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2995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2995A
KR20060072995A KR1020040111813A KR20040111813A KR20060072995A KR 20060072995 A KR20060072995 A KR 20060072995A KR 1020040111813 A KR1020040111813 A KR 1020040111813A KR 20040111813 A KR20040111813 A KR 20040111813A KR 20060072995 A KR20060072995 A KR 20060072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cut
letter
consonant
mobile communication
speed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1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2995A/ko
Publication of KR20060072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5Methods of retrieving data using interactive graphical means or pictorial represen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 시에 단축다이얼 방식을 자음을 기준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기억하기 쉽고 편리하며, 전화번호부와 메모장에 저장되는 데이터 등을 단축문자 관리 화면으로 편집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로 세로 자음을 배열시킨 단축문자관리 메뉴를 구비하고 단축문자관리 메뉴를 선택하여 전화번호부를 추가하거나, 변경, 삭제 등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가입자가 단축다이얼시에 착신자의 자음을 이용하여 문자 방식으로 단축다이얼링하는 것으로 가입자가 착신자의 이름만 알고 있는 경우 이름에 있는 자음을 이용하여 단축다이얼 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상상방의 단축번호를 기억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통화를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방법이다.
단축다이얼, 자음.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방법 {Method of shortening dial using consonant for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단축문자관리 메뉴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단축문자를 생성하는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단축문자로 단축다이얼하는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다이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 시에 단축다이얼 방식을 자음을 기준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기억하기 쉽고 편리하며, 전화번호부와 메모장에 저장되는 데이터 등을 단축문자 관리 화면으로 편집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미국의 벨연구소에서 처음 개발된 것으로, 아날로그 방식의 이동전화 방식(AMPS)은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으 로써 이동전화 시장의 등장을 가져왔으며, 그 후 등장한 디지털 방식의 이동전화는 아날로그 방식의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이동전화 시장을 본격적으로 확산시켰다. 이동전화 서비스 시장의 진화는 일반적으로 제1세대 아날로그 방식, 제2세대 디지털 방식, 제3세대 IMT-2000으로 구분하고 있다.
음성 및 단문메세지(SMS)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세대 이후, 현재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은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3세대 기술로 이행하고 있다. 제3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2세대(1.8GHz이하)보다 더 높은 대역폭(1.9GHz이상)을 사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 준다. 제3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멀티미디어 기술, 음성인식 기술, 휴대전화 위치확인 기술, 블루투스 기술 등과의 접목에 힘입어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IMT-2000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기존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탈피하여 고속데이터와 영상 서비스까지도 가능한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컬러 디스플레이, 대용량 메모리, 디지털 카메라, 무선 인터넷 플랫폼, 다중화음, MP3 기능, VOD 기능 등 첨단 기능들이 채용되고 있다. 즉, 이동통신서비스 기술 발전과 이에 따른 소비자의 요구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화를 가속시키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IMT-2000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종래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에서 고속데이터와 영상 서비스까지도 가능한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컬러 디스플레이, 대용량 메모 리, 디지털 카메라, 무선 인터넷 플랫폼, 다중화음, MP3 기능, VOD 기능 등 첨단 기능들이 채용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은 초소형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화면에서 볼 수 있도록 동영상과 사진촬영이 가능하다. 카메라 모듈에는 CCD(Charge-Coupled Device)와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방식이 있으며, 화질 경쟁에 따라 CMOS에서 CCD 적용 폰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고감도, 고해상도의 메가 픽셀(Mega Pixel), 광학 줌(Optical Zoom) 기능을 갖춘 카메라 모듈이 출시되고 있다. CCD(charge-coupled device)카메라는 디지털 카메라의 하나로, 전하 결합 소자(CCD)를 사용하여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로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에 저장하는 장치다. CMOS 형 카메라보다는 화질이 우수하나 전력소모와 가격면에서 불리하다. 접사촬영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1m 이내에서의 사진촬영을 의미하는 것으로, 클로즈 업(close-up)이라고도 하고, 업(up)이라고도 한다. 작은 물체나 작은 부분을 찍을 때 카메라를 피사체에 근접시켜 크게 촬영하는 것을 말한다. 50∼20㎝ 정도에까지 다가가서 찍게 되면 본격적인 접사로서 핀트조절이나 노출조절에 촬영기술이 요구된다. 접사촬영시에는 촬영배율에 따라 노출을 증가시켜야 한다. 화초의 접사, 곤충이나 작은 동물의 생태촬영, 학술연구상의 소자료의 촬영 등 접사기술은 매우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축다이얼하여 통화를 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저장된 전화번호부의 단축 번호를 선택 입력시켜 착신자와 연결하여 통화를 하였다.
