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2800A - Display control method of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control method of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2800A
KR20060072800A KR1020040111527A KR20040111527A KR20060072800A KR 20060072800 A KR20060072800 A KR 20060072800A KR 1020040111527 A KR1020040111527 A KR 1020040111527A KR 20040111527 A KR20040111527 A KR 20040111527A KR 20060072800 A KR20060072800 A KR 20060072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rotation
signal
motor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5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1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2800A/en
Publication of KR20060072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8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좌우 및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은, 키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회전방향에 따라서 임의의 키신호를 설정하고, 디스플레이는 좌우회전을 위한 모터와 전후회전을 위한 모터에 의해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설정된 임의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모터 구동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th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movement of the display using a key signal. Display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display using the key signal.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sets an arbitrary key signal according to the display rotation direction, and the display is configured to be rotated by a motor for left and right rotation and a motor for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Accordingly, when the predetermined key signal is input, the display angle is automatically adjusted by the motor driving force.

휴대용 전자기기, 디스플레이, 회전, 제어Handheld electronics, display, rotation, control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Display control method of portable device}Display control method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도 1은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디스플레이부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1 is a use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rot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도 2는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이 본체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Figure 2 is a use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 of the display unit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도 3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viewed from the front;

도 4는 스위블힌지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wivel hinge assembly.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구성도.5 is a control diagram of the displa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디스플레이 회전 제어를 위한 동작 흐름도.6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display rotation control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키보드 20 : 임베디드 컨트롤러10: keyboard 20: embedded controller

30 : 모터구동부 40 : 모터부
30: motor drive part 40: motor par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좌우 및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th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movement of the display using a key signal.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노트북 컴퓨터 겸용의 태블릿 컴퓨터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태블릿 컴퓨터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겹쳐지게 접어지고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 예를 들면,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등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tablet comput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bined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tablet computer, but may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phone, a tablet computer, and the like, which are configured to be folded and unfolded so that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display portion overlap each other.

종래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을 동일 출원인에 의해서 특허 출원번호 10-2003-31020호에 개재되고 있다. A configuration for manually rotating a display unit of a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discl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03-31020 by the same applicant.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종래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위한 스위블힌지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1 to 3 illustrate a display rot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FIG. 4 illustrate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wivel hinge for rotating a display of a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도면에 따르면, 본체부(10)의 내부에는 메인보드,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등 각종 부품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0)의 상면에는 입력장치의 하나인 키보드(2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0)의 일단에는 디스플레이부(30)가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로는 일반적으로 LCD가 많이 사용된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various components such as a main board, a hard disk drive.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keyboard 20 which is one of input devices. The display unit 3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unit 10. LCD is generally used as the display unit 30.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본체부(10)에 대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회동됨과 동시에 본체부(10)의 정면에서 볼 때 좌우방향으로도 회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0)와 디스플레이부(30)는 스위블힌지조립체(50)에 의해 연결된다. The display unit 30 is rotated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it 10 and also rot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unit 10. To this end, the main body 10 and the display 30 is connected by a swivel hinge assembly 50.                         

상기 디스플레이부(30)를 좌우회전중심축(52)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전후회전중심축(58)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부(3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다시 상기 좌우회전중심축(5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전후회전중심축(58)을 중심으로 한 회전은 거의 180°정도의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좌우회전중심축(52)을 중심으로 한 회전은 360°회전이 가능하다.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30 is rotated about the left and right rotation center axis 52 is illustrated in FIG. 1.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30 is rotated about the front and rear rotation center axis 58, the left and right rotation center axis 52 is rotated again. The rotation about the front and rear rotation center axis 58 can be rotated about 180 °, and the rotation about the left and right rotation center axis 52 can be rotated 360 °.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배면이 상기 본체부(10)의 상면 상에 안착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30)의 정면이 전자기기를 지면에 놓았을 때 상부를 향하도록 한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가 태블릿 컴퓨터로 구성된 경우에 사용하는 형태중 하나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타일러스펜(45)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입력작업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3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30 is facing upward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placed on the ground, Figure 2 Is shown. This is one of the forms used when the display unit 30 is configured as a tablet computer. In this state, the input oper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display unit 30 using the stylus pen 45.

