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3072A - 방송수신장치의 캡션 기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수신장치의 캡션 기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3072A
KR20060073072A KR1020040111914A KR20040111914A KR20060073072A KR 20060073072 A KR20060073072 A KR 20060073072A KR 1020040111914 A KR1020040111914 A KR 1020040111914A KR 20040111914 A KR20040111914 A KR 20040111914A KR 20060073072 A KR20060073072 A KR 20060073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caption
caption function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태
김광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3072A/ko
Publication of KR2006007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방송수신장치의 캡션 기능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캡션 기능 제어방법은, 음량 조절신호에 대응하여 방송수신장치의 음량을 조절하는 단계와, 조절된 음량과 기 설정된 기준음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조절된 음량이 기준음량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방송수신장치의 캡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방송수신장치의 음량이 일정레벨 이하가 되는 경우 자동으로 캡션 정보가 표시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 음량, 뮤트, 캡션, 활성화

Description

방송수신장치의 캡션 기능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caption function of broadcast signal receiv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캡션 기능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량 상태 표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방송수신장치 125 : 음성 검파부
130 : 음성 처리부 145 : 영상 검파부
150 : 영상 처리부 155 : 캡션 디코더
175 : 제어부 180 : 키 패널부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의 캡션 기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수신장치의 사운드 상태에 따라 캡션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또는 셋탑박스와 같은 방송수신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 이를 표시장치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러한 방송수신장치는 사운드를 통해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정보에 대한 내용을 전달한다.
그런데, 텔레비전 시청중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와 같이, 갑자기 텔레비전의 사운드를 줄이거나 뮤트(Mute) 시켜야 하는 경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정보만으로 프로그램의 내용을 파악해야 하므로 내용파악이 불명확하거나 모호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운드를 갑자기 줄여야 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캡션 기능을 활성화시키게 되면 자막을 통해 프로그램의 내용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되므로 사운드를 듣지 못해 얻게되는 답답함을 다소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캡션 기능이란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캡션 데이터를 검출하여 화면상에 표시되는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기능이다. 캡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경우 사운드에 의하지 않고도 눈으로 내용을 전달받을 수 있기 때문에 청각장애인 또는 외국어 학습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캡션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에만 활성화 되도록 구현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기능을 모르거나, 캡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모르는 사용자의 경우 사운드가 정상상태로 될 때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한정되지 않고 텔레비전 시청 환경에 따라 캡션 기 능을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방송수신장치의 사운드 상태에 연동하여 캡션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캡션 기능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캡션 기능 제어방법은, 음량 조절신호에 대응하여 방송수신장치의 음량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조절된 음량과 기 설정된 기준음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 상기 조절된 음량이 상기 기준음량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캡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션 기능 활성화 단계 전에, 상기 캡션 기능 활성화여부를 질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량 조절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캡션 기능이 활성화되는 음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0)는 튜너(110), IF 증폭 부(115), P/S 분리부(120), 음성 검파부(125), 음성 처리부(130), 영상 검파부(145), 영상 처리부(150), 캡션 디코더(155), 합성부(160), 제어부(175) 및 키 패널부(180)를 구비한다.
튜너(110)는 안테나(105)를 통해 수신되는 다수의 방송채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중간주파수(IF :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를 선국한다.
IF 증폭부(115)는 튜너(110)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수(IF)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P/S 분리부(120)는 IF 증폭부(115)에서 증폭된 중간주파수(IF) 신호로부터 영상중간주파수(PIF : Picture Intermediate Frequence)와 음성중간주파수(SIF : Sound Intermediate Frequence)를 분리하여 출력한다.
음성 검파부(125)는 P/S 분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중간주파수(SIF) 신호로부터 음성신호를 검파하여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130)는 제어부(175)의 제어에 따라 음성 검파부(125)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에 대해 베이스(Bass), 트레블(Treble), 볼륨(Volume) 등의 음성처리를 수행한다. 음성 처리부(130)에 의해 신호 처리된 음성신호는 음성 증폭부(135)에 의해 증폭된 후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된다.
영상 검파부(145)는 P/S 분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중간주파수(PIF)신호로부터 영상신호를 검파하여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150)는 영상 검파부(145)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칼라(color), 틴트(tint), 브라이트니스(brightness)등을 처리하여 영상신호에 대응하 는 R, G, B 신호를 출력한다.
캡션 디코더(155)는 제어부(175)의 제어에 따라, 방송신호의 수직귀선구간에 실려있는 캡션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캡션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캡션 자막을 위한 R, G, B 및 블랭킹신호(C')를 출력한다.
합성부(160)는 영상 처리부(150)로부터 출력되는 R, G, B, 및 휘도신호(Y)와 캡션 디코더(155)로부터 출력되는 R,G,B 및 블랭킹신호(C')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표시 구동부(165)는 합성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후단에 접속된 표시장치(170)를 구동한다. 표시장치(170)로는 브라운관(CRT) 또는 LCD가 적용될 수 있다.
키 패널부(18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방송수신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키가 마련된 키 조작부(182) 및 원격제어기인 리모콘(190)으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신호를 수광하여 제어부(175)로 출력하는 수광부(184)를 구비한다. 키 조작부(182) 및/또는 리모콘(190)에는 뮤트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뮤트키(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제어부(175)는 키 패널부(180)를 통해 입력되는 키 조작신호에 대응하여 방송수신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캡션 기능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패널부(180)를 통해 음량 조절키(예컨대, 볼륨 업/다운키) 신호가 수신되면(S210), 제어부(175)는 음량 조절키 신호에 대응하여 스피커(140)로 출력되는 음성의 음량을 조절하도록 음성 처리부(130)를 제어한다(S212).
또한, 제어부(175)는 음량 조절키 신호에 대응하여 음량 조절시 표시장치(170)에 표시되는 음량 상태 표시 화면에 캡션 기능이 활성화되는 음량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량 상태 표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참조부호 C는 캡션 기능이 활성화됨을 알리는 마크이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량 상태 표시 화면을 통해 현재의 음량은 물론 캡션 기능이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음량의 범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0 내지 7까지의 음량은 캡션 기능이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음량이고, 8이상의 음량은 캡션 기능이 자동으로 활성화되지 않는 음량이며, 현재 음량은 '5'임을 알 수 있다.
제어부(175)는 음량 조절키 신호에 대응하여 조절된 음량과 기 설정된 기준음량을 비교하여 조절된 음량이 기준음량 이하인가를 판단한다(S214). 여기서, 기준음량은 캡션 기능이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음량이다. 이 기준음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S212 단계의 비교결과 조절된 음량이 상기 기준음량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5)는 캡션 기능이 활성화 되도록 처리한다(S216). 즉, 제어부(175)는 현재 시청중인 채널에 캡션 데이터 존재유무를 검출하고, 캡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검출된 캡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도록 캡션 디코더(155)를 제어한다.
이와 달리, S212 단계의 비교결과 조절된 음량이 기준음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5)는 캡션 기능이 비활성화 되도록 처리한다(S218). 즉, 제어부 (175)는 현재 캡션 기능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며, 현재 캡션 기능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비활성화 상태를 유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캡션 기능은 뮤트 기능 활성화여부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키 패널부(180)로부터 뮤트키 신호가 수신되면(S220), 제어부(175)는 뮤트 기능 및 캡션 기능이 활성화 되도록 처리한다(S222). 즉, 제어부(175)는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을 차단하도록 음성 처리부(130)로 뮤트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현재 시청중인 채널에 포함된 캡션 데이터를 검출하여 출력하도록 캡션 디코더(155)를 제어한다. 현재 시청중인 채널에 캡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표시장치(170)에는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캡션 데이터가 표시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키 패널부(180)로부터 뮤트 기능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뮤트 기능 해제에 대응하여 캡션 기능도 자동으로 해제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키 패널부(180)로부터 뮤트키 신호가 수신되거나, 조절된 음량이 기준음량 이하인 경우 캡션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캡션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전에, 사용자에게 캡션 기능 활성화여부를 질의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뮤트 기능 해제신호가 수신되거나, 음량이 기준음량 이상으로 조절되는 경우, 캡션 기능을 종료시키기 전에 캡션 기능 종료여부를 질의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캡션 기능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도 방송수신장치의 사운드 상태에 따라 캡션 기능을 자동적으로 실행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음량 조절신호에 대응하여 방송수신장치의 음량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조절된 음량과 기 설정된 기준음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 상기 조절된 음량이 상기 기준음량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캡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션 기능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션 기능 활성화 단계 전에, 상기 캡션 기능 활성화여부를 질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션 기능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조절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캡션 기능이 활성화되는 음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션 기능 제어방법.
KR1020040111914A 2004-12-24 2004-12-24 방송수신장치의 캡션 기능 제어방법 KR20060073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914A KR20060073072A (ko) 2004-12-24 2004-12-24 방송수신장치의 캡션 기능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914A KR20060073072A (ko) 2004-12-24 2004-12-24 방송수신장치의 캡션 기능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072A true KR20060073072A (ko) 2006-06-28