따라서 번호를 이용한 단축다이얼 방식을 사용하는 데에는 착신자의 단축 번호를 기억하거나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그다지 효율적이지 못한 방식이다.
또한, 하나의 단축번호에는 중복성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단축 번호에 여러 개의 전화번호를 대응시킬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로 세로 자음을 배열시킨 단축문자관리 메뉴를 구비하고 단축문자관리 메뉴를 선택하여 전화번호부를 추가하거나, 변경, 삭제 등의 편집 기능과 통화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가입자가 단축다이얼 시에 착신자의 자음을 이용하여 문자 방식으로 단축다이얼링하는 것으로 가입자가 착신자의 이름만 알고 있는 경우 이름에 있는 자음을 이용하여 단축다이얼 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상상방의 단축번호를 기억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통화를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다이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메뉴를 선택을 하여 상대방의 성명,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정보를 등록하는 1단계와, 등록 후에 단축문자 생성의 여부를 선택하는 2단계와, 단축문자의 생성을 선택하면 상기 상대방의 등록된 성명의 자음으로 단축문자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3단계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문자 등록 방법이다.
또한, 상기한 2단계는 단축문자의 생성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1단계에서 입력한 상기 정보만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한 3단계는 상대방의 이름이 두글자인 경우 두글자의 자음, 세글자인 경우 첫번째 글자를 제외한 나머지 두글자, 4글자인 경우 세번째, 네번째 글자의 자음으로 단축문자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축문자를 생성하는 것은 자음이 중복되어도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가입자가 상대방의 단축문자를 입력하여 통화버튼을 선택하는 단계와, 단축문자에 해당하는 저장된 상대방이 한 명인 경우에는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통화신호가 송신되어 통화가 연결되는 단계와,단축문자에 해당하는 상대방이 복수명인 경우 상기 상대방의 리스트가 화면에 출력되는 단계와, 리스트에서 원하는 상대방을 선택을 하면 통화신호가 송신되어 통화가 연결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로로 ㄱ~ㅎ까지의 자음를 순서적으로 배열하고, 가로로 상기 ㄱ~ㅎ까지의 자음를 순서적으로 배열하여 화면으로 보여지는 단축문자관리 메뉴와, 단축문자관리 메뉴에서 전화번호부 메뉴에 등록된 상대방의 두개의 자음을 상기 단축문자관리 메뉴의 자음 배열에서 찾고, 상기 자음의 위치에서 키패드를 이 용하여 전화번호부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의 편집과 상대방과 통화를 연결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문자 관리를 이용한 전화번호부 관리 및 단축다이얼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한 단축문자관리 메뉴의 화면에는 단축문자가 동일한 중복된 단축문자가 있는 경우 상대방이 있는 경우 컬러를 다르게 하여 표시하여 알려준다.
본 발명의 단축문자관리 메뉴의 화면에는 세로의 자음 배열이 첫번째 단축문자를 지시하고, 가로의 자음 배열의 두번째 단축문자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축문자관리 메뉴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단축문자를 생성하는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단축문자로 단축다이얼하는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도 1은 단축문자관리 메뉴의 구성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테이블 방식의 단축 문자 다이얼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화번호부 항목에서 '성'을 제외한 '이름' 부분의 자음 배열로 중복된 단축 문자 기능을 허용하는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에서 제공하는 단축문자관리 메뉴(1)를 선택을 하면, 사용중인 단일 단축 문자, 사용중인 중복 단축 문자, 사용하지 않는 단축 문자, 현재 선택된 단축 문자를, 지정된 색을 이용하여 'ㄱ'에서 'ㅎ'까지의 문자 테이블 형태로 도 1과 같이 표시한다.
도 1과 같이 자음 배열로 이루어진 단축문자 테이블 상에서 두개의 단축문자를 선택을 하면 해당하는 자음으로 등록된 착신자의 전화번호 리스트가 보여지고, 가입자는 이를 이용하여 추가, 변경, 이동, 삭제 등의 편집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음 배열로 이루어진 단축문자관리 메뉴를 통한 단축다이얼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종래의 단축 번호 방식이 아닌 단축 문자 방식을 이용하여 굳이 단축 번호를 암기하지 않고도 착신자의 이름만을 생각하면 단축 다이얼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문자 테이블 방식을 이용하여 추가, 변경, 이동, 삭제 등의 단축 문자 관리 또한 수행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은 전화번호부 항목에서 '성'을 제외한 '이름' 부분의 자음 배열을 단축문자로 지정하는 것으로,2글자의 경우 1~2번째 자음을, 3글자의 경우 2~3번째 자음을, 4글자의 경우 3~4번째 자음을 단축문자로 지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단축다이얼링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하는 것이다.