디스플레이부(30)가 도 3의 상태에서 상기 좌우회전중심축(52)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상기 차폐판(60)의 안내경사면(62')과 절단부(56c)의 경사면(56c')이 서로 접하고 있다가 상기 절단부(56c)의 경사면(56c')에 의해 상기 차폐판(60)의 경사면(62')이 밀리기 시작한다. 따라서 상기 차폐판(60)은 상기 탄성부재(6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힌지핀(61p)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강되기 시작한다. When the display unit 30 starts to rotate about the left and right rotation center axis 52 in the state of FIG. 3, the inclined surface 56c 'of the guide slope 62' and the cutout 56c of the shielding plate 60. )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inclined surface 62 'of the shielding plate 60 begins to be pushed by the inclined surface 56c' of the cutout portion 56c. Therefore, the shielding plate 60 begins to descend by rotating around the hinge pin 61p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66.

상기 디스플레이부(30)가 계속하여 회전하면, 상기 차폐판(60)은 상기 베이스(56)의 하면에 의해 눌러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들에서는 상기 차폐판(60)이 상기 베이스(56)의 하부에 눌러진 상태로 있게 된다.When the display unit 30 continues to rotate, the shield plate 60 is kept press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56. In such states, the shield plate 60 is pressed under the base 56.

이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사용자가 한 손을 이용해서 본체(1)를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디스플레이를 잡고 일정량의 힘을 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있다.The display control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ch operates in this way uses the method which a user rotates manually. That is, the user is holding the display with the other hand while holding the main body 1 with one hand and is configured to rotate by applying a certain amount of force.

한편, 최근 노트북 컴퓨터를 비롯한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텔레비젼신호를 비롯한 각종 영상신호를 시청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이용해서 DVD 및 CD를 시청하거나 청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텔레비젼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들을 이용함에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필요가 발생되었다. On the other h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laptop computers have recently been equipped with multimedia functions to view various video signals including television signals. Thus, users can watch or listen to DVDs and CDs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also watch TV. As such,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have been used to adjust the displa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a desired angle.

그러나 종래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은, 사용자가 손으로 디스플레이를 직접 잡고 움직여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However, the display rotation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inconvenient in use because the user has to hold and move the display by han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상하 및 좌우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display by using a key sig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회전중심축과 디스플레이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좌우회전중심축을 구비하고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힌지 조립체를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키신호를 이용해서 디스플레이 회전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키신호를 분석하고, 디스플레이의 좌우 또는 상하 회전을 위한 회전방향, 회전량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방향, 회전량신호를 모터구동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모터구동신호를 좌우회전중심축을 구동하는 모터 또는 전후회전중심축을 구동하는 모터로 인가하여 디스플레이 회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Display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hinge assembly having a front and rear rotation center axis for moving the display up and down and a left and right rotation center axis for rotating the display from side to side and rotating the display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inputting a display rotation signal using a key signal; Analyzing the key signal, and outputting a rotation direction for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rotation of the display and a signal for the rotation amount; Converting the rotation direction, rotation amount signal into a motor drive signal; And controlling the display rotation by applying the converted motor driving signal to a motor for driv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center shafts or a motor for driving the front and rear rotation center shafts.

본 발명의 상기 키신호는, 키보드 방향키신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ey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using a keyboard direction key signal.

본 발명의 상기 디스플레이는, 노트북 컴퓨터의 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a display device of a notebook comput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display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디스플레이 제어를 위한 구성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 중에 필요한 기구적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하기로 한다.5 is a block diagram for display control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required during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0)를 좌우상하로 이동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30)의 회전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모터부(40)를 구동한다. 상기 모터부(40)의 구동력은, 디스플레이(30)와 본체부(1) 사이에 연결된 스위블힌지(50)의 전후회전중심축(58)과, 좌우회전중심축(52)의 회전동작을 위한 동력으로 이용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모터부(40)는, 상기 전후회전중심축(58)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 1 모터와, 상기 좌우회전중심축(52)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 2 모터로 구성되어진다.1 to 3,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moving the display 30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unit 40 is driven to control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display 30.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unit 40 is for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front and rear rotation center axis 58 and the left and right rotation center axis 52 of the swivel hinge 50 connected between the display 30 and the main body unit 1. It is used as a power source. Therefore, the motor unit 40 is composed of a first motor for providing power to the front and rear rotation center shaft 58 and a second motor for providing power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center shaft 52.

