust collecting unit of the vacuum cleaner
KR100569330B1 (en) Dust collecting unit of a vacuum cleaner
JP3926321B2 (en) Cyclone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100549990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KR100611067B1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EP2098154B1 (en) Vacuum cleaner in which a dust bag or a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selectively mounted
KR100647195B1 (en) A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KR100677982B1 (en) Motor filter mounting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JP2006110320A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it
KR100575319B1 (en)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KR20060086088A (en)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KR100697428B1 (en) Damper mounting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KR100548933B1 (en) Inlet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KR100553043B1 (en) Dust collecting unit of a vacuum cleaner
KR100676528B1 (en) Sustaining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in a vacuum cleaner
KR20060074622A (en) Structure of vacuum cleaner
KR100676533B1 (en) Air flow passage of vacuum cleaner
KR100569351B1 (en) Nozzle parking structure of vacuum cleaner
KR100596250B1 (en) Dust removing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KR100553044B1 (en)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KR101174915B1 (en) A dust collecting body structure of a vaccum cleaner
KR100596252B1 (en) Dust collecting unit in a vacuum cleaner
KR100676531B1 (en) Open/clos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