'성'을 제외한 이유는 공통되는 성을 가진 사람이 많으므로 성을 이용하여 단축문자를 생성시에는 중복되는 단축문자가 많아지므로 특히 등록자자 많은 경우 관리가 불편하기 때문이다.
전화번호부에 이름이 아닌 다른 별명이나 회사이름을 등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설정으로 첫번째 글자를 단축문자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름이 '김종환'인 경우 2~3 번째 자음이 'ㅈㅎ'을 단축문자로 등록시키면, 단축다이얼시 ㅈㅎ만을 누르고 통화버튼을 누르면 김종환씨와 통화가 연 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대방의 이름만을 기억하면 간단히 단축다이얼로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상대방의 이름이 '권주흠'인 경우 2~3 번째 자음이 'ㅈㅎ'이므로 단축문자로 등록하여 단축다이얼시에는 ㅈㅎ만을 누르면 권주흠씨와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화번호부에 등록되는 사람이 많은 관계로 단축문자가 상기한 바와 같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해당 자음을 누르면 그에 해당하는 등록된 복수명의 전화번호 리스트가 보여지고 사용자는 선택을 하여 통화를 한다.
단축문자관리 테이블(1)에서 세로의 자음배열이 첫번째이고 가로의 자음배열이 두번째이다.
따라서 상기한 김종환씨를 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세로의 ㅈ 배열과 가로의 ㅎ이 있는 셀에 지시자를 위치시키고, 변경(2) 키를 선택을 하면, 도 1의 부호 5번과 같이 ㅈㅎ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리스트가 보여지고 사용자를 리스트를 보고 등록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부 등을 편집을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ㅈㅎ 자음의 위치에서 추가(3) 키를 누르면 현재 단축 문자와 일치하는 전화번호부 항목만을 리스트(4) 형태로 보여 주고, 리스트(4) 항목에서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단축문자로 추가할 수 있다.
단축문자관리(1) 화면에서 지시자(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소프트키인 상하좌우 방향키나 키패드를 이용하여 셀간 이동을 처리한다.
도 1에서 현재 ㅈㅎ의 위치에 있을 때 위방향 키를 누르면 'ㅇㅈ'으로 이동하고, 아래 방향 키를 누르면 'ㅊㅎ'셀로 이동하고, 오른쪽 방향키를 누르면 'ㅈㄱ'으로 이동하고, 왼쪽 방향키를 누르면 'ㅈㅍ'셀로 이동을 한다.
또한, 단축문자관리 화면에서 단말기의 키패드에 표시되는 자음을 선택을 하면 해당 자음에 해당하는 셀로 지시자 이동하고, 변경(2)이나 추가(3)버튼을 눌러서 리스트를 관리한다.
또한. 현재 ㅈㅎ의 위치에서 변경(2)이나 추가(3) 버튼을 선택하여 리스트가 보여질 때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 키와 '#' 키를 이용하여 리스트의 상하로 이동을 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축문자를 생성하는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전화번호부를 선택을 하고 상대방을 입력을 한다. 상대방의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정보, 성명 등의 입력을 마치고 저장하면, 단축문자를 생성할 것인 지를 사용자게 물어본다(S20~S22).
만약 사용자가 단축문자의 생성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바로 저장되고, 단축문자의 생성을 선택하는 경우 상대방의 이름에 해당하는 자음으로 단축문자를 생성하여 저장을 한다(S22~S24).
예를 들어 '김종환'이라는 이름을 가진 상대방을 등록시키면 'ㅈㅎ'으로 단축문자를 등록시킨다. 성을 제외한 이유는 공통되는 성을 가진 사람이 많으므로 성을 이용하여 단축문자를 생성시에는 중복되는 단축문자가 많아지므로 특히 등록자자 많은 경우 관리가 불편하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음 배열로 이루어진 단축문자를 이용하여 단축다이얼링하는 동작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의 이름에 해당하는 자음을 입력을 한다(S30~S31).
'김종환' 이라는 사람의 경우 ㅈㅎ을 입력을 하고 통화버튼을 누를 경우 ㅈㅎ에 해댕하는 등록자가 없는 경우에는 바로 등록된 '김종환'의 전화번호로 통화신호가 송신이 된다.
그러나 ㅈㅎ에 해당하는 등록자가 많은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ㅈㅎ에 해당하는 등록자의 리스트가 도 1과 같이 보여진다(S32~S33).