상기 모터부(40)의 구동은 모터구동부(30)에 의해 제어되어진다. 상기 모터구동부(30)는, 상기 디스플레이(30)의 상하 또는 좌우로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 1 모터와 제 2 모터에 각각 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에 기초해서 모터부(40)의 구동이 이루어진다.The driving of the motor unit 40 is controlled by the motor driving unit 30. The motor driving unit 30 outputs a direction control signal to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respectively, in order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display 30 up, down, left, or right, and based on the signal, the motor unit 40. The drive of is made.

그리고 본 발명은 키보드(10)의 방향키신호 또는 임의 설정키신호에 의해서 상기 모터부(4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키보드(10)의 방향키신호 또는 임의 설정키신호(별도 구비된 버튼 방향키신호)는, 디스플레이(30)의 회전을 위한 방향과 회전량을 설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서 왼쪽 방향키신호는, 디스플레이(30)를 왼쪽으로 설정된 회전량만큼 회전시키는 신호로서 설정되어진다. 그리고 오른쪽 방향키신호는, 디스플레이(30)를 오른쪽으로 설정된 회전량만큼 회전시키는 신호로서 설정되어진다. 그리고 위쪽 방향키신호는 디스플레이(30)를 상부측으로 설정된 회전량만큼 회전시키는 신호로 설정되고, 아래쪽 방향키신호는 디스플레이(30)를 아래측으로 설정된 회전량만큼 회전시키는 신호로 설정되어진다. 여기서 1회 회전량은, 좌우회전과 전후회전의 회전범위(360도, 180도)에 따라서 각각 적절하게 설정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unit 40 by the direction key signal or the arbitrary setting key signal of the keyboard 10. Therefore, the direction key signal or the random setting key signal (a button direction key signal provided separately) of the keyboard 10 should set the direction and the rotation amount for the rotation of the display 30. For example, the left direction key signal is set as a signal for rotating the display 30 by the amount of rotation set to the left. The right direction key signal is set as a signal for rotating the display 30 by the amount of rotation set to the right. The up direction key signal is set as a signal for rotating the display 30 by the amount of rotation set to the upper side, and the down direction key signal is set as a signal for rotating the display 30 by the amount of rotation set to the lower side. Here, the amount of one rotation is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rotation ranges (360 degrees and 180 degrees) of the left and right rotations and the front and rear rotations, respectively.

상기와 같은 키보드(10)의 방향키신호의 제어는, 디스플레이(30)의 회전을 제어할 때만 적용되어진다. 따라서 현재 동작상태가 디스플레이 회전을 위한 동작상태인지를 먼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10)의 방향키신호가 어 떤신호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The control of the direction key signal of the keyboard 10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only when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display 30.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rst check whether the current operation state is an operation state for rotating the display. In addition, a configuration for determining which signal is the direction key signal of the keyboard 10 is necessary.

따라서 상기 키보드(10)의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신호가 어떤 기능을 요구하는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임베디드 컨트롤러(20)를 포함한다. 상기 임베디드 컨트롤러(20)는, 상기 키보드 또는 버튼신호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모터구동부(30)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제공한다.Therefore, it includes an embedded controller 20 for inputting a signal of the keyboard 10, determining what function the input signal requires, and performing control accordingly. The embedded controller 20 detects a signal input through the keyboard or button signal and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the motor driver 30.

그리고 상기 임베디드 컨트롤러(20)는, 상기 키보드(10)의 신호를 디스플레이 회전요구신호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현재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서 DVD 재생 중이거나 TV 시청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회전요구신호로 판단한다. 그러나 문서 작성과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방향키신호를 일반적인 방향키 제어신호로 판단한다. The embedded controller 20 checks the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system to determine whether the signal of the keyboard 10 is a display rotation request signal.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as a display rotation request signal during DVD playback or TV viewing. However, in the state of document preparation, the direction key signal is determined as a general direction key control signal.