Family

ID=37166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914A KR20060073072A (ko) 2004-12-24 2004-12-24 방송수신장치의 캡션 기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30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4477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73072A (ko) 방송수신장치의 캡션 기능 제어방법
KR0185315B1 (ko) 두화면 동시 출력이 가능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기능조정시 메뉴화면표시장치와 메뉴화면표시방법
KR100720575B1 (ko) 주변 노이즈에 따라 음성모드에서 텍스트모드로 전환하는텔레비전 세트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50057729A (ko) Pip모드시 주화면과 부화면의 개별 제어방법
KR100853729B1 (ko) 텔레비전의 밝기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0201835B1 (ko) 텔레비전의 채널 선국장치 및 그 방법
KR100232815B1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상태 제어장치
KR20050122882A (ko) 자막 화면 기능을 강화한 텔레비전
KR100222097B1 (ko) 인터넷 모듈을 이용한 tv 정지화면 출력장치 및 그 방법
KR0184967B1 (ko) 음량 및 음질 자동조절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KR100190899B1 (ko) 시청위치에 따른 osd데이터 자동변형출력기능을 갖춘텔레비전수상기
KR20040058449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음량조정방법
KR0141857B1 (ko) 부화면을 이용한 화면조정 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
KR20000028152A (ko) 텔레비젼에서의 무선 헤드폰 사용을 위한 주변음 표시 방법
KR20030083047A (ko) 뮤트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및 그의 뮤트방법
KR19980077283A (ko) 텔레비전의 음량하강조정시 문자표시처리방법
KR20000041984A (ko) 텔레비전에서의 캡션 자동 디스플레이 방법
KR20000021578A (ko) 텔레비전의 캡션 표시 제어방법
KR20060063459A (ko) 텔레비전의 채널 변경 방법
KR19980023852A (ko) 텔레비젼 수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osd 문자 표시시간 변경방법
KR20000044043A (ko) 텔레비전의 음량조정 표시방법
KR20000042732A (ko) 텔레비전의 문자정보 출력제어장치 및 방법
KR20000045826A (ko) 텔레비전의 음성 뮤트시 제어 방법
KR20040008932A (ko) 영상 및 음향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