사용자는 보여지는 복수명의 ㅈㅎ에 해당하는 등록자의 리스트에서 원하는 김종환씨를 선택을 하면 선택된 김종환씨의 전화번호로 통화요청 신호가 송신되고 사용자는 김종환씨와 통화를 한다(S34~S35).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다르게 등록된 상대방의 단축 번호를 기억할 필요 없이, 상대방의 이름을 알고 있으면 간편하게 단축 다이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축문자 관리 메뉴를 통해, 숫자 방식의 단축 다이얼이 아닌 자음을 이용하여 단축다이얼을 할 수 있고, 문자 테이블 방식을 이용하여 추가, 변경, 이동, 삭제 편집 기능으로 전화번호부를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는 굳이 단축 번호를 의식하지 않고도 착신자의 이름만을 이용하여 단 축 다이얼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메뉴를 선택을 하여 상대방의 성명,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정보를 등록하는 1단계와;
    상기 등록 후에 단축문자 생성의 여부를 선택하는 2단계와;
    상기 단축문자의 생성을 선택하면 상기 상대방의 등록된 성명의 자음으로 단축문자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문자 등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단축문자의 생성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1단계에서 입력한 상기 정보만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문자 등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상대방의 이름이 두글자인 경우 두글자의 자음, 세글자인 경우 첫번째 글자를 제외한 나머지 두글자, 4글자인 경우 세번째, 네번째 글자의 자음으로 단축문자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문자 등록 방법.
  4.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문자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자음이 중복되어도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문자 등록 방법.
  5.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가입자가 상대방의 단축문자를 입력하여 통화버튼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단축문자에 해당하는 저장된 상대방이 한 명인 경우에는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통화신호가 송신되어 통화가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단축문자에 해당하는 상대방이 복수명인 경우 상기 상대방의 리스트가 화면에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리스트에서 원하는 상대방을 선택을 하면 통화신호가 송신되어 통화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방법.
  6. 세로로 ㄱ~ㅎ까지의 자음를 순서적으로 배열하고
    가로로 상기 ㄱ~ㅎ까지의 자음를 순서적으로 배열하여 화면으로 보여지는 단축문자관리 메뉴와;
    상기 단축문자관리 메뉴에서 전화번호부 메뉴에 등록된 상대방의 두개의 자음을 상기 단축문자관리 메뉴의 자음 배열에서 찾고, 상기 자음의 위치에서 키패드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부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의 편집과 상대방과 통화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문자 관리를 이용한 전화번호부 관리 및 단축다이얼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문자관리 메뉴에는 단축문자가 동일한 상대방이 있는 경우 컬러를 다르게 하여 표시하여 알려주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문자 관리를 이용한 전화번호부 관리 및 단축다이얼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문자관리 메뉴에서 세로의 자음 배열이 첫번째 단축문자를 지시하고,
    가로의 자음 배열의 두번째 단축문자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문자 관리를 이용한 전화번호부 관리 및 단축다이얼 방법.
KR1020040111813A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방법 KR20060072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813A KR20060072995A (ko)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813A KR20060072995A (ko)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995A true KR20060072995A (ko) 2006-06-28

Family

ID=3716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813A KR20060072995A (ko)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29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6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 방법
CN1956577B (zh) 具有显示通信状态功能的移动通信终端及其方法
US2011003959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ding sound annotation to picture and for highlighting on photos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devices
EP186569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CN101506869B (zh) 用于控制电子设备中的显示器的方法和装置
WO2013010065A2 (en) Phone with multi-portal access for display during incoming and outgoing calls
CN101222672B (zh) 一种主叫信息显示业务的实现方法
CN103475787A (zh) 一种提供联系人相关信息的方法及移动终端
WO201101946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ding sound annotation to picture and for highlighting on photos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devices
JP2011509009A (ja) 画像をデータと関連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4147242A (ja) 電子機器
CN101488990A (zh) 一种语音会议过程中利用图像切换查看通话方详细信息的方法
US20030224830A1 (en) Mobile telephone capable of displaying image of caller automatically and method for realize it
US2005006911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country codes
KR2006007299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음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방법
KR100517337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사용 명함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731619B1 (ko)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
CN1980270A (zh) 可携式通讯装置的提示系统及方法
KR100664122B1 (ko) 부재중 통화 시 발신자 표시방법
KR2005002893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진을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20040110886A (ko) 휴대폰의 다이얼링 방법
KR100595667B1 (ko) 휴대폰의 전화번호부 정보 입력방법
JP2010525652A (ja) ホットキーを利用して多様な通話サービスを提供する移動通信端末器および通話サービス提供方法
KR20080091605A (ko) 화상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화상통신용 단말기
KR101063530B1 (ko) 폰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