다음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의 회전 동작 제어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will be described the rotation operation control process of the displa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회전 동작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play rotation opera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DVD 재생 또는 TV 시청 중에 디스플레이(30)의 회전방향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원하는 방향에 해당하는 키보드(10)의 방향키를 입력한다(제 110 단계).When the user needs to adjus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isplay 30 while playing a DVD or watching TV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direction key of the keyboard 10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direction is input (step 110).

임베디드 컨트롤러(20)는, 상기 제 110 단계에서 입력된 방향키신호를 분석하고, 어떤 기능이 설정된 신호인지를 인식한다(제 120 단계). 이때, 임베디드 컨트롤러(20)는, 시스템의 동작상태도 같이 판단한다. 예를 들어서 DVD 재생 또는 TV 시청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110 단계에서 입력된 방향키신호가, 디스플레이(3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로 판단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문서 작성이 이루어지는 경우에서는, 문서 내에서 커서 이동을 위한 입력신호로 판단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서 시스템의 동작상태가 DVD 재생 상태 또는 TV 시청 상태이면, 상기 제 110 단계의 입력신호를 회전신호로 인식한다. The embedded controller 20 analyzes the direction key signal input in step 110 and recognizes which function is a set signal (step 120). At this time, the embedded controller 20 also determin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system.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DVD playback or TV viewing is performed, the direction key signal input in step 110 is determined as an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isplay 30. However, when general document creation is made, it is determined as an input signal for moving the cursor in the document. If the operating state of the system is a DVD playback state or a TV viewing state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input signal of step 110 is recognized as a rotation signal.

상기 제 120 단계에서 회전신호로 인식되면,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회전방향, 그리고 회전량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한다(제 130 단계).If it is recognized as the rotation signal in step 120,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amount of rot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is output (step 130).

상기 제 130 단계는, 회전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인 경우 좌우회전중심축(5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키라는 신호와 함께, 회전량신호가 같이 출력된다. 회전방향이 상측 또는 하측인 경우 전후회전중심축(58)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키라는 신호와 함께, 회전량신호가 같이 출력된다.In the step 130, when the rotation direction is left or right, the rotation amount signal is output together with a signal to rotate the left and right rotation center axis 52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When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the rotation amount signal is output together with the signal to rotate the front and rear rotation center axis 58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상기 제 130 단계의 회전제어신호는, 모터구동부(30)에 인가되어지고, 상기 모터구동부(30)에서 실제 좌우회전중심축(52) 또는 전후회전중심축(58)을 움직이도록 하는 모터구동신호로 변환되어진다(제 140 단계).The rotation control signal of the 130th step is applied to the motor driving unit 30, the motor driving signal to move the actual left and right rotation center axis 52 or the front and rear rotation center axis 58 in the motor driver 30. Is converted to step 140.

그리고 상기 제 140 단계에서 모터구동신호로 변환된 신호가 모터부(40)의 제 1 모터 또는 제 2 모터에 인가되면서, 디스플레이(30)의 상하 및 좌우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제 150 단계).In addition, the signal converted into the motor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motor or the second motor of the motor unit 40 in step 140, and th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rotations of the display 30 are performed (step 15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은, 키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회전방향에 따라서 임의의 키신호를 설정하고, 디스플레이는 좌우회전을 위한 모터와 전후회전을 위한 모터에 의해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설정된 임의의 키신호가 입력되면 모터 구동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어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control method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display using a key signal.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sets an arbitrary key signal according to the display rotation direction, and the display is configured to be rotated by a motor for left and right rotation and a motor for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Accordingly, when the predetermined key signal is input, the display angle is automatically adjusted by the motor driving force.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 중에 디스플레이 회전신호 입력을 위한 구성을 키보드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서 마우스의 버튼신호를 디스플레이 회전신호로 설정하여 사용하거나, 본체에 구비된 별도의 버튼신호를 디스플레이 회전신호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임의의 키신호를 디스플레이 회전신호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for inputting the display rotation signal is described with a keyboard,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button signal of the mouse may be set as the display rotation signal, or a separate button signal provided in the main body may be used as the display rotation signal. That is, an arbitrary key signal is used as a display rotation signal.

또한,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의 회전이 스위블 힌지 조립체에 의해서 제어되는 구성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좌우회전중심축과 전후회전중심축을 갖춘 힌지조립체이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display is controlled by the swivel hinge assemb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hinge assembly having a left and right rotation center axis and the front and rear rotation center axis to rotate the display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applied.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위에서 설명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은 DVD 재생 또는 TV 시청과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볼 때 , 디스플레이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를 회전시켜서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키신호 입력에 의해서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상의 편리함과 제품에 대한 성능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 method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adjust the display at various angles when viewing a video signal us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playing a DVD or watching TV. It is possible to watch by rotating the display in the direc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display by a simple key signal inpu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and the performance satisfaction of the product.

Claims (3)

디스플레이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회전중심축과 디스플레이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좌우회전중심축을 구비하고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힌지조립체를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pivot assembly for moving the display up and down and a pivot assembly for rotating the display left and right and a hinge assembly for rotating the display: 키신호를 이용해서 디스플레이 회전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Inputting a display rotation signal using the key signal; 상기 키신호를 분석하고, 디스플레이의 좌우 또는 상하 회전을 위한 회전방향, 회전량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Analyzing the key signal, and outputting a rotation direction for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rotation of the display and a signal for the rotation amount; 상기 회전방향, 회전량신호를 모터구동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Converting the rotation direction, rotation amount signal into a motor drive signal; 상기 변환된 모터구동신호를 좌우회전중심축을 구동하는 모터 또는 전후회전중심축을 구동하는 모터로 인가하여 디스플레이 회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And controlling the display rotation by applying the converted motor driving signal to a motor for driving a left and right rotation center shaft or a motor for driving a front and rear rotation center shaf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신호는, 키보드 방향키신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The key signal is a display control method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using a keyboard direction key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는, 노트북 컴퓨터의 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And said display is a display device of a notebook computer.
KR1020040111527A 2004-12-23 2004-12-23 Display control method of portable device KR200600728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527A KR20060072800A (en) 2004-12-23 2004-12-23 Display control method of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527A KR20060072800A (en) 2004-12-23 2004-12-23 Display control method of portab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800A true KR20060072800A (en) 2006-06-28

Family

ID=3716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527A KR20060072800A (en) 2004-12-23 2004-12-23 Display control method of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280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081B1 (en) * 2007-06-08 2008-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Apparatus for changing received mode
CN114924618A (en) * 2022-04-22 2022-08-19 上海福赛梦扬科技有限公司 Notebook computer convenient for adjusting angle of upper cover and upper cover angle adjusting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081B1 (en) * 2007-06-08 2008-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Apparatus for changing received mode
CN114924618A (en) * 2022-04-22 2022-08-19 上海福赛梦扬科技有限公司 Notebook computer convenient for adjusting angle of upper cover and upper cover angle adjust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077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edium
JP3992716B2 (en) Tilt structure of rotating display
KR10070990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medium
CN100356293C (en) Portable computer with camera
US20120314342A1 (en) Holding device integrated with protective cover and wireless keyboard
JP5010714B2 (en) Electronic device, input control program, and input control method
KR100488012B1 (en) Portable computer system
KR101939724B1 (en) Electronic device, input / out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EP3588942B1 (en) Display device
US20120038893A1 (en) Portable computer with projecting function
JP4040598B2 (en) Portable computer stand device
US2012013464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Bar
JP2004127048A (en) Information processor
US20140009874A1 (en) Collapsible electronic equipment
JP2004171131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display device switching method
US2010028976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GB2552070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for inputting and program
US2004025733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operation window
KR20060072800A (en) Display control method of portable device
US738559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ith rotatable screen and external input device
US2011029258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945671B2 (en) Electronic equipment, input control method
CN115248635A (en) Input device
US7345599B2 (en) Computer keyboard
US20040252075A1 (en) Information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